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381B1 -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 - Google Patents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381B1
KR101848381B1 KR1020170031739A KR20170031739A KR101848381B1 KR 101848381 B1 KR101848381 B1 KR 101848381B1 KR 1020170031739 A KR1020170031739 A KR 1020170031739A KR 20170031739 A KR20170031739 A KR 20170031739A KR 101848381 B1 KR101848381 B1 KR 101848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r
excavator
main body
auxiliary arm
finish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식
Original Assignee
광명환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명환경(주) filed Critical 광명환경(주)
Priority to KR102017003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샤에 굴삭기 암과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보조암을 부가 구성함으로 해서 4~5층 규모의 건물을 철거할 때 굴삭기를 건물 위로 올리지 않고도 지상에서 안전하게 철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보조안전핀를 구비하여 굴삭기와 보조암을 보다 안전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보조암과 크라샤의 연결 부분을 경사형으로 형성한 굴삭기 부착형 크랴샤용 보조암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굴삭기의 유압으로 작동하는 한 쌍의 핑거와, 핑거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마련된 크라샤를 상호 연결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조암은, 내부에 격벽이 구비된 중공형의 사각통 타입으로 형성한 본체와; 본체의 상측을 밀폐하는 상부마감판과; 본체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마감판과; 상부마감판에 결합되는 한 쌍의 굴삭기용 브래킷과; 굴삭기용 브래킷에 형성된 구멍에 조립되며 굴삭기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굴삭기용 고정핀과; 하부마감판에 결합되는 한 쌍의 크라샤용 브래킷과; 크라샤용 브래킷에 형성된 구멍에 조립되며, 크라샤에 구비된 크라샤결합부를 크라샤용 브래킷에 내입한 상태로 고정하는 크라샤용 고정핀과; 본체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굴삭기에서 크라샤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관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Auxiliary arm for crusher attached to excavator mounting}
본 발명은 건축물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철거할 때 주로 사용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에 적용할 수 있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라샤에 굴삭기 암과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보조암을 부가 구성함으로 해서 4~5층 규모의 건물을 철거할 때 굴삭기를 건물 위로 올리지 않고도 지상에서 안전하게 철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보저안전핀을 구비하여 굴삭기와 보조암을 보다 안전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보조암과 크라샤의 연결 부분을 경사형으로 형성하여 운전중 크라샤가 철거 대상물 쪽으로 하향되도록 구성함으로 해서 결합 안전성과 함께 작업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한 굴삭기 부착형 크랴샤용 보조암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굴삭기(excavators)는 주로 흙이나 모래를 굴착 또는 굴삭 하는 건설장비로서 굴삭기 암대의 선단에 작업 목적에 따라 장치를 교환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굴삭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장치로는 콘크리트 건축물을 분쇄하는 크라샤가 제안되고 있다.
크라샤(crusher)는 굴삭기 암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작업장치의 하나로서 건물 등의 해체시 건물 파쇄작업, 콘크리트 덩어리 분쇄작업, 또는 철근절단작업 등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종래의 크라샤는 굴삭기 암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부턱과 하부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턱은 결합부재를 통해 굴삭기 암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턱은 하부턱 중심부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턱은 암대 상단에 장치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움직이고, 상기 하부턱은 고정되어지거나 상부턱과는 별도의 실린더를 장치하여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다.
또한 항타기(브레이커)는 아스팔트와 콘크리트건축물 등과 같이 분쇄작업이 힘든 물질을 충격을 가하여 파쇄하는 장치로서, 유압을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크라샤의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3-0092132호(2013.08.20.)의 크라샤,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257227호(2001.12.24.)의 유압식 항타기가 장착된 크라샤 등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경우 대부분이 크라샤 자체의 기능성을 개선하거나 또는 부가하여 다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굴삭기에 상기한 크라샤들을 장착한 상태에서 주로 5층 정도의 건물(종래 저층 아파트 등)을 해체하는 경우 대형 굴삭기의 붐대 및 암대를 이용하여 최대 3층 높이로 철거가 가능하므로, 크레인을 이용하여 굴삭기를 건물 위로 올린 상태에서 상층부터 철거를 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철거 방법의 경우 고가 장비인 크레인을 이용해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고, 노후 건물이 고중량(30톤 이상)의 굴삭기를 지탱하지 못하고 분괴되는 위험성도 있어 작업 과정에서 인적 물적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으로, 업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 없이 안전한 지상에서 5층 이하의 건축물을 쉽게 철거할 수 있는 장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 기술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133640호(2008.06.12.)의 가지 잘라 주는 주행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는 굴삭기와 연결되는 크라샤를 구성함에 있어서 한 쌍의 핑거를 회전시키는 회동수단이 구비되어 크라샤의 운전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선행기술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008401호(2000.01.11.)의 유압식 굴삭기 연장 아암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굴삭기의 암대와 버킷 사이에 굴삭기용 익스텐션암을 제공하되, 익스탠션암은 신축연장암부과 신축연장암부, 그리고 이들의 양단에 결합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4절링크로 구성하고, 신축연장암부과 신축연장암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굴삭기용 익스텐션암의 경우 기존 암대의 선단에 구비되는 4절링크 구성을 변형하여 암대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기술로 구성이 복잡하고, 또한 익스텐션암의 선단으로 결합되는 버킷 또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크라샤를 부착할 때 이들이 작업 과정에서 분리 및 결합하는 기능이 단순이 핀에 의존하는 것으로, 탈부착의 어려움이 있고, 탈부착에 따른 안전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30092132 A 2013.08.20. KR 200257227 Y1 2001.12.24. JP 특개2008133640 2008.06.12. JP 특개2000008401 2000.01.11.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굴삭기에 직접 크라샤를 결합하는 경우 3층 이하의 저층 철거만 지상에서 행할 수 있어, 4~5층의 건축물을 철거코자 할 시에는 굴삭기를 건물 위로 올려 작업할 때 굴삭기를 올리기 위해 크레인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과, 철거 과정에서 건물에 과하중이 작용하여 붕괴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으며, 또한 굴삭기의 암대와 크라샤를 연결하면서도 분리 염려로부터 안전성을 보장하고, 크라샤를 철거 대상 쪽으로 하향 되도록 설치하여 철거 편리성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하는 간단한 구성의 보조암을 제공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크라샤에 굴삭기 암대와 상호 연결할 수 있는 보조암을 제공함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굴삭기의 암대 선단에 구비되는 결합부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핀과 더불어 보조할 수 있는 보조안전핀을 보조암에 구비하여 안전핀의 파손 또는 안전핀 미착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였으며, 또한 크라샤와 결합되는 부분이 경사지게 하여 크라샤가 철거 대상물 쪽으로 항상 하향되도록 구성하여 철거 편의성을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크라샤 천고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붕괴 위험 없는 지상에서 안전한 건물 철거를 보장하고, 또한 철거에 따른 비용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굴삭기의 유압으로 작동하는 한 쌍의 핑거와, 핑거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마련된 크라샤를 상호 연결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조암은, 내부에 격벽이 구비된 중공형의 사각통 타입으로 형성한 본체와; 본체의 상측을 밀폐하는 상부마감판과; 본체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마감판과; 상부마감판에 결합되는 한 쌍의 굴삭기용 브래킷과; 굴삭기용 브래킷에 형성된 구멍에 조립되며 굴삭기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굴삭기용 고정핀과; 하부마감판에 결합되는 한 쌍의 크라샤용 브래킷과; 크라샤용 브래킷에 형성된 구멍에 조립되며, 크라샤에 구비된 크라샤결합부를 크라샤용 브래킷에 내입한 상태로 고정하는 크라샤용 고정핀과; 본체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굴삭기에서 크라샤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굴삭기용 브래킷에 형성한 돌출결합부와; 상기 돌출결합부에 형성된 핀구멍으로 조립되는 보조안전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안전핀은 굴삭기의 결합부에 설치되어 작동실린더에 의해 회동되어 굴삭기용 고정핀을 클램핑함과 아울러 결합부에 구비된 안전핀에 지지되는 클램핑부재의 바깥면과 접하면서 클램핑부재가 임의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본체의 하측을 밀폐하는 하부마감판은 굴삭기의 결합부와 크라샤를 보조암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크라샤가 지면쪽으로 향하도록 10~20도 경사지게 부착되도록 본체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이 구비된 크라샤를 이용할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굴삭기 암대를 연장하는 보조암이 구비되므로 4~5층 규모의 건축물을 지상에서 쉽게 철거할 수 있다.
-굴삭기를 건물 옥상으로 올리는 크레인 작업이 필요 없다.
-지상에서 철거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노후 상태의 건축물이 굴삭기 중량에 의해 붕괴되는 위험을 일소할 수 있다.
-크레인으로 굴삭기를 올리는 작업이 없으므로 현장에서 바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기존 사용하고 있는 크라샤에 보조암만 결합하면 되므로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보조암의 굴삭기용 브래킷에 결합부의 안전핀과 더불어 클램핑부재의 회동을 방지하는 보조안전핀이 구비되어 있어, 안전핀 미착용 혹은 안전핀 파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마감판이 10~20도 경사지게 부착되어 있어 굴삭기의 결합부와 크라샤를 보조암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크라샤가 지면쪽을 향하게 되므로 굴삭기 운전자가 크라샤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을 적용한 상태를 보인 굴삭기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으로 크라샤를 결합한 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과 굴삭기의 결합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측단면도로 보조암이 결합되기 전 상태도
도 9는 도 6의 측단면도로 보조암이 결합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을 적용한 상태로 현장에서 작업하는 일 예를 보인 사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을 적용한 상태를 보인 굴삭기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자주식으로 구성되는 굴삭기(100)의 붐대(110)에 결합된 암대(120)의 선단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130)에 크라샤(200)를 조립함에 있어서, 결합부(130)와 크라샤(200) 사이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보조암(1)을 설치하여 암대(120)의 길이를 연장되게 함으로 해서, 기존 굴삭기(100)의 암대(120)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130)에 크라샤(200)를 결합하여 작업할 수 없는 4층 또는 5층 높이의 건물 철거가 지상에서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철거를 위해 크레인을 이용하여 굴삭기(100)를 건물 위로 올리는 작업 없이도 이들의 철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예로는 굴삭기(100) 보다 한단계 낮은 용량의 크라샤(200)를 결합하여 작업하면 되는데, 5층 건물을 철거할 때를 예로 설명하면 굴삭기(100)의 붐대(110) 및 굴삭기(100) 암대(120)와 보조암(1)을 최대로 세워 1차로 4층 및 5층 일부분을 철거하여 지상에 낙하되는 잔해물을 지상에 깔아 디딤대를 만들고, 디딤대 위로 굴삭기(100)를 운전하여 올린 상태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보조암(1)을 분리하고, 암대(120)의 선단 결합부(130)에 크라샤(200)를 직접 결합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철거 작업을 진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보조암(1)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보조암(1)은 철판을 재단하고, 이들을 용접하여 속이 빈 사각통 타입으로 본체(2)를 형성하며, 비어 있는 본체(2)의 내부에는 내구성을 고려하여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복수의 격벽(3)을 결합하여 본체(2)의 중량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사각통 타입의 본체(2)는 상측으로 상부마감판(4)이 결합하고, 하측으로는 하부마감판(5)을 결합하여 속이 빈어 있는 되어 본체(2)의 상하측을 밀폐되도록 한다. 이때 본체(2)는 상부마감판(4) 쪽이 하부마감판(5) 쪽 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마감판(4)에는 좌우 한 쌍의 굴삭기용 브래킷(6)이 용접되며, 굴삭기용 브래킷(6)에는 2개의 구멍(7)이 형성되고, 이들 구멍(7)에는 굴삭기용 고정핀(8)이 결합되며, 2개의 굴삭기용 고정핀(8)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다. 그리고 하부마감판(5)에는 좌우 한 쌍의 크라샤용 브래킷(9)이 용접되며, 크라샤용 브래킷(9)에는 2개의 구멍(10)이 형성되어 크라샤용 고정핀(11)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2개의 크라샤용 고정핀(11)도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다. 이때 높이는 상부마감판(4) 또는 하부마감판(5)에서 구멍(7)(10) 까지의 거리를 지칭한다.
상기 상부마감판(4)에 용접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굴삭기용 브래킷(6)에는 돌출결합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결합부(12)에는 핀구멍(13)이 형성되고, 핀구멍(13)에는 보조안전핀(14)가 조립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부마감판(5)은 크라샤(200)가 고정상태일 때 크라샤(200)가 지면쪽으로 향하도록 10~20도 경사지게 부착되도록 본체(2)에 용접한다. 이와 같이 하부마감판(5)을 경사지게 본체(2)에 용접하여 결합하는 경우 굴삭기(100) 운전자가 크라샤(200)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의 외부에는 굴삭기(100)에서 크라샤(200)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관(15)을 배관하여 굴삭기(100)에서 제공하는 유체압으로 크라샤(200)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보조암(1)은 전체 길이를 1.5~3M 길이로 구성토록 한다. 보조암(1)의 길이가 1.5M 이하인 경우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3M를 초과하는 경우 보다 더 높은 건물 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중량으로 인해 굴삭기에 장착하기가 어렵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으로 크라샤를 결합한 상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과 굴삭기의 결합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과 굴삭기의 결합부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측단면도로 보조암이 결합되기 전 상태도, 도 9는 도 6의 측단면도로 보조암이 결합된 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보조안전핀(14)는 굴삭기(100)의 결합부(130)에 구비되어 있는 안전핀(140)이 파손되거나 혹은 미장착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성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안전 수단이다.
굴삭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130)는 통상 암대(120)의 선단에 핀으로 결합되어 회동하는 한 쌍의 회동대판(131)과, 암대(120)와 평형하게 배치되며 하단이 회동대판(131)에 핀으로 고정되고 상단이 암대(120)에 설치된 실린더(132)와 결합되는 회동링크(133)와, 회동링크(133)의 상단과 암대(120)에 양단이 핀으로 결합되며 회동대판(131)과 마주하는 보조링크(134)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4절링크 구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2개의 회동대판(131) 후방으로는 제1핀결합공(135)이 개방형으로 형성되고, 회동대판(131)의 전방으로는 회동대판(131) 내부에 설치된 작동실린더(136)에 의해 회동하는 클램핑부재(137)를 결합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클램핑부재(137)는 바깥면이 호형으로 형성되고, 후방으로는 제2핀결합공(138)이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핀결합공(138)과 반대쪽으로는 외향 돌출된 스토퍼(139)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제1핀결합공(135)으로 굴삭기용 고정핀(8)이 내입된 상태에서 작동실린더(136)을 작동시킬 때 제2핀결합공(138)이 굴삭기용 고정핀(8)을 내입시킨 상태에서 회동대판(131) 쪽으로 회동시켜 제2핀결합공(138) 내의 굴삭기용 고정핀(8)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스토퍼(139)와 접하도록 안전핀(140)을 결합하면 회동대판(131)이 역방향으로 회동하는 차단하여, 버킷이나 본 발명의 보조암(1)을 결합한 상태에서 이들이 작업 중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굴삭기용 브래킷(6)에 보조안전핀(14)를 더 설치하여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의 결합부(130)에 본 발명의 보조암(1)을 결합하는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굴삭기용 브래킷(6)의 높은 측 구멍(7)에 결합되어 있는 굴삭기용 고정핀(8)이 제1핀결합공(135)이 내입되고 낮은 측 구멍(7)에 결합된 굴삭기용 고정핀(8)이 클램핑부재(137)에 형성되어 있는 제2핀결합공(138)에 내입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굴삭기용 브래킷(6)의 낮은 측 구멍(7)이 형성된 쪽 측방으로 돌출되게 일체형으로 돌출결합부(12)를 형성하고 있으며, 돌출결합부(12)에는 핀구멍(13)을 형성하고 이 핀구멍(13)로 보조안전핀(14)을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핀구멍(13)에 조립되는 보조안전핀(14)은 도 6과 같이 결합부(130)에 보조암(1)을 결합한 상태에서 조립되는 것으로, 조립 상태일 때 클램핑부재(137)의 바깥면과 접하는 구성을 갖게 되며, 상기 안전핀(140)과 더불어 클램핑부재(137)가 임의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성을 갖는다.
즉, 상기 보조안전핀(14)의 경우 조립된 상태일 때 클램핑부재(137)가 제2핀결합공(138) 내에 위치하는 굴삭기용 고정핀(8)과 보조안전핀(14) 사이에 끼여 있는 형상을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구성은 안전핀(140)이 파손되거나 혹은 안전핀(140)을 미장착 상태에서도 클램핑부재(137)에서 굴삭기용 고정핀(8)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통상 크라샤(200)의 경우 중대형 굴삭기(100)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크라샤결합부(240)가 구비된 회동수단(210)을 포함하며, 대칭되는 핑거부재(220)와, 각각의 핑거부재(220)를 구동하기 위한 핑거실린더(2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본체(2)의 하부마감판(5)에 용접되어 있는 크라샤용 브래킷(9)과 조립되는 크라샤(20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공지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굴삭기(100)의 경우 버킷 크기(용량)를 기준으로, 중형 굴삭기(100)는 0.6, 0.8, 1.0, 대형 굴삭기(100)로는 1.27, 1.62, 2.15 등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크라샤(200)는 굴삭기(100) 운용하는 굴삭기(100) 용량 보다 낮은 용량의 것으로 구성하여 작업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대형 1.62 용량의 굴삭기(100)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에는 1.62 용량에 부합하도록 제작된 크라샤(200)를 사용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이보다 작은 크기의 1.27 용량의 굴삭기(100)에 사용하는 크라샤(200)를 보조암(1)과 결합하여 사용토록 한다.
이는 크라샤(200) 중량과, 보조암(1) 중량을 더한 상태에서 굴삭기(100)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안전한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을 적용한 상태로 현장에서 작업하는 일 예를 보인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건물을 철거하는 예를 보인 것으로, 종래 철거가 불가능한 천고의 건물(5층) 위에 굴삭기(100)를 올리지 않고도 지상에서 쉽게 건물을 철거할 수 있었으며, 또한 건물 철거 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효과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 본체(2)의 하부마감판(5)에 용접되어 있는 크라샤용 브래킷(9)과 조립되는 크라샤(20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공지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 2:본체
3:격벽 4:상부마감판
5:하부마감판 6:굴삭기용 브래킷
7,10:구멍 8:굴삭기용 고정핀
9:크라샤용 브래킷 11:크라샤용 고정핀
12:돌출결합부 13:핀구멍
14:보조안전핀 15:유압관
100:굴삭기 110:붐대
120:암대 130:결합부
131:회동대판 132:실린더
133:회동링크 134:보조링크
135:제1핀결합공 136:작동실린더
137:클램핑부재 138:제2핀결합공
139:스토퍼 140:안전핀
200:크라샤 210:회동수단
220:핑거부재 230:핑거실린더

Claims (3)

  1. 굴삭기(100)의 유압으로 작동하는 한 쌍의 핑거와, 핑거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210)을 마련된 크라샤(200)를 상호 연결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조암(1)은, 내부에 격벽(3)이 구비된 중공형의 사각통 타입으로 형성한 본체(2)와;
    본체(2)의 상측을 밀폐하는 상부마감판(4)과;
    본체(2)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마감판(5)과;
    상부마감판(4)에 결합되는 한 쌍의 굴삭기용 브래킷(6)과;
    굴삭기용 브래킷(6)에 형성된 구멍(7)에 조립되며 굴삭기(100)의 결합부(130)와 결합되는 굴삭기용 고정핀(8)과;
    하부마감판(5)에 결합되는 한 쌍의 크라샤용 브래킷(9)과;
    크라샤용 브래킷(9)에 형성된 구멍(10)에 조립되며, 크라샤(200)에 구비된 크라샤결합부(240)를 크라샤용 브래킷(9)에 내입한 상태로 고정하는 크라샤용 고정핀(11)과;
    본체(2)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굴삭기(100)에서 크라샤(200)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관(15)으로 구성하며;
    상기 굴삭기용 브래킷(6)에 형성한 돌출결합부(12)와;
    상기 돌출결합부(12)에 형성된 핀구멍(13)로 조립되는 보조안전핀(14)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안전핀(14)은 굴삭기(100)의 결합부(130)에 설치되어 작동실린더(136)에 의해 회동되어 굴삭기용 고정핀(8)을 클램핑함과 아울러 결합부(130)에 구비된 안전핀(140)에 지지되는 클램핑부재(137)의 바깥면과 접하면서 클램핑부재(137)가 임의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하측을 밀폐하는 하부마감판(5)은 굴삭기(100)의 결합부(130)와 크라샤(200)를 보조암(1)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크라샤(200)가 지면쪽으로 향하도록 10~20도 경사지게 부착되도록 본체(2)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
KR1020170031739A 2017-03-14 2017-03-14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 KR101848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739A KR101848381B1 (ko) 2017-03-14 2017-03-14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739A KR101848381B1 (ko) 2017-03-14 2017-03-14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381B1 true KR101848381B1 (ko) 2018-04-12

Family

ID=6196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739A KR101848381B1 (ko) 2017-03-14 2017-03-14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403A (ko) * 2020-06-02 2021-12-09 주식회사 현지건설 굴삭기용 회전링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196B1 (ko) * 2015-03-25 2015-08-12 심상국 하천 수중 오니 준설작업용 굴삭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196B1 (ko) * 2015-03-25 2015-08-12 심상국 하천 수중 오니 준설작업용 굴삭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403A (ko) * 2020-06-02 2021-12-09 주식회사 현지건설 굴삭기용 회전링크
KR102382424B1 (ko) 2020-06-02 2022-04-04 김현옥 굴삭기용 회전링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5328B2 (ja) クイックカプラ
KR20110116866A (ko) 굴삭기의 집게장치
KR101848381B1 (ko) 굴삭기 부착형 크라샤용 보조암
KR102195905B1 (ko) 다방향 플라즈마-유압 할암봉을 구비한 할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할암 방법
US3989149A (en) Excavating device
JP4812603B2 (ja) 作業用フロントの着脱装置および着脱方法
JP2013209862A (ja) 作業機の作業装置
JPH11193542A (ja) 建設機械用フロント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ブーム並びにその組立方法
KR20170121089A (ko)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CN214614252U (zh) 一种微型履带挖掘机及其工作装置
JP2000054435A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JP4042907B2 (ja) 作業機用フロント装置と作業機
KR100990884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1200359B1 (ko) 죠오의 교체가 가능한 어태치먼트
KR101131524B1 (ko)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KR101124473B1 (ko) 다목적 중장비
JP3314064B2 (ja) 保護装置付ツインアーム作業機
JPH11229751A (ja) 既設トンネルの拡幅装置
JPS6321766B2 (ko)
JP4339061B2 (ja) 吊下式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とハンドリング機
JP3659393B2 (ja) 土木作業機の作業アタッチメント
KR102382424B1 (ko) 굴삭기용 회전링크
CN218439389U (zh) 一种快速更换用隧道仰拱清底装置
KR200448332Y1 (ko) 냉각장치를 가지는 소형 굴삭기
JP2007162404A (ja) 油圧ショ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