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254A - 발광 안전모 - Google Patents

발광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254A
KR20180095254A KR1020170021503A KR20170021503A KR20180095254A KR 20180095254 A KR20180095254 A KR 20180095254A KR 1020170021503 A KR1020170021503 A KR 1020170021503A KR 20170021503 A KR20170021503 A KR 20170021503A KR 20180095254 A KR20180095254 A KR 20180095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main body
illuminan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760B1 (ko
Inventor
이경선
박수용
이상혁
박원재
배석현
강동훈
서형철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Priority to KR1020170021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7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42B3/0446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intended to light the way ahead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50Energy storage in industry with an added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반구 형태로 하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본체와,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와,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된 태양전지셀에 의해 충전된 전력을 발광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에 장착된 충전부와,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센서와, 발광부의 작동에 대해 자동모드와 오프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모드 선택스위치와, 자동모드로 선택되면 조도센서에서 검출된 조도가 설정된 제1기준조도 미만이면 발광부가 발광되게 충전부로부터 발광부로의 전력이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발광 안전모에 의하면, 외부조도에 따라 발광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 안전모{light emitting safety helmet}
본 발명은 발광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 조도를 감지하여 발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발광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안전모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할 때, 낙하물, 충돌 그리고 작업자가 추락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장구이다.
안전모의 구조는 통상 강화 프라스틱 등과 같은 단단한 소재를 이용하여 반구 형상으로 성형한 헬멧의 내부에 머리와 헬멧 내부와 간격을 두기 위한 밴드를 엮거나 또는 스치로폼 등으로 성형한 충격 완충용 내피를 설치하여 외피인 헬멧을 통해 전달되는 강한 외부 충격력을 감쇄시켜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고, 또한 헬멧의 저부에는 안전모 자체가 머리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턱끈이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안전모는 국내 등록특허 제10-0998030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38032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한편, 조명시설이 되지 않은 환경에서 안전모를 착용하고 야간 작업을 할 경우 별도의 랜턴을 안전모에 착용하여야 하며 이 경우 랜턴 착용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태양광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고, 외부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발광제어가 가능한 발광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안전모는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반구 형태로 하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된 태양전지셀에 의해 충전된 전력을 상기 발광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된 충전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발광부의 작동에 대해 자동모드와 오프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모드 선택스위치와; 상기 자동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조도센서에서 검출된 조도가 설정된 제1기준조도 미만이면 상기 발광부가 발광되게 상기 충전부로부터 상기 발광부로의 전력이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에는 맥박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생체신호 검출센서와;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며 송신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처리하고,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와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검출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와; 상기 본체에 대한 장애물의 접근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안내 이격거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로부터 검출된 장애물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설정된 안내 이격거리 이내이면 설정된 경보음을 상기 스피터를 통해 출력되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안전모에 의하면, 외부조도에 따라 발광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안전모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광 안전모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안전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안전모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광 안전모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안전모(100)는 본체(110), 태양전지셀(130), 충전부(140), 조도센서(150), 생체신호검출센서(152), 스피커(154), 마이크로폰(156), 초음파 센서(158), 발광부(160), 모드 선택스위치(171), 제어부(175), 통신부(177), 조작부(178)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인체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반구 형태로 하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태양전지셀(130)은 본체(11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입사된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생성하여 충전부(140)에 공급한다.
충전부(140)는 태양전지셀(13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력을 발광부의 광원(161)으로 구동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다.
조도센서(150)는 본체(1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조도를 제어부(175)에 출력한다.
생체신호검출센서(152)는 본체(110)의 내측면의 착용자와 밀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75)에 제공한다.
생체신호 검출센서(152)는 착용자의 신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또는 착용자의 심박수 즉, 맥박수를 검출하는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스피커(154)는 본체(110)의 내측의 착용자의 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며, 제어부(175)에 제어되어 음향을 출력한다.
마이크로폰(156)은 본체(110)의 채양이 있는 선단 내측에 설치되어 착용자로부터 발성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5)에 출력한다.
초음파 센서(158)는 본체(110)의 외측면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어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검출하여 제어부(175)에 출력한다.
발광부(160)는 본체(110)의 전면에서 전방을 향하여 외부로 광을 출사하도록 된 광원(161)이 적용되어 있다.
광원(16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가 적용될 수 있다.
발광부(160)는 광원(161)에서 출사되는 광의 확산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ㄱ구축될 수 있다.
모드 선택스위치(171)는 발광부(160)의 작동에 대해 자동모드와 오프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본체(110)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충전부(140)로부터 광원(161)으로 이어지는 전원공급경로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 하도록 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자동모드와 오프모드를 선택신호를 제어부(175)에 출력하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75)는 자동모드로 선택되면 조도센서(150)에서 검출된 조도가 설정된 제1기준조도 미만이면 발광부(160)이 광원(161)가 발광되게 충전부(130)로부터 발광부(160)의 광원(161)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173)를 턴온되게 제어하여 전력이 공급되게 처리한다.
이와는 다르게, 제어부(175)는 자동모드에서 조도센서(150)에서 검출된 조도가 설정된 제1기준조도 이상이면 발광부(160)이 광원(161)이 오프되게 충전부(130)로부터 발광부(160)의 광원(161)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173)를 턴오프되게 제어하여 전력이 차단되게 처리한다.
통신부(177)는 제어부(175)에 제어되며 송신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처리하고, 수신된 정보를 제어부(175)에 제공한다.
또한, 통신부(177)는 무전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축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통신부(177)는 등록된 관리서버(200)로 송신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수신정보를 제어부(175)에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75)는 생체신호 검출센서(152)에서 검출된 생체신호 검출 정보를 주기적으로 통신부(177)를 통해 고유정보와 함께 송신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200)는 본체(110)로부터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전송된 정보를 기록 및 열람가능하게 처리한다.
또한, 관리서버(200)는 지시사항을 전달하고자 할 때 통신부(177)를 통해 지시사항을 송신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75)는 수신된 정보를 스피커(154)를 통해 출력하고, 작업자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통신부(177)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되게 처리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조작부(178)는 본체(110)에 대한 장애물의 접근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안내 이격거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5)는 초음파센서(158)로부터 검출된 장애물과의 이격거리가 조작부(178)로부터 설정된 안내 이격거리 이내이면 설정된 경보음을 스피커(154)를 통해 출력되게 처리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에 집중시에도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경보음을 통해 안내받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78)는 작업을 수행할 때 생체신호 검출정보를 주기적으로 관리서버(200)에 전송하도록 하는 작업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조작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모드로 설정되면 조도센서(150), 생체신호 검출센서(152), 초음파 센서(158)가 작동되게 구축된다.
또한, 제어부(175)는 작업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만 생체신호 검출센서(152)에서 검출된 생체신호 검출 정보를 주기적으로 통신부(177)를 통해 고유정보와 함께 관리서버(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발광 안전모에 의하면, 외부조도에 따라 발광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고, 작업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할 수 있어 작업자의 이상여부도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본체 130: 태양전지셀
140: 충전부 150: 조도센서
152: 생체신호검출센서 154: 스피커
156: 마이크로폰 158: 초음파 센서
160: 발광부 171: 모드 선택스위치
175: 제어부 177: 통신부
178: 조작부

Claims (3)

  1.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반구 형태로 하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장착된 태양전지셀에 의해 충전된 전력을 상기 발광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된 충전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발광부의 작동에 대해 자동모드와 오프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모드 선택스위치와;
    상기 자동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조도센서에서 검출된 조도가 설정된 제1기준조도 미만이면 상기 발광부가 발광되게 상기 충전부로부터 상기 발광부로의 전력이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맥박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생체신호 검출센서와;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며 송신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처리하고,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안전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장애물과의 이격거리를 검출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와;
    상기 본체에 대한 장애물의 접근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안내 이격거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로부터 검출된 장애물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설정된 안내 이격거리 이내이면 설정된 경보음을 상기 스피터를 통해 출력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안전모.



KR1020170021503A 2017-02-17 2017-02-17 발광 안전모 KR101915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503A KR101915760B1 (ko) 2017-02-17 2017-02-17 발광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503A KR101915760B1 (ko) 2017-02-17 2017-02-17 발광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254A true KR20180095254A (ko) 2018-08-27
KR101915760B1 KR101915760B1 (ko) 2018-11-06

Family

ID=6345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503A KR101915760B1 (ko) 2017-02-17 2017-02-17 발광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7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3363A (zh) * 2019-11-05 2019-12-31 广州市市政集团有限公司 一种自发电主动防御型安全帽
KR102113975B1 (ko) * 2019-12-21 2020-05-21 양선미 조도 센서가 구비된 모자
KR102238198B1 (ko) * 2020-02-28 2021-04-08 양선미 조도 센서가 구비된 모자
KR102462441B1 (ko) * 2022-05-17 2022-11-03 이대형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WO2022270658A1 (ko) * 2021-06-24 2022-12-29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스마트 헬멧
KR102584239B1 (ko) * 2022-08-10 2023-10-05 주식회사 에스오디 태양광 냉온 안전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102B1 (ko) * 2019-02-28 2020-10-20 주식회사 미성 용접 마스크용 환풍장치
KR102274216B1 (ko) * 2019-10-10 2021-07-0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모 동작 시스템
KR102265831B1 (ko) 2020-06-29 2021-06-16 강은규 하나의 라이트로 다양한 발광이 제공되는 안전모
KR102191457B1 (ko) 2020-06-29 2020-12-15 강은규 푸쉬버튼형 라이트를 이용한 안전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105B1 (ko) * 2015-04-17 2016-10-06 김규민 조도센서를 이용한 발광 헬멧
KR101696751B1 (ko) * 2015-12-17 2017-01-1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작업 안전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3363A (zh) * 2019-11-05 2019-12-31 广州市市政集团有限公司 一种自发电主动防御型安全帽
KR102113975B1 (ko) * 2019-12-21 2020-05-21 양선미 조도 센서가 구비된 모자
KR102238198B1 (ko) * 2020-02-28 2021-04-08 양선미 조도 센서가 구비된 모자
WO2022270658A1 (ko) * 2021-06-24 2022-12-29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스마트 헬멧
KR20230000195A (ko) * 2021-06-24 2023-01-02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스마트 헬멧
KR102462441B1 (ko) * 2022-05-17 2022-11-03 이대형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KR102584239B1 (ko) * 2022-08-10 2023-10-05 주식회사 에스오디 태양광 냉온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760B1 (ko)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760B1 (ko) 발광 안전모
EP2950736B1 (en) Method and pointer for controlling lighting with a portable pointer device
CN104270979B (zh) 头盔和用于使用该头盔处置事故的方法
US20170248272A1 (en) Safety Garment
US8193940B2 (en) Recognition award, personnel identification holder and/or personnel unit for attachment to hardhats, protective helmets or the like
US11013288B2 (en) Integrated wireless head protection garment and harness
CN206808756U (zh) 智能安全帽
JP2009167587A (ja) 警報機能付きヘルメット
JP2010185155A (ja) 指標投射手段付きヘルメット
KR200425930Y1 (ko) 비상구 무인유도 장치
CN106875650A (zh) 安全装置及工具
KR101573033B1 (ko) 다기능 스마트 헬멧
WO20170350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activated responder lighting and information center
KR20160001409A (ko) 타워 크레인 후크 자동경보장치
CN206006088U (zh) 一种分布式照明指示、录像一体化安全帽
CN208403393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多功能安全帽
EP4001949A1 (en) A system for proximity reporting in an assembly environment
CN111642854A (zh) 一种多功能安全帽
GB2571134A (en) Protective headgear
KR102081515B1 (ko)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제어방법
US11011040B2 (en) Electronic personal dosimeter smart accessory system
KR101843880B1 (ko)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KR102081514B1 (ko)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KR200490855Y1 (ko) 안전모 조명장치
KR20190121451A (ko) 경호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