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445B1 -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 - Google Patents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445B1
KR102030445B1 KR1020180118039A KR20180118039A KR102030445B1 KR 102030445 B1 KR102030445 B1 KR 102030445B1 KR 1020180118039 A KR1020180118039 A KR 1020180118039A KR 20180118039 A KR20180118039 A KR 20180118039A KR 102030445 B1 KR102030445 B1 KR 102030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variable
outrigger
hydraulic cylinder
eng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자
Original Assignee
이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자 filed Critical 이경자
Priority to KR1020180118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445B1/ko
Priority to PCT/KR2019/013022 priority patent/WO202007184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ith telescopic dipper-arm or bo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Ground-engaging fitting for supporting the machines while working, e.g. outriggers,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무한궤도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무한궤도의 상부에 턴테이블이 구비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운전석 및 엔진부가 구비되는 포크레인; 상기 엔진부의 전방으로 길이가 가변되게 설치되는 가변붐대; 상기 가변붐대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상기 가변붐대의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용 유압실린더; 상기 가변붐대의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중장착부; 상기 포크레인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포크레인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를 마련하여 유압으로 구동되는 포크레인의 엔진부 동력을 이용하여 10톤~50톤까지의 하물을 인양시킬 수 있고, 하중장착부의 메인후크 또는 보조후크에 의해 하물을 안정되게 인양시킬 수 있으며, 가변붐대에 의해 작업 반경을 조절하여 확장된 작업 반경을 확보할 수 있고, 가변붐대에 의한 작업 반경의 조절 및 가변붐대의 각도 조절과 함께 포크레인의 회전에 따라 작업 영역에 관계없이 작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Excavator with stretchable boom}
본 발명은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의 굴착 시 신축되는 붐대에 의해 굴착되는 깊이 또는 굴착 반경에 따라 작업 반경을 가변시켜 지반의 굴착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레인은 건축 및 토목공사 시 땅을 굴착하고 메우는 등의 작업과 토사를 덤프트럭에 적재하는 등의 작업을 주로 하고 있다.
포크레인은 상기 작업 외에도 돌을 파쇄하는 작업과 무거운 물체를 매달아 올리거나 집게를 이용하여 물체를 집어 올리는 등 여러가지 작업을 할 수 있어서 매우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크레인은 하물(荷物)을 들어올려서 상하 및 좌우, 전후로 운반할 때 주로 사용되는 기계장치로서, 중량물을 운반하거나 높은 장소로 하물을 운반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상기 크레인은 과거에는 주로 작업 장소에 고정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 경우 여러 가지 불편함이 따르고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작업 장소로 직접 이동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주행식 크레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주행식 크레인은 높은 곳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고 기동성이 있으므로 건물의 내외부 비계공사, 전기통신설비의 가설 및 유지보수공사, 교량의 점검 및 보수공사 등의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고소작업차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소작업차는 트럭 등 화물차량과 상기 화물차량의 섀시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크레인 본체와, 안정되게 바닥에 지지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앞뒤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크레인 본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지지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쪽 끝부분이 신축 가능하도록 다수의 강관을 안테나식으로 결합시킨 다단붐과, 상기 다단붐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탑승함으로 구성된다.
건축공사나 토목공사를 위한 기초공사의 초기단계로 지반 또는 지하에 매몰되어 있는 암반이나 암석을 제거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한 암반이나 암석의 제거 방법에는 포크레인에 장착된 유압식 진동 파쇄기로 암석을 부수어 낸 후 제거하는 방법, 폭약을 사용하여 암반이나 암석을 폭파시킨 후 제거하는 방법, 진동 파쇄기로 암석의 표면에 소형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 안으로는 유압식 쐐기의 전진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는 분리판을 사용하여 할암시킨 다음 제거하는 방법, 그리고 원통 커터 회전식 굴착기를 이용하여 암반이나 암석에 통상 150mm 이상 직경의 굴착 홈을 형성한 후 굴착 홈 안의 암석은 원통 커터를 상승시킬 때 같이 빼내고 이에 따라 암석의 구멍 안으로 유압식 대용량 할암기를 삽입시켜 할암시킨 다음 조각이 난 암석 덩어리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파쇄기와 폭파의 방법은 진동과 소음 그리고 분진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어 환경을 오염시킴과 아울러 인체에 해를 끼치며 동시에 작업장 주위의 건물들을 균열시키는 문제 등으로 민원이 제기됨에 따라 큰 문제를 안고 있어 선진국을 포함하여 국내에서도 점차 이용하기에 어려운 방법으로 전락하고 있다.
한편 포크레인은 바퀴 또는 무한궤도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오일펌프 등에 연결된 유압라인에 의해 동작하게 되므로 강력한 파워를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강력한 파워에 의해 중량물을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키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타워 크레인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비교적 가벼운 중량물을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데 사용되고 있으나, 동작 및 승강 속도가 느려 작업 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은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는 차량과, 상기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쪽 끝부분에는 탑승함이 연결되는 크레인 본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아웃트리거와, 상기 아웃트리거를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 양측 끝부분에서 한쪽 끝부분이 베이스프레임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연결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 끝부분에서 1쌍이 서로 교차하여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과 아웃트리거에 양쪽 끝부분이 1쌍의 힌지축을 이용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수평연결대의 다른 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제1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직회전대와, 상기 제1수직회전대의 다른 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제2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쪽 끝부분에는 받침판이 설치되는 제2수직회전대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연결대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축과 소정거리 떨어진 위쪽 지점에 한쪽 끝부분이 제3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쪽 끝부분이 상기 제1수직회전대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축과 소정 거리 떨어진 위쪽 지점에 제4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수직회전대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축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한쪽 끝부분이 제5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수직회전대에 있어서 상기 제3힌지축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한쪽 끝부분이 제6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포크레인 장착 굴착저면 중량물 적치 크레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포크레인 장착 굴착저면 중량물 적치 크레인 장치는 본체가 포크레인의 버켓 유압결합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가진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전면에 후측판이 용접 결합되고, 전방면으로는 개방된 사각박스, 상기 사각박스 내의 후측판에 전방측을 향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한 쌍의 수직판의 중심에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어가 감겨진 와이어 권취축, 상기 유압모터에서 인출된 유압라인호스를 포크레인 외부유압라인 결합부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한 유압호스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 권취축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재들, 상기 이격부재들의 끝단부에 용접 결합된 이격판, 상기 이격판의 전면에 반달형으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반달형 가이드부재, 서로 대향하는 상기 반달형 가이드부재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권취축의 와이어의 권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축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반달형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의 측면에 돌설된 돌기의 내측면에서 구름 접촉하는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축에 안내된 와이어의 끝단이 관통되어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디귿자형 가이드부재, 상기 디귿자형 가이드부재의 하단으로 관통되어 나온 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된 고리부재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90919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92917호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은 차량의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된 크레인본체의 연장붐에 의해 길이를 가변시켜 줌으로써 고소작업이나 하물의 운반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중량을 갖는 하물을 이동시키기에 다수의 연장붐의 강성을 유지할 수 없고, 연장붐의 길이가 길게 인출됨에 따라 10톤 이상의 하물을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포크레인 장착 굴착저면 중량물 적치 크레인 장치는 포크레인의 각단암 선단에 철근배근장치를 설치하여 와이어 로프의 꼬임 현상 없이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포크레인의 각단암의 길이를 기변시킬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포크레인의 작업 반경이 좁게 되어 지반의 굴착 등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크레인의 암 대신에 길이가 가변되는 붐대에 의해 10톤 이상의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는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 가능한 붐대를 포크레인의 엔진에 의해 구동시킴으로써 하중이 무거운 중량물을 상하로 승강시킴은 물론 붐대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은 이동 가능하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무한궤도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무한궤도의 상부에 턴테이블이 구비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운전석 및 엔진부가 구비되는 포크레인; 상기 엔진부의 전방으로 길이가 가변되게 설치되는 가변붐대; 상기 가변붐대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상기 가변붐대의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용 유압실린더; 상기 가변붐대의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중장착부; 상기 포크레인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포크레인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붐대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 붐대; 상기 제1 붐대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붐대; 상기 제1 붐대의 후면에 설치되는 로프드럼; 상기 로프드럼에서부터 상기 제2 붐대의 선단을 거쳐 상기 하중장착부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가변붐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유압실린더; 상기 가변붐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유압실린더; 상기 제1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2 유압실린더의 일단은 상기 엔진부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2 유압실린더의 타단은 상기 제1 붐대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붐대의 저면에 배치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장착부는 상기 가변붐대의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후크; 상기 가변붐대의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하장장착부에는 굴착된 지반의 흙을 소정의 용량만큼 담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후크 또는 보조후크에 설치되는 사각바가지; 상기 사각바가지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포크레인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아웃트리거; 상기 포크레인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아웃트리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는 상기 무한궤도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에 의하면, 유압으로 구동되는 포크레인의 엔진부 동력을 이용하여 10톤~50톤까지의 하물을 인양시킬 수 있고, 하중장착부의 메인후크 또는 보조후크에 의해 하물을 안정되게 인양시킬 수 있으며, 가변붐대에 의해 작업 반경을 조절하여 확장된 작업 반경을 확보할 수 있고, 가변붐대에 의한 작업 반경의 조절 및 가변붐대의 각도 조절과 함께 포크레인의 회전에 따라 작업 영역에 관계없이 작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에 의하면, 무한궤도를 관통하여 설치된 아웃트리거에 의해 포크레인을 보다 안정되게 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고, 무한궤도에 의해 폭이 좁아 도로를 주행하여 작업 현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가변붐대를 지지용 유압실린더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을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의 붐대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의 붐대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은 이동 가능하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무한궤도(1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무한궤도(11)의 상부에 턴테이블(12)이 구비되며, 상기 턴테이블(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운전석(13) 및 엔진부(14)가 구비되는 포크레인(10), 상기 엔진부(14)의 전방으로 길이가 가변되게 설치되는 가변붐대(20), 상기 가변붐대(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상기 가변붐대(20)의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용 유압실린더(30), 상기 가변붐대(20)의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중장착부(40), 상기 포크레인(10)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포크레인(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은 포크레인(1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아웃트리거(50)에 의해 포크레인(10)을 안정되게 지지함은 물론 가변붐대(20)의 길이를 가변시켜 줌으로써 포크레인(10)의 작업 반경에 구애받지 않고서 지반 굴착 등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가변붐대(20)의 선단에 설치된 하중장착부(40)에 의해 다량의 흙을 신속하게 인양시켜 기초지반 또는 지반굴착 등의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은 무한궤도(11)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포크레인(10), 상기 포크레인(10)의 엔진부(14) 전면에 길이 가변되게 설치되는 가변붐대(20), 상기 가변붐대(20)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응력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상기 가변붐대(20)의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용 유압실린더(30), 상기 가변붐대(20)의 선단에 이동시키고자 하는 하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중장착부(40) 및 상기 포크레인(10)의 작업 시 포크레인(10)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아웃트리거(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크레인(10)은 이동 가능하도록 무한궤도(11)가 설치되고, 상기 무한궤도(11) 외에도 이동 가능하도록 휠(Wheel)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포크레인(10)의 무한궤도(11) 사이에는 턴테이블(12)이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12)의 상부에는 포크레인(10)의 이동 및 작업에 따른 조작이 이루어지는 운전석(13)이 설치된다.
아울러 운전석(13)의 일측에는 구동력을 발생키는 엔진부(14)가 설치되며, 상기 하중장착부(40)에 걸리는 하중에 대응되는 하중을 갖도록 하여 포크레인(10)을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카운터웨이트(15)가 설치된다.
즉, 상기 카운터웨이트(15)는 하중장착부(4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포크레인(10)의 전도 등을 방지하도록 엔진부(14)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엔진부(14)의 전면에는 가변붐대(20)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붐대(20)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부(14)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 붐대(21), 상기 제1 붐대(2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붐대(22), 상기 제1 붐대(21)의 후면에 설치되는 로프드럼(23), 상기 로프드럼(23)에서부터 상기 제2 붐대(22)의 선단을 거쳐 상기 하중장착부(40)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되는 로프(24)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붐대(20)는 포크레인(10)의 작업 반경에 관계없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변붐대(20)는 엔진부(14)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 붐대(21)와 상기 제1 붐대(2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붐대(22), 상기 제1 붐대(21)와 제2 붐대(22)의 가변되는 길이에 따라 로프(24)가 감기는 로프드럼(23) 및 상기 로프드럼(23)에 감기는 로프(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붐대(21) 및 제2 붐대(22)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지는데, 제1 붐대(21)는 대략 10~15m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제2 붐대(22)의 길이는 대략 10~14m의 길이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붐대(21)의 길이는 13m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붐대(22)의 길이는 12m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붐대(21)와 제2 붐대(22)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 붐대(21)의 일단은 엔진부(14)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붐대(22)는 제1 붐대(2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붐대(21)의 일단에는 로프(24)가 감기는 로프드럼(23)이 설치되며, 상기 로프드럼(23)에는 로프(24)가 감기며, 상기 로프(24)는 로프드럼(23)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붐대(21)와 제2 붐대(22)의 선단에는 각각 스토퍼(25)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로프드럼(23)에 감긴 로프(24)는 하중장착부(4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로프드럼(23)에서부터 하중장착부(40)까지 연결 설치된다.
상기 가변붐대(20)의 저면에는 가변붐대(20)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지지용 유압실린더(3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용 유압실린더(30)는 상기 가변붐대(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유압실린더(31), 상기 가변붐대(2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유압실린더(32), 상기 제1 유압실린더(31) 및 상기 제2 유압실린더(32)의 일단은 상기 엔진부(14)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유압실린더(31) 및 상기 제2 유압실린더(32)의 타단은 상기 제1 붐대(21)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붐대(21)의 저면에 배치되는 고정브래킷(33)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용 유압실린더(30)는 제1 붐대(21)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1 붐대(21)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용 유압실린더(30)는 제1 붐대(21)의 일측에 제1 유압실린더(31)가 설치되고, 제1 붐대(21)의 타측에 제2 유압실린더(3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유압실린더(31)와 제2 유압실린더(32)는 가변붐대(20)와 함께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유압실린더(31)와 제2 유압실린더(32)의 선단에는 상기 제1 붐대(21)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고정브래킷(33)이 설치된다.
상기 가변붐대(20)의 선단에는 중량물을 인양시키는 하중장착부(40)가 설치된다.
상기 하중장착부(40)는 상기 가변붐대(20)의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후크(41), 상기 가변붐대(20)의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후크(42)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후크(41)는 지반의 굴착에 따른 흙 등의 하물을 인양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후크(42)는 메인후크(41)에 설치되는 버킷 또는 사각바가지 등을 보다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중장착부(40)에는 굴착된 지반의 흙을 소정의 용량만큼 담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후크(41) 또는 보조후크(42)에 설치되는 사각바가지(43), 상기 사각바가지(43)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44)을 포함한다.
상기 사각바가지(43)는 굴착된 흙 또는 하물을 담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사각바가지(43)는 굴착된 흙을 담을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바가지(43)의 저면에는 저면을 개폐시키는 개폐판(44)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판(44)은 사각바가지(43)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폐판(44)에는 개폐판(44)을 개폐시키는 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포크레인(10)에는 안정되게 위치되도록 아웃트리거(50)가 설치된다.
상기 아웃트리거(50)는 상기 포크레인(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아웃트리거(51), 상기 포크레인(1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아웃트리거(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51) 및 후방 아웃트리거(52)는 상기 무한궤도(1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프레임(53) 및 상기 프레임(53)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54)를 포함한다.
상기 포크레인(10)의 전방에는 포크레인(10)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도록 전방 아웃트리거(51)가 설치되고, 상기 포크레인(10)의 후방에는 포크레인(10)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후방 아웃트리거(52)가 설치된다.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51)와 후방 아웃트리거(52)는 양측 무한궤도(11)를 관통하는 프레임(53)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53)의 양단에는 각각 유압실린더(54)가 설치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의 붐대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의 붐대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은 작업자가 운전석(13)에 탑승하여 작업현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아웃트리거(50)의 유압실린더(54)는 상승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작업자는 작업 현장에 도달하며, 포크레인(10)에 설치된 아웃트리거(50)를 지면에 안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54)는 엔진부(14)에서 공급된 유압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유압실린더(54)는 전방 아웃트리거(51) 및 후방 아웃트리거(52)의 양측에서 각각 지면으로 하강되어 안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포크레인(1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들어올려지게 되며, 상기 포크레인(10)은 아웃트리거(50)에 의해 안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작업자는 작업 환경에 따라 가변붐대(20)의 길이를 가변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 붐대(21)는 대략 10~15m의 길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업 반경이 15m 이내인 경우 제2 붐대(22)를 접은 상태에서 하물의 인양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작업 반경이 14m를 초과하는 경우 제1 붐대(21)에 결합된 제2 붐대(22)를 신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변붐대(20)는 최대 25m의 길이로 신장되어 작업 반경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변붐대(20)의 길이가 신장되더라도 상기 제1 붐대(21)의 저면에는 지지용 유압실린더(31, 3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변붐해(20)에 가해지는 하중 및 응력에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변붐대(20)는 소정의 높이로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 지지용 유압실린더(30)도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되어 가변붐대(20)를 지지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가변붐대(20)의 제2 붐대(22)는 제1 붐대(21)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메인후크(41) 또는 보조후크(42)에 사각바가지(43)를 설치하여 굴착된 흙 또는 하물을 담게 된다.
상기 사각바가지(43)에 하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로프드럼(23)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가변붐대(20) 및 포크레인(10)은 턴테이블(1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작업자는 10톤 또는 20톤 이상의 하물을 인양시킬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 최대 50톤까지의 하물을 인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프크레인 11: 무한궤도
12: 턴테이블 13: 운전석
14: 엔진부 15: 카운터웨이트
20: 가변붐대 21: 제1 붐대
22: 제2 붐대 23: 로프드럼
24: 로프
30: 지지용 유압실린더 31: 제1 유압실린더
32: 제2 유압실린더 33: 고정브래킷
40: 하중장착부 41: 메인 후크
42: 보조 후크 43: 사각바가지
44: 개폐판
50: 아웃트리거 51: 전방 아웃트리거
52: 후방 아웃트리거 53: 프레임
54: 유압실린더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이동 가능하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무한궤도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무한궤도의 상부에 턴테이블이 구비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운전석 및 엔진부가 구비되는 포크레인;
    상기 엔진부의 전방으로 길이가 가변되게 설치되는 가변붐대;
    상기 가변붐대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상기 가변붐대의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용 유압실린더;
    상기 가변붐대의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중장착부; 및
    상기 포크레인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포크레인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석의 일측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중장착부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포크레인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엔진부의 후방에 카운터웨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가변붐대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엔진부의 전면에 설치되되, 10~15m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제1 붐대;
    상기 제1 붐대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10~14m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제2 붐대;
    상기 제1 붐대의 후면에 설치되되, 제1 붐대와 제2 붐대의 가변되는 길이에 따라 로프가 감기는 로프드럼; 및
    상기 로프드럼에서부터 상기 제2 붐대의 선단을 거쳐 상기 하중장착부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되되, 로프드럼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포크레인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아웃트리거; 및
    상기 포크레인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아웃트리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는,
    상기 무한궤도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일체로 연장형성되되, 그 양 단부가 무한궤도의 외측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작업현장으로 이동 시 상기 엔진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의 의한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전, 후방 아웃트리거가 지면에서 상승된 상태로 이동하고, 작업현장에 도착 시 상기 엔진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한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전, 후방 아웃트리거가 지면에 안착되고,
    상기 하중장착부는,
    상기 가변붐대의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후크; 및
    상기 가변붐대의 선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장착부에는 굴착된 지반의 흙을 소정의 용량만큼 담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후크 또는 보조후크에 설치되는 사각바가지; 및
    상기 사각바가지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각바가지의 저면을 개폐시키는 개폐판;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판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개폐판에 설치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
  5. 삭제
KR1020180118039A 2018-10-04 2018-10-04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 KR102030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39A KR102030445B1 (ko) 2018-10-04 2018-10-04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
PCT/KR2019/013022 WO2020071844A1 (ko) 2018-10-04 2019-10-04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39A KR102030445B1 (ko) 2018-10-04 2018-10-04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445B1 true KR102030445B1 (ko) 2019-10-10

Family

ID=6820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039A KR102030445B1 (ko) 2018-10-04 2018-10-04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0445B1 (ko)
WO (1) WO20200718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220A (ko) *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브랜드뉴 길이 조절구조의 붐대를 갖는 굴삭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947A (ja) * 2000-12-08 2002-06-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掘削機
KR100790919B1 (ko) 2006-06-29 2008-01-03 이재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KR20090069823A (ko) * 2007-12-26 2009-07-01 김종건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KR20130092917A (ko) 2012-02-13 2013-08-21 정재훈 포크레인 장착 굴착저면 중량물 적치 크레인 장치
JP2015074505A (ja) * 2013-10-04 2015-04-20 株式会社光秀 アウトリガー装備車両
KR20180029506A (ko) * 2016-09-12 2018-03-21 조대연 크레인 버켓 인양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1761B2 (ja) * 2012-03-16 2017-03-08 大成建設株式会社 掘削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947A (ja) * 2000-12-08 2002-06-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掘削機
KR100790919B1 (ko) 2006-06-29 2008-01-03 이재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KR20090069823A (ko) * 2007-12-26 2009-07-01 김종건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KR20130092917A (ko) 2012-02-13 2013-08-21 정재훈 포크레인 장착 굴착저면 중량물 적치 크레인 장치
JP2015074505A (ja) * 2013-10-04 2015-04-20 株式会社光秀 アウトリガー装備車両
KR20180029506A (ko) * 2016-09-12 2018-03-21 조대연 크레인 버켓 인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220A (ko) *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브랜드뉴 길이 조절구조의 붐대를 갖는 굴삭기
KR102299771B1 (ko) 2019-11-07 2021-09-09 주식회사 브랜드뉴 길이 조절구조의 붐대를 갖는 굴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1844A1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58396A (en) Demolition machine
KR100907727B1 (ko) 송전탑 설치용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WO2014205601A9 (zh) 旋挖斗钻机
KR102030445B1 (ko)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
KR20130069535A (ko) 차량탑재형 오거크레인의 다목적 접이식 장착대
US4799850A (en) Material handling vehicle for use in a mine
JP6829376B2 (ja) 建設機材の受け台
JP3615892B2 (ja) 掘削機の排土装置
JPH09268557A (ja) 杭打抜装置
JP2913630B2 (ja) 杭打機
JP6627905B2 (ja) 傾斜地削孔方法
JP7217477B1 (ja) 建設機械
JP2003056000A (ja) 高揚程揚重車両
EP4431439A1 (en) Pipe laying machine
CN111411627B (zh) 一种车载式打桩封堵装备
GB2524996A (en) Support assembly
KR20100099876A (ko) 다목적 중장비
KR101868547B1 (ko) 굴삭기 실린더의 작동로드 가이드 장치용 지지부재
RU212637U9 (ru) Сваебойный гусеничный копер
RU212637U1 (ru) Сваебойный гусеничный копер
JP3922636B2 (ja) 作業足場付きプロテクタ
Akhmedov Innovative assembly line for building and major repair of main pipeline
JP2016056552A (ja) 円形立坑掘削装置の下降方法および上昇方法
KR200248387Y1 (ko) 좁은 공간의 구조물 터파기용 토사 반출장치
JP2008095405A (ja) 掘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