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318A -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 Google Patents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318A
KR20120094318A KR1020110013748A KR20110013748A KR20120094318A KR 20120094318 A KR20120094318 A KR 20120094318A KR 1020110013748 A KR1020110013748 A KR 1020110013748A KR 20110013748 A KR20110013748 A KR 20110013748A KR 20120094318 A KR20120094318 A KR 20120094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oom
pin
expans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기
이성철
노종호
전도준
Original Assignee
(주)하이드로 메틱스
대한석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드로 메틱스, 대한석탄공사 filed Critical (주)하이드로 메틱스
Priority to KR102011001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4318A/ko
Publication of KR20120094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9Devices to connect parts of a boom or an a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4Booms only for booms with cable suspension arrangements; Cable susp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 작업할 수 있는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암을 암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버켓의 방향을 전환하며, 붐과 암의 분리 및 결합을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한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는 구동수단이 설치된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상측에 설치된 조작레버가 설치된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에 힌지결합된 붐과, 상기 붐에 힌지결합된 암과, 상기 암에 힌지결합된 버켓을 포함하는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붐과 암 사이에는 퀵 연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암의 상부에는 암 몸체를 암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시키는 암 회전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퀵 연결장치는, 붐의 단부에 핀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용 핀홀과, 암용 신축장치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작동용 핀홀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일부가 개구된 핀홀이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된 잠금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장치는 몸체의 사이에 핀으로 설치되어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체결용 신축장치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핀으로 설치되어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상기 체결용 신축장치와 연결되어 체결용 신축장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결합용 부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A Small pro-apparatus for mine}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 작업할 수 있는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보통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는 주행체와 주행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및 작업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굴삭기는 주행체의 주행방식에 따라 무한궤도식 크롤라 굴삭기와 타이어식 휠 굴삭기로 구분된다. 크롤라 굴삭기는 휠 굴삭기에 비해 작업이 안정적이며 작업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장비 중량 1톤부터 100톤 이상의 초대형에 이르기까지 각 작업 현장에 폭 넓게 사용되며, 휠 굴삭기는 크롤라 굴삭기에 비해 타이어 지지 방식으로 인해 작업시 안정성은 떨어지나, 도로 주행이 가능하여 운반 트레일러 없이 작업장 이동이 가능하고 작업과 이동을 빈번하게 요구하는 작업 현장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굴삭기는 토사와 암석의 상태, 작업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작업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 굴삭 및 토사 운반을 위한 버켓(Bucket), 단단한 지면, 암석 등의 파쇄를 위한 브레이커, 건물의 해체 및 파쇄에 사용하는 크라샤 등이 굴삭기에 주로 사용되는 작업 장치이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사용되는 굴삭기는 활용도가 높아 계속 기술이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기술에는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과 이동의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소형 굴삭기에 기술도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제공되어 있는 굴삭기의 경우 버켓을 사용하여 토사 등을 측면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버켓으로 토사를 담고, 회전하여 버켓에 담겨진 토사를 떨어뜨리는 형식으로 작업을 함으로써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작업의 형태에 따라 작업에 알맞도록 버켓, 브레커, 천공기 등을 교체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경우 연결하고 있는 핀을 작업자가 해머 등으로 이용하여 타격하여 분리 및 삽입을 하도록 함으로써 변경작업에 많은 불편함과 안전사고를 하고 유발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제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버켓을 이용하여 토사 등과 작업물을 측면으로 이동시 보다 편리하고 작업능률 향상시킬 수 있는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형태 및 종류에 의하여 장비(굴삭기)로부터 버켓과 일체형태의 암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다른 장비로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는,
구동수단이 설치된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상측에 설치된 조작레버가 설치된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에 힌지결합된 붐과, 상기 붐에 힌지결합된 암과, 상기 암에 힌지결합된 버켓을 포함하는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붐과 암 사이에는 퀵 연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암의 상부에는 암 몸체를 암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시키는 암 회전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퀵 연결장치는, 붐의 단부에 핀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용 핀홀과, 암용 신축장치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작동용 핀홀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일부가 개구된 핀홀이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된 잠금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장치는 몸체의 사이에 핀으로 설치되어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체결용 신축장치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핀으로 설치되어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상기 체결용 신축장치와 연결되어 체결용 신축장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결합용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체는, 주행체에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조작체 몸체와, 상기 조작체 몸체의 전방에 위치하여 붐이 설치되고, 상기 붐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붐용 회전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붐용 회전유닛의 후방에 다수의 조작레버가 구비된 조작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조작유닛 후방으로 작업자의 의자가 배치되고, 상기 의자의 하부에는 동력발생유닛이 배치된다.
상기 암에는, 퀵 연결장치에 결합되도록 핀홀에 설치되는 상부핀과, 결합용 부재에 형성된 체결홈에 설치되는 하부핀이 형성된 퀵 결합부가 형성되고, 암 몸체를 회전시키는 유압모터가 설치된 암 회전장치가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암 몸체의 중간부분에는 신축장치용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장치용 브라켓에 버켓용 신축장치의 중간부분이 힌지결합된다.
상기 퀵 연결장치에 결합되도록 핀홀에 설치되는 상부핀과, 결합용 부재에 형성된 체결홈에 설치되는 하부핀이 형성된 퀵 결합부가 형성된 천공기용 암 몸체와; 상기 천공기용 암 몸체에 설치된 천공기용 신축장치와; 상기 암 몸체와 천공기용 신축장치와 4절링크 형태로 설치된 천공기 몸체와; 상기 천공기 몸체에 고정설치된 가이드 대와; 상기 가이드 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실린더 로드의 단부가 가이드 대에 고정되고, 실린더 몸체는 가이드 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가이드 대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드릴과; 상기 실린더 몸체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안내롤러와; 상기 가이드 대에 일단이 설치되고, 제 1 안내롤러에 안내되어 드릴에 타단이 설치된 제 1 로프와; 상기 가이드 대에 일단이 설치되고, 제 2 안내롤러에 안내되어 드릴에 타단이 설치된 제 2 로프를 포함하는 암석 천공용 유압식 천공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는,
도 3과 도 4와 같이 암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버켓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음으로써 도 5와 같이 붐용 회전유닛을 이용하여 붐을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굴삭기의 정면에 위치한 토사 등을 측면으로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에는 붐용 신축장치와 암용 신축장치 및 버켓용 신축장치를 작동하지 않고 붐용 회전유닛만을 이용하여 붐을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작이 용이하며, 버켓은 지면과의 높이가 일정함으로써 지면을 편평하게 하는 정지작업시 매우 편리하다.
붐과 암의 사이에는 퀵 연결장치가 설치됨으로써 붐에서 암을 분리 및 결합시 작업자가 해머 등으로 핀을 타격하여 핀을 분리하거나 삽입하지 않음으로써 빠른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해머의 타격시 작업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붐과 암 사이를 분리하여 천공기를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천공기의 중량에 의한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 교체작업하기가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의 붐과 암이 퀵 연결장치에 의하여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의 암에 설치된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버켓이 방향을 전환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의 암에 설치된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버켓이 방향을 전환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의 암에 설치된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버켓이 방향을 전환시킨 상태에서 작업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의 붐과 암이 퀵 연결장치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에 설치되는 천공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에 천공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에 사용되는 천공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에 사용되는 천공기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에 사용되는 천공기의 평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7과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의 구성을 살펴보면,
구동수단이 설치된 주행체(10)와, 상기 주행체(10)의 상측에 설치된 조작체(20)와, 상기 조작체(20) 전방에 설치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붐(30)과, 상기 붐(30)을 작동시키는 붐용 신축장치(30')와, 상기 붐(30)의 단부에 설치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퀵 연결장치(50)와, 상기 퀵 연결장치(50)에 설치된 회전장치(70)를 구비한 암(40)과, 상기 암(40)을 작동시키는 암용 신축장치(40')와, 상기 암(40)의 단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버켓(60)과, 상기 버켓(60)을 작동시키는 버켓용 신축장치(60')와, 상기 붐(30)에 설치되는 퀵 연결장치(50)에 천공기(100)로 구성된다.
상기 주행체(10)에는 무한궤도를 이용한 구동수단과, 전방에 배토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체(20)는 주행체(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작업자가 탑승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조작체(20)는 주행체(10)에 회전하지 않도록 조작체 몸체(21)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체 몸체(21)의 전방에 위치하여 붐(30)이 회동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붐(30)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붐용 회전유닛(22)이 설치되고, 상기 붐용 회전유닛(22)의 후방에 다수의 조작레버가 구비된 조작유닛(23)이 배치 설치되며, 상기 조작유닛(23) 후방으로 작업자의 의자(24)가 배치 설치되고, 상기 의자(24)의 하부에는 동력발생유닛(25)이 배치된다.
상기 붐용 회전유닛(22)은 조작체 몸체(21)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22a)과, 상기 고정브라켓(22a)에 설치된 회전용 유압 엑추레이터(22b)와, 상기 회전용 유압 엑추레이터(22b)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ㄷ'자형 체널(22c)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붐용 회전유닛(22)은 조작유닛(23)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하여 도 5와 같이 붐(30)을 좌우로 각각 약 180도씩 회전시킨다.
상기 조작유닛(23)에 설치된 다수의 조작레버는 도 1과 도 2와 같이 터널통과시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다. 즉, 사용시에는 조작레버를 수직상태로 세워 사용하도록 하며, 이동시에는 수직상태의 조작레버를 수평상태로 회전을 시킨다.
상기 동력발생유닛(25)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엔진 또는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붐(30)은 붐용 회전유닛(22)의 'ㄷ'자형 체널(22c)에 힌지결합되어 일단은 붐(3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ㄷ'자형 체널(22c)에 힌지결합된 붐용 신축장치(30')에 의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 이러한 상기 붐(30)에는 암(40)을 조작할 수 있는 암용 신축장치(40')가 설치되며, 상기 붐용 신축장치(30')와 암용 신축장치(40')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40)의 일단은 퀵 연결장치(50)에 의하여 붐(30)과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버켓(60)이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암(40)의 상측에는 암 몸체(4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장치(70)가 설치되어, 버켓(6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암 몸체(41) 중간부분에는 버켓용 신축장치(60')를 설치하는 브라켓(42)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42)에 버켓용 신축장치(60')의 중간부분이 힌지결합된다. 상기 버켓용 신축장치(60')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장치(70)는 암 몸체(41) 상부에 암(4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몸체(71)와, 상기 회전몸체(71)의 일측에 형성된 상부핀(72a)과 하부핀(72b)을 가지는 퀵 결합부(72)와, 상기 회전몸체(71)에 설치되어 암 몸체(41)와 연결되어 암 몸체(41)를 회전시키는 유압모터(7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회전장치(70)는 도 3과 도 4와 같이 암 몸체(41)를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버켓(60)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도 5와 같이 상기 회전장치(70)를 이용하여 암 몸체(41)를 회전시켜 버켓(60)의 방향을 전환시켜 붐(30)을 붐용 회전유닛(22)으로 회전시켜 작업을 하는 경우보다 굴삭기의 전면에 위치한 이동물을 측면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땅을 평편하게 하는 정지작업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와 같이 상기 퀵 연결장치(50)는 손쉽게 붐(30)과 암(40)을 연결하여 빠른 속도로 붐(30)과 암(40)을 분리 연결하는 장치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퀵 연결장치(50)는 도 6의 (a)와 같이 붐(30)의 단부에 핀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용 핀홀(52)과, 암용 신축장치(4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작동용 핀홀(53)과, 암(40)을 연결하기 위한 일부가 개구된 핀홀(54)이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몸체(51)와, 상기 몸체(51) 내측에 설치된 잠금장치(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장치(55)는 몸체(51)의 내측에 핀(56')으로 설치되어 핀(56')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체결용 신축장치(56)와, 상기 몸체(51)의 내측에 핀(57')으로 설치되어 핀(57')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상기 체결용 신축장치(56)와 연결되어 체결용 신축장치(56)에 의하여 작동하는 체결홈(57a)이 형성된 결합용 부재(57)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용 부재(57)에는 멈춤용 돌기(57b)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멈춤용 돌기(57b)에 의하여 결합용 부재(57)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몸체(51)에 멈춤핀이 설치된다. 상기 체결용 신축장치(56)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54a는 보강리브이다.
이러한 상기 퀵 연결장치(50)는 도 6의 (b)와 같이 암(40)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장치(70)의 결합부(72)에 형성된 상부핀(72a)을 핀홀(54)에 삽입하고, 체결용 신축장치(56)를 이용하여 결합용 부재(57)를 회전시켜 체결홈(57a)에 하부핀(72b)이 삽입되도록 하여 붐(30)과 암(30)을 연결한다.
상기 암석 천공용 유압식 천공기(100)는 도 7과 도 8과 같이 버켓(60)이 설치된 암(40)을 붐(30)에서 분리한 후 버켓(60)이 설치된 암(40)을 대신하여 설치되어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천공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상기 암석 천공용 유압식 천공기(100)는 퀵 연결장치(50)에 결합되도록 핀홀(54)에 설치되는 상부핀(111a)과, 결합용 부재(57)에 형성된 체결홈(57a)에 설치되는 하부핀(111b)이 형성된 퀵 결합부(111)가 형성된 천공기 몸체(110)와, 상기 천공기 몸체(110)에 고정설치된 가이드 대(120)와, 상기 가이드 대(12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실린더 로드(131)의 단부가 가이드 대(120)에 고정되고, 실린더 몸체(132)는 가이드 대(120)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압실린더(130)와, 상기 가이드 대(120)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드릴(140)과, 상기 실린더 몸체(132)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안내롤러(151, 153)와, 상기 가이드 대(120)에 일단이 설치되고, 제 1 안내롤러(151)에 안내되어 드릴(140)에 타단이 설치된 제 1 로프(152)와, 상기 가이드 대(120)에 일단이 설치되고, 제 2 안내롤러(153)에 안내되어 드릴(140)에 타단이 설치된 제 2 로프(154)로 구성된다.
상기 천공기 몸체(110)는 퀵 결합부(111)에 의하여 붐(30)에 설치되어 있는 퀵 연결장치(50)와 분리 및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대(120)는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천공기 몸체(110)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견고하게 설치된다. 보통 천공기 몸체(110)와 가이드 대(120)는 용접으로 결합되며,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 대(120)는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신축장치인 유압실린더(130)를 수용하는 동시에 유압실린더(130)가 작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에는 개구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대(120)의 전단부(드릴날(141)이 설치되는 방향)에는 드릴날(141)을 지지하거나 가이드 하는 안내대(122)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대(120)에는 제1, 2 로프(152, 154)의 단부가 각각 설치되는 제1, 2 고정대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130)는 드릴(140)을 전,후진 왕복시키기 위한 신축장치로서, 가이드 대(120)의 내부공간에 길이(X-X 축)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대(1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실린더 로드(131)와 실린더 몸체(132)로 구성된 실린더(130)는 일단이 가이드 대(120)에 고정설치되되, 실린더 로드(131)의 일단이 가이드 대(120)의 후단부(드릴날(141)이 위치하는 반대방향)에 고정설치되어, 신축시 실린더 몸체(132)가 가이대 대(140)의 내부공간에서 X-X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기 실린더 몸체(132)의 끝단부(실린더 로드(131)가 위치하는 반대쪽 단부)에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실린더용 가이드 블록(133)이 설치되고, 실린더 몸체(132)의 각각의 양단부에는 제 1 안내롤러(151)와 제2 안내롤러(153)가 일체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드릴(140)은 신축장치인 실린더(130)의 신축으로 인하여 가이드 대(120)를 따라 이동하며 암석 등에 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 암석 등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날(141)과, 상기 드릴날(141)을 회전시키는 유압모터(142)와, 상기 가이드 대(120)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드릴용 가이드 블록(143)으로 구성되고, 제1, 2 로프(152, 154)의 단부가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2 로프용 고정구를 포함한다.
상기 드릴(140)은 드릴날(141)을 회전만 시키거나 또는 싱커드릴과 같이 회전과 타격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드릴(140)은 실린더(130)의 신축시 제1, 2 로프(152, 154)에 의하여 가이드 대(120)를 따라 왕복이동을 한다.
상기 제 1 안내롤러(151)와 제 2 안내롤러(153)는 실린더 몸체(132)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제1, 2 로프(152, 154)를 안내하는 한다.
상기 제 1 안내롤러(151)와 제 2 안내롤러(153)의 크기의 비는 1:1 또는 2:1와 같이 정수비로 이루어진다.
10 : 주행체 20 : 조작체
30 : 붐 30' : 붐용 신축장치
40 : 암 40' : 암용 신축장치
50 : 퀵 연결장치 51 : 몸체
52 : 연결용 핀홀 53 : 작동용 핀홀
54 : 개구된 핀홀 55 : 잠금장치
56 : 체결용 신축장치 57 : 결합용 부재
57a : 체결홈
60 : 버켓 60' : 버켓용 신축장치
70 : 회전장치 71 : 회전몸체
72 : 퀵 결합부 73 : 유압모터
100 : 암석 천공용 유압식 천공기
110 : 천공기 몸체 120 : 가이드 대
130 : 유압실린더 140 : 드릴
151, 153 : 안내롤러 152, 154 : 로프

Claims (5)

  1. 구동수단이 설치된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상측에 설치된 조작레버가 설치된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에 힌지결합된 붐과, 상기 붐에 힌지결합된 암과, 상기 암에 힌지결합된 버켓을 포함하는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붐(30)과 암(40) 사이에는 퀵 연결장치(50)가 설치되고,
    상기 암(40)의 상부에는 암 몸체(41)를 암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시키는 암 회전장치(7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퀵 연결장치(50)는,
    붐(30)의 단부에 핀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용 핀홀(52)과, 암용 신축장치(4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작동용 핀홀(53)과, 암(40)을 연결하기 위한 일부가 개구된 핀홀(54)이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몸체(51)와;
    상기 몸체(51) 내측에 설치된 잠금장치(55)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장치(55)는 몸체(51)의 내측에 핀으로 설치되어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체결용 신축장치(56)와; 상기 몸체(51)의 내측에 핀으로 설치되어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되, 상기 체결용 신축장치(56)와 연결되어 체결용 신축장치(56)에 의하여 작동하는 체결홈(57a)이 형성된 결합용 부재(57)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20)는,
    주행체(10)에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 조작체 몸체(21)와,
    상기 조작체 몸체(21)의 전방에 설치된 붐(30)이 설치되고, 상기 붐(30)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붐용 회전유닛(22)과,
    상기 붐용 회전유닛(22)의 후방에 설치된 다수의 조작레버가 구비된 조작유닛(23)과,
    상기 조작유닛(23)을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 의자(24)와,
    상기 의자(24)의 하부에는 배치된 동력발생유닛(25)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40)에는,
    퀵 연결장치(50)에 결합되도록 핀홀(54)에 설치되는 상부핀(72a)과, 결합용 부재(57)에 형성된 체결홈(57a)에 설치되는 하부핀(72b)이 형성된 퀵 결합부(72)가 형성되고, 암 몸체(41)를 회전시키는 유압모터(73)가 설치된 암 회전장치(70)가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암 몸체(41)의 중간부분에는 신축장치용 브라켓(42)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장치용 브라켓(42)에 버켓용 신축장치(60')의 중간부분이 힌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퀵 연결장치(50)에 결합되도록 핀홀(54)에 설치되는 상부핀과, 결합용 부재(57)에 형성된 체결홈(57a)에 설치되는 하부핀이 형성된 퀵 결합부(111)가 형성된 천공기 몸체(110)와;
    상기 천공기 몸체(110)에 고정설치된 가이드 대(120)와;
    상기 가이드 대(12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실린더 로드(131)의 단부가 가이드 대(120)에 고정되고, 실린더 몸체(132)는 가이드 대(120)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압실린더(130)와;
    상기 가이드 대(120)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드릴(140)과;
    상기 실린더 몸체(132)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안내롤러(151, 153 )와;
    상기 가이드 대(120)에 일단이 설치되고, 제 1 안내롤러(151)에 안내되어 드릴(140)에 타단이 설치된 제 1 로프(152)와;
    상기 가이드 대(120)에 일단이 설치되고, 제 2 안내롤러(153)에 안내되어 드릴(140)에 타단이 설치된 제 2 로프(154)를 포함하는 암석 천공용 유압식 천공기(100)를 더 포함하는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KR1020110013748A 2011-02-16 2011-02-16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KR20120094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748A KR20120094318A (ko) 2011-02-16 2011-02-16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748A KR20120094318A (ko) 2011-02-16 2011-02-16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318A true KR20120094318A (ko) 2012-08-24

Family

ID=4688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748A KR20120094318A (ko) 2011-02-16 2011-02-16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43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4865A (zh) * 2016-03-11 2016-06-29 石家庄煤矿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煤矿用巷道修护机
CN107130660A (zh) * 2012-12-21 2017-09-05 住友建机株式会社 挖掘机
KR20170121089A (ko) * 2017-09-28 2017-11-01 김원철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0660A (zh) * 2012-12-21 2017-09-05 住友建机株式会社 挖掘机
CN107130660B (zh) * 2012-12-21 2021-01-29 住友建机株式会社 挖掘机
CN105714865A (zh) * 2016-03-11 2016-06-29 石家庄煤矿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煤矿用巷道修护机
KR20170121089A (ko) * 2017-09-28 2017-11-01 김원철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95871A (zh) 一种两臂液压锚杆钻车的钻臂装置
KR950011779A (ko) 유압식 굴삭기
KR20120094318A (ko)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CN112096407A (zh) 开采设备
KR20210007555A (ko) 무진동 무소음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할암 방법
RU2425927C1 (ru) Рабоч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одноковшового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экскаватора
CN105239614A (zh) 挖掘装载机的偏摆式挖掘工作装置
KR101449008B1 (ko)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
CN213654849U (zh) 一种煤矿巷道四臂掘锚机
CN204532119U (zh) 一种两臂液压锚杆钻车的钻臂装置
CN104234101B (zh) 多级伸缩臂装置及具有多级伸缩臂装置的深挖挖掘机
CN210658484U (zh) 一种井下移动式挖掘机
JP2002021812A (ja) 油圧シリンダーの断面略コ字形の三面保護構造
KR101165696B1 (ko)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
CN103266639A (zh) 一种液压挖掘机动臂结构
KR101124473B1 (ko) 다목적 중장비
KR100855709B1 (ko) 리퍼 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KR101203035B1 (ko) 수평상태에서 180도 회전가능한 굴착형 천공기
CN110700339A (zh) 一种多功能挖掘机
KR102091660B1 (ko) 고공 작업이 가능한 굴삭기
KR20190142194A (ko) 개선된 굴삭기
RU2233948C1 (ru) Рабоч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одноковшового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экскаватора
CN205153004U (zh) 挖掘装载机的偏摆式挖掘工作装置
JPS6321766B2 (ko)
RU2455427C2 (ru) Способ разработки горно-добычного забоя и карьерный канатный экскавато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