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723Y1 - 중량물 픽업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723Y1
KR200171723Y1 KR2019990018155U KR19990018155U KR200171723Y1 KR 200171723 Y1 KR200171723 Y1 KR 200171723Y1 KR 2019990018155 U KR2019990018155 U KR 2019990018155U KR 19990018155 U KR19990018155 U KR 19990018155U KR 200171723 Y1 KR200171723 Y1 KR 200171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holder
coupled
support rod
t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철
Original Assignee
윤삼열
조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삼열, 조상철 filed Critical 윤삼열
Priority to KR2019990018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7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7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45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motor actuated
    • B66C1/447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motor actu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6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중량물 픽업(pick-up)장치에 관한 본 고안은 각종 중기의 붐(boom)에 설치되는 중량물 픽업장치에 있어서, 붐 단부에 결합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지지되며 축회전 가능한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하며 물건을 집는 집게수단과; 상기 집게수단에 양단이 결합되어 집게수단을 구동시키는 유압액츄에이터와; 상기 각 집게수단의 하단에 상호 대향하며 집게수단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중량물 픽업장치는, 어떠한 종류의 굴삭기나 크레인이라도 즉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운전장비가 필요없다. 또한 장치가 굴삭기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이 자유로우므로, 중량물을 집기 위해 또는 집은 중량물을 필요장소에 각도에 맞추어 내려놓기 위해 장치를 적절히 회전시키기 용이하여 작업이 매우 쉽다. 또한 중량물을 집는 홀더가 집게부재의 단부에서 상하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므로 불규칙한 외형을 갖는 중량물 이라 하더라도 접촉면적이 넓게되어 안정적으로 집어 올릴 수 있다. 또한 홀더의 형상이 내측으로 만곡된 홀더를 적용할 경우 상하수관이나 가스관 드럼통 등의 봉형태의 중량물을 집더라도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작업이 안전하고 신속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량물 픽업장치{Apparatus for picking up heavy weight}
본 고안은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나 크레인 등에 장착하여 특히 상하수관이나 철도용 침목 또는 채벌된 나무등과 같이 길쭉한 형태의 중량물을 필요장소에 옮길 수 있도록 구성된 중량물 픽업(pick up)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차도와 인도를 구획하는 도로경계석이나 철도의 침목등의 운반 및 설치는 여러사람이 팀을 이루어 순수한 인력만으로 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지중에 매설하는 상하수관등의 경우, 운반 및 설치를 위한 전용장치가 없어 밧줄을 상하수관에 감아 버켓이 달려있는 굴삭기로 들어 올리는 방법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와같이 인력으로 직접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비 전용장비로 작업을 수행함은 상기한 이유로 작업의 속도가 느리고 작업의 정밀성 및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력이 많이 필요하므로 비용이 그만큼 많이 발생하고 부주의로 인해 작업자가 산업재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임의의 굴삭기나 크레인에 설치할 수 있고 유압액츄에이터에 의해 동작하는 집게형상의 부재를 도로경계석이나 상하수관 또는 철도의 침목 등 무거운 중량물을 간단히 들어올려 운반하거나 적소에 내려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 중량물 픽업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절제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중량물 픽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예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브라켓 13:지지로드
15:유압모터 17,29:집게부재
19:유압액츄에이터 21,23:홀더
25,35,37,43,47:핀 27:만곡부
33:붐(boom) 39:링크부재
41:교차부 45:지지파이프
46:보스 49:지지볼
51:공간부 53:지지핀
55:힌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각종 중기의 붐(boom)단부에 설치되는 중량물 픽업장치에 있어서, 붐 단부에 결합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지지되며 축회전 가능한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에 결합하며 물건을 집는 집게수단과; 상기 집게수단에 양단이 결합되어 집게수단을 구동시키는 유압액츄에이터와; 상기 각 집게수단의 하단에 상호 대향하며 집게수단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며 지지로드를 축회전 시키는 유압모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집게수단은 상단부가 지지로드에 핀결합하며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만곡된 형태를 취하는 한 쌍의 집게부재이며, 유압액츄에이터의 양단부는 양집게 부재의 만곡부에 링크되어 유입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집게부재가 상기 핀을 중심으로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게수단은 상단부가 지지로드에 핀결합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각 링크부재의 하단에 핀결합하며 중앙부는 상호 교차하여 가위의 형태를 취하고 교차부는 핀결합되는 한 쌍의 집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유압액츄에이터의 양단부는 링크부재와 집게부재의 연결부위에 링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게수단은 상단부가 지지로드에 핀결합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각 링크부재의 하단에 핀결합하며 대략 중앙부위는 상호 교차하여 가위의 형태를 취하며 교차부는 핀결합되는 한 쌍의 집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유압액츄에이터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링크부재의 상단부와 집게부재의 연결부위에 링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는 평평한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거나,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만곡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내측 대향면에 완충패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중량물픽업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는 각종 크레인이나 굴삭기의 붐(boom, 33) 단부에 핀(43) 결합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이나 굴삭기를 운전함으로서 본 고안의 픽업장치의 운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붐(33)에 핀(43) 결합하는 브라켓(11)은 힌지로서 강성을 갖도록 철판으로 제작하며 하부에는 유압모터(15)가 구비된다. 상기 유압모터(15)는 후술할 지지로드(13)를 축회전시키는 모터로서, 굴삭기나 크레인(이하, 중장비)의 운전에 의해 구동한다.
상기 유압모터(15)의 하부에는 지지로드(13)가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로드(13)는 유압모터(15)와 연결되어 유압모터(15)의 회전력을 전달 받는다. 따라서 작업여건에 따라 픽업장치를 화살표 m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할 경우 유압모터(15)를 구동하여 픽업장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압모터(15)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지지로드(13)를 브라켓(11)에 직접연결하되, 지지로드(13)가 브라켓(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로드(13)의 상단부에 걸림턱(미도시)을 형성하고 브라켓(11)의 내부에 삽입하여 회동가능 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픽업장치는 상기 유압모터(15)를 대신하여 사람이 직접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로드(13)의 하단부는 지지파이프(45)가 수평으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파이프(45)는 속이 빈 중공파이프로서 내부에 핀(25)이 삽입되고, 핀(25)의 양단이 지지파이프(45)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집게부재(17)를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핀(25)에 의해 지지되는 집게부재(17)는 모두 네 개가 마련되며 각 집게부재의 중앙부는 만곡된 형태를 취한다. 상기 네 개의 집게부재(17)는 두 개씩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나의 쌍을 이루어 두 쌍으로 구성되며, 후술하는 유압액츄에이터(19)의 작동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각 집게부재(17)는 강성을 내재한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게부재(17)의 만곡부(27)에는 유압액츄에이터(19) 양단부의 보스(46)가 위치하고 상기 보스(46)는 핀(47)에 의해 집게부재(17)에 링크된다. 상기 보스(46)는 유압액츄에이터(19)의 가압력을 집게부재(17)에 전달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보스(46)와 핀(47)은 내부에서 서로 접하지 않아 유압액츄에이터(19)에 의해 보스(46)가 움직이더라도 핀(25)을 중심으로 하는 집개부재의 회동은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보스(46)는 유압액츄에이터(19)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부재로서, 유압액츄에이터(19)의 작동에 따라 집게부재(17)를 벌어지게 하거나 오므리게 한다. 상기 유압액츄에이터(19)를 구동하는 유압유는 중장비의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집게부재(17)의 하단부에는 홀더(21)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21)는 중량물과 직접 접하는 부재로서, 양측의 집게부재(17)의 하단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홀더(21)는 평평한 평판의 형태를 취하며 내측 대향면에는 완충패드(31)가 구비된다. 사실 홀더(21)는 딱딱한 금속 플레이트이므로, 콘트리트재질의 도로경계석이나 상하수관을 강한 힘으로 집었을 때, 크랙이나 상처가 나지 않도록 완충패드(31)가 마련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각 홀더(21)의 후면에는 지지볼(4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볼(49)은 집게부재(17)의 하단부 내향면에 형성한 구형의 공간부(51)내에 삽입되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양 홀더(21)는 집게부재(17)의 하단에 지지된 상태로 화살표 b 또는 c 방향을 따라 상하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홀더(21)가 상하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므로, 양 홀더(21)사이에 끼워져 들릴 중량물이 불규칙하게 위치하고 있더라도 집게부재(17)가 오므라지는 동안 홀더(21)가 중량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위치조정되어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상기한 도 1의 중량물 픽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유압액츄에이터(19)의 작동에 따라 양측의 집게부재(17)가 핀(2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측의 집게부재(17)의 하단에구비되어 있는 홀더(21)는 상호 대향한 상태로 진퇴운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픽업장치로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먼저 붐(33)의 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픽업장치를 이동할 물건이 대기하고 있는 해당위치로 이동한다. 이어서 픽업장치를 하강하면서 유압액츄에이터(19)를 동작하여 양측의 집게부재(17)를 필요한 만큼 벌려 홀더(21) 사이에 중량물을 위치시킨다.
홀더(21)가 하강하여 들어올리고자 하는 중량물 양측에 위치한 후 다시 유압액츄에이터(19)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면 홀더(21)가 중량물을 양측에서 잡고 이상태로 붐(33)을 상승시키면 중량물의 픽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중량물을 필요장소에 내려놓는 순서는 상기와 반대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집게부재(17)의 하단에 구비되는 홀더(23)의 형상이 상기한 도 2의 경우와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도 1의 홀더(21)가 평평한 플레이트의 형태임에 반해, 내측 대향면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홀더(23)의 내측면을 안쪽으로 만곡시킴으로서 원통의 형상을 갖는 상하수관이나 가로수 또는 드럼통등을 미끄러뜨리지 않고 안전하게 집어올릴 수 있다. 상기 홀더(23)의 대향면에는 완충패드(31)가 구비되어 중량물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는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달리 마치 가위와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장비의 붐(33)에는 브라켓(11)이 핀(43)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브라켓(11)의 하부에는 유압모터(15)와 지지로드(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압모터(15) 및 지지로드(13)의 기능 및 구조는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지지로드(13)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링크부재(39)가 핀(2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각 링크부재(39)는 도 1에서 집게부재(도 1의17)가 두 겹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두 겹의 철판으로 구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양 링크부재(39)의 하단부는 집게부재(29)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링크부재(39)와 집게부재(29)는 핀(37)에 의해 연결되며 유압액츄에이터(19)의 구동에 의해 연결부의 핀(37)은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집게부재(29)의 교차부(41)는 마치 가위와 같이 서로 교차되며 교차부(41)는 핀(35)에 의해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유압액츄에이터(19)에 의해 핀(37)이 서로 근접하면 집게부재(29)의 하단부의 홀더(21)는 서로 가까워지면, 핀(37)이 멀어지면 홀더(21)도 상호 멀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픽업장치는 브라켓(11)에 지지된 상태로 유압액츄에이터(19)의 구동에 따라 가위와 같은 운동을 하여 중량물을 집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집게부재(29)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홀더(21)의 구조 및 기능은 상기한 제 1실시예와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집게부재(29)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홀더(23)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봉형의 중량물을 용이하게 집어올릴 수 있어, 도로주변의 가로수 작업이나 상하수관 매설작업 또는 드럼통을 자주 취급하는 장소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23)의 내측 대향면에는 완충패드(31)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에서는 유압액츄에이터(19)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유압액츄에이터(19)의 양단은링크부재(39) 상단을 연결하는 핀(25)과 집게부재(29)의 교차부(41)를 연결하는 핀(35)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액츄에이터(19)의 작동에 따라 링크부재(39)와 집게부재(29)의 연결부위는 화살표 k방향으로 움직이며, 집게부재(29)의 하단에 설치된 홀더(21)의 진퇴운동이 이루어진다.
도 7은 상기 도 6과 같은 구조를 갖는 중량물 픽업장치로서 홀더(23)가 도 6의 홀더(21)의 형태와 달리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중량물픽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픽업장치에 구비되는 홀더(21)는 집게부재(17)의 하단부에 지지핀(53)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만 회동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21)의 배면에는 힌지(5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힌지(55)와 집게부재(17)의 하단부를 관통하는 지지핀(53)이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더(21)를 평판형의 홀더(21)를 적용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은 만곡된 형상의 홀더(23)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를 상하방향으로만 회동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한에 있어서 상기한 제 2실시예 또는 제 3실시예의 집게수단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중량물 픽업장치는, 어떠한 종류의 굴삭기나 크레인이라도 즉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운전장비가 필요없다. 또한 장치가 굴삭기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이 자유로우므로, 중량물을 집기 위해 또는 집은 중량물을 필요장소에 각도에 맞추어 내려놓기 위해 장치를 적절히 회전시키기 용이하여 작업이 매우 쉽다. 더욱이 이러한 회전을 유압모터를 통해 수행하므로 인력이 필요없어 위험하지 않고 산업재해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또한 중량물을 집는 홀더가 집게부재의 단부에서 상하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므로 불규칙한 외형을 갖는 중량물 이라 하더라도 접촉면적이 넓게되어 안정적으로 집어 올릴 수 있다. 또한 홀더의 형상이 내측으로 만곡된 홀더를 적용할 경우 상하수관이나 가스관 드럼통 등의 봉형태의 중량물을 집더라도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작업이 안전하고 신속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각종 중기의 붐(boom)단부에 설치되는 중량물 픽업장치에 있어서,
    붐의 단부에 결합하는 브라켓(11)과;
    상기 브라켓(11)의 하부에 지지되며 축회전 가능한 지지로드(13)와;
    상기 지지로드(13)에 결합하며 물건을 집는 집게수단과;
    상기 집게수단에 양단이 결합되어 집게수단을 구동시키는 유압액츄에이터(19)와;
    상기 각 집게수단의 하단에 상호 대향하며 집게수단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홀더(2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픽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1)에 고정 되며 지지로드(13)를 축회전 시키는 유압모터(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픽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수단은 상단부가 지지로드(13)에 핀결합하며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만곡된 형태를 취하는 한 쌍의 집게부재(17)이며, 유압액츄에이터(19)의 양단부는 양 집게부재(17)의 만곡부(27)에 링크되어 유입액츄에이터(19)의 작동에 의해 집게부재(17)가 상기 핀(25)을 중심으로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픽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수단은 상단부가 지지로드(13)에 핀(25) 결합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39)와; 상기 각 링크부재(39)의 하단에 핀결합하며 대략 중앙부위가 상호 교차하여 가위의 형태를 취하고 교차부(41)는 핀(35)결합되는 한 쌍의 집게부재(2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유압액츄에이터(19)의 양단부는 링크부재(39)와 집게부재(29)의 연결부위에 링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픽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수단은 상단부가 지지로드(13)에 핀결합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39)와; 상기 각 링크부재(39)의 하단에 핀결합하며 상호 교차하여 가위의 형태를 취하며 교차부(41)는 핀(35)결합되는 한 쌍의 집게부재(2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유압액츄에이터(19)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링크부재(39)의 상단부와 집게부재(29)의 연결부위에 링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픽업장치.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1)는 평평한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내측 대향면에 완충패드(3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픽업장치.
  7. 제 3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3)는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만곡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내측 대향면에 완충패드(3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픽업장치.
KR2019990018155U 1999-08-30 1999-08-30 중량물 픽업장치 KR200171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155U KR200171723Y1 (ko) 1999-08-30 1999-08-30 중량물 픽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155U KR200171723Y1 (ko) 1999-08-30 1999-08-30 중량물 픽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723Y1 true KR200171723Y1 (ko) 2000-03-15

Family

ID=1958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155U KR200171723Y1 (ko) 1999-08-30 1999-08-30 중량물 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72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984A (ko) * 2018-04-04 2019-10-14 에이엠티 주식회사 가스통의 가변형 히팅장치
KR20200029957A (ko) * 2018-09-11 2020-03-19 이창업 굴착기용 안전 집게 장치
KR20200060134A (ko) * 2018-11-22 2020-05-29 이창업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KR20220046825A (ko) * 2020-10-08 2022-04-15 지와이산업 주식회사 긁힘 방지 완충쿠션이 형성된 굴삭기 집게
KR102596545B1 (ko) * 2022-06-29 2023-11-01 유태은 파일 커팅기가 구비된 파일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984A (ko) * 2018-04-04 2019-10-14 에이엠티 주식회사 가스통의 가변형 히팅장치
KR102074243B1 (ko) 2018-04-04 2020-02-06 에이엠티 주식회사 가스통의 가변형 히팅장치
KR20200029957A (ko) * 2018-09-11 2020-03-19 이창업 굴착기용 안전 집게 장치
KR102105204B1 (ko) * 2018-09-11 2020-04-27 이창업 굴착기용 안전 집게 장치
KR20200060134A (ko) * 2018-11-22 2020-05-29 이창업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KR102145621B1 (ko) * 2018-11-22 2020-08-18 이창업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KR20220046825A (ko) * 2020-10-08 2022-04-15 지와이산업 주식회사 긁힘 방지 완충쿠션이 형성된 굴삭기 집게
KR102399612B1 (ko) 2020-10-08 2022-05-18 지와이산업 주식회사 긁힘 방지 완충쿠션이 형성된 굴삭기 집게
KR102596545B1 (ko) * 2022-06-29 2023-11-01 유태은 파일 커팅기가 구비된 파일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592B2 (en) Heavy equipment vehicle for laying pipe
US3458396A (en) Demolition machine
US7845503B2 (en) Pipe-laying machine
US20070241074A9 (en) Pipelayer crane excavator apparatus and methods
US7014412B2 (en) Fork and jaw grapple
KR200171723Y1 (ko) 중량물 픽업장치
EP2396473B1 (en) Lifting device for lifting a curb stone
AU2018348583B2 (en) Grapple
US20050016946A1 (en) Telehandler crane apparatus
US4218045A (en) Mobile heavy lift mechanism
KR100965938B1 (ko) 맨홀 리프터
WO2005123564A1 (en) An attachment for a mobile material handler
KR102030445B1 (ko)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
JPH03137392A (ja) ウエルポイント等の引抜装置
FI64213C (fi) Anordning vid skopaggregat
CN216005031U (zh) 顶管土方运输装置
CN115924768B (zh) 臂架装置及多功能吊管机
CN214247370U (zh) 一种臂架结构
CN214520242U (zh) 一种抓手装置
CN214245715U (zh) 一种桅杆前翻型打桩机
CN216005141U (zh) 一种用于沟盖板的手动式吊具
US20090104012A1 (en) Grapple attachment
JP2640772B2 (ja) 管体把持装置
JP3077904B1 (ja) 台車の昇降装置
JP3386950B2 (ja) 据付け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