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388A -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 - Google Patents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388A
KR20210022388A KR1020190101840A KR20190101840A KR20210022388A KR 20210022388 A KR20210022388 A KR 20210022388A KR 1020190101840 A KR1020190101840 A KR 1020190101840A KR 20190101840 A KR20190101840 A KR 20190101840A KR 20210022388 A KR20210022388 A KR 20210022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tongs
link
excavato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창
Original Assignee
강윤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창 filed Critical 강윤창
Priority to KR102019010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2388A/ko
Publication of KR20210022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단부에 제1 핀(20)이 관통되는 굴삭기의 아암(10); 상기 아암(10)의 상측 전면과 후면에 실린더의 끝 부분이 각각 축설된 제1,2 유압 실린더(80)(50); 상기 제1 유압 실린더(80)의 로드(81)와 링크 핀(82)에 의해 각각 축설되되 하나는 상기 아암(10)의 하단부 상측에 축설되는 고정 단인 제1 링크(73)와 다른 하나는 자유 단인 제2 링크(74)로 이루어진 관절 링크(70); 한쪽 끝 부분은 상기 제1 핀(20)에 축설되고 그 한쪽 끝 부분과 가까운 부분은 제2 핀(61)을 매개로 상기 제2 유압 실린더의 로드(51)와 축설되는 집게(60)를 포함하는 굴삭기의 집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핀(20)과 자유 단인 상기 제2 링크(74)의 하단부에 축설된 링크 연결핀(71)에는 하측에 버켓, 브레이커, 크라샤 등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퀵 커플러(30)의 상방 양측이 축설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게(60)는 그 일 측이 분기되며 상기 퀵 커플러(30)의 상방 일측의 양쪽으로 돌출된 상기 제1 핀(20)에 연결되는 연결부(62)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62)와 인접한 타 측은 상기 제2 유압 실린더(50)의 로드(51)와 상기 제2 핀(61)에 의해 축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Excavator tongs that can be combined with Krasha}
본 발명은 굴삭기의 집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아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집게의 구조를 개선하여 집게와 굴삭기의 버켓을 동시에 동작시키며 바위나 나무 등을 운반하거나 옮기는 집게 기능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집게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굴삭기의 아암에서 분리하지 않고 굴삭기의 아암에 밀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버켓을 이용하여 굴삭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는 주행체와 주행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및 작업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굴삭기는 토사와 암석의 상태, 작업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작업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일반 굴삭 및 토사 운반을 위한 버켓(Bucket), 단단한 지면, 암석 등의 파쇄를 위한 브레이커, 건물의 해체 및 파쇄에 사용하는 크라샤 등이 굴삭기에 주로 사용되는 작업 장치이다.
한편 최근에는 버켓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움직일 수 없는 커다란 바위나 나무 등을 집어서 운반하거나 움직일 수 있도록 굴삭기에 별도의 집게장치를 굴삭기의 아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집게 장치는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버켓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집게장치를 굴삭기의 아암에서 분리하지 않을 경우에는 노출된 집게장치에 의해 버켓을 이용한 굴삭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집게장치를 굴삭기의 아암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버켓에 의한 굴삭작업을 할 경우 집게 장치에 설치된 다수의 밀착판 등에 의해 오히려 아암에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어 결국 굴삭작업을 방해하는 구조물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집게를 사용하지 않을 때 아암으로부터 집게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을 경우 아암의 내측에 집게가 들뜬상태로 고정된 구조에 의해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장착한 집게장치가 오히려 굴삭기의 기본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도록 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굴삭기에 장착된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굴삭기의 아암에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에서 견고히 고정시킬 수 없었던 구조적인 문제점에 기인한다.
결국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굴삭 작업을 할 때에는 집게장치를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고 또 굴삭 작업을 하던 중 집게 장치의 사용이 필요할 경우 다시 집게장치를 결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작업의 번거로운 문제점과 그에 따라 작업시간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집게장치를 사용할 경우 집게장치의 끝 부분이 버켓의 포크와 서로 맞물려야 하는데 일정한 간격 이격된 구조에 의해 커다란 바위나 나무 등을 집어서 운반할 때 피 운반체가 버켓과 집게장치의 사이에서 유동이 발생하거나 미끄러져 떨어지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굴삭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집게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버켓만을 사용할 때 집게장치를 굴삭기의 아암에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버켓을 이용하여 굴삭작업을 할 때 버켓의 작업을 집게장치가 방해하지 않도록한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삭기에 장착된 집게장치를 사용할 경우 집게장치의 끝 부분이 버켓의 포크와 서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커다란 바위나 나무 등을 집어서 운반할 때 피 운반체가 버켓과 집게장치의 사이에서 유동이 발생하거나 미끄러져 떨어지게 됨을 방지하는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부에 제1 핀이 관통되는 굴삭기의 아암; 상기 아암의 상측 전면과 후면에 실린더의 끝 부분이 각각 축설된 제1,2 유압 실린더; 상기 제1 유압 실린더의 로드와 링크 핀에 의해 각각 축설되되 하나는 상기 아암의 하단부 상측에 축설되는 고정 단인 제1 링크와 다른 하나는 자유 단인 제2링크로 이루어진 관절 링크; 한쪽 끝 부분은 상기 제1 핀에 축설되고 그 한쪽 끝 부분과 가까운 부분은 제2 핀을 매개로 상기 제2 유압 실린더의 로드와 축설되는 집게를 포함하는 굴삭기의 집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핀과 자유 단인 상기 제2 링크의 하단부에 축설된 링크 연결핀에는 하측에 버켓, 브레이커, 크라샤 등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퀵 커플러의 상방 양측이 축설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게는 그 일 측이 분기되며 상기 퀵커플러의 상방 일측의 양쪽으로 돌출된 상기 제1 핀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와 인접한 타 측은 상기 제2 유압 실린더의 로드와 상기 제2 핀에 의해 축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굴삭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집게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버켓만을 사용할 때 집게장치를 굴삭기의 아암에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버켓을 이용하여 굴삭작업을 할 때 버켓의 작업을 집게장치가 방해하지 않도록 한 효과가 있다.
둘째, 굴삭기에 장착된 집게장치를 사용할 경우 집게장치의 끝 부분이 버켓의 포크와 서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커다란 바위나 나무 등을 집어서 운반할 때 피 운반체가 버켓과 집게장치의 사이에서 유동이 발생하거나 미끄러져 떨어지게 됨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셋째, 집게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굴삭기에 결합하고,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굴삭기로부터 분리 보관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작업시간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의 미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집게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가 굴삭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미사용에 따른 접혀진 상태와 사용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아암(10) 하측에는 제1 핀(20)이 관통하며 축설되고 상기 제1핀(20)에는 퀵 커플러(30)의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다.
물론 상기 퀵 커플러(30)의 타측은 제1,2 링크(73)(74)로 이루어진 관절 링크(70)에 현가된 상태로 링크 연결핀(71)에 의해 축설되며 상기 관절 링크(70)는 굴삭 기능을 위한 제1 유압 실린더(80)의 로드(81)와 연결된다.
상기 퀵 커플러(30)의 하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포크(41)가 형성된 버켓(40)과 도면 표현을 생략한 브레이커, 크라샤 등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아암(10)의 전, 후면 중 선택된 어느 한 면, 즉 상기 제1 유압 실린더(80)가 설치된 면의 반대 면 상측에는 제2 유압 실린더(또는 집게용 유압 실린더)(50)의 끝 부분이 축설되며 그 로드(51)는 집게(60)에 축설된 제2 핀(61)에 연결된다.
즉, 상기 집게(60)는 한쪽 끝 부분이 두 갈래로 분기되어 그 분기된 내측면은 상기 퀵 커플러(30)의 상방 일 측의 양쪽으로 돌출된 상기 제1 핀(20)에 결합되어 상기 퀵 커플러(30)와 면 접촉되며 결합되고 상기 제1 핀(20)과 가까운 거리에 축설된 상기 제2 핀(61)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50)의 로드(51)가 축설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지배적인 특징부인 상기 집게(60)는 상기 퀵 커플러(30)의 외측 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1 핀(20)에 축설되는 연결부(62)가 구비된다는 점과, 상기 연결부(62)의 폭은 상기 아암(20)의 하측 폭 보다 조금 큰 폭을 갖고 분기되고 그 양측은 내측으로 절곡되며 점차 폭이 좁아지며 일체로 되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63)가 형성된다.
또 상기 경사부(63)는 설정된 길이만큼 직선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되며 한 쪽 방향을 향해 곡률을 갖고 만곡 형성되되 양쪽 끝단 부는 상기 버켓(40)에 형성된 포크(41)와 포크(4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지며 맞물리는 제2 포크(64)가 돌출 구비된 작업부(65)로 구분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변형 예는, 상기 작업부(65)의 한쪽 면에는 상기 집게(60)를 접었을 때 상기 유압 실린더(50)를 길이 방향으로 일부 수용하여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장홈(66)이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또 다른 바람직한 변형 예는, 상기 작업부의 다른 쪽 면의 양측에는 피 파지물을 협지하였을 때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다수의 홈 또는 돌기(67)가 배열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집게(60)를 미사용시에는 도면 표현을 생략한 유압 제어부를 동작시켜 도 2와 같이 유압실린더(50)의 로드(51)를 잡아당겨 집게(60)를 아암(10)의 상측 면과 맞닿게 밀착시킨다.
즉, 이 상태에서는 집게(60)의 설치 유무와 관계없이 상기 버켓(40)을 이용하여 굴삭기의 기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때 상기 유압 실린더(50)의 몸체는 상기 집게(60)에 형성된 상기 장홈(66)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집게(60)의 한쪽 면이 아암(10)의 한쪽 면과 면 접촉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결국 상기 집게(60)는 미사용시에도 아암(10)의 내측 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버켓(20)의 동작에 방해 요인이 되지 않고 그에 따라 집게(60)를 굳이 아암(10)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의 상태에서 커다란 바위나 나무 등을 옮길 때에는 도면 표현을 생략한 유압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유압 실린더(50)의 로드(51)를 인출하여 집게 기능으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집게(60)의 양단부 전방에 구비된 상기 제2 포크(64)는 상기 버켓(40)의 중앙부에 구비된 포크(41)의 양측 공간에 끼워져 맞물리면서 바위나 나무 등을 견고하게 협지하고 또 집게(60)에 배열된 돌기(67)는 피 협지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집게(6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버켓(40)을 분리하고 또 다른 제품인 크라샤나 브레이커를 장착할 때에는 퀵 커플러(30)의 하측에 설치된 상기 버켓(40)을 분리한 후 버켓(40)이 지지되었던 핀에 크라샤나 브레이커를 결합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집게(6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버켓이나 크라샤 또는 브레이커를 퀵 커플러(30)에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하며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기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벗어날 수 없음이 명백하다.
10 : 아암 20 : 제1 핀
30 : 퀵 커플러 40 : 버켓
41 : 포크 50 : 제2 유압 실린더
51 : 제2 유압 실린더 로드 60 : 집게
61 : 제2 핀 62 : 연결부
63 : 경사부 64 : 제2 포크
65 : 작업부 66 : 장홈
67 : 돌기 70 : 관절 링크
71 : 링크 연결 핀 73 : 제1 링크
74 : 제2 링크 80 : 제1 유압 실린더
81 : 제1 유압 실린더 로드 82 : 링크 핀

Claims (1)

  1. 하단부에 제1 핀(20)이 관통되는 굴삭기의 아암(10);
    상기 아암(10)의 상측 전면과 후면에 실린더의 끝 부분이 각각 축설된 제1,2 유압 실린더(80)(50);
    상기 제1 유압 실린더(80)의 로드(81)와 링크 핀(82)에 의해 각각 축설되되 하나는 상기 아암(10)의 하단부 상측에 축설되는 고정 단인 제1 링크(73)와 다른 하나는 자유 단인 제2 링크(74)로 이루어진 관절 링크(70);
    한쪽 끝 부분은 상기 제1 핀(20)에 축설되고 그 한쪽 끝 부분과 가까운 부분은 제2 핀(61)을 매개로 상기 제2유압 실린더의 로드(51)와 축설되는 집게(60)를 포함하는 굴삭기의 집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핀(20)과 자유 단인 상기 제2 링크(74)의 하단부에 축설된 링크 연결핀(71)에는 하측에 버켓, 브레이커, 크라샤 등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퀵 커플러(30)의 상방 양측이 축설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게(60)는 그 일 측이 분기되며 상기 퀵 커플러(30)의 상방 일측의 양쪽으로 돌출된 상기 제1 핀(20)에 연결되는 연결부(62)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62)와 인접한 타 측은 상기 제2 유압 실린더(50)의 로드(51)와 상기 제2 핀(61)에 의해 축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
KR1020190101840A 2019-08-20 2019-08-20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 KR20210022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840A KR20210022388A (ko) 2019-08-20 2019-08-20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840A KR20210022388A (ko) 2019-08-20 2019-08-20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388A true KR20210022388A (ko) 2021-03-03

Family

ID=7515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840A KR20210022388A (ko) 2019-08-20 2019-08-20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23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591B2 (en) Multi-purpose bucket arrangement
CA2649371C (en) Quick coupler
US3344540A (en) Universal load handling apparatus
KR20110116866A (ko) 굴삭기의 집게장치
US8833480B2 (en) Coupler with visibility window
KR101208774B1 (ko) 굴삭기의 집게장치
JP2001288770A (ja) 作業機械のクイックカプラ装置
KR20210022388A (ko)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
US6671984B2 (en) Ripper attachment for an excavation device
US10029896B2 (en) Tool coupler having compact locking configuration
KR100945083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20110021425A (ko) 스톤그랩
KR20130062862A (ko) 굴삭기 집게의 연결구조
KR100528564B1 (ko) 굴삭기용 작업집게
KR20170056972A (ko) 포크레인용 버킷
JP4443948B2 (ja) 建設機械のグラップル装置
KR101566493B1 (ko) 굴착기용 집게장치
KR20130058127A (ko) 굴삭기 집게장치의 보조 작업구
KR100990884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20220157052A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AU685692B2 (en) Excavator bucket
KR20120136598A (ko) 굴삭기용 스톤 그립
US20180251950A1 (en) Wedge coupler lug brackets for coupling implements to excavation machines
KR200337294Y1 (ko) 굴삭기용 버킷
KR101945030B1 (ko) 분리식 굴삭기용 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