KR200189513Y1 -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513Y1
KR200189513Y1 KR2020000003174U KR20000003174U KR200189513Y1 KR 200189513 Y1 KR200189513 Y1 KR 200189513Y1 KR 2020000003174 U KR2020000003174 U KR 2020000003174U KR 20000003174 U KR20000003174 U KR 20000003174U KR 200189513 Y1 KR200189513 Y1 KR 200189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construction machine
main frame
latch
detach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수
Original Assignee
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수 filed Critical 변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5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기계의 아암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의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기계의 아암에 취부되는 어태치먼트를 착탈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과 타측이 아암(10)에 핀(11,12)으로 연결되기 위한 핀구멍(24a,24b)을 갖는 상부브래킷 (24,24)과, 이 상부브래킷(24,24)의 하방에 일측과 타측이 어태치먼트(5)측 핀(6, 7)과 연결되기 위한 후크부(26a)와 걸림턱(26b)을 갖는 하부브래킷 (26,26)을 구비한 메임프레임(2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에는 상기 어태치먼트측의 핀(7)을 걸어맞추기 위한 래치(30) 및 이 래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 (40)를 갖는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부브래킷(24)과 하부브래킷(26)과의 사이에는 상,하부 브래킷(24,26)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서 어태치먼트측 작업 부하로 인해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내구강도를 높이기 위해 적어도 2회 절곡된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가 추가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착탈장치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고, 충분한 내구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ADHESIVE DEVICE OF ATTACHMENT FOR CONSTRUCTION EQUIPMENT}
본 고안은 건설기계의 아암에 어태치먼트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탈장치를 콤팩트화시키고, 충분한 내구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 예를 들어 굴삭기 등은 작업양태에 따라 어태치먼트(attachment:작업장치)를 장착하여 작업한다.
굴착용 버킷, 파쇄용 브레이커(breaker) 등의 어태치먼트는 건설기계의 아암 선단에 설치되는바, 아암 선단부에는 어태치먼트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장치가 구비된다.
통상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는, 작업 안정도를 고려하여 가혹한 작업시에도 충분한 내구강도를 지녀야 한다.
또한, 포장 및 운송비용을 줄이기 위해 내구강도가 요구되고 콤팩트해야 한다.
또한, 어태치먼트의 작업중 작업자의 조작 부주의로 인해 어태치먼트가 탈거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요구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는, 상부 양측으로 아암측 핀구멍을 갖고 아암측에 핀 접속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 양측으로 어태치먼트의 핀에 결합되는 후크부를 갖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피봇 연결되어 어태치먼트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한다.
여기서 메인프레임은, 상부브래킷, 하부브래킷, 상,하부브래킷을 연결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직선적인 일평면으로 구성됨으로 인해 이 부분에서 가혹한 작업시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평면으로 제작됨으로 인해 착탈장치의 메인프레임이 전체적으로 크게 되고, 이는 부품관리에 용이치 못하고, 운송에도 큰 부피를 차지하는 등의 문제를 가져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를 콤팩트화시키고, 가혹한 작업조건에서도 충분한 내구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태치먼트와 착탈장치의 록킹후 작업중 부주의한 조작으로 인해 래치의 풀림을 방지하기 안전장치를 추가적으로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건설기계의 아암에 취부되는 어태치먼트를 착탈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과 타측이 아암(10)에 핀(11,12)으로 연결되기 위한 핀구멍(24a,24b)을 갖는 상부브래킷(24,24)과, 이 상부브래킷(24,24)의 하방에 일측과 타측이 어태치먼트(5)측 핀 (6,7)과 연결되기 위한 후크부(26a)와 걸림턱(26b)을 갖는 하부브래킷(26,26)을 구비한 메임프레임(2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에는 상기 어태치먼트측의 핀(7)을 걸어맞추기 위한 래치(30) 및 이 래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40)를 갖는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부브래킷(24)과 하부브래킷(26)과의 사이에는 상,하부 브래킷(24,26)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서 어태치먼트측 작업 부하로 인해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내구강도를 높이기 위해 적어도 2회 절곡된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가 추가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방향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6은 본 고안에 따른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의 장,탈착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1의 C방향에서 본 메인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버킷 6,7,11,12 : 핀
10 : 아암 20 : 메인프레임
22 : 베이스 보강플레이트 22a,22b,22c : 제1,2,3평면부
24 : 상부브래킷 26 : 하부브래킷
40 : 유압실린더 60 : 견인 고리
81 : 슬라이드 플레이트 83 : 스톱퍼
84 : 스톱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6은 건설기계의 아암(10)에 취부되는 어태치먼트 즉, 버킷(5)이 본 고안의 착탈장치(100)를 통해 연결되는 장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착탈장치(100)는, 도 1,2와 같이 메인프레임(20)이 구비된다.
메인프레임(20)은 일측과 타측이 아암(10)측에 핀(11,12)으로 연결되기 위한 핀구멍(24a,24b)을 갖는 상부브래킷(24,24)과, 이 상부브래킷(24,24)의 하방에 일측과 타측이 어태치먼트(5)측 핀(6,7)과 연결되기 위한 후크부(26a)와 걸림턱(26b)을 갖는 하부브래킷(26,26)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에는 상기 걸림턱(26b)측의 핀(7)을 걸어맞추기 위한 래치(30) 및 이 래치(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40)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0)는 일단이 핀(44)으로 하부브래킷(26,26)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측 피스톤로드(41)가 래치(30)에 핀(45)으로 피봇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부브래킷(24)과 하부브래킷(26)과의 사이에는 상,하부 브래킷(24,26)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작업 부하로 인해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적어도 2회 절곡된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는 제1평면부(22a), 제1평면부에서 상향절곡된 제2평면부(22b), 제2평면부에서 하향 절곡된 제3평면부(22c)로 연속되게 구성된다.
이때 제2평면부(22b)에는 유압실린더(40) 및 이에 내장된 파일럿 체크밸브 (47)의 동작공간 확보 및 밸브파손 그리고 링크(8)의 작동간섭 배제를 위해 관통된 구멍(22b-1)을 갖고 있다.
따라서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는 종래의 일직선적인 평면형보다 상,하부 브래킷(24,26)에 부착되는 접촉면적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응력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강도가 보강되고 작업중에 받는 관성력의 영향을 훨씬 덜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평면부(22a)와 제2평면부(22b)가 연결되는 절곡부가 상기 링크핀 구멍(24b)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평면부(22b)와 상기 제3평면부(24c)가 연결되는 절곡부가 상기 링크핀 구멍(24b)과 아암핀 구멍(24a)의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브래킷(24)의 내측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마주보는 수쌍의 서포트(71,72,73)가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 상면과 함께 모서리에 접합되어 있다.
즉, 상기 서포트(71,72,73)는 경사진 각 평면부(22a,22b,22c)에 부착됨으로 인해 응력분산에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하부브래킷(26)의 전면에 프론트 플레이트(50)를 취부하고, 이 프론트 플레이트(50)상에 하역작업용 견인 고리(60)가 추가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래치(30)의 상방측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에 설치되고, 래치(30)의 록킹 작동후 작업시 풀림을 방지하기 안전장치(80)가 구비된다.
상기 안전장치(80)는 도 3,4와 같이 상기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상에 록,언록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플레이트(81)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81)와 핀(82)을 통해 연결된 스톱퍼(83)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81)의 록, 언록 위치를 고정하는 스톱볼트(84)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톱퍼(83)의 위치가 래치(30)의 회전각운동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면 록상태가 되고, 반면에 스톱퍼(83)의 위치가 래치(30)의 회전각운동 방향을 회피하고 있으면 언록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40)는 상기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의 제2평면부 (22b)의 하방측에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나란하게 위치되어 하부브래킷(26)측에 피봇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어태치먼트(5)측 핀(6,7)과 메인프레임(20)을 연결할 경우 핀 (6,7)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사선이 이루어진 것이 본 고안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100)의 메인프레임(20)은 핀(11,12)을 통해 건설기계의 아암(10)과 링크(8)에 연결된다. (도 5,6참조)
이같은 상태에서 메인프레임(20)과 어태치먼트인 버킷(5)과의 장착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프레임(20)측 후크부(26a)를 버킷(5)의 일측 핀(6)에 삽입시키고, 메인프레임(20)측 걸림턱(26b)을 버킷(50)의 타측 핀(7)에 갖다 맞추고 유압실린더 (26)를 작동시킨다.(이때 안전장치는 언록 상태이다)
그러면, 유압실린더(26)에 연결된 래치(30)가 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버킷(5)측 핀(7)을 걸림턱(26b)과의 사이에서 물어 고정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버킷(5)은 착탈장치의 메인프레임(20)을 통해 아암(10)에 장착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안전장치(80)의 슬라이드 플레이트(81)를 록킹위치로 이동시킨 후 스톱볼트(84)로 고정한다. 따라서 스톱퍼(83)의 하단이 래치(30)의 상단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더 이상 래치(30)는 역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만들어 록킹이 확실히 유지된다.
즉, 유압실린더(40)의 오조작에 의해 래치(30)의 잠금이 풀림되는 일은 없어 작업안전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고안은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의 구조가 수회 절곡된 응력분산형 특수구조로 약 1/3정도로 응력분산이 이루어져 내구성이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콤팩트한 크기로서 재료비가 줄어들고 무게를 20% 정도 경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유압실린더(40)에 일체화된 파일럿 체크밸브(47)를 내장형으로 하여 링크 작동시 간섭 배제가 가능하고, 외부 충격으로 인한 밸브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견인고리(60)가 추가되어 견인 및 인양을 겸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선택의 폭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굴삭작업 등을 할 때 집중응력을 분산시킴에 따라 내구강도가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무게를 저감시켜 작업장치 동작시 관성력의 영향을 훨씬 적게 받을뿐 아니라 풀림방지용 안전장치가 추가되어 장비의 작업안정성이 더욱 높아진다.
더욱이 견인 및 인양고리가 부가되어 작업성이 다양화될 수 있다.

Claims (8)

  1. 건설기계의 아암에 취부되는 어태치먼트를 착탈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과 타측이 아암(10)에 핀(11,12)으로 연결되기 위한 핀구멍(24a,24b)을 갖는 상부브래킷(24,24)과, 이 상부브래킷(24,24)의 하방에 일측과 타측이 어태치먼트(5)측 핀 (6,7)과 연결되기 위한 후크부(26a)와 걸림턱(26b)을 갖는 하부브래킷(26,26)을 구비한 메임프레임(2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에는 상기 어태치먼트측의 핀(7)을 걸어맞추기 위한 래치(30) 및 이 래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40)를 갖는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부브래킷(24)과 하부브래킷(26)과의 사이에는 상,하부 브래킷(24,26)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서 어태치먼트측 작업 부하로 인해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내구강도를 높이기 위해 적어도 2회 절곡된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가 추가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는 제1평면부(22a), 제1평면부에서 상향절곡된 제2평면부(22b), 제2평면부에서 하향 절곡된 제3평면부(22c)로 연속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면부(22a)와 제2평면부(22b)가 연결되는 절곡부가 상기 링크핀 구멍(24b)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평면부(22b)와 상기 제3평면부(24c)가 연결되는 절곡부가 상기 링크핀 구멍(24b)과 아암핀 구멍(24b)의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래킷(26)의 전면에 프론트 플레이트(50)를 취부하고, 이 프론트 플레이트(50)상에 하역작업용 견인 고리(60)를 추가로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래킷(24)의 내측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수개의 서포트(71,72, 73)가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의 각 평면부(22a,22b,22c)의 직교 모서리부에 각각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30)의 상방측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설치되고, 래치(30)의 록킹 작동후 작업중 풀림을 방지하기 안전장치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상에 록,언록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플레이트(81)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81)와 핀(82)을 통해 연결된 스톱퍼(83)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81)의 록, 언록 위치를 고정하는 스톱볼트(8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40)는 내부에 내장된 파일럿 체크밸브(47)를 갖고 상기 베이스 보강플레이트(22)의 제2평면부(22b)의 하방측에 대략 나란하게 위치되어 하부브래킷(26)측에 피봇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5)측 핀(6,7)과 메인프레임(20)을 연결할 경우 핀(6,7)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사선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KR2020000003174U 2000-02-07 2000-02-07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KR20018951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622A KR20010077668A (ko) 2000-02-07 2000-02-07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622A Division KR20010077668A (ko) 2000-02-07 2000-02-07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513Y1 true KR200189513Y1 (ko) 2000-07-15

Family

ID=196444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174U KR200189513Y1 (ko) 2000-02-07 2000-02-07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KR1020000005622A KR20010077668A (ko) 2000-02-07 2000-02-07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622A KR20010077668A (ko) 2000-02-07 2000-02-07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95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692B1 (ko) 2018-01-11 2018-07-27 손용민 개선된 견인고리를 갖는 굴삭기용 링크
KR102173280B1 (ko) 2020-05-20 2020-11-03 손태진 탄성판을 이용한 걸림구조를 갖는 체결핀
KR102400428B1 (ko) 2020-09-11 2022-05-19 이호태 굴삭기용 후크의 안전 걸이장치
KR102193799B1 (ko) 2020-10-05 2020-12-21 황규관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는 회동부재가 구비된 산업 기계용 견인 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668A (ko) 200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4385B2 (en) Attachment coupling device for heavy machinery
US6379075B1 (en) Quick coupler apparatus
EP1254287B1 (en) Universal coupler for excavator buckets
KR200167954Y1 (ko) 굴삭기 어태치먼트 장착용 유압클램프
US20100300778A1 (en) Structure for Attaching Rear Work Machine to Tractor
KR200189513Y1 (ko)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US20160052751A1 (en) Work tool assembly
US6979167B2 (en) Excavator coupler assembly
JP2021193264A (ja) クイックチェンジシステム用のアダプタ及びそのようなアダプタを備えるクイックチェンジシステム
KR200211608Y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JP2008201328A (ja) トラクタの後作業機装着フレーム構造。
KR200493426Y1 (ko)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20130039043A (ko) 이중안전장치를 갖춘 어태치먼트용 클램프
KR20090069376A (ko)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CN219586809U (zh) 用于挖掘机的挖斗快换装置和挖掘机
JPH11200419A (ja) 建設機械
US20180251950A1 (en) Wedge coupler lug brackets for coupling implements to excavation machines
IL274644B1 (en) Quick coupling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on to a construction machine
CN212688946U (zh) 一种简易式快速安装的拖拉机打桩机
JPH0414516Y2 (ko)
KR100436200B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링 장치
KR200355987Y1 (ko)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연결장치
KR200412003Y1 (ko) 굴착기용 결합구
JP3475161B2 (ja) カウンタウエイト
JP3710012B2 (ja) バケット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