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008B1 -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9008B1 KR101449008B1 KR1020070130914A KR20070130914A KR101449008B1 KR 101449008 B1 KR101449008 B1 KR 101449008B1 KR 1020070130914 A KR1020070130914 A KR 1020070130914A KR 20070130914 A KR20070130914 A KR 20070130914A KR 101449008 B1 KR101449008 B1 KR 1014490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heavy equipment
- outrigger
- outriggers
- moving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6—Floating substructures as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대해 중장비(1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우트리거(21,26, outrigger)와, 한 쌍의 아우트리거(21,26)를 무빙(moving)시키는 무빙유닛(30)을 갖는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에 있어서, 무빙유닛(30)은, 중장비(10)의 차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측에 한 쌍의 아우트리거(21,26) 중 제1 아우트리거(21)가 결합되는 제1 이동 프레임(32), 제1 이동 프레임(32)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중장비(10)의 차체에 마련되며, 일측에 한 쌍의 아우트리거(21,26) 중 제2 아우트리거(26)가 결합되는 제2 이동 프레임(33),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이 상호간 연동하여 접근 및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을 상호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4) 및 연결부(34)에 의해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이 상호간 접근 및 이격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부(34)를 밀거나 잡아당기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35)를 포함한다.
중장비, 굴삭기, 백호(backhoe), 로더(loader), 아우트리거(outrigger), 무빙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에 의해 한 쌍의 아우트리거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중장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중장비가 기울어지면서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및 토목 현장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계 장비나 건설기계(이하, 이들을 중장비라 함)가 사용된다.
중장비 중의 하나인 굴삭기는 굴삭기 버킷(bucket)을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깎을 때 사용되는 장비로서 소위, 포크레인 혹은 백호(backhoe)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로더(loader)는 굴삭된 토사, 골재, 파쇄암 등이나 혹은 모래, 눈 등을 별도의 운반 기계에 싣는데 사용되는 장비이다.
로더는 그 방향전환의 방법에 따라 보통 스키드 로더(skid loader)와 휠 로 더(wheel loader)로 분류될 수 있다.
스키드 로더는 타이어, 즉 바퀴의 방향이 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방향을 전환한다.
다시 말해 한쪽 바퀴는 전진하고 다른 쪽 바퀴는 후진하는 방법에 의해 바퀴의 방향을 직선 형태로 유지하면서 방향전환을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휠 로더는 통상의 자동차와 같이 방향전환 시 그에 연동하여 바퀴가 회전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차이로 인해 보통은 대형 장비일 경우에 휠 로더를, 소형 장비일 경우에 스키드 로더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백호 로더(backhoe loader)는 전술한 스키드 로더와 휠 로더의 장점을 한데 취합한 장비라 할 수 있다.
소형에서부터 대형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크기로도 제작될 수도 있고, 또한 로더로서의 기능과 굴삭기로서의 기능을 함께 보유할 수도 있으므로 현재 중장비 제조사들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출원인 역시, 이러한 백호 로더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백호 로더에 대한 개선된 기술들을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 진행하고 있다.
한편, 스키드 로더, 휠 로더 및 백호 로더를 비롯하여 크레인, 사다리차 등과 같이 다양한 중장비에는, 전면 혹은 후면 양측에 각각 한 개씩의 아우트리거(outrigger)가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아우트리거는 보통 유압 실린더에 의해 마련되며, 수직 방향으로 중장비에 장착된다.
이러한 한 쌍의 아우트리거는 지면에 대해 중장비를 지지함으로써 중장비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 한 쌍의 아우트리거는 중장비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아우트리거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간격이 조절될 수 없다.
따라서 중장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장비가 기울어지면서 전복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특히, 중장비가 백호 로더일 경우라면, 고정식 아우트리거로 인해 굴삭 작업 시 안정적인 굴삭력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에 의해 한 쌍의 아우트리거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중장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중장비가 기울어지면서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지면에 대해 중장비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우트리거(outrigger)와, 상기 한 쌍의 아우트리거를 무빙(moving)시키는 무빙유닛을 갖는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빙유닛은, 상기 중장비의 차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아우트리거 중 제1 아우트리거가 결합되는 제1 이동 프레임;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중장비의 차체에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아우트리거 중 제2 아우트리거가 결합되는 제2 이동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이 상호간 연동하여 접근 및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을 상호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연 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이 상호간 접근 및 이격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를 밀거나 잡아당기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발생부(35)는 단일의 메인 실린더(35)일 수 있다.
상기 단일의 메인 실린더(35)는, 상기 중장비(10)의 차체에 고정되는 메인 실린더본체(35a); 및 상기 메인 실린더본체(35a)에 신축구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이동프레임(32)의 일측과 상기 연결부(34)의 끝단과 연결되어 그 신축구동 시 상기 연결부(34)를 잡아당김과 아울러 상기 제1 이동프레임(32)을 밀거나 잡아당기는 메인 실린더로드(3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4)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2)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33)을 상호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34, wir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4)는, 일단은 상기 메인 실린더로드(35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2)에 마련된 수축용 롤러(36)를 경유하여 제2 아우트리거(26)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구간(34a); 및 일단은 상기 제2 이동 프레임(33)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장비(10)의 차체에 마련된 신장용 롤러(37)를 경유하여 제1 아우트리거(21)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 구간(34b)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에 의해 한 쌍의 아우트리거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중장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중장비가 기울어지면서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중장비란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스키드 로더, 휠 로더 및 백호 로더를 비롯하여 크레인, 사다리차 등과 같이 다양하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장비를 백호 로더라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리거 무빙장치가 구비된 백호 로더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호 로더(10)는,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하부에 마련되는 이동부(12)와, 본체부(11)에 마련되는 운전실(13)과, 본체부(11)에 연결되는 굴삭기 붐(14)과, 굴삭기 붐(14)의 단부 영역에 마련되는 굴삭기 버킷(15)을 구비한다.
이들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부연한다.
본체부(11)는 백호 로더(10)에서 가장 부피가 큰 부분이고, 이러한 본체부(11)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이 장착된 기계실 등이 갖춰진다.
이동부(12)는 백호 로더(10)를 이동시키는 부분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타입(wheel type)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무한궤도 타입(Track Type)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운전실(13)은 백호 로더(10)의 주행 및 각종 작업을 위해 운전자가 탑승하는 공간이다.
그리고 굴삭기 붐(14)은 굴삭기 버킷(15)을 지지하는 아암(arm)이며, 굴삭기 버킷(15)은 실질적인 굴삭 작업 시 흙을 파거나 각종 물건을 담는 부분이다.
참고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백호 로더(10)에는 굴삭된 토사, 골재, 파쇄암 등이나 혹은 모래, 눈 등을 밀어 내거나 별도의 운반 기계에 싣는데 사용되는 로더 버킷 및 로더 붐이 더 갖춰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로더 버킷 및 로더 붐이 마련되지 않은 백호 로더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백호 로더(10)에는, 백호 로더(10)에 의한 굴삭 작업 시 지면에 대해 백호 로더(10)를 지지함으로써 백호 로더(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한 쌍의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 outrigger)가 장착되어 있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아우트리거(미도시)는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간격이 조절될 수 없는 고정식이었기 때문에 굴삭 작업 시 안정적인 굴삭력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백호 로더(미도시)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전복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야기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에 의해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간격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굴삭 작업 시 안정적인 굴삭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백호 로더(10)가 기울어지면서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에 있어 복잡한 구성이나 설계를 요한다면, 원가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에 경쟁력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에 의해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원가 비중을 낮추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는,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와,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를 무빙(moving, 이동)시키는 무빙유닛(30)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 각각은, 하단이 지면에 접촉지지되는 제1 및 제2 외관 몸체부(22,27)와, 제1 및 제2 외관 몸체부(22,27)에 결합되며, 해당 위치에서 제1 및 제2 외관 몸체부(22,27)를 지면에 대해 독립적으로 승하강 구동시키는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3,28)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는 모두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메인 실린더(35)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를 함께, 한번에 동작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1 액추에이터(23)에 비해 제2 액추에이터(28)의 길이가 큰 것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3,28)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나 필요에 따라 공압 실린더나 유공압 복합 실린더가 사용되어도 좋다.
무빙유닛(30)은, 고정 프레임(31)과, 고정 프레임(31)에 대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제1 아우트리거(21)가 마련되는 제1 이동 프레임(32)과, 제1 이동 프레임(32)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제2 아우트리거(26)가 마련되는 제2 이동 프레임(33)과, 고정 프레임(31)과 제1 이동 프레임(32) 및 제2 이동 프레임(33)을 상호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4)와, 고정 프레임(31)에 대해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이 상호간 접근 및 이격되도록, 연결부(34)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35)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31)은, 백호 로더(10)의 어느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이 상호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는데 반해, 고정 프레임(31)은 백호 로더(10)의 어느 일측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 프레임(31)은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이 이동되는 기준면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고정 프레임(31)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만약 고정 프레임(31) 없이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을 백호 로더(10)의 어느 일측에 장착하는 경우라면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이 설치되는 백호 로더(10)의 일면, 즉 차체가 고정 프레임(31) 역할을 대신하면 된다.
고정 프레임(31)에는 신장용 롤러(37)가 더 결합되어 있다.
제1 이동 프레임(32)은, 고정 프레임(31)의 전방 영역에 결합되며, 고정 프레임(3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도 2 내지 도 4의 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물론, 제1 이동 프레임(32)이 고정 프레임(31)에 대해 이동되기 위해서는 제1 이동 프레임(32)과 고정 프레임(31) 간에 레일(rail) 구조가 더 갖춰져야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편의상 도면에 생략하고 있다.
제1 이동 프레임(32)에는 수축용 롤러(36)가 더 결합되어 있다.
제2 이동 프레임(33)은, 제1 이동 프레임(32)의 전방 영역에 결합되며, 제1 이동 프레임(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면과 달리 제2 이동 프레임(33)이 제1 이동 프레임(32)과 고정 프레임(31) 사이에 마련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2 이동 프레임(33)이 제1 이동 프레임(32)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이동 프레임(33)과 제1 이동 프레임(32) 간에는 레일(rail) 구조가 갖춰진 것으로 본다.
도면 식별의 편의를 위해, 도 2 내지 도 4의 제2 이동 프레임(33)에는 해칭을 부여했다.
연결부(34)는, 고정 프레임(31), 제1 이동 프레임(32) 및 제2 이동 프레임(33)을 상호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구성 요소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34, wire)를 적용하고 있다.
이 때, 연결부(34)로서의 와이어(34)는 단일의 라인(line)으로 형성되어도 좋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와이어 구간(34a)과, 제2 와이어 구간(34b) 두 개로 분리하여 적용하고 있다.
경로를 살펴보면, 제1 와이어 구간(34a)은, 그 일단이 메인 실린더(35)의 메인 실린더로드(35b)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이동 프레임(32)에 마련된 수축용 롤러(36)를 경유하여 제2 아우트리거(26)의 와이어 고정부(26a)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와이어 구간(34b)은, 그 일단이 제2 이동 프레임(33)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 프레임(31)에 마련된 신장용 롤러(37)를 경유하여 제1 아우트리거(21)의 와이어 고정부(21a)에 연결된다.
동력발생부(35)는, 고정 프레임(31)에 대해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 이 상호간 접근 및 이격되도록, 와이어(34)로 적용된 연결부(34)를 및 제1 이동 프레임(32)을 당기거나 밀어내는 부분이다.
이러한 동력발생부(35)로는 모터의 조합 구조 등이 적용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가 절감을 위하여 유압 실린더를 채택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유압 실린더, 즉 단일의 메인 실린더(35)를 이용하여 고정 프레임(31)에 대해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이 상호간 접근 및 이격되도록, 와이어(34)로 적용된 연결부(34)를 조작하고 있다.
참고로, 메인 실린더(35) 역시 유압 실린더 외에, 공압 실린더 및 유공압 복합 실린더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의 메인 실린더(35)는, 고정 프레임(31)에 고정되는 메인 실린더본체(35a)와, 메인 실린더본체(35a)에 대해 길이가 연장 및 축소되는 메인 실린더로드(35b)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메인 실린더로드(35b)의 끝단에는 와이어(34)의 제1 구간(34a) 끝단 및 제1 이동 프레임(32)의 끝단이 고정된다.
도 2에서는 메인 실린더로드(35b)의 끝단에 제1 구간(34a) 및 제1 이동 프레임(32)이 동일 지점에 함께 연결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렇게 구성되지 않고 제1 구간(34a) 및 제1 이동 프레임(32)이 상호 이격되게 실린더 로드(35b)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 사이의 간격이 (H)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만약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 사이의 간격을 (H1)로 좁혀야 할 경우, 단일의 메인 실린더(35)의 메인 실린더로드(35b)가 도 3의 A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메인 실린더로드(35b)가 메인 실린더본체(35a) 측으로 길이 축소된다.
그러면, 메인 실린더로드(35b)의 이동 길이만큼 제1 와이어 구간(34a)이 단일의 메인 실린더(35) 쪽으로 당겨지게 됨으로써 제2 이동 프레임(33)을 비롯한 제2 아우트리거(26)는 도 3의 좌측으로 이동된다.
아울러, 제1 이동 프레임(32)은 메인 실린더로드(35b)에 의해 도 3의 우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 사이의 간격은 (H1)로 좁혀질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 사이의 간격을 (H2)로 넓혀야 할 경우, 단일의 메인 실린더(35)의 메인 실린더로드(35b)가 도 4의 B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메인 실린더로드(35b)가 메인 실린더본체(35a)에 대해 길이 연장된다.
그러면, 제1 이동 프레임(32)은 일측에 고정된 메인 실린더로드(35b)에 의해 도 4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메인 실린더로드(35b)의 이동 길이만큼 제1 와이어 구간(34a)이 단일의 메인 실린더(35)로부터 신장될 수 있는 여유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동프레임(32)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와이어 구간(34b)이 당겨지기 때문에 제2 이동프레임(33)은 도 4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21,26) 사이의 간격은 (H2)로 넓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에 의해 한 쌍의 아우트리거(21,26)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중장비(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중장비(10)가 기울어지면서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중장비(10)가 백호 로더(10)로 적용된다면, 굴삭 작업 시 안정적인 굴삭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백호 로더(10)가 기울어지면서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는, 스키드 로더, 휠 로더 및 백호 로더를 비롯하여 크레인, 사다리차 등과 같이 다양한 중장비에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에 의해 한 쌍의 아우트리거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중장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중장비가 기울어지면서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리거 무빙장치가 구비된 백호 로더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장비 21,26 : 제1 및 제2 아우트리거
30 : 무빙유닛 31 : 고정 프레임
32 : 제1 이동 프레임 33 : 제2 이동 프레임
34 : 연결부 35 : 단일의 메인 실린더
36 : 수축용 롤러 37 : 신장용 롤러
Claims (3)
- 삭제
- 지면에 대해 중장비(1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아우트리거(21,26, outrigger)와, 상기 한 쌍의 아우트리거(21,26)를 무빙(moving)시키는 무빙유닛(30)을 갖는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에 있어서,상기 무빙유닛(30)은,상기 중장비(10)의 차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아우트리거(21,26) 중 제1 아우트리거(21)가 결합되는 제1 이동 프레임(32);상기 제1 이동 프레임(32)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중장비(10)의 차체에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아우트리거(21,26) 중 제2 아우트리거(26)가 결합되는 제2 이동 프레임(33);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이 상호간 연동하여 접근 및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을 상호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4); 및상기 연결부(34)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32,33)이 상호간 접근 및 이격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34)를 밀거나 잡아당기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35);를 포함하고,상기 동력발생부(35)는 단일의 메인 실린더(35)이며,상기 단일의 메인 실린더(35)는,상기 중장비(10)의 차체에 고정되는 메인 실린더본체(35a); 및상기 메인 실린더본체(35a)에 신축구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이동프레임(32)의 일측과 상기 연결부(34)의 끝단과 연결되어 그 신축구동 시 상기 연결부(34)를 잡아당김과 아울러 상기 제1 이동프레임(32)을 밀거나 잡아당기는 메인 실린더로드(35b);를 포함하는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34)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2)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33)을 상호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34, wire)를 포함하며,상기 와이어(34)는,일단은 상기 메인 실린더로드(35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32)에 마련된 수축용 롤러(36)를 경유하여 제2 아우트리거(26)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구간(34a); 및일단은 상기 제2 이동 프레임(33)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장비(10)의 차체에 마련된 신장용 롤러(37)를 경유하여 제1 아우트리거(21)에 연결되는 제2 와이 어 구간(34b)을 포함하는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0914A KR101449008B1 (ko) | 2007-12-14 | 2007-12-14 |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0914A KR101449008B1 (ko) | 2007-12-14 | 2007-12-14 |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3524A KR20090063524A (ko) | 2009-06-18 |
KR101449008B1 true KR101449008B1 (ko) | 2014-10-13 |
Family
ID=4099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0914A KR101449008B1 (ko) | 2007-12-14 | 2007-12-14 |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900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7682B1 (ko) * | 2008-10-14 | 2012-02-29 | 전진씨에스엠 주식회사 | 중장비용 아웃트리거 구조 |
KR101328797B1 (ko) * | 2009-07-21 | 2013-11-1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백호 로더의 백호측 작업기 이동 장치 |
KR101396579B1 (ko) * | 2013-05-15 | 2014-05-20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조립식 벽면조사장치 |
CN110835938B (zh) * | 2019-12-16 | 2024-07-02 |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 挖掘装载机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36547A (ja) * | 1982-02-09 | 1983-08-13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移動式クレ−ン等におけるアウトリガ装置 |
JPH04201992A (ja) * | 1990-11-29 | 1992-07-22 | Nippon Cable Syst Inc | 建設機械のアウトリガー装置 |
JPH0646044U (ja) * | 1991-08-26 | 1994-06-24 | 淳次 小川 | 建設機械のロープ式多段伸縮アーム |
JP2004091188A (ja) * | 2002-09-04 | 2004-03-25 | Aichi Corp | アウトリガ装置 |
-
2007
- 2007-12-14 KR KR1020070130914A patent/KR1014490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36547A (ja) * | 1982-02-09 | 1983-08-13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移動式クレ−ン等におけるアウトリガ装置 |
JPH04201992A (ja) * | 1990-11-29 | 1992-07-22 | Nippon Cable Syst Inc | 建設機械のアウトリガー装置 |
JPH0646044U (ja) * | 1991-08-26 | 1994-06-24 | 淳次 小川 | 建設機械のロープ式多段伸縮アーム |
JP2004091188A (ja) * | 2002-09-04 | 2004-03-25 | Aichi Corp | アウトリガ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3524A (ko) | 2009-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534417A (zh) | 工程机械 | |
CN215520757U (zh) | 一种多功能工程车 | |
KR101449008B1 (ko) |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무빙장치 | |
JP2010156123A (ja) | 伸縮トラックフレーム | |
CN115822667B (zh) | 巷道锚杆转载机组及锚护施工方法 | |
CN115929368B (zh) | 适用于拱形巷道的锚杆转载机组、组合装置及施工方法 | |
CN110565724A (zh) | 大臂和破岩装置 | |
CN112219013B (zh) | 安装在选择性联合机执行机构上的支架升降平台,以及形成可保障支撑连续性的支架悬伸部分的悬臂式金属拱架构件 | |
JP5390113B2 (ja) | 作業車 | |
CN211113840U (zh) | 大臂和破岩装置 | |
CN210658484U (zh) | 一种井下移动式挖掘机 | |
EP3752682B1 (en) | A surface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a working machine | |
JPH08120706A (ja) | 上部旋回体を有する建設機械用ドーザ装置 | |
KR20120094318A (ko) |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 |
JPH02304123A (ja) | クレーン付き掘削機 | |
KR101124473B1 (ko) | 다목적 중장비 | |
KR20190142194A (ko) | 개선된 굴삭기 | |
JP2001280078A (ja) | 掘進機の掘進方法 | |
US20050262741A1 (en) | Variable-position stabilizer leg | |
GB2524996A (en) | Support assembly | |
CN218324866U (zh) | 一种四臂掘锚机 | |
JP4020286B2 (ja) | 管引き込み式管埋設機械 | |
CN114017084B (zh) | 一种掘锚机的锚固机构 | |
JPH10252090A (ja) | 斜面掘削機と支持機と斜面掘削装置 | |
JP2006028880A (ja) | 杭孔掘削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