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492A -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492A
KR20210092492A KR1020200005960A KR20200005960A KR20210092492A KR 20210092492 A KR20210092492 A KR 20210092492A KR 1020200005960 A KR1020200005960 A KR 1020200005960A KR 20200005960 A KR20200005960 A KR 20200005960A KR 20210092492 A KR20210092492 A KR 20210092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wire
bar
end cap
lim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163B1 (ko
Inventor
김연한
Original Assignee
김연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한 filed Critical 김연한
Priority to KR1020200005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16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부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스위치부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여 작동불능상태를 방지하여 고소작업대 사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고, 리미트스위치의 유지관리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각파이프타입의 스위치바와, 상기 스위치바의 상부에 장착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와 컨트롤러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으로 구성되어 고소작업대의 작업대 난간에 장착하여 작업대 상승시 접촉을 감지하면 상승을 정지시키는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바의 상단에 장착되어 스위치부를 유지하는 스위치장착대와;
상기 스위치바의 하단에 결합하여 전선을 보호하는 엔드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LIMIT SWITCHES FOR LIFT VEHICLE}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작업대에 장착되어 상승과정에서 건축 또는 구조물과 연접시 상승을 정지시켜 작업자의 협착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리미트스위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대는, 건축물이나 구조물 구축시 발생하는 높은 천장의 배관, 덕트, 조명 등의 공사나 높은 건물의 도장, 미장, 설비 등의 공사에 사용되는 장비로서, 직진형, 굴절형 등 여러 형태로 구분되며, 이동 및 지지가 이루어지는 대차부, 대차부 상단에 설치된 상태로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승강부, 및 승강부의 상단에 설치된 작업대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작업대에는 리미트스위치를 장착하여 상승과정에서 작업대와 건축 또는 구조물과 부딪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스프링와이어로 구비된 작동부재(10) 하부를 외장체(20)에 내장된 고정대(12)에 연결하고, 상기 고정대(12) 하부에 배치하고 내장지지체(22)에 내장된 승강구(30)를 마련하고, 상기 승강구(30)와 대응하는 스위치(42)가 스위치케이스(40)에 일부 노출되게 내장되어 이루어지는 리미트스위치(100)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10)의 하단에 승강 자유롭게 고정대(12)로 승강구(30)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구(30)의 중앙에 형성된 안내홈(32)에 내장지지체(22)에 결합된 감쇄유도핀(50)을 끼우되, 상기 감쇄유도핀(50)에 의해 한정된 영역만을 승강하는 승강구(30) 하단이 스위치(42)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물체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전기접점 작동부를 가지는 리미트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점 작동부의 동작부의 상면에, 완충로드가 설치되며, 상기 완충로드는, 상기 동작부의 동작방향인 제1 방향을 향하여 뻗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방향을 축으로 하는 탄성체봉이며,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의 외력에 대하여, 상기 완충로드는, 상기 제2 방향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향하고 있고, 상기 제2 방향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방향으로 굴곡되었다가, 상기 제2 방향의 외력이 소멸되면 다시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향 방향이 복귀되는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51080 - 0000 호 특허 제 10 - 0972536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의 선행기술은 작동부재가 연질성 재질이 적용되어 굽힘 동작은 물론 원상복귀를 자유롭게 하면서 변형이나 꺾이는 일이 없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리미트스위치를 구성하는 스위치부를 스위치바의 상단에 수용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범용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리미트스위치를 구성하는 스위치바가 현재 2가지 규격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 스위치부의 규격은 정하여져 있으나 스위치바의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호환성이 결여되어 모든 스위치부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스위치부를 스위치바의 상단에 수용시켜 고정하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과정 또는 취급하는 과정에서 스위치부 또는 스위치바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하지 못하고 리미트스위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으로 인하여 보수 및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스위치부와 연결된 전선이 스위치바를 통하여 하단으로 연결되는 데, 이러한 전선이 스위치바의 하단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장착을 위하여 취급하는 과정 또는 사용하는 과정에서 충추돌에 의하여 스위치바의 하단에 의하여 찍힘이 발생하는 경우가 일어난다.
이와 같이 스위치부와 연결되는 전선이 찍힘 등으로 인하여 단선이 발생할 경우에는 감지정보를 정상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실제 사용하는 과정에서 리미트스위치는 터치되어 감지하였으나 고소작업대로 정상적인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계속된 상승으로 인한 충,추돌로 인한 협착안전사고가 일어나는 등 여러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각파이프타입의 스위치바(105)와, 상기 스위치바(105)의 상부에 장착되는 스위치부(106)와, 상기 스위치부(106)와 컨트롤러(107)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108)으로 구성되어 고소작업대(101)의 작업대(102) 난간(103)에 장착하여 작업대(102) 상승시 접촉을 감지하면 상승을 정지시키는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100)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바(105)의 상단에 장착되어 스위치부(106)를 유지하는 스위치장착대(110)와;
상기 스위치바(105)의 하단에 결합하여 전선(108)을 보호하는 엔드캡부(130)를 더 포함하여;
스위치부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스위치부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여 작동불능상태를 방지하여 고소작업대 사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고, 리미트스위치의 유지관리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스위치바의 상단부에 스위치부를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장착하므로 스위치바의 규격에 관계없이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 중 일부 파손 또는 손상이 있을 경우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스위치바의 하단에 엔드캡을 더 구비하여 전선이 충,추돌에 의하여 찍히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의도치 않게 스위치부의 감지불량으로 인한 지속적인 상승으로 충,추돌과 협착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치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치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의 엔드캡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의 엔드캡부를 발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크스위치의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치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치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의 엔드캡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의 엔드캡부를 발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크스위치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100)는, 고소작업대(101)를 구성하는 작업대(102)의 난간(103)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장착하여 작업대(102) 상승시 접촉을 감지하면 상승을 정지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100)는, 난간(103)에 장착되는 각파이프타입의 스위치바(105)와, 상기 스위치바(105)의 상부에 장착되는 스위치부(106)와, 상기 스위치부(106)와 컨트롤러(107)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108)으로 크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치부(106)를 스위치바(105)의 상단에 장착되는 스위치장착대(110)로 유지하도록 하고, 스위치바(105)의 하단에는 엔드캡부(130)를 더 결합하여 전선(108)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장착대(110)는, 스위치부(106)를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판상형태의 고정면(11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면(111)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스위치부(106)의 양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림(112)을 형성하여 단면이 개략 "∩"형상의 장착대바디(113)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대바디(113)의 하측에는 스위치바(105)와 볼트와 너트로 결합할 수 있도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장착브라켓(115)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장착브라켓(115)의 상측위치 장착대바디(113) 내면에는 스위치부(106)로부터 인출되는 전선(108)을 안정되게 잡아주기 위한 전선유지구(116)를 더 구비한다.
상기 장착브라켓(115)의 폭(B)은 규격이 큰 스위치바(105)의 폭(B1)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규격이 작은 스위치바(105)와 결합시에는 판상형태의 스페이서(117)를 개재하여 치수차이를 극복하여 스위치바(105)의 종류에 관계없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엔드캡부(130)는, 상측에는 스위치바(105)의 내경부에 억지 결합될 수 있도록 접속부(131)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131)의 하측에는 스위치바(105)의 하단부에 노출되어 전선(108)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132)를 일체로 형성한 한 쌍의 엔드캡바디(135)를 구비한다.
상기 엔드캡바디(135)의 중앙부 축중심 방향에는 전선(108)이 경유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의 전선홈(136)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부(132)의 상측위치에는 전선홈(136)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전선유지부(137)를 일체로 더 형성한다.
상기 전선유지부(137)는, 전선홈(136)에 위치한 전선(108)을 유도할 수 있는 전선유도홈(138)과 상기 전선유도롬(138)의 상측위치에 유도된 전선(108)을 억지 결합시켜 잡아줄 수 있도록 전선(108)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전선유지홈(139)을 형성한다.
상기 엔드캡바디(135)의 마주보는 면에는 결합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로 치합될 수 있는 자웅(雌雄)체의 위치결정돌기(140)와 위치결정홈(141)을 형성하여 엔드캡부(130)를 스위치바(105)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바(105)의 상단에 스위치장착대(110)를 장착하여 스위치부(106)를 고정하여 스위치부(106)로부터 전선(108)을 인출하여 스위치바(105)를 통하여 하측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데, 장착대바디(113)를 구성하는 고정면(111)에 스위치부(106)를 밀착시켜 고정하고, 장착대바디(113)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브라켓(115)을 스위치바(105)의 상단과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 과정에서 스위치바(105)의 규격이 장착브라켓(115)의 폭보다 작은 경우에는 장착브라켓(115)과 스위치바(105) 사이에 스페이서(117)를 개재하여 유격발생을 배제시킨 후 결합함으로서 스위치바(105)의 규격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장착대바디(113)의 하측 내면에 구비되는 전선유지구(116)를 이용하여 스위치부(106)로부터 인출되는 전선(108)을 안정되게 잡아주어 유동하는 등의 현상이 없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스위치바(105)의 하단에는 함 쌍으로 구비되는 엔드캡바디(135)의 축 중심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선홈(136)에 전선을 위치시킨 후 위치결정돌기(140)와 위치결정홈(141)을 일치시킨 후 접속부(131)를 스위치바(105)의 하단부 내경에 강하게 밀어 넣어 엔드캡부(130)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분리된 한 쌍의 엔드캡바디(135)가 스위치바(105)의 하단부 내경에 억지결합되면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전선(108)은 전선홈(136)을 통하여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108)의 하단부를 잡고 전선유지부(137)를 구성하는 일측의 전선유도홈(138)으로 강하게 당긴 후 전선유지홈(139)에 억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전선(108)이 엔드캡부(130)의 하단이 아닌 일 측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전선(108)이 엔드캡부(130)의 일 측방으로 노출됨으로서 스위치바(105)의 하단부가 충,추돌되는 등의 부딪침이 있더라도 전선(108)이 찍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도중 스위치장착대(110), 스위치바(105), 엔드캡부(130) 등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리미트스위치(100)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스위치부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스위치부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여 작동불능상태를 방지하여 고소작업대 사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고, 리미트스위치의 유지관리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105; 스위치바 106; 스위치부
108; 전선 110; 스위치장착대
111; 고정면 112; 보호림
113; 장착대바디 115; 장착브라켓
116; 전선유지구 130; 엔드캡부
131; 접속부 132; 보호부
135; 엔드캡바디 136; 전선홈
137; 전선유지부 138; 전선유도홈
139; 전선유지홈 140; 위치결정돌기
141; 위치결정홈

Claims (3)

  1. 각파이프타입의 스위치바(105)와, 상기 스위치바(105)의 상부에 장착되는 스위치부(106)와, 상기 스위치부(106)와 컨트롤러(107)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108)으로 구성되어 고소작업대(101)의 작업대(102) 난간(103)에 장착하여 작업대(102) 상승시 접촉을 감지하면 상승을 정지시키는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100)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바(105)의 상단에 장착되어 스위치부(106)를 유지하는 스위치장착대(110)와;
    상기 스위치바(105)의 하단에 결합하여 전선(108)을 보호하는 엔드캡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장착대(110)는, 스위치부(106)를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판상형태의 고정면(111)과, 상기 고정면(111)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스위치부(106)의 양측면을 보호하는 보호림(112)으로 구성되는 장착대바디(113)와;
    상기 장착대바디(113)의 하측에 스위치바(105)와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장착브라켓(115)과;
    상기 장착브라켓(115)의 상측위치 장착대바디(113) 내면에 구비하여 스위치부(106)로부터 인출되는 전선(108)을 잡아주는 전선유지구(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부(130)는, 스위치바(105)의 내경부에 억지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에 형성하는 접속부(131)와, 상기 접속부(131)의 하측에 스위치바(105)의 하단부에 노출되어 전선(108)을 보호하는 보호부(132)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비하는 한 쌍의 엔드캡바디(135)와;
    상기 엔드캡바디(135)의 중앙부 축중심 방향에 전선(108)이 경유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반원형상의 전선홈(136)과;
    상기 보호부(132)의 상측위치에 전선홈(136)에 위치한 전선(108)을 유도할 수 있는 전선유도홈(138)과 상기 전선유도롬(138)의 상측위치에 유도된 전선(108)을 억지 결합시켜 잡아줄 수 있도록 전선(108)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전선유지홈(139)으로 구성하는 전선유지부(137)와;
    상기 엔드캡바디(135)의 마주보는 면에는 결합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로 치합될 수 있게 형성하는 자웅(雌雄)체의 위치결정돌기(140) 및 위치결정홈(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KR1020200005960A 2020-01-16 2020-01-16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KR10229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960A KR102299163B1 (ko) 2020-01-16 2020-01-16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960A KR102299163B1 (ko) 2020-01-16 2020-01-16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492A true KR20210092492A (ko) 2021-07-26
KR102299163B1 KR102299163B1 (ko) 2021-09-06

Family

ID=7712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960A KR102299163B1 (ko) 2020-01-16 2020-01-16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1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441B1 (ko) 2022-05-17 2022-11-03 이대형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533U (ja) * 1991-11-25 1993-06-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プロテクタ
JP2007159372A (ja) * 2005-12-08 2007-06-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のガイド装置
KR100972536B1 (ko) 2008-09-22 2010-07-28 아주렌탈 주식회사 완충접촉용 리미트스위치
KR200451080Y1 (ko) 2008-12-05 2010-11-23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고소작업차의 리미트스위치
KR20120006585U (ko) * 2011-03-16 2012-09-26 신한곤도라주식회사 고소작업대의 다단조절식 상한 리밋스위치
KR20150091786A (ko) * 2014-02-04 2015-08-12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KR20160071560A (ko) * 2014-12-11 2016-06-22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KR20170036971A (ko) * 2015-09-24 2017-04-04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고소작업차의 승강장치용 리미트스위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533U (ja) * 1991-11-25 1993-06-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プロテクタ
JP2007159372A (ja) * 2005-12-08 2007-06-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のガイド装置
KR100972536B1 (ko) 2008-09-22 2010-07-28 아주렌탈 주식회사 완충접촉용 리미트스위치
KR200451080Y1 (ko) 2008-12-05 2010-11-23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고소작업차의 리미트스위치
KR20120006585U (ko) * 2011-03-16 2012-09-26 신한곤도라주식회사 고소작업대의 다단조절식 상한 리밋스위치
KR20150091786A (ko) * 2014-02-04 2015-08-12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KR20160071560A (ko) * 2014-12-11 2016-06-22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KR20170036971A (ko) * 2015-09-24 2017-04-04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고소작업차의 승강장치용 리미트스위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163B1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023B1 (ko) 전방향 충돌 감지식 고소작업대용 리미트 스위치장치
KR200475143Y1 (ko)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US7337880B2 (en) Elevator car with lowerable roof
KR200465878Y1 (ko) 고소작업대의 다단조절식 상한 리밋스위치
KR102299163B1 (ko)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KR101326794B1 (ko) 고소작업대용 대차
KR101812231B1 (ko)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200490977Y1 (ko)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130028494A (ko) 고소작업대
KR20180104412A (ko)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140000033U (ko) 협착방지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CN204847694U (zh) 电梯轿顶伸缩式安全护栏
KR101680944B1 (ko)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KR20170036971A (ko) 고소작업차의 승강장치용 리미트스위치
KR102069636B1 (ko) 지중배전선로의 고장 알림 장치
KR100778533B1 (ko)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JPS62153098A (ja) 高所作業車の安全機構
CN204749953U (zh) 一种臂架收回检测装置及工程车辆
KR102587703B1 (ko) 고소작업차용 협착방지장치
KR20210031109A (ko)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KR20130091943A (ko) 아웃트리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고가사다리차량
CN217201793U (zh) 回转总成和塔式起重机
KR20200023861A (ko) 로프 보호기구
KR20150000605U (ko) 고소작업대의 리밋스위치 센서보호구
CN110080513B (zh) 一种爬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