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524B1 -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524B1
KR101131524B1 KR1020110097787A KR20110097787A KR101131524B1 KR 101131524 B1 KR101131524 B1 KR 101131524B1 KR 1020110097787 A KR1020110097787 A KR 1020110097787A KR 20110097787 A KR20110097787 A KR 20110097787A KR 101131524 B1 KR101131524 B1 KR 101131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elastic
plate member
mounting support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케이
Priority to KR102011009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킷과 쌍을 이루어 집게기능을 수행하는 집게발을 굴삭기의 암에 완전하게 고정하는 것을 방지하면 선택적으로 탈부착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의 암에 설치되어 이완 및 압축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탄성 홀더부; 및 유압실린더를 통해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집게발에 결합되며, 상기 집게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 홀더부에 삽입되어 지지 또는 상기 탄성 홀더부에서 이탈되어 분리되는 장착 지지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OF GRIPPER FOR A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버킷과 쌍을 이루어 집게기능을 수행하는 집게발을 굴삭기의 암에 완전하게 고정하는 것을 방지하면 선택적으로 탈부착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토목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등에서 땅이나 암석 등을 파거나 파낸 것을 처리하는 등의 굴삭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상부 선회체를 회전시키거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붐대를 이용하여 운반 물체를 이동시키거나 택지조성, 건물기초, 토사적재, 말목박기, 고철적재, 원목적재, 구멍파기, 교량, 암반 등의 건축물 파괴, 도로, 상수도 공사 등의 다양한 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굴삭기는 주로 무한궤도로 형성되는 하부주행체 상에 운전자의 탑승공간을 형성하는 캐빈과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장치와 이 유압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붐, 암, 버킷 등의 작업장치 등이 탑재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굴삭기는 통상 굴삭작업을 위하여 암의 단부에 버킷을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작업의 종류에 따라 암석패쇄를 위한 브레이커, 건물 등의 해체나 철거작업을 위한 크러셔, 바위나 목재 등을 옮기기 위한 집게 등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집게는 굴삭기에서 버킷을 분리한 후 굴삭기에 장착된다.
한편, 굴삭기는 버킷을 분리하지 않고 버킷과 쌍을 이루어 집게기능을 수행하도록 집게발(일명: 딱따구리)을 장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굴삭작업과 파지작업을 함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굴삭기용 집게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7787호 및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707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굴삭기는 버킷과 쌍을 이루어 사용하는 집게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정장치를 통해 굴삭기의 암에 완전하게 고정하고, 집게발을 재사용 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고정장치를 직접 풀어주어야만 집게발을 작동할 수 있으므로, 집게발을 수시로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굴삭기의 버킷과 쌍을 이루어 집게기능을 수행하는 집게발을 굴삭기의 암에 완전하게 고정하는 것을 방지하면 선택적으로 탈부착하면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에 설치되어 이완 및 압축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탄성 홀더부; 및 유압실린더를 통해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집게발에 결합되며, 상기 집게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 홀더부에 삽입되어 지지 또는 상기 탄성 홀더부에서 이탈되어 분리되는 장착 지지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암에 결합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장착 지지부가 삽입되어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홀더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판 부재에 상기 장착 지지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판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판 부재에 접촉되는 탄성 조절판 부재를 더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게발에 결합되는 결합축 부재; 및 상기 결합축 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탄성 홀더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탄성 홀더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장착 지지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 홀더부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 지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집게발의 회전을 구속하는 집게발 회전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 홀더부에 결합되는 고정판 부재; 및 상기 고정판 부재 및 상기 장착 지지부에 삽입되는 고정축 부재로 이루어진 집게발 회전 구속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에 의하면, 집게발을 굴삭기의 암에 선택적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탈부착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나타낸 도2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도 3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암(10)에는 버킷(20)과 쌍을 이루어 암석이나 목재 등과 같은 중량물을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집게발(30)(일명: 딱따구리)이 결합된다. 이러한, 집게발(30)은 유압실린더(31)의 신축에 따라 굴삭기 암(10)에서 회동되면서 버킷(20)과 쌍을 이루어 중량물을 파지하게 되며, 미 사용시에 굴삭기의 암(10)에 고정된다.
또한, 굴삭기에는 암(10)에 집게발(30)이 완전하게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집게발(30)을 암(1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굴삭기의 암(10) 및 집게발(30)에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100)가 설치된다. 이때, 집게발 안전장치(100)는 유압실린더(31)와 함께 집게발(30)을 굴삭기의 암(10)에 지지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집게발 안전장치(100)는 굴삭기의 암(10)에 설치되는 탄성 홀더부(110)와, 이 탄성 홀더부(110)에 지지 또는 이탈되도록 집게발(30)에 설치되는 장착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더하여, 집게발 안전장치(100)는 집게발(30)의 회전을 완전하게 구속하기 위한 집게발 회전 구속부(13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 홀더부(110)가 굴삭기의 암(10)에 결합되고, 장착 지지부(120)가 집게발(30)에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탄성 홀더부(110)를 집게발(30)에 결합하고 장착 지지부(120)를 암(1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홀더부(110)는 탄성에 의해 장착 지지부(120)가 고정 또는 이탈가능하도록 이완 또는 압축된다.
구체적으로, 탄성 홀더부(110)는 굴삭기의 암(10)에 결합되는 고정블록(111), 이 고정블록(111)에 결합되어 장착 지지부(120)가 삽입 또는 이탈되는 한 쌍의 탄성판 부재(113)로 이루어진다.
고정블록(111)은 용접을 통해 굴삭기의 암(1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볼트 및 너트, 리벳 등을 통해 굴삭기의 암(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블록(111)은 탄성판 부재(113)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된다.
탄성판 부재(113)는 장착 지지부(120)가 삽입되어 탄성 지지되도록 고정블록(11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장착 지지부(120)가 삽입되면 상호 이완되면서 장착 지지부(12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탄성판 부재(113)는 탄성을 통해 장착 지지부(120)가 지지되거나, 또는 장착 지지부(120)가 이탈된다.
또한, 탄성판 부재(113)는 장착 지지부(120)가 견고하게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장착 지지부(120)가 안착되는 안착홈부(113a)가 형성된다. 안착홈부(113a)는 탄성판 부재(113)의 일단부가 굴곡되어 형성되며, 장착 지지부(120)와 탄성판 부재(113)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하여, 장착 지지부(120)가 탄성판 부재(113)에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탄성판 부재(113)는 장착 지지부(120)가 안착홈부(113a)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가이드부(113b)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판 부재(113)가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고정블록(111)에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접 또는 리벳 등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고정블록(111)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탄성 홀더부(110)는 탄성판 부재(113)에 접촉되어 탄성판 부재(113)의 탄성력을 향상시키도록 고정블록(111)에 결합되는 탄성 조절판 부재(115)를 더 구비한다.
탄성 조절판 부재(115)는 탄성판 부재(113)의 외측에 접촉되어 장착 지지부(120)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탄성판 부재(113)를 지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탄성판 부재(113)에 삽입되는 장착 지지부(120)가 더욱 큰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탄성 조절판 부재(115)의 길이를 조절하여 탄성판 부재(113)의 탄성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조절판 부재(115)의 상단이 안착홈부(113a)에 근접될 수도록 탄성판 부재(113)를 지지하는 탄성 조절판 부재(115)의 지지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장착 지지부(120)를 지지하는 탄성판 부재(113)의 탄성력이 더욱 향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탄성판 부재(113)의 탄성력을 통해 탄성 홀더부(110)에 탄성 지지되는 장착 지지부(120)는 탄성판 부재(113)에 견고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탈착이 용이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장착 지지부(120)는 집게발(30)에 결합되는 결합축 부재(121), 이 결합축 부재(121)에서 연장 형성되어 탄성판 부재(113)의 안착홈부(113a)에 삽입 또는 안착홈부(113a)에서 이탈되는 지지부재(123)를 포함한다. 이때, 장착 지지부(120)는 집게발(30)에 설치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축 부재(121)의 직경보다 지지부재(123)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용접을 통해 집게발(30)에 고정된다.
여기서, 장착 지지부(120)의 지지부재(123)를 원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지지부재(123)가 가이드부(113b)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탄성판 부재(113)의 안착홈부(113a)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지지부재(123)가 안착홈부(113a)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안착홈부(113a)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탄성판 부재(113)에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장착 지지부(120)는 집게발 회전 구속부(130)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걸림구멍(125)가 형성된다.
한편, 집게발(30)의 회전을 완전하게 구속하기 위한 집게발 회전 구속부(130)는 탄성 홀더부(110)에 설치되며, 장착 지지부(120)를 관통하여 집게발(3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집게발 회전 구속부(130)는 고정블록(111)에 결합되는 고정판 부재(131), 이 고정판 부재(131)를 관통하여 장착 지지부(120)의 걸림구멍(125)에 삽입되는 고정축 부재(133)를 포함한다.
고정판 부재(131)는 일단이 볼트, 용접 등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고정블록(111)에 결합된다. 또한, 고정판 부재(131)는 고정축 부재(133)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고정축 부재(1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관(135)이 형성된다. 가이드관(135)은 장착 지지부(120)의 걸림구멍(125)가 정렬되는 가이드홀부(135a)가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관(135) 및 고정축 부재(133)에는 가이드홀부(135a) 및 걸림구멍(125)에 삽입되는 고정축 부재(1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핀홀(133a) 및 제2 핀홀(135b)이 각각 형성된다. 제1 핀홀(133a) 및 제2 핀홀(135b)에는 이탈방지핀(137)이 삽입되어 고정축 부재(133)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1 핀홀(133a)은 고정축 부재(133)에 형성되고, 제2 핀홀(135b)은 가이드관(135)에 형성된다. 이때, 제1 핀홀(133a)은 고정축 부재(133)에 복수개 형성된다.
한편, 고정축 부재(133)는 연결줄을 통해 고정판 부재(131)에 고정된다.
이러한, 집게발 회전 구속부(130)를 통해 집게발(30)을 오랜 시간 쓰지 않을 때에는 집게발(30)을 굴삭기의 암(10)에 완전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는 집게발(30)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유압실린더(31)를 수축시켜 집게발(30)을 굴삭기의 암(10)에 밀착시킨 후, 고정축 부재(133)를 가이드관(135) 및 걸림구멍(125)에 삽입하여 집게발(30)의 회전을 완전하게 구속시킨다. 그러면, 집게발(30)이 암(10)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집게발(30)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굴삭기의 굴토작업과 중량체의 파지작업을 빈번하게 교대로할 때에는 굴토작업시 장착 지지부(120)가 탄성판 부재(113)에 삽입되도록 유압실린더(31)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장착 지지부(120)가 탄성판 부재(113)의 탄성을 통해 탄성 홀더부(110)에 지지되면서 유압실린더(31)와 함께 집게발(30)을 암(10)에 임시 고정시킨다. 이로 인하여, 집게발(30)의 사용 및 미사용을 빈번하게 할 때 지게발()을 암(10)에 용이하게 고정 또는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집게발(30)의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집게발 안전장치 10 : 암
20 : 집게발 110 : 탄성 홀더부
111 : 고정블록 113 : 탄성판 부재
115 : 탄성 조절판 부재 120 : 장착 지지부
121 : 결합축 부재 123 : 지지부재
125 : 걸림구멍 130 : 회전 구속부
131 : 고정판 부재 135 : 고정축 부재
135 : 가이드관 137 : 이탈방지핀

Claims (7)

  1. 굴삭기의 암에 설치되어 이완 및 압축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탄성 홀더부; 및
    유압실린더를 통해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집게발에 결합되며, 상기 집게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탄성 홀더부에 삽입되어 지지 또는 상기 탄성 홀더부에서 이탈되어 분리되는 장착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홀더부는,
    상기 암에 결합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장착 지지부가 삽입되어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판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 부재는 상기 장착 지지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 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판 부재에 접촉되는 탄성 조절판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지지부는,
    상기 집게발에 결합되는 결합축 부재; 및
    상기 결합축 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탄성 홀더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탄성 홀더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홀더부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 지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집게발의 회전을 구속하는 집게발 회전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발 회전 구속부는,
    상기 탄성 홀더부에 결합되는 고정판 부재; 및
    상기 고정판 부재 및 상기 장착 지지부에 삽입되는 고정축 부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KR1020110097787A 2011-09-27 2011-09-27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KR101131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787A KR101131524B1 (ko) 2011-09-27 2011-09-27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787A KR101131524B1 (ko) 2011-09-27 2011-09-27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524B1 true KR101131524B1 (ko) 2012-04-24

Family

ID=4614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787A KR101131524B1 (ko) 2011-09-27 2011-09-27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5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877B1 (ko) * 2011-09-29 2013-08-27 주식회사 제이케이 굴삭기의 집게발용 안전장치
KR101962323B1 (ko) * 2019-02-08 2019-07-18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퀵커플러용 장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용 집게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9322A (ja) * 1990-10-11 1992-05-22 Takeo Taguchi 建設機械のバケットハンド
JP2003301476A (ja) 2002-04-12 2003-10-24 Akira Matsuda バックホーアタッチメント
KR200356045Y1 (ko) 2004-04-21 2004-07-12 송은배 굴절부와 안전판이 구비된 굴삭기
KR20100007078U (ko) * 2008-12-31 2010-07-08 황규관 굴삭기용 집게발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9322A (ja) * 1990-10-11 1992-05-22 Takeo Taguchi 建設機械のバケットハンド
JP2003301476A (ja) 2002-04-12 2003-10-24 Akira Matsuda バックホーアタッチメント
KR200356045Y1 (ko) 2004-04-21 2004-07-12 송은배 굴절부와 안전판이 구비된 굴삭기
KR20100007078U (ko) * 2008-12-31 2010-07-08 황규관 굴삭기용 집게발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877B1 (ko) * 2011-09-29 2013-08-27 주식회사 제이케이 굴삭기의 집게발용 안전장치
KR101962323B1 (ko) * 2019-02-08 2019-07-18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퀵커플러용 장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용 집게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6866A (ko) 굴삭기의 집게장치
KR101907790B1 (ko) 시트파일 장착형 오거 드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공공법
KR200469088Y1 (ko) 굴삭기용 집게발
KR101131524B1 (ko)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KR101383847B1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KR101300877B1 (ko) 굴삭기의 집게발용 안전장치
KR102145621B1 (ko)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KR20210022398A (ko) 효과적인 굴삭기 집게발장치의 안전장치
JP2008133630A (ja) 作業用フロントの着脱装置および着脱方法
JP2014020012A (ja) 建設機械の作業装置
KR200404947Y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
KR101566493B1 (ko) 굴착기용 집게장치
KR101200359B1 (ko) 죠오의 교체가 가능한 어태치먼트
KR200251572Y1 (ko) 굴삭기 버킷 장착용 클램프의 안전장치
KR101848381B1 (ko)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
KR20120094318A (ko)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KR20120123936A (ko) 중장비 작업기의 퀵체인지 구조
KR101870713B1 (ko) 건설기계용 퀵 커플러 연결구조체
JP6271664B2 (ja) 杭圧入装置
JP5961441B2 (ja) 鋼矢板埋設用掘削装置、及び鋼矢板の埋設方法
JP3195620U (ja) バックホー排土板用フォークアタッチメント
KR102382424B1 (ko) 굴삭기용 회전링크
JPH10258984A (ja) 吊 具
JPH0414516Y2 (ko)
JP2004011289A (ja) 破砕機のバケット周囲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