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880B1 -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 Google Patents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880B1
KR101843880B1 KR1020160120981A KR20160120981A KR101843880B1 KR 101843880 B1 KR101843880 B1 KR 101843880B1 KR 1020160120981 A KR1020160120981 A KR 1020160120981A KR 20160120981 A KR20160120981 A KR 20160120981A KR 101843880 B1 KR101843880 B1 KR 101843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stening
safety
light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133A (ko
Inventor
이용길
Original Assignee
이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길 filed Critical 이용길
Priority to KR102016012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8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는 인장력이 가해질 때, 조직배열이 이완되어 틈이 생성되는 나일론 또는 고무줄로 이루어진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양측중 일측은 안전장구 체결부의 돌출부에 체결되는 수용부(121)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안전장구 체결부의 수용부에 체결되는 돌출부(122)로 형성되어, 상기 안전장구의 체결부에 호환 장착되는 체결장치부(120); 상기 체결장치부(120)와 상기 안전장구의 체결여부를 감지하는 체결감지센서(123, 미도시); 상기 바디부(110) 후방에 장착되며,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130); 상기 바디부(110)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조명(13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인식하는 조명센서(140);로 구성되는 인장감지부(100);는 인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조명(130)의 빛이 바디부(110)를 투과하여 조명센서(140)에 인식되는 광도에 따라 인장력을 판단하고, 상기 체결장치부(120)는 다양한 안전장구의 체결부와 호환되도록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무선송신기만 장착되어 타제품에 비해 경량화가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특정 안전장구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안전장구에 호환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SAFETY EQUIPMENT OF LOCKING SENSOR}
본 발명은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장구 착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등의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해 안전모 및 안전벨트 등의 안전보호구들의 착용이 의무화되어 있다. 그러나 작업자들은 이와 같은 안전보호구가 자신의 생명을 지켜주는 중요한 장비인 줄 알면서도 착용이 부자연스럽고 작업능률이 저하된다는 이유로 착용을 기피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산업현장에서는 안전모 미착용으로 발생하는 산업재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건설현장 등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안전보호구를 정상으로 착용했는지 여부를 실시간 감시하는 시스템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4723호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모 착용 인식 센서모듈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의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설정된 기준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로부터 복수 횟수로 입력되는 압력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감지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감지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감지값을 누적하여 누적값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누적값과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누적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안전모의 착용 여부를 정상으로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를 데이터화하여 작업자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안전모 착용자의 신상정보, 이력 및 작업내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착용 인식 센서모듈이 있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3946호의 모체의 내측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를 감싸는 머리고정밴드와, 상기 머리고정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밴드 조절부로 구성된 안전모; 상기 안전모의 머리고정밴드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머리부와의 접촉력에 의해 스위칭되어 그에 해당하는 센싱신호를 발생하는 제1센서; 상기 안전모에 설치되고, 상기 제1센서로부터 감지된 센싱신호가 프로세서로 입력되면, 프로세서가 ID 저장부에 저장된 ID를 무선으로 출력하는 서브 RFID 태그;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서브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ID를 송수신부를 통해 프로세서에서 입력받아 자신의 ID 저장부에 저장된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그 ID를 송수신부를 통하여 RFID 리더로 무선전송하는 메인 RFID 태그; 상기 메인 RFID 태그로부터 입력되는 ID를 입력받아 원격지로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하여 전송하는 RFID 리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가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0-1196802호의 상호 무선통신으로 이루어지며 근로자의 주변환경 및 상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모와, 상기 안전모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출퇴근시간이나, 위치정보, 근로자의 상태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합관리서버와, 상기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무선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현장상황을 관리자로 하여금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모는 자연상태의 태양광을 받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셀과, 상기 태양광셀에 의해 수집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되거나, 안전모거치대로부터 충전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며 근로자 주변의 먼지나 온습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근로자의 신체상태 및 현장의 환경상태를 위험정도에 따라 색으로 구별하여 표시하거나 LED점멸 횟수 및 시간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LED 상태표시부와, 근로자에게 재해발생시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부와, 관리자와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센서부로부터 위험신호를 감지하였을 경우 이를 근로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부와, 근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GPS부와, 상기 센서부, 카메라부 및 GPS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송수신부와, 상기 안전모의 모든 구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모는 외측에는 강화 PVC재료로 형성되며, 그 내측에 FPCB 케이블 또는 BUS 케이블이 내삽되도록 형성된 스티로폼과, 금속 FOIL 처리를 함으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모를 더욱 견고하게 하여 근로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안전장구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교체 주기가 짧은 안전장구들에 대하여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0-0114723 A
KR 10-2012-0083946 A
KR 10-119680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안전장구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호환될 수 있는 체결 감지기를 제작하는 것이며, 다른 안전장구에도 호환이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는 인장력이 가해질 때, 조직배열이 이완되어 틈이 생성되는 나일론 또는 고무줄로 이루어진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양측중 일측은 안전장구 체결부의 돌출부에 체결되는 수용부(121)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안전장구 체결부의 수용부에 체결되는 돌출부(122)로 형성되어, 상기 안전장구의 체결부에 호환 장착되는 체결장치부(120); 상기 체결장치부(120)와 상기 안전장구의 체결여부를 감지하는 체결감지센서(123, 미도시); 상기 바디부(110) 후방에 장착되며,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130); 상기 바디부(110)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조명(13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인식하는 조명센서(140);로 구성되는 인장감지부(100);는 인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조명(130)의 빛이 바디부(110)를 투과하여 조명센서(140)에 인식되는 광도에 따라 인장력을 판단하고, 상기 체결장치부(120)는 다양한 안전장구의 체결부와 호환되도록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무선송신기만 장착되어 타제품에 비해 경량화가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특정 안전장구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안전장구에 호환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의 작동 예시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예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의 체결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는 인장력이 가해질 때, 조직배열이 이완되어 틈이 생성되는 나일론 또는 고무줄로 이루어진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양측중 일측은 안전장구 체결부의 돌출부에 체결되는 수용부(121)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안전장구 체결부의 수용부에 체결되는 돌출부(122)로 형성되어, 상기 안전장구의 체결부에 호환 장착되는 체결장치부(120); 상기 체결장치부(120)와 장비간의 체결여부를 감지하는 체결감지센서(123, 미도시); 상기 바디부(110) 후방에 장착되며,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130); 상기 바디부(110)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조명(13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인식하는 조명센서(140);로 구성되는 인장감지부(100);는 인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조명(130)의 빛이 바디부(110)를 투과하여 조명센서(140)에 인식되는 광도에 따라 인장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110)의 소재는 나일론과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거나, 고무줄과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을 엮어 인장력에 따라 틈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장치부(120)의 형상은 다양한 안전장구의 체결부와 호환되도록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안전모, 안전조끼 등과 같이 체결부를 가지는 안전장구라면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체결장치부(120)는 체결감지센서(123)를 형성하여, 현재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1)가 안전장구에 체결이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해당 안전장구를 착용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감지부(100)에서 인장력을 판단하는 방법은 바디부(110)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 조명(130) 및 조명센서(140)에 의하여 인장력을 판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130)은 조명센서(140) 방향으로 항시 빛을 조사하고 있고, 평상시에는 바디부(110)에 막혀 빛이 투과되지 않으며 인장력이 작용하여 바디부(110)가 늘어나서 틈이 생성되면, 상기 틈으로 빛이 투과되어 조명센서(140)에 조사됨으로써 인장력을 판단하고, 인장력의 강도는 조명센서(140)에 조사되는 광량에 따라 판별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바디부(110)의 외측에, 전원, 등록, 구조요청 버튼으로 구성되는 조작부(210); 전원상태와 작동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LED로 구성되는 표시부(220); 인장감지부(100) 채널, 조작부(210) 및 표시부(220) 채널과 같은 채널로 구성되는 제어부(230); 상기 인장감지부(100), 조작부(210), 표시부(220)의 신호 및 위치정보와 같은 신호를 메인서버(S)에 전송하고, 메인서버(S)로부터 호출신호, 대피명령과 같은 신호를 수신하는 전송모듈(240);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원모듈(250);로 구성되는 M.C.U.(200)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M.C.U.(200)는 사용자에게 메인서버(S)로부터 수신한 신호 및 정보를 알리는 스피커 및 진동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210)는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에 커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초 사용시 감지기(1)가 체결되는 장비정보, 사용자정보와 같은 기본정보를 등록하는 버튼이 있고, 긴급상황시 구조요청버튼을 통하여 신호음을 발생시키거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표시부(220)는 감지기(1)의 작동여부와 같은 정보를 표시하는 LED 램프를 포함하며, LCD 패널을 사용하여 시안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230)는 인장감지부(100) 채널, 조작부(210) 및 표시부(220) 채널을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채널로부터 오는 신호를 즉각적으로 처리한다.
상기 전송모듈(240)은 인장감지부(100)로부터 받은 인장력 신호를 메인서버(S)로 송출하고, 관리자는 해당 신호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안전장구를 착용하였는지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정상 착용을 유도할 수 있고, 과도한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신호를 주거나 주변 사용자를 통하여 상황을 전파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조작부(210)에서 구조요청버튼이 동작되면 위치정보를 메인서버(S)로 전송하여 구조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주변 위험상황 발생시 사용자들에게 조기 전파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송모듈(240)은 BLE beacon(B)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UART 채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전장구 체결감지기(1)에서 메인서버(S)로 신호를 전송할때는 Beacon(B)을 거쳐서 가도록 함으로써 소모전력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운용시간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인장력이 가해질 때, 조직배열이 이완되어 틈이 생성되는 나일론 또는 고무줄로 이루어진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양측중 일측은 안전장구 체결부의 돌출부에 체결되는 수용부(121)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안전장구 체결부의 수용부에 체결되는 돌출부(122)로 형성되어, 상기 안전장구의 체결부에 호환 장착되는 체결장치부(120);
    상기 체결장치부(120)와 상기 안전장구의 체결여부를 감지하는 체결감지센서(123, 미도시);
    상기 바디부(110) 후방에 장착되며,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130);
    상기 바디부(110)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조명(13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인식하는 조명센서(140);로 구성되는 인장감지부(100);는 인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조명(130)의 빛이 바디부(110)를 투과하여 조명센서(140)에 인식되는 광도에 따라 인장력을 판단하고, 상기 체결장치부(120)는 다양한 안전장구의 체결부와 호환되도록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의 외측에 장착되며,
    전원, 등록, 구조요청 버튼으로 구성되는 조작부(210);
    전원상태와 작동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LED로 구성되는 표시부(220);
    인장감지부(100) 채널, 조작부(210) 및 표시부(220) 채널과 같은 채널로 구성되는 제어부(230);
    상기 인장감지부(100), 조작부(210), 표시부(220)의 신호 및 위치정보와 같은 신호를 메인서버(S)에 전송하고, 메인서버(S)로부터 호출신호, 대피명령과 같은 신호를 수신하는 전송모듈(240);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원모듈(250);로 구성되는 M.C.U.(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모듈(240)은 BLE beacon(B)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UART 채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C.U.(200)는 사용자에게 메인서버(S)로부터 수신한 신호 및 정보를 알리는 스피커 및 진동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KR1020160120981A 2016-09-21 2016-09-21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KR101843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981A KR101843880B1 (ko) 2016-09-21 2016-09-21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981A KR101843880B1 (ko) 2016-09-21 2016-09-21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133A KR20180032133A (ko) 2018-03-29
KR101843880B1 true KR101843880B1 (ko) 2018-03-30

Family

ID=6189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981A KR101843880B1 (ko) 2016-09-21 2016-09-21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7913B (zh) * 2020-03-09 2020-10-09 青田金程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汽车大灯光照强度检测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510A (ja) * 2004-02-05 2005-08-18 Univ Of Electro-Communications 張力センサ
JP2007016342A (ja) * 2005-07-07 2007-01-25 Yamaha Motor Co Ltd ヘルメ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システム
KR101079343B1 (ko) * 2010-11-03 2011-11-04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KR101196802B1 (ko) * 2011-11-04 2012-11-05 김인희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510A (ja) * 2004-02-05 2005-08-18 Univ Of Electro-Communications 張力センサ
JP2007016342A (ja) * 2005-07-07 2007-01-25 Yamaha Motor Co Ltd ヘルメ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システム
KR101079343B1 (ko) * 2010-11-03 2011-11-04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스마트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KR101196802B1 (ko) * 2011-11-04 2012-11-05 김인희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133A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6456B (zh) 集成智能頭戴式設備
KR101595850B1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공기호흡기
US9359171B1 (en) Safety system for a lift installation and safety helmet as individual component of such a safety system
US8103459B2 (en) Safety clothing
US20150032021A1 (en)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fatigue monitoring apparatus and fatigue detecting helmet thereof
KR20120083946A (ko)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WO2005117539A3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topping powered equipment in an emergency situation
KR102448783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20130062607A (ko) 엘이디 표시패널을 구비한 안전모
WO2018094520A1 (en) Smart wearable safety devices and systems
KR20100114723A (ko) 안전모 착용 인식 센서모듈 및 그 정상 착용 여부 판단 방법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JP2010185155A (ja) 指標投射手段付きヘルメット
CN103175648A (zh) 监测装置
KR20210094815A (ko) 개인 스마트 안전장비 일원화 및 데이터 관리시스템
KR101843880B1 (ko)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KR102025379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KR20100004644A (ko) 응급 상황 감시 장치 및 응급 상황 감시 시스템
KR20210075237A (ko) 스마트 안전조끼
CN212994764U (zh) 一种安全帽
US11011040B2 (en) Electronic personal dosimeter smart accessory system
KR101354946B1 (ko) 안전 보조 시스템
KR102317800B1 (ko) 체결형 안전모 표시 장치
KR20100089911A (ko) 안전모를 이용한 인명 구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26310B1 (ko)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