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195A - 스마트 헬멧 - Google Patents

스마트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195A
KR20230000195A KR1020210082296A KR20210082296A KR20230000195A KR 20230000195 A KR20230000195 A KR 20230000195A KR 1020210082296 A KR1020210082296 A KR 1020210082296A KR 20210082296 A KR20210082296 A KR 20210082296A KR 20230000195 A KR20230000195 A KR 20230000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opening
panel
cell panel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357B1 (ko
Inventor
박재흥
Original Assignee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2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357B1/ko
Priority to PCT/KR2021/008037 priority patent/WO2022270658A1/ko
Publication of KR2023000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H01L51/4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스마트 헬멧이 개시된다. 스마트 헬멧은 태양전지 패널, 태양전지 패널을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 태양전지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반사패널, 태양전지 패널 및 반사 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부 및 충전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아지면 태양전지 패널 및 반사 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증가시키도록 개폐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에 대한 집광력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효율이 좋아지고, 태양전지 패널의 노출 여부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게 되어 태양전지 패널의 기능과 수명이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헬멧{SMART HELMET}
본 발명은 스마트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패널을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Helmet)은 주로 착용자의 머리, 안면 등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착용하는데, 예컨데 바이크, 싸이클, 경주용 차량, 소방용, 군용 등 각종 야외 활동 시 사용되고 있다.
최근들어, 헬멧은 단순히 보호용으로만 착용되는 것이 아닌 각종 전자 장비가 내장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스마트 용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헬멧 외부에 방향을 표시하는 LED가 부착되거나, 헬멧에 센서를 부착하여 위험을 감지하고 이를 알리는 기능 또는 헬멧에 영상 촬영 장비 및 전송 장비가 결합되어 실시간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 등이 부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헬멧에 다양한 전자부품이 장착되면서 이들을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전원 공급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전원 공급 시스템이 부가된 스마트 헬멧이 개발되고 있다.
대부분 태양전지 패널 또는 태양전지 모듈을 활용하여 스마트 헬멧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데, 태양전지 패널이 헬멧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으면 디자인 상 보기 좋지 않고, 외부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태양전지 패널은 안정성과 수명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만 태양전지 패널을 노출시키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전지 패널을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은, 태양전지 패널, 상기 태양전지 패널을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 상기 태양전지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반사패널, 상기 태양전지 패널 및 반사 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부 및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태양전지 패널 및 반사 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는 상기 반사패널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되고, 상기 반사패널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이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로 변경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폐부의 상기 반사패널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태양전지 패널 및 반사 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은 빗물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아지더라도 상기 빗물 감지 센서를 통해 빗물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부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유기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헬멧 본체의 내면은 인쇄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인쇄회로로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태양 전지 패널에 대한 집광력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효율이 좋아지고, 태양전지 패널의 노출 여부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게 되어 태양전지 패널의 기능과 수명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의 동작 과정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 및 개폐부가 실제 스마트 헬멧에서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내부에 인쇄된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100)은 태양전지 패널(110), 충전부(120), 반사패널(130), 개폐부(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 헬멧(100)은 다양한 형태의 헬멧 예를 들어, 바이크, 자전거 등과 같은 운송 수단을 탈 때 필요한 헬멧 뿐만 아니라, 군사용, 소방용, 의료용 등과 같은 특수 목적형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태양전지 패널(110)은 태양전지 모듈과 혼용해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발전의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를 "셀"이라고 부르며, 셀을 전지판 형태로 가공한 것이 "태양전지 모듈"이고,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한 것을 "태양전지 어레이"라고 한다.
이러한 태양전지 패널(110)은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헬멧과 같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면에 대해서도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유기태양전지 모듈이 개발되었으며, 스크린프린트 기법만으로 종이에 태양전지 셀이 인쇄된 모듈을 의미하며, 이러한 인쇄기법을 통해 태양전지 모듈이 구현될 수 있어, 헬멧과 같은 곡선면을 가진 제품의 경우 열성형 전에 평면도 상에서 유기태양전지 모듈을 인쇄하여 태양전지 모듈이 부착된 헬멧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110)은 이러한 유기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충전부(120)는 태양전지 패널을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충전부(120)의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는 저장 용량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반사패널(130)은 태양전지 패널(110)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반사패널(130)은 거울, 반지 필름, 반사 코팅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40)는 태양전지 패널(110) 및 반사 패널(130)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부(140)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개구부를 외부에 노출시켜 태양광이 개폐부(140)를 관통하여 태양전지 패널(110)에 조사되고, 또한 태양전지 패널(110)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이 반사 패널(130)에서 반사되어 다시 태양전지 패널(110)로 조사될 수 있도록 개구부의 개폐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충전부(12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아지면 태양전지 패널(110) 및 반사 패널(130)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증가시키도록 개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충전부(12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 충전량이 기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아지면 프로세서(150)는 태양전지 패널(110)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판단하고, 개폐부(140)를 제어하여 개구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태양광이 개폐부(140)의 개구부를 통해 태양전지 패널(110)에 조사되도록 하여 전기 에너지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수치가 50%이고, 충전부(12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 충전량이 50% 이하로 낮아지면 프로세서(150)는 개폐부(140)를 제어하여 개구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태양광이 개폐부(140)의 개구부를 통해 태양전지 패널(110)에 조사되도록 하여 전기 에너지가 생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10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스마트 헬멧(100)의 상부 영역의 내부에는 태양전지 패널(11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태양전지 패널(11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연결된 충전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태양전지 패널(110)이 직사각형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헬멧의 디자인 및 형태에 따라 태양전지 패널(110)은 다양한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유기태양전지 모듈과 같이 헬멧에 인쇄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태양전지 패널(110)은 스마트 헬멧(100)의 상부 면으로부터 내부로 파여진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개폐부(140)의 일면에는 반사패널(130)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되고, 반사패널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이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로 변경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태양전지 패널(110)의 상부에는 태양전지 패널(110)을 덮도록 개폐부(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개폐부(140)의 일면 즉, 개폐부(140)의 노출되는 면이 아닌 헬멧 내부를 향하고 있는 내부면에는 반사패널(130)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반사패널(130)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은 개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개구부를 막기 위한 플레이트가 개구부를 가리게 된다.
그리고, 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되면서 반사패널(130)이 부착되지 않은 개구부가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노출된 개구부를 통해 태양광이 개폐부(140)의 하부에 설치된 태양전지 패널(110)에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에 도시된 도면은 반사패널(130)이 개폐부(140)의 내부 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반사패널(130)이 설치되지 않은 개구부(131) 영역은 플레이트에 의해 가려진 상태이다.
그리고, 우측에 도시된 도면은 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되면서 반사패널(130)이 설치되지 않은 개구부(131) 영역이 외부에 노출된 것을 나타낸다.
즉, 플레이트는 반사패널(130)이 부착된 플레이트와 어긋나도록 개구부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 5a 및 도 5b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50)는 개폐부(140)의 반사패널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을 슬라이딩시켜 개구부를 통해 태양전지 패널(110) 및 반사 패널(130)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증가시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의 동작 과정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개폐부(140)와 태양전지 패널(110)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개폐부(140)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반사 패널(130)이 부착되어 있으며, 반사 패널(130)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은 개구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한 제1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의 개구부 위치 및 반사패널(130)이 부착된 위치와 반대로 개구부를 포함한다.
즉, 제2 플레이트에서 반사패널(130)이 부착된 위치에 대응된 위치에서 제1 플레이트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2 플레이트에서 반사패널(130)이 부착되지 않은 개구부에 대응된 위치에서 제1 플레이트는 개구부가 아닌 플레이트 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5a와 같이,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서로 개구부의 위치가 엇갈리도록 겹쳐진 경우에는 태양광은 헬멧 내부로 조사될 수 없게 되어 태양전지 패널(110)에는 태양광이 조사되지 않고 이에 따라 전기에너지가 생성될 수 없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개폐부(140)의 반사패널(130)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을 슬라이딩시켜 개구부를 통해 태양전지 패널 및 반사 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증가시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b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개구부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게 되면서 태양광이 태양전지 패널(110)로 조사될 수 있게 되어 전기에너지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패널(110)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은 제2 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된 반사패널(13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태양전지 패널(110)로 재조사 되면서 태양전지 패널(110)에 대한 집광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는 제1 플레이트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개구부의 위치가 서로 완전히 일치하게 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황에 따라 제1 플레이트가 오른쪽으로 절반만 슬라이딩되면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개구부의 위치가 서로 절반만 겹치게 되어, 도 5b에 비해 태양광이 통과될 수 있는 개구부의 영역이 절반으로 줄어들게 할 수도 있다.
즉, 날씨에 따라 개구부를 완전히 오픈할 수 없게 되는 경우, 개구부의 오픈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1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 및 개폐부가 실제 스마트 헬멧에서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100) 내부에 반사패널(130), 개폐부(140) 및 태양전지 패널(110)이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140)는 헬멧의 모양에 맞게 곡선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렇게 구현된 개폐부(140)는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개구부를 외부로 오픈할 수 있으며, 오픈된 개구부를 통해 태양광이 내부로 조사되어 태양전지 패널(110)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패널(110)로 조사된 태양광 중 반사되는 일부 광은 다시 개폐부(140)의 내부 면에 부착된 반사패널(13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태양전지 패널(110)로 조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 패널(110)의 전기 에너지 전환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충전부(120)에 저장되며, 프로세서(1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개폐부(140)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특히, 충전부(12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아지면 개폐부(140)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개폐부(140)의 반사패널(130)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을 슬라이딩시켜 개폐부(140)에 포함된 개구부를 외부로 오픈하여, 개구부를 통해 태양전지 패널(110) 및 반사패널(130)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140)가 도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개폐부(140)가 원형으로 구현된 상태에서 개폐부(140)의 내부 면에는 반사 패널(130)이 기설정된 회전각만큼 이격된채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부(140)의 반사패널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131)이 슬라이딩되면서 반사패널(130)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이 개구부로서 오픈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부(140)의 형태는 원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각형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100)은 빗물 감지 센서(160)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150)는 충전부(12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아지더라도 빗물 감지 센서(160)를 통해 빗물이 감지되면 개폐부(14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충전부(12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개폐부(140)를 제어하여 개구부가 오픈되도록 하여 태양광이 태양전지 패널(110) 및 반사패널(130)에 조사되는 양을 증가시게 되는데, 다만, 이러한 경우라도 빗물 감지 센서(160)에 의해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개구부가 오픈되지 않도록 하여 개폐부(14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즉, 개폐부(140) 하부에 설치된 태양전지 패널(110) 및 반사패널(130)을 빗물과 같은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프로세서(150)는 빗물 감지 센서(160)를 통해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비록 충전부(12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아지더라도 개폐부(14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빗물이 개폐부(140)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빗물감지센서(160)는 토양 수분 감지 센서, 수분 수위 감지 센서 등과 동일한 동작 원리를 가지며, 빗물감지센서(160)를 구성하는 센서 기판의 전극부분이 물과 접한 면적이 클수록 저항값이 작아지고 이에 따라 흐르는 전류랑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원리를 통해 빗물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빗물감지센서(160)에 내장된 적외선 발신부로부터 발신된 적외선이 빗물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적외선을 수신하여 빗물의 량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부(12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스마트 헬멧(100)에 포함된 전기 소자로 제공되는데, 이때 헬멧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를 통해 전기 에너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내부에 인쇄된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헬멧(100) 본체의 내면에는 인쇄회로(114, 115, 116)가 표시되어 있으며, 충전부(120)는 이러한 인쇄회로(114, 115, 116)와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인쇄회로(114, 115, 116)를 활용하게 됨으로써, 물리적인 전선을 활용하는 경우에 비해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누전이나 불량률이 적어지게 되어 충전부(120)로부터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헬멧(100) 본체의 외부 면에 있어 내부에는 태양전지 패널(110)이 삽입되고, 태양전지 패널(110)의 상부에는 개폐부(140)가 구비되어 헬멧 외관의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마찬가지로 스마트 헬멧(100) 본체의 내부에는 물리적인 전선이 아닌 부피를 최소화시켜 본체의 내부면에 인쇄된 전기 배선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구조물이나 전선의 누전에 대한 문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헬멧 또는 밴드길이 조정부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스마트 헬멧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스마트 헬멧 110: 태양전지패널
120: 충전부 130: 반사패널
140: 개폐부 150: 프로세서
160: 빗물감지센서

Claims (6)

  1. 태양전지 패널;
    상기 태양전지 패널을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
    상기 태양전지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반사패널;
    상기 태양전지 패널 및 반사 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부; 및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태양전지 패널 및 반사 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는 상기 반사패널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되고, 상기 반사패널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이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로 변경되는 것인, 스마트 헬멧.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폐부의 상기 반사패널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태양전지 패널 및 반사 패널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마트 헬멧.
  4. 제3항에 있어서,
    빗물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기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아지더라도 상기 빗물 감지 센서를 통해 빗물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부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스마트 헬멧.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유기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헬멧.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의 내면은 인쇄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인쇄회로로 제공하는 것인, 스마트 헬멧.
KR1020210082296A 2021-06-24 2021-06-24 스마트 헬멧 KR102488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296A KR102488357B1 (ko) 2021-06-24 2021-06-24 스마트 헬멧
PCT/KR2021/008037 WO2022270658A1 (ko) 2021-06-24 2021-06-25 스마트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296A KR102488357B1 (ko) 2021-06-24 2021-06-24 스마트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95A true KR20230000195A (ko) 2023-01-02
KR102488357B1 KR102488357B1 (ko) 2023-01-13

Family

ID=8454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296A KR102488357B1 (ko) 2021-06-24 2021-06-24 스마트 헬멧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8357B1 (ko)
WO (1) WO20222706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412B1 (ko) 2023-01-17 2023-10-19 주식회사 아이로나 사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주행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710A (ko) * 2009-10-29 2011-05-06 한종엽 태양광을 이용하는 다기능 안전 헬멧
KR20180008012A (ko) * 2016-07-15 2018-01-24 이만근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엘이디 경보등이 구성된 안전 헬멧
KR20180095254A (ko) * 2017-02-17 2018-08-27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발광 안전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420U (ja) * 2005-02-22 2005-07-28 雄一 長澤 ライトパネル付きヘルメット
US20070137685A1 (en) * 2005-12-21 2007-06-21 Ching-Song Jwo Solar power-operated cooling helm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710A (ko) * 2009-10-29 2011-05-06 한종엽 태양광을 이용하는 다기능 안전 헬멧
KR20180008012A (ko) * 2016-07-15 2018-01-24 이만근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엘이디 경보등이 구성된 안전 헬멧
KR20180095254A (ko) * 2017-02-17 2018-08-27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발광 안전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412B1 (ko) 2023-01-17 2023-10-19 주식회사 아이로나 사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주행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357B1 (ko) 2023-01-13
WO2022270658A1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357B1 (ko) 스마트 헬멧
KR101598063B1 (ko) 태양추적장치를 탑재한 제어기능 및 저장기능의 등주내장형 태양광 가로등
CN103104991A (zh) 太阳能收集器组合件
CN2781288Y (zh) 太阳自动跟踪装置
CN207370176U (zh) 一种智能安全帽
WO2015187484A1 (en) Protective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CN206481551U (zh) 一种大型户外温室控制器
US20160028272A1 (en) Housing having a solar panel and components capable of replenishing a mobile phone battery
CN117614084B (zh) 一种太阳能一体化数据采集装置
US886119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tection system
CN205680004U (zh) 太阳能自动跟踪传感器及太阳能发电装置
US20130083238A1 (en) Solar powered camera
KR20150003070U (ko) 태양광을 이용한 휴대용 조명등
CN208581200U (zh) 一种跟踪太阳位置的太阳能发电装置
CN208983097U (zh) Led感应摄像头壁灯
CN209079797U (zh) 一种发光车牌
KR101077079B1 (ko) 광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원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JP2010103201A (ja) 太陽光発電装置及び車両感知装置
CN206922917U (zh) 户外相机
US20130042901A1 (en) Solar tracking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US11789503B1 (en) Apparatus for a credential verification system with a water-resistant and tamper-proof housing
CN205508410U (zh) 可恢复数据的高安全性高可靠性的固态硬盘
CN220629426U (zh) 一种poe摄像头
JP2007202347A (ja) 電子機器用電力供給ケース
CN213182900U (zh) 应用于通道闸机的智能人脸识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