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052A - 굴삭기용 집게 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집게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7052A KR20220157052A KR1020210064603A KR20210064603A KR20220157052A KR 20220157052 A KR20220157052 A KR 20220157052A KR 1020210064603 A KR1020210064603 A KR 1020210064603A KR 20210064603 A KR20210064603 A KR 20210064603A KR 20220157052 A KR20220157052 A KR 202201570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cavator
- tongs
- arm
- work
- wor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의 아암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전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집게 아암을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로서, 집게 아암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작업부와, 작업부의 후단부에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후단부에서 작업부와 나란히 연장 형성되어 굴삭기 아암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와, 작업부의 선단부에 굴곡지게 형성된 포크부를 포함하고, 경사부는 작업부와 150도 이상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에 구비되어 사용되는 집게 장치를 보강하면서도 슬림하게 구성한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 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 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 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 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는 본체와, 본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및 작업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굴삭기는 토사와 암석의 상태, 작업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작업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 굴삭 및 토사 운반을 위한 버켓(Bucket), 단단한 지면, 암석 등의 파쇄를 위한 브레이커, 건물의 해체 및 파쇄에 사용하는 크라샤 등이 퀵 커플러를 매개로 장착되어 사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버켓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또는 이송할 수 없는 바위나 나무 등을 집어서 운반하거나 이송할 수 있도록 굴삭기에 별도의 집게 장치를 굴삭기의 아암 측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2862호에서 제안된 바 있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굴삭기 아암(10)의 선단부에는 제1 핀(20)이 관통 결합되고 제1 핀(20)에는 퀵 커플러(30)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퀵 커플러(30)의 타측은 관절 링크에 현가된 상태로 설치되며, 관절 링크는 굴삭 기능을 위한 굴삭용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연결된다.
퀵 커플러(30)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포크(41)가 형성된 버켓(40)과,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은 브레이커, 크라샤 등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굴삭기 아암(10)의 전,후면 중 선택된 어느 한 면, 즉 굴삭용 유압실린더가 설치된 면의 반대면 후측에는 유압실린더(또는 집게용 유압실린더)(50)의 후단부가 결합되고, 그 선단부의 로드(51)는 집게(60)에 축설되는 제2 핀(61)에 연결된다.
즉, 집게(60)는 도 2에서와 같이, 그 후단부가 두 갈래로 분기되어 그 분기된 내측면은 퀵 커플러(30)의 양 외측면과 면접촉되면서 제1 핀(20)에 결합되고, 제1 핀(20)과 근접한 거리에 결합된 제2 핀(61)에는 유압실린더(50)의 로드(51)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50)에 로드(51)가 인입되면 집게(60)는 제1 핀(20)을 축으로 굴삭기 아암(10) 측으로 회전되면서 굴삭기 아암(10)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보관되고, 유압실린더(50)에서 로드(51)가 인출되면 집게(60)는 제1 핀(20)을 축으로 버켓(40) 측으로 회전되면서 버켓(40)과의 사이에서 바위나 나무 등을 집어 운반 및 이송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집게(60)는 버켓(40)과의 사이에서 바위나 나무 등을 집을 때, 바위나 나무 등이 빠져 쏟아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주로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집게(60)의 중간부 즉 제2 핀(61)과 포크(41) 사이의 작업부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돼 있고, 이런 라운드부에 의해 집게(60)의 중간부가 버켓(40)과 벌어져 버켓(40)과의 사이에서 불필요한 공간을 제공하게 되므로 이 공간보다 작은 직경의 바위나 나무 등은 쉽게 빠져 이탈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집게(60)는 작업부에서 연장되어 관절 링크에 제1 핀(20)으로 결합되는 연결부의 폭이 너무 넓어서 집게의 작동시 주변의 유압 라인과 간섭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의 집게(60)는 집게 아암 자체가 높을 뿐 아니라 집게 아암의 라운드부에 의해 집게(60)의 전체적인 상하 높이가 높게 형성되므로 집게(60)의 비사용시에도 집게(60)가 굴삭기 아암(10)으로부터 상당한 높이로 돌출되므로 굴삭기의 작동시 주변의 유압 라인과 간섭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굴삭기에 구비되어 사용되는 집게 장치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집게 장치를 슬림하게 구성하여 유압 라인의 간섭을 방지한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장치는, 굴삭기의 아암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전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집게 아암을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로서, 집게 아암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작업부와, 작업부의 후단부에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후단부에서 작업부와 나란히 연장 형성되어 굴삭기 아암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와, 작업부의 선단부에 굴곡지게 형성된 포크부를 포함하고, 경사부는 작업부와 150도 이상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작업부와 연결부를 연결하는 경사부에는 보강판이 구비되고, 보강판은 경사부를 비롯하여 작업부와 연결부까지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따르면, 집게 장치에 구성되는 집게 아암의 연결부와 작업부 사이의 경사부를 보강하면서 집게 아암의 높이와 폭을 슬림하게 형성함으로써 집게 장치 또는 굴삭기의 작동시 집게 장치와 굴삭기에 구성되는 유압 라인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집게 장치가 장착된 굴삭기의 아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 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 장치의 미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집게 장치가 장착된 굴삭기의 아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 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 장치의 미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 아암(200)에 장착되어 구비된다.
굴삭기 아암(200)은 굴삭기 본체에서 제자리에서 선회될 뿐 아니라 각 관절 부위마다 회전에 의해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굴삭기 아암(200)의 선단부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211)이 관통 결합되어 구비되고, 굴삭기 아암(200)의 상면에는 굴삭용 유압실린더(2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굴삭기 아암(200)의 하면에는 집게용 유압실린더(2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굴삭기 아암(200)의 제1 핀(211)에는 후술될 집게 장치(100)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비되고, 제1 핀(211)과 굴삭용 유압실린더(210)의 로드에는 관절 링크(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또한, 제1 핀(211)에는 퀵 커플러(230)의 하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퀵 커플러(230)의 상측은 관절 링크(220)에 현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퀵 커플러(230)의 선단부에는 일정한 간격의 돌출 형성된 포크부(241)를 갖는 버켓(240)이 구비되고, 버켓(240) 이외에도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브레이커, 크라샤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 장치가 장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굴삭기 아암(200)의 구비된 집게용 유압실린더(250)는 그 선단부의 로드가 후술될 집게 장치(100)의 제2 핀(2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집게 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 아암(200)에 힌지 결합되어 집게용 유압실린더(250)에 의해 회전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집게 아암(1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집게 아암(110)은 작업부(113)와, 포크부(114), 연결부(111)와, 경사부(112)로 구성된다.
먼저, 집게 아암(110)의 작업부(113)는 양 집게 아암(110)의 중간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면과 하면이 평행한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포크부(114)는 작업부(113)의 선단부에서 일방향 즉 상방 또는 하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이 포크부(114)는 버켓(240)의 포크부(241)와 서로 엇갈려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이때, 포크부(114)는 작업부(113)가 직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부(113)에서 포크부(114)까지의 거리 즉 높이(H)가 종래에 라운드진 작업부를 갖는 집게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굴삭기에 구비되는 각종 유압 라인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부(112)는 작업부(113)의 후단부에서 외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작업부(113)와 연결부(111)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연결부(111)는 경사부(112)의 후단부에서 작업부(113)와 나란히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굴삭기 아암(200)에 힌지 결합된다.
이때, 경사부(112)는 작업부(113)와 150도 이상 즉 150∼170도 이내의 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연결부(111)의 폭(D)을 최대한 좁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부(113)의 폭도 최대한 좁게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집게 장치(100)의 전체 폭을 연결부(111)에 대응되게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집게 장치(100)의 폭(D)이 최대한 슬림하게 형성됨으로써 집게 장치(100)의 작동시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집게 아암(110)의 작업부(113)와 연결부(111)를 연결하는 경사부(112)의 외측면에는 보강판(120)이 고정되어 구비되되, 이 보강판(120)은 경사부(112)를 비롯하여 작업부(113)의 후단부와 연결부(111)의 선단부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연장되게 구비된다.
이로써, 집게 아암(110)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경사부(112)를 보강하게 됨으로써 집게 장치(100)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양 집게 아암(110) 사이에는 집게 아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공(115)이 형성되는 바, 이 절개공(115)은 도 6과 같이 집게 장치(100)의 미사용시 집게 아암(110)을 굴삭기 아암(200)에 접하여 구비할 때 집게용 유압실린더(250)가 절개공(115)으로 삽입되어 구비됨으로써 집게 장치(100)와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크바(114)가 굴곡된 측의 집게 아암(110) 일면에는 버켓(240)과 집게 아암(110) 사이에서 파지물을 파지했을 때 파지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압돌기(116)가 형성되되, 이 가압돌기(116)는 집게 아암(110)에서 연장되는 부위가 라운드진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한편 파지물과 맞닿는 돌출 부분은 일정 길이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파지효율을 증대시키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집게 장치(100)가 굴삭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보관될 시는 양 집게 아암(110)의 작업부(113) 전체가 굴삭기 아암(200)에 밀착되어 면접촉된 상태로 고정되고, 양 집게 아암(110)의 폭(D)이 슬림하게 형성됨으로써 굴삭기 아암(200)에서 돌출되는 집게 아암(110)의 돌출 높이(H)가 최소화되므로 굴삭기 및 버켓(240)의 작동시 주변 부품 즉 각종 유압 라인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집게 장치(100)의 사용시는 양 집게 아암(110)의 작업부(113)가 직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버켓(240)과의 사이에서 불필요한 공간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버켓(240)과 집게 아암(110) 사이에서 파지된 파지물의 미끄러짐 및 이탈을 최대한 방지하여 견고한 파지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집게 장치
110 : 집게 아암
111 : 연결부 112 : 경사부
113 : 작업부 114 : 포크부
115 : 절개공 116 : 가압돌기
120 : 보강판 200 : 굴삭기 아암
210 : 굴삭용 유압실린더 211 : 제1 핀
220 : 관절 링크 230 : 퀵 커플러
240 : 버켓 241 : 포크부
250 : 집게용 유압실린더 251 : 제2 핀
111 : 연결부 112 : 경사부
113 : 작업부 114 : 포크부
115 : 절개공 116 : 가압돌기
120 : 보강판 200 : 굴삭기 아암
210 : 굴삭용 유압실린더 211 : 제1 핀
220 : 관절 링크 230 : 퀵 커플러
240 : 버켓 241 : 포크부
250 : 집게용 유압실린더 251 : 제2 핀
Claims (2)
- 굴삭기의 아암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전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집게 아암을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로서,
집게 아암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작업부와, 작업부의 후단부에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후단부에서 작업부와 나란히 연장 형성되어 굴삭기 아암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와, 작업부의 선단부에 굴곡지게 형성된 포크부를 포함하고,
경사부는 작업부와 150도 이상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작업부와 연결부를 연결하는 경사부에는 보강판이 구비되고, 보강판은 경사부를 비롯하여 작업부와 연결부까지 연장되게 구비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4603A KR20220157052A (ko) | 2021-05-20 | 2021-05-20 | 굴삭기용 집게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4603A KR20220157052A (ko) | 2021-05-20 | 2021-05-20 | 굴삭기용 집게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7052A true KR20220157052A (ko) | 2022-11-29 |
Family
ID=8423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4603A KR20220157052A (ko) | 2021-05-20 | 2021-05-20 | 굴삭기용 집게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57052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62862A (ko) | 2011-12-05 | 2013-06-13 | 정경래 | 굴삭기 집게의 연결구조 |
-
2021
- 2021-05-20 KR KR1020210064603A patent/KR2022015705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62862A (ko) | 2011-12-05 | 2013-06-13 | 정경래 | 굴삭기 집게의 연결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45867A (en) | Triple-purpose attachment | |
US8069591B2 (en) | Multi-purpose bucket arrangement | |
CN106988362A (zh) | 带有弯曲悬臂的绳索挖掘机 | |
CA2683749C (en) | Ripper excavation tool | |
US20150204047A1 (en) | Thumb for an Excavator Machine with Structure Support | |
US6126216A (en) | Bucket attachment for log grapple | |
RU2388871C1 (ru) | Ковш канатно-скребкового экскаватора | |
KR20110116866A (ko) | 굴삭기의 집게장치 | |
KR200469569Y1 (ko) | 굴삭기용 집게 장치 | |
KR20220157052A (ko) | 굴삭기용 집게 장치 | |
JP5890041B2 (ja) | 建設重機用パラレルリンケージタイプの作業装置 | |
KR101208774B1 (ko) | 굴삭기의 집게장치 | |
US6671984B2 (en) | Ripper attachment for an excavation device | |
KR102145621B1 (ko) |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 |
KR102513000B1 (ko) | 미니 포크레인의 기계식 집게 구조 | |
KR101566493B1 (ko) | 굴착기용 집게장치 | |
US20120299321A1 (en) | Orange peel grapple | |
CN207512805U (zh) | 一种煤矿用挖掘式装载机 | |
KR101442165B1 (ko) | 클램프장착형 굴삭기용 집게장치 | |
KR20130062862A (ko) | 굴삭기 집게의 연결구조 | |
KR20130058127A (ko) | 굴삭기 집게장치의 보조 작업구 | |
KR20120136598A (ko) | 굴삭기용 스톤 그립 | |
KR20210022388A (ko) |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 | |
KR100990884B1 (ko) | 굴삭기용 집게장치 | |
JP2961066B2 (ja) | 石つかみ機および石積み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