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514B1 -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 Google Patents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514B1
KR102081514B1 KR1020180130917A KR20180130917A KR102081514B1 KR 102081514 B1 KR102081514 B1 KR 102081514B1 KR 1020180130917 A KR1020180130917 A KR 1020180130917A KR 20180130917 A KR20180130917 A KR 20180130917A KR 102081514 B1 KR102081514 B1 KR 102081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afety helmet
user
hea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용
Original Assignee
배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용 filed Critical 배재용
Priority to KR1020180130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6Means for detecting that the user is wearing a helme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은 개인이동수단의 주행시 사용되는 안전헬멧(100)에 제어부가 설치되어 주행시 안전성 및 편의성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은 안전조명, 골전도 이어폰, 산소포화 감지센서, 목마이크 등이 구비되어 개인이동수단을 주행할 시, 안전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 safety helmet for personal moving unit }
본 발명은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조명, 골전도 이어폰, 산소포화 감지센서, 목마이크 등이 구비되어 개인이동수단을 주행할 시, 안전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는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에 관한 것이다.
도로교통사고와 자전거 교통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통해 개인이동수단의 사고도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76106호의 블루투스 자전거 헬멧에는,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헬멧; 외부 기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들이 내장된 블루투스 단말기;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연결되는 마이크, 스피커, 입력부, 접속부 및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로 구성되는 부수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는 메모리 카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되고,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충전지는 안전헬멧의 표면과 내부면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접속부는 충전지의 충전, 또는 메모리 카드의 정보 기록과 삭제를 위한 용도로서 외부 커넥터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안전헬멧의 표면 또는 내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는 안전헬멧의 블루투스 단말기와 접속되는 이어마이크폰 형식이거나, 안전헬멧에 착탈형으로 장착되는 스피커 고정용 보조 케이스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는 안전헬멧의 외측, 또는 상기 보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마이크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 마이크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제2 마이크로 구성되고,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는 제2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감지되면 주파수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한 사전에 채널 셋팅이 완료된 타 블루투스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자전거 헬멧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출원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제20-1994-0002688호의 주행의사 표시등을 가진 자전거에는, 릴레이기구와 축전지로 구성되며, 자전거의 짐받이틀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전원부와; 브레이크 작동시에 발광되는 적색발광부와 그의 좌, 우양측으로 방향전환지시를 위하여 선택적으로 점멸되는 좌,우 황색발광부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하도록 짐받이틀 후면에 고정설치되는 후방표시등과; 자전거의 핸들축상에 설치되며, 좌, 우방향전환을 지시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점멸빛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좌,우 2개의 황색발광부로 구성되는 전방표시등과; 상기 전, 후방표시등의 좌, 우 황색발광부들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키기 위하여 핸들의 일측 손잡이 상에 설치되는 방향표시절환 스위치 및; 전, 후륜용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시에 상기 브레이크레버의 케이블에 고정한 링이 마이크로스위치를 접속시켜 상기 적색발광부를 발광시키게 되는 브레이크등 작동스위치기구와; 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의사 표시등을 가진 자전거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개인이동수단에 주행의사 표시등이 구비되어 자전거를 다시 구매해야하거나, 개인이동수단을 타고 이동할 시, 헬멧을 통해 안전성 및 편의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을 통하여, 안전조명, 골전도 이어폰, 산소포화 감지센서, 목마이크 등이 구비되어 개인이동수단을 주행할 시, 안전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는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은 개인이동수단의 주행시 사용되는 안전헬멧(100)에 제어부가 설치되어 주행시 안전성 및 편의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은 안전조명, 골전도 이어폰, 산소포화 감지센서, 목마이크 등이 구비되어 개인이동수단을 주행할 시, 안전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의 안전조명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의 턱끈에 형성되는 골전도이어폰, 산소포화 감지센서, 목마이크가 구비되는 위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의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제어 개념도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은 개인이동수단의 주행시 사용되는 안전헬멧(100)에 제어부가 설치되어 주행시 안전성 및 편의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헬멧(100)은 안전조명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조명은 방향지시등(111), 정지 및 주행등(112), 그리고 안전등(1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헬멧(100)에는 턱끈(130)이 구비되며, 상기 턱끈(130)에는 골전도 이어폰(121), 산소포화 감지센서(122), 및 목마이크(123)가 설치되고, 각각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의 안전조명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의 턱끈에 형성되는 골전도이어폰, 산소포화 감지센서, 목마이크가 구비되는 위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의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제어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은 개인이동수단의 주행시 사용되는 안전헬멧(100)에 제어부가 설치되어 주행시 안전성 및 편의성이 있는 것이다.
상기 안전헬멧(100)은 안전조명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조명은 방향지시등(111), 정지 및 주행등(112), 그리고 안전등(113)인 것이다.
상기 개인이동수단은 자전거, 세그웨이 등인 것이다.
상기 안전헬멧(100)에는 외피, 충격흡수층, 패드, 맞춤조정부, 턱끈(130) 등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외피는 폴리카보네이트, 카본파이퍼 등으로 성형된 외장으로, 외부의 충격시 마찰이 발생하는 부분이며, 상기 충격흡수층은 EPS(Expandable Polystyrene)소재로 성형된 외골격으로, 내부에 고탄성 프레임과 함께 성형되며, 상기 패드는 딱닥한 흡수층에 의한 불편함을 상쇄하기 위한 내장재이며, 상기 맞춤조정부는 머리 뒷 부분에 다이얼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도록 조절하는 부분이며, 상기 턱끈(130)은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안전헬멧(100)은 반구형으로 내부 공간이 오목한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들어갈 수 있는 것이며, 관통홀을 통해 내부 공간의 사용자의 머리가 외부 공기가 흐르면서 식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전헬멧(100)에는 턱끈(130)이 구비되며, 사용자의 얼굴 좌우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안전헬멧(100)의 좌우측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턱끈(130)에는 골전도 이어폰(121), 산소포화 감지센서(122), 및 목마이크(123)가 설치되고, 각각 제어부에 연결된다.
상기 골전도 이어폰(121)은 턱끈(130)에 설치되어 귀를 막지 않게 사용자에게 음성을 전달함에 따라, 개인이동수단으로 주행시에도 통화, 음악재생 등의 음성을 듣는 것과 별개로 외부의 경고음 등의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상기 목마이크(123)는 입을 가리지 않고 목의 진동을 감지하여 소리를 인식함에 따라 외부의 바람 등의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산소포화 감지센서(122)는 사용자가 장착시 심박 및 혈중의 산소포화를 감지하여 운동, 사고방지 등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상기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에 대한 제어방법은 개인이동수단의 주행시 사용되는 안전헬멧(100)에 제어부가 설치되되, 상기 안전헬멧(100)은 주행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자이로센서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고개를 흔드는 것을 자이로센서에서 신호로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자이로센서의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고개를 흔드는 방향을 판단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방향지시등(111), 정지 및 주행등(112), 안전등(113), 통화 받기, 통화 끊기 등의 제어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는 자이로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고개를 흔드는 방향을 판단하여 흔드는 방향에 따라 제어를 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고개를 앞뒤로 흔들어서 고개를 끄덕이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화를 받도록 제어하며, 고개를 좌우로 흔들어서 고개를 젓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화를 끊도록 제어하며, 고개를 좌 또는 우측으로 기울여서 까딱이면 방향지시등(111)의 해당방향의 깜빡이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자이로센서는 고개를 흔드는 속도도 감지하되, 상기 자이로센서의 고개를 흔드는 속도가 일정이하인 경우, 개인이동수단을 타고 이동시 충격으로 인해서 고개가 흔들리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를 작동시키지 않는 것이다.
상기 안전헬멧(100)에는 제어부 등이 내장되되, 진공성형을 통해 랩핑(Wrapping)하는 것으로, 내부의 전자적인 부품인 제어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외피와 충격흡수층은 접착제로 결합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무선통신부가 연결되어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리모콘 등의 외부 무선장치를 통해 보조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가 안전헬멧(100)을 착용시에 배터리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전헬멧(100)의 턱끈(130)에는 좌우를 서로 연결하는 버클이 형성되고, 좌우 버클에는 전도체가 각각 구비되어, 좌우 버틀이 연결될 시에는 제어부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후 턱끈(130)의 버클을 결합하는 경우, 제어부의 전원이 작동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는 안전헬멧(100)의 내부에 코일을 설치함에 따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배터리는 충전을 하기 위해 안전헬멧(100)에 단자를 설치하여 micro USB 등을 단자에 연결함에 따라 유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지 않고 교체할 수 있도록 배터리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안전헬멧(100)에는 영상촬영부가 구비되어 주행기록을 촬영하고, 제어부에서는 촬영한 주행기록을 저장장치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후,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주행기록을 통해 문제가 발생할 시 증거 등으로 제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은 안전조명, 골전도 이어폰, 산소포화 감지센서, 목마이크 등이 구비되어 개인이동수단을 주행할 시, 안전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안전헬멧
111 : 방향지시등
112 : 정지 및 주행등
113 : 안전등
121 : 골전도 이어폰
122 : 산소포화 감지센서
123 : 목마이크
130 : 턱끈

Claims (3)

  1. 개인이동수단의 주행시 사용되는 안전헬멧(100)에 제어부가 설치되어 주행시 안전성 및 편의성이 있는 것으로, 상기 안전헬멧(100)은 안전조명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조명은 방향지시등(111), 정지 및 주행등(112), 및 안전등(113)인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에 있어서,
    상기 개인이동수단은 자전거 또는 세그웨이이며,
    상기 안전헬멧(100)에는 외피, 충격흡수층, 패드, 맞춤조정부, 턱끈(130) 등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외피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카본파이퍼으로 성형된 외장으로, 외부의 충격시 마찰이 발생하는 부분이며, 상기 충격흡수층은 EPS(Expandable Polystyrene)소재로 성형된 외골격으로, 내부에 고탄성 프레임과 함께 성형되며, 상기 패드는 딱딱한 흡수층에 의한 불편함을 상쇄하기 위한 내장재이며, 상기 맞춤조정부는 머리 뒷 부분에 다이얼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도록 조절하는 부분이며, 상기 턱끈(130)은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후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안전헬멧(100)은 반구형으로 내부 공간이 오목한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들어갈 수 있는 것이며, 관통홀을 통해 내부 공간의 사용자의 머리가 외부 공기가 흐르면서 식을 수 있게 되며,
    상기 안전헬멧(100)에는 턱끈(130)이 구비되되, 사용자의 얼굴 좌우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안전헬멧(100)의 좌우측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턱끈(130)에는 골전도 이어폰(121), 산소포화 감지센서(122), 및 목마이크(123)가 설치되고, 각각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골전도 이어폰(121)은 턱끈(130)에 설치되어 귀를 막지 않게 사용자에게 음성을 전달함에 따라, 개인이동수단으로 주행시에도 통화, 음악재생 등의 음성을 듣는 것과 별개로 외부의 경고음 등의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이며,
    상기 목마이크(123)는 입을 가리지 않고 목의 진동을 감지하여 소리를 인식함에 따라 외부의 바람 등의 잡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산소포화 감지센서(122)는 사용자가 장착시 심박 및 혈중의 산소포화를 감지하여 운동, 사고방지 등에 도움을 주는 것이며,
    상기 개인이동수단의 주행시 사용되는 안전헬멧(100)에 제어부가 설치되되, 상기 안전헬멧(100)은 주행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자이로센서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고개를 흔드는 것을 자이로센서에서 신호로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자이로센서의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고개를 흔드는 방향을 판단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어부는 방향지시등(111), 정지 및 주행등(112), 안전등(113), 통화 받기, 통화 끊기 등의 제어를 하게 되는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자이로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고개를 흔드는 방향을 판단하여 흔드는 방향에 따라 제어를 하는 것이며,
    상기 자이로센서는 고개를 흔드는 속도도 감지하되, 상기 자이로센서의 고개를 흔드는 속도가 일정이하인 경우, 개인이동수단을 타고 이동시 충격으로 인해서 고개가 흔들리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를 작동시키지 않는 것이며,
    상기 안전헬멧(100)에는 제어부 등이 내장되되, 진공성형을 통해 랩핑(Wrapping)하는 것으로, 내부의 전자적인 부품인 제어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하는 것이며,
    상기 외피와 충격흡수층은 접착제로 결합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무선통신부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리모콘 등의 외부 무선장치를 통해 보조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가 안전헬멧(100)을 착용시에 배터리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안전헬멧(100)의 턱끈(130)에는 좌우를 서로 연결하는 버클이 형성되고, 좌우 버클에는 전도체가 각각 구비되어, 좌우 버틀이 연결될 시에는 제어부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후 턱끈(130)의 버클을 결합하는 경우, 제어부의 전원이 작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2. 삭제
  3. 삭제
KR1020180130917A 2018-10-30 2018-10-30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KR102081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917A KR102081514B1 (ko) 2018-10-30 2018-10-30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917A KR102081514B1 (ko) 2018-10-30 2018-10-30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514B1 true KR102081514B1 (ko) 2020-02-25

Family

ID=6964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917A KR102081514B1 (ko) 2018-10-30 2018-10-30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043B1 (ko) * 2022-01-04 2022-09-16 주식회사 라임폭스 동작인식센싱신호에 따른 led 안전표시기능과, 충전·동시사용제어기능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헬멧용 탈부착식 스마트 배터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787A (ko) * 2009-10-20 2011-04-27 김봉이 다기능 안전모듈 장착 첨단헬멧
KR101103516B1 (ko) * 2011-02-11 2012-01-06 성환도 스마트 소방 헬멧
KR20180008012A (ko) * 2016-07-15 2018-01-24 이만근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엘이디 경보등이 구성된 안전 헬멧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787A (ko) * 2009-10-20 2011-04-27 김봉이 다기능 안전모듈 장착 첨단헬멧
KR101103516B1 (ko) * 2011-02-11 2012-01-06 성환도 스마트 소방 헬멧
KR20180008012A (ko) * 2016-07-15 2018-01-24 이만근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엘이디 경보등이 구성된 안전 헬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043B1 (ko) * 2022-01-04 2022-09-16 주식회사 라임폭스 동작인식센싱신호에 따른 led 안전표시기능과, 충전·동시사용제어기능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헬멧용 탈부착식 스마트 배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0774B (zh) 安全帽與防護安全帽系統
CA2023088C (en) Protective helmet
JP6910132B2 (ja) リアビュー前置安全スマートヘルメット
KR100937395B1 (ko) 다기능 헬멧
US9060221B1 (en) Safety helmet with speaker assembly
US106869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6017049A (en) Interactive safety helmet for bicyclists
TWM520820U (zh) 安全帽的下巴護罩
JPH0120811B2 (ko)
KR102081514B1 (ko)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KR102081515B1 (ko)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제어방법
US20120196538A1 (en) Hands-free device
KR20170068196A (ko) 자전거 라이더용 스마트 헬멧
CN213604733U (zh) 多功能一体化的智能安全头盔
KR200491005Y1 (ko) 노이즈캔슬링 헬멧
KR102465075B1 (ko) Ict기반 다기능 스마트 헬멧
KR102168692B1 (ko) 송수신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안전모
JP6956456B2 (ja) ヘルメット/携帯電話機システム、携帯電話機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528571A (zh) 一种自动报警式安全头盔
JPS6021371Y2 (ja) ヘルメツト
TW201705741A (zh) 適用於二輪式交通工具或是運動人員使用之免持式通訊裝置
CN207666073U (zh) 一种骑行帽
GB1591712A (en) Helmets
JP7251969B2 (ja) ヘルメット
KR102430830B1 (ko) 물체 충돌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