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621B1 -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 Google Patents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621B1
KR102145621B1 KR1020180145734A KR20180145734A KR102145621B1 KR 102145621 B1 KR102145621 B1 KR 102145621B1 KR 1020180145734 A KR1020180145734 A KR 1020180145734A KR 20180145734 A KR20180145734 A KR 20180145734A KR 102145621 B1 KR102145621 B1 KR 102145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ple
leg portion
coupled
excavato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134A (ko
Inventor
이창업
Original Assignee
이창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업 filed Critical 이창업
Priority to KR102018014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6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 대한 것으로, 상기 굴착기에 연결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각각 두 개의 투스부가 한 쌍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구동되는 제 1 그래플 레그부, 상기 제 1 그래플 레그부에 대응하여 상기 굴착기에 연결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각각 두 개의 투스부가 한 쌍으로 탈부착 가능한 고정핀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구동되는 제 2 그래플 레그부, 및 상기 제 2 그래플 레그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투스부 중에서 하나의 투스부가 상기 고정핀의 탈부착에 따라 상기 제 2 그래플 레그부로부터 분기되거나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그래플 레그부와 제 2 그래플 레그부에 대하여 별개로 작동 가능한 것으로서, 그 일측으로 돌출되는 칼날부가 결합된 제 3 그래플 레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Safety graffle scissors of excavator}
본 발명은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기의 버켓 링크 장착부위에 별도로 장착되고, 굴착기에 마련된 유압공급시스템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안전 집게에 탈착 가능한 가위로서, 한 쌍의 고정 집게에 대하여 자유롭게 구동하는 부가 집게에 탈착 가능한 가위 날을 결합함으로써 작업물을 파지하는 경우 삼점 고정하여 중심을 유지하도록 하고, 나무를 집게로 잡음과 동시 벌목용 집게 가위 날이 나무를 잘라 안전한 작업을 하는 것으로 자르는 작업과 정리 정돈을 집게 하나로 해결하도록 하는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착기는 상·하수도 공사를 위한 지면의 복개공사나 산지와 임야의 개토 공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의 공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설장비의 일종으로, 붐대와 연결된 아암의 끝단에 통상의 버킷을 결합시켜 사용하고 있다.
상기 버킷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아암의 내측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이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버킷이 구동되면서 흙이나 모래 등과 같은 부피가 작은 대상물의 이동이 편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버킷의 수용구조는 흙이나 모래와 같이 부피가 작은 대상물의 이동에는 유용하지만, 버킷이 굴삭기 안쪽으로 회동하면서 대상물을 퍼내는 방식임에 따라 부피가 큰 조경석이나 나무, 블록, 흄관, 수로관 등의 물체는 버킷 내부에 수용할 수 없게 되어 시공 시 정밀 작업이 어렵다.
이에, 근래에는 부피가 큰 물체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고정 및 회전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한 그래플(grapple)을 굴착기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그래플은 통상 집게라고도 지칭되는 파지기구의 일종으로 블록 시공을 하거나, 원목이나 흄관 등을 상·하차하거나 폐차장에서 고철 등을 집하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집게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붐대(A)에 회동암(B)이 핀(C)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동암(B)의 하부에는 구조물을 파지하는 한 쌍의 집게(D, E)가 상호 오므라지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암과 각 집게 사이에는 실린더(F, G)가 복수 개의 링크(H)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최대한 당겨진 상태에서는 한 쌍의 집게가 상호 벌어지게 되는바, 이러한 상태에서 집게 사이에 구조물이 위치되도록 한 다음, 실린더의 로드를 인출시키면 대상 구조물을 적절히 파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 집게는 작업시 단순하게 작업물을 잡는 용도로만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암석과 같이 불규칙한 모양의 작업물을 파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양쪽 집게의 투스가 양쪽 암석 표면에 두 점만 잡히게 되므로 파지된 두 점을 중심으로 무거운 쪽으로 기울게 되어 작업물의 중심이 흔들리게 되고 낙하할 위험성이 매우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집게 부분은 길이가 긴 목재나 벌목을 옮기기 위해서 별개의 절단 장치를 사용하고, 절단된 목재나 잘린 나무를 정리 정돈하는 장비가 별도로 필요하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09-0026326 등록실용신안 20-0394093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굴착기의 버켓 링크 장착부위에 별도로 장착되고, 굴착기에 마련된 유압공급시스템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안전 집게에 탈착 가능한 가위로서, 한 쌍의 고정 집게에 대하여 자유롭게 구동하는 부가 집게에 탈착 가능한 가위 날을 결합함으로써 작업물을 파지하는 경우 삼점 고정하여 중심을 유지하도록 하고, 나무를 집게로 잡음과 동시 벌목용 집게 가위 날이 나무를 잘라 안전한 작업을 하는 것으로 자르는 작업과 정리 정돈을 집게 하나로 해결하도록 하는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는, 굴착기의 버켓 링크 장착부위에 탈착 결합될 수 있는 집게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 있어서, 상기 굴착기에 연결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각각 두 개의 투스부가 한 쌍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구동되는 제 1 그래플 레그부: 상기 제 1 그래플 레그부에 대응하여 상기 굴착기에 연결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각각 두 개의 투스부가 한 쌍으로 탈부착 가능한 고정핀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구동되는 제 2 그래플 레그부; 및 상기 제 2 그래플 레그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투스부 중에서 하나의 투스부가 상기 고정핀의 탈부착에 따라 상기 제 2 그래플 레그부로부터 분기되거나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그래플 레그부와 제 2 그래플 레그부에 대하여 별개로 작동 가능한 것으로서, 그 일측으로 돌출되는 칼날부가 결합된 제 3 그래플 레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 있어서, 상기 그래플 레그부의 투스부에는 작업물이 접촉하는 내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판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에 부착되는 완충보호부재에는 철, 우레탄 고무, 알루미늄, 구리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 있어서, 칼날부가 결합된 제 3 그래플 레그부에는 칼날부를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 있어서, 제 3 그래플은 칼날부가 형성된 상태로 버켓 링크 장착부위로부터 결합되어 제 1 그래플 레그부 및 제 2 그래플 레그부에 대하여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고정 집게 중 한쪽을 분리하여 부가 집게를 구비함으로써 작업물을 파지하는 경우 삼점 고정하여 중심을 유지하여 안전한 작업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무를 집게로 잡음과 동시 벌목용 집게 가위 날이 나무를 잘라 안전한 작업을 하는 것으로 자르는 작업과 정리 정돈을 집게 하나로 해결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집게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2는 종래의 집게 장치에서 돌을 파지한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서 그래플 레그가 분리된 상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 결합되는 판스프링과 보호부재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서 그래플 레그가 분리된 상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3, 도4,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는 굴착기의 버켓 링크 장착부위에 탈착 결합될 수 있는 집게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 집게 가위로서, 유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구동되는 제 1 그래플 레그부(10) 및 제 2 그래플 레그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그래플 레그부(20)에서 분기 가능한 제 3 그래플 레그부(30)와 상기 제 3 그래플 레그부(30)에 결합되는 칼날부(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그래플 레그부(10)는 굴착기에 연결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각각 두 개의 투스부(12, 14)가 한 쌍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구동된다.
또한, 제 2 그래플 레그부(20)는 상기 제 1 그래플 레그부(10)에 대응하여 상기 굴착기에 연결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각각 두 개의 투스부(22, 24)가 한 쌍으로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어 구동된다.
또한, 제 3 그래플 레그부(30)는 상기 제 2 그래플 레그부(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투스부(22, 24) 중에서 하나의 투스부(22)가 상기 제 2 그래플 레그부(20)로부터 분기되거나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그래플 레그부(10)와 제 2 그래플 레그부(20)에 대하여 별개로 작동 가능한 것이다.
여기에서, 작업환경이나 필요에 따라서 제 3 그래플 레그부(30)는 제1 그래플 레그부(10)와 제 2 그래플 레그부(20)와 같이 함께 작동 가능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1 그래플 레그부와 제 2 그래플 레그부에 대하여 별개로 작동 가능한 상기 제 3 그래플 레그부(30)는 그 일측으로 돌출되는 칼날부(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는 마주하는 양쪽 그래플 레그부(10, 20) 중에서 한 쪽을 분기하여 파쇄물, 암석 등과 같은 작업물을 파지할 때 반대쪽 그래플 레그부(10)와 함께 작업물을 세 점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중에 암석 등이 흔들리거나, 조경석, 블록, 흄관 등 세밀한 작업 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쪽에 동일하게 큰 힘을 작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그래플 레그부(20)는 상기 분기되었던 투스부(22, 24)를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 1 그래플 레그부(10)와 제 2 그래플 레그부(20)로 짝을 이루어 작동 가능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서 그래플 레그(30)가 분리된 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서 제 2 그래플(20)이 상기 고정봉(80)의 탈부착에 따라 상기 제 2 그래플 레그부(20)로부터 분기되거나 일체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고정봉(80)은 봉상의 부재로 되어 있고, 버켓 링크부 하부에 형성된 고정결합공(36)과 상기 제 3 그래플 레그부(30)의 상부에 마련된 고정결합공(37)을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 2 그래플 레그부(20)와 나란히 결합된다.
또한, 도5에서 칼날부(40)는 칼날과 반대쪽 일측으로 연속해서 다수의 볼트(41)가 관통한 후 상기 제 3 그래플 레그부(30)에 형성된 구멍(31)에 결합하여 제 3 그래플 레그(30)의 일측인 안쪽 방향으로 칼날부(40)가 장착된다.
한편, 도5에서 제 3 그래플 레그부(30)에는 볼트(41)를 사용해서 칼날부(40)를 탈착 결합시키는 것이지만 제 3 그래플 레그부(30) 전체를 분리하고 제 3 그래플 레그부(30) 대신에 칼날부(40)가 미리 형성된 그래플 레그부를 버켓 링크부에 탈착 결합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버켓 링크부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유압 실린더(90)의 실린더 로드(91) 단부에 구비된 관통공(92)을 관통하고 상기 제 3 그래플 레그부(30)에 구비된 고정결합공(38)을 관통하여 고정핀(93)을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제 3 그래플 레그부(30)가 상기 제 1 그래플 레그부(10)와 제 2 레그부(20)에 대하여 별도로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작업환경이나 필요에 따라서 제 3 그래플 레그부(30)는 제1 그래플 레그부(10)와 제 2 그래플 레그부(20)와 같이 함께 작동 가능할 수 있도록 동일 라인의 유압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그래플 레그부(10)의 투스부(12)와 제 1 그래플 레그부(10)의 투스부(14)와 제 2 그래플 레그부(20)의 투스부(24)가 원통 형상의 목재(100)를 세 점으로 지지하여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제 3 그래플 레그부(30)에 유압 실린더(90)를 별도로 작동하여 실린더 로드(91)의 이동에 따라 목재(100)를 벌목하거나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벌목된 목재(100)의 정리 작업시에는 칼날부(40)가 결합된 제 3 그래플 레그부(30)를 벌린 상태로 유압 실린더(90)로부터 유압을 차단하여 고정시키면 벌목, 절단된 목재를 정리할 수 있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 결합되는 판스프링과 보호부재의 상세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그래플 투스부(12, 14, 24)에는 각각 상기 그래플 투스부에서 작업물이 접촉하는 내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판스프링(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50)은 그래플 투스부(12, 14, 24) 안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그래플 레그부(10, 20)에 유압이 작동하여 그래플 레그부(10, 20)가 작업물을 파지하면서 굽혀지게 되면 상기 판스프링(50)이 벌려지게 되고 이에 따른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그래플 투스부(12, 14, 24)에 파지되는 작업물을 단단하게 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50)이 설치된 투스부(12, 14, 24)는 작업물을 보다 더 안전하고 세밀하게 집어서 낙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판 스프링(50)은 상부쪽 일측면에 네 개의 결합공(55)을 형성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투스부(12, 22) 상부 레그부(10)에 네 개의 고정공(15)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판 스프링(50)의 결합공(55)에 대응하는 네 개의 관통공(75)이 형성된 결합치구(70)를 게재하여, 상기 관통공(75)과 상기 결합공(55)을 통과한 고정볼트(52)에 의하여 상부 레그부(10)의 고정공(15)에 단단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50)은 상기 그래플 레그부(10, 20, 30)에 결합된 고정볼트(52)를 고정하거나 해체함에 따라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50)은 상기 투스부(22, 24)에서도 이와 동일하게 레그부(20, 30)에 단단하게 결합 고정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3, 도4, 도5을 참조하면 투스부(12, 14, 24)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판스프링(50)과 맞닿는 부위는 흙이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거나 배출이 용이하도록 말단부가 뾰족하게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도7을 참조하면 상기 판 스프링(50)은 하부쪽 내측면에는 작업물을 보호하고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용 보호부재(60)가 고정볼트(62)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도7에서, 상기 판 스프링(50)은 하부쪽 내측면에 두 개의 고정공(57)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완충용 보호부재(60)에도 이에 대응하는 두 개의 결합공(65)을 구비하여 두 개의 고정볼트(62)가 상기 완충용 보호부재(60)에 형성된 결합공(65)을 관통하여 상기 판 스프링(50)의 고정공(57)에 결합된다.
상기 완충용 보호부재(60)는 판 스프링(50)에서 돌기를 형성하여 대리석이나 경계석 등 매끄럽게 가공한 표면에 흠집이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격이나 그래플의 집게 부분인 투스부가 누르는 압력을 완충하거나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동시에 작업 대상물을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50)에 부착되는 완충용 보호부재(60)에는 일반철, 우레탄 고무, 알루미늄, 구리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20, 30 : 그래플 레그부 12, 14, 22, 24 : 투스부
15 : 고정공 36, 37, 38 : 고정결합공
40 : 칼날부 50 : 판스프링
52 : 고정볼트 55 : 결합공
57 : 고정공 60 : 완충용 보호부재
62 : 고정볼트 65 : 결합공
70 : 결합치구 80 : 고정봉
90 : 유압실린더 91 : 실린더로드
93 : 고정핀

Claims (5)

  1. 굴착기의 버켓 링크 장착부위에 탈착 결합될 수 있는 집게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에 있어서,
    상기 굴착기에 연결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각각 두 개의 투스부가 한 쌍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구동되는 제 1 그래플 레그부:
    상기 제 1 그래플 레그부에 대응하여 상기 굴착기에 연결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며 각각 두 개의 투스부가 한 쌍으로 탈부착 가능한 고정핀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구동되는 제 2 그래플 레그부; 및
    상기 제 2 그래플 레그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투스부 중에서 하나의 투스부가 상기 고정핀의 탈부착에 따라 상기 제 2 그래플 레그부로부터 분기되거나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그래플 레그부와 제 2 그래플 레그부에 대하여 별개로 작동 가능한 것으로서, 그 일측으로 돌출되는 칼날부가 결합된 제 3 그래플 레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그래플 레그부, 제 2 그래플 레그부 또는 제 3 그래플 레그부의 투스부 각각의 내측면 위쪽에서 그 상부가 결합치구를 게재하여 결합 고정되고, 그 하부는 투스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서 탈부착이 가능한 판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그 탄성력을 작용시켜 투스부에 파지되는 작업물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에 부착되는 완충보호부재에는 철, 우레탄 고무, 알루미늄, 구리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4. 제 1 항에 있어서,
    칼날부가 결합된 제 3 그래플 레그부에는 칼날부를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그래플 레그부는 칼날부가 형성된 상태로 버켓 링크 장착부위로부터 결합되어 제 1 그래플 레그부 및 제 2 그래플 레그부에 대하여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KR1020180145734A 2018-11-22 2018-11-22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KR102145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734A KR102145621B1 (ko) 2018-11-22 2018-11-22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734A KR102145621B1 (ko) 2018-11-22 2018-11-22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134A KR20200060134A (ko) 2020-05-29
KR102145621B1 true KR102145621B1 (ko) 2020-08-18

Family

ID=7091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734A KR102145621B1 (ko) 2018-11-22 2018-11-22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612B1 (ko) * 2020-10-08 2022-05-18 지와이산업 주식회사 긁힘 방지 완충쿠션이 형성된 굴삭기 집게
KR102647711B1 (ko) * 2022-03-02 2024-03-14 정흠 주식회사 복합 기능을 가지는 건설기계용 어태치먼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723Y1 (ko) * 1999-08-30 2000-03-15 윤삼열 중량물 픽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093Y1 (ko) 2005-06-01 2005-08-30 최창덕 그래플 기능이 구비된 고철가위
KR20090027364A (ko) * 2007-09-12 2009-03-17 황규관 굴삭기용 반자동 회전식 집게장치
KR101068130B1 (ko) 2009-02-21 2011-09-27 박정득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JP5911250B2 (ja) * 2010-09-30 2016-04-27 松本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グラップルバケッ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723Y1 (ko) * 1999-08-30 2000-03-15 윤삼열 중량물 픽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134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1135B1 (en) Apparatus for excavating and crushing tree stumps
KR20110116866A (ko) 굴삭기의 집게장치
US59213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e stump clearing
KR102145621B1 (ko)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US8919017B2 (en) Grapple bucket apparatus
US4466494A (en) Implement with gripping arm assembly for a backhoe
US4804309A (en) Gripping device for boom-mounted work tool
US6126216A (en) Bucket attachment for log grapple
US2840932A (en) Earth and material handling implement
US5127567A (en) Rail processor
US4268217A (en) Load carrying apparatus
US6311417B1 (en) Excavator bucket assembly
US20150176241A1 (en) Combination excavating bucket having a retractable tooth arm
US3353285A (en) Backhoe attachment
KR101742006B1 (ko) 굴삭기용 복합형 어태치먼트
US20070020079A1 (en) Bucket for pin grabber coupler
KR101208774B1 (ko) 굴삭기의 집게장치
US8474159B2 (en) Land clearing device
KR102105204B1 (ko) 굴착기용 안전 집게 장치
JP4443948B2 (ja) 建設機械のグラップル装置
KR20110088291A (ko) 백호우의 작업기
KR200418704Y1 (ko) 커버장치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CN209798872U (zh) 一种岩石臂
US4131210A (en) Backhoe jaw attachment
KR101131524B1 (ko)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