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944B1 -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0944B1 KR101680944B1 KR1020140178562A KR20140178562A KR101680944B1 KR 101680944 B1 KR101680944 B1 KR 101680944B1 KR 1020140178562 A KR1020140178562 A KR 1020140178562A KR 20140178562 A KR20140178562 A KR 20140178562A KR 101680944 B1 KR101680944 B1 KR 1016809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e
- limit switch
- sensor module
- control device
- lift ar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절첩되며 승강하는 리프트암과, 상기 리프트암의 상부에 설치되고, 난간과 컨트롤 장치가 구비된 작업대를 포함하며, 장애물 감지 및 위상 변화에 따라 상기 작업대의 승강을 제한하도록 상기 리프트암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에 직립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암의 승강 높이 제어를 위하여 상부 일측에 리미트스위치가 결합되는 폴대 및 상기 폴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결합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호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 장치에 마련된 감지기를 보호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등의 건물 건축 시에는 벽돌이나 시멘트, 철제빔 등의 건축자재를 비롯한 각종 화물을 각층으로 운반하면서 공사를 시행하게 되며, 이러한 화물 운반시 승강기나 기중기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승강기는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고 공간이 제한되며 싣고 내릴 때 인력이 필요하므로 대형 화물의 운반이 불가능하고 인력 및 작업시간 등의 절감이 어렵다.
그리고, 상기 기중기의 경우 운반속도가 비교적 느리므로 화물을 여러 번 반복해서 운반하거나 소형 화물을 운반하기에는 부적합하고, 작업장소에서 작업자가 화물의 적재나 하역 위치를 조정해야 함에 따라 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화물의 적재나 하역 위치를 조정 시 장애물의 감지에 따라 승강 높이가 제한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 제20-0355350호(등록일 : 2004.06.28)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고소작업차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소작업차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승강 장치에 길이를 가지며 직립된 감지기가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는 이동이 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절첩되며 승강하는 리프트암과, 상기 리프트암의 상부에 설치되고, 난간과 컨트롤 장치가 구비된 작업대를 포함하며, 장애물 감지 및 위상 변화에 따라 상기 작업대의 승강을 제한하도록 상기 리프트암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에 직립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암의 승강 높이 제어를 위하여 상부 일측에 리미트스위치가 결합되는 폴대 및 상기 폴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결합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폴대의 상부 일면에 결합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의 상부에 길이를 가지며 직립 설치되고, 상기 폴대의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감지기 및 상기 센서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폴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컨트롤 장치와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보호 유닛은 상기 폴대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센서모듈이 결합된 상기 폴대의 일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감지기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부에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감지기의 외주면을 감싸며 마련되는 보호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라인은 상기 폴대에 마련된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폴대의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컨트롤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삽입 홀은 상기 폴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모듈의 하부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폴대는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전원라인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배출 홀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 홀은 상기 컨트롤 장치의 설치 위치를 향하여 상기 폴대의 하부 일면에 천공된다.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승강 장치에 길이를 가지며 직립된 감지기의 외주면에 별도의 보호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감지기가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리미트스위치에 연결된 전선이 소정의 삽입 경로를 형성하며 폴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전선에 발생된 장력이 리미트스위치와의 연결부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소작업차의 충격 등으로 인한 단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서 보호 유닛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서 보호 유닛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서 전원라인의 배출통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서 보호 유닛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서 보호 유닛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서 전원라인의 배출통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장애물 감지 및 위상 변화에 따라 승강이 제한되도록 형성된 고소작업차는 이동이 가능한 대차(10)와 대차(10)의 상부에 설치되고, 'X'자 형상으로 절첩되며 승강하는 리프트암(20)을 구비한다.
또한, 고소작업차는 리프트암(2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난간(40)과 컨트롤 장치(50)가 구비된 작업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작업대(3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탑승 공간을 마련하며, 테두리에는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난간(40)이 수직하게 설치된다.
작업대(30)는 탑승 공간의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 장치(50)의 조작을 통해 승강되고,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승강 높이를 변경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만일,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높이가 고정된 작업대(30)의 컨트롤 장치(50)를 조작하게 되면, 작업대(30)의 높이 변화에 따른 작업자의 부상을 발생시킬 수 있고, 작업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증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소작업차에는 장애물 감지 및 위상 변화에 따라 작업대(30)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컨트롤 장치(50)를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6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리미트스위치(60)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구조물 등의 장애물과 충돌 시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고소작업차는 리미트스위치(60)의 교체에 따른 비용 발생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는 폴대(100) 및 보호 유닛(200)을 포함한다.
폴대(100)는 난간(40)에 직립 설치되며, 리프트암(20)의 승강 높이 제어를 위하여 상부 일측에 리미트스위치(60)가 결합된다.
즉, 폴대(100)는 작업대(30)의 승강 시 작업대(30) 보다 장애물 등의 구조물에 리미트스위치(60)가 먼저 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난간(40)에 직립된다.
여기서, 폴대(10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외부의 충격 발생 시 부러지는 것이 아니라 충격 발생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써, 원상태로의 복원 후에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보호 유닛(200)은 폴대(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리미트스위치(60)가 결합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리미트스위치(60)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해, 보호 유닛(200)은 리미트스위치(60)가 결합된 폴대(100)의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양단부가 돌출되어 리미트스위치(60)에 구비된 감지기(64)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장애물 등의 구조물에 리미트스위치(60)가 접촉하게 되는 경우 리미트스위치(60)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서 보호 유닛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서 보호 유닛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는 리미트스위치(6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호 유닛(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 유닛(200)이 리미트스위치(60)에 구비된 감지기(64)를 보호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리미트스위치(60)는 센서모듈(62), 감지기(64) 및 전원라인(66)으로 형성된다.
센서모듈(62)는 폴대(100)의 상부 일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감지기(64)는 센서모듈(62)의 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설치된다.
감지기(64)는 폴대(100)의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효과적으로 장애물 등의 구조물을 감지하도록 한다.
이는, 폴대(100)의 높이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된 감지기(64)가 장애물 등과 같은 구조물에 접촉되는 경우, 컨트롤 장치(50)로 접촉 신호를 전달하여 리프트암(20)의 승강을 제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작업대(30)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감지기(64)는 1차적으로 장애물 등의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충격 발생 시 용이하게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감지기(64)는 전체가 하나로 이루어진 중실(中實)의 탄성체봉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파이프, 주름관, 플라스틱 봉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만일 감지기(64)가 실리콘이나, 우레탄, 특수고무, 탄성 합성수지 등의 탄성체봉인 경우, 가압력에 대한 내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기적 절연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감지기(64)는 접촉되는 장애물이 전기적 위험물인 경우라 하더라도, 전기가 센서모듈(151)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누설전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감지기(64)는 상기와 같은 재질적인 특징을 통해 장애물 등의 구조물과의 충돌 시 1차적으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2차적으로는 보호 유닛(200)에 의해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한 감지기(6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 유닛(200)은 결합부재(210) 및 보호부재(220)를 구비한다.
결합부재(210)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센서모듈(62)이 결합된 폴대(100)의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감싸도록 마련되고, 체결부재(300)의 체결을 통해 폴대(10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다.
보호부재(220)는 결합부재(210)의 양단부에서 센서모듈(62)이 결합된 폴대(100)의 일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센서모듈(62)의 상부에 구비된 감지기(64)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 홀(220a)을 구비한다.
즉, 보호부재(220)는 센서모듈(62) 보다 높은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감지기(6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그에 따라 센서모듈(62)에서 직립된 감지기(64)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센서모듈(62)에는 컨트롤 장치(50)와의 연결을 위하여 전원라인(66)이 설치된다.
전원라인(66)은 폴대(100)의 내부를 통과하여 컨트롤 장치작업대(30)의 내부에 설치된 컨트롤 장치(50)와 연결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구비된다.
이러한 전원라인(66)은 폴대(100)에 마련된 삽입 홀(100a)에 삽입되어 폴대(100)의 내부를 통과하며 컨트롤 장치(50)와 연결되는데, 여기서 삽입 홀(100a)은 폴대(100)의 타측에 설치되고, 센서모듈(62)의 하부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전원라인(66)이 소정의 삽입 경로를 형성하며 센서모듈(62)의 하부에서 꺾여져 삽입 홀(100a)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라인(66)에 발생된 장력으로 인해 전원라인(66)과 센서모듈(62)의 결합부위에서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전원라인(66)이 센서모듈(62)에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 경로 없이 바로 폴대(100)의 내부로 삽입되면, 폴대(100)에 충격이 가해져 폴대(100)의 변위가 변화하게 되는 경우, 컨트롤 장치(50)와 연결된 전원라인(66)이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전원라인(66)에 발생된 장력이 센서모듈(62)과의 결합부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전원라인(66)과 컨트롤 장치(5) 간의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삽입 경로가 형성되도록 삽입 홀(100a)이 센서모듈(62)의 하부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전원라인(66)에 발생된 장력이 전원라인(66)과 센서모듈(62)의 결합부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소작업차의 충격 등으로 인한 전원라인(66)의 단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폴대(100)에는 보호 캡(11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보호 캡(110)은 폴대(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탄성을 가지며 형성되어 폴대(100)의 승강 시 난간(40)의 바닥면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해, 폴대(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고, 일단부가 난간(40) 상에 결합되어 승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폴대(100)가 하강하여 난간(40) 상의 바닥면과 충돌하게 되면, 폴대(100)로 충격이 전달되어 폴대(100)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원라인(66)의 단선문제를 야기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대(100)에 결합된 보호 캡(110)을 통해 폴대(100)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전원라인(66)의 단선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결과적으로는 리미트스위치(60)의 기능적 결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서 전원라인의 배출통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는 리프트암(20)의 승강 높이 제어를 위하여 상부 일측에 리미트스위치(60)가 결합되는 폴대(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폴대(100)는 삽입 홀(100a)에 삽입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전원라인(66)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배출 홀(100b)을 구비한다.
배출 홀(100b)은 컨트롤 장치(50)의 설치 위치를 향하여 폴대(100)의 하부 일면에 천공된다.
이는, 전원라인(66)이 폴대(100)의 하부에서 배출되어 난간(40)의 내부를 통과하며 컨트롤 장치(50)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전원라인(66)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결과적으로는 전원라인(66)의 고장 시 유지보수를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외부로 배출된 전원라인(66)의 외주면에는 고무 또는 비닐 등으로 형성된 보호 호스(66a)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외부 충격 또는 빗물 등에 의해 전원라인(66)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승강 장치에 길이를 가지며 직립된 감지기의 외주면에 별도의 보호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감지지가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리미트스위치에 연결된 전선이 소정의 삽입 경로를 형성하며 폴대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전선에 발생된 장력이 리미트스위치와의 연결부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소작업차의 충격 등으로 인한 단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대차 20 : 리프트암
30 : 작업대 40 : 난간
50 : 컨트롤 장치 60 : 리미트스위치
62 : 센서모듈 64 : 감지기
66 : 전원라인 66a : 보호 호스
100 : 폴대 100a : 삽입 홀
100b : 배출 홀 110 : 보호 캡
200 : 보호 유닛 210 : 결합부재
220 : 보호부재 220a : 관통 홀
300 : 체결부재
30 : 작업대 40 : 난간
50 : 컨트롤 장치 60 : 리미트스위치
62 : 센서모듈 64 : 감지기
66 : 전원라인 66a : 보호 호스
100 : 폴대 100a : 삽입 홀
100b : 배출 홀 110 : 보호 캡
200 : 보호 유닛 210 : 결합부재
220 : 보호부재 220a : 관통 홀
300 : 체결부재
Claims (5)
- 이동이 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절첩되며 승강하는 리프트암과, 상기 리프트암의 상부에 설치되고, 난간과 컨트롤 장치가 구비된 작업대를 포함하며, 장애물 감지 및 위상 변화에 따라 상기 작업대의 승강을 제한하도록 상기 리프트암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에 직립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암의 승강 높이 제어를 위하여 상부 일측에 리미트스위치가 결합되는 폴대; 및
상기 폴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결합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폴대의 상부 일면에 결합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의 상부에 길이를 가지며 직립 설치되고, 상기 폴대의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감지기; 및 상기 센서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폴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컨트롤 장치와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유닛은, 상기 폴대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센서모듈이 결합된 상기 폴대의 일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감지기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부에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감지기의 외주면을 감싸며 마련되는 보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라인은,
상기 폴대에 마련된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폴대의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컨트롤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 홀은, 상기 폴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모듈의 하부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전원라인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배출 홀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 홀은, 상기 컨트롤 장치의 설치 위치를 향하여 상기 폴대의 하부 일면에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8562A KR101680944B1 (ko) | 2014-12-11 | 2014-12-11 |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8562A KR101680944B1 (ko) | 2014-12-11 | 2014-12-11 |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1560A KR20160071560A (ko) | 2016-06-22 |
KR101680944B1 true KR101680944B1 (ko) | 2016-11-30 |
Family
ID=5636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8562A KR101680944B1 (ko) | 2014-12-11 | 2014-12-11 |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09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934861B (zh) * | 2017-12-04 | 2019-04-16 | 甘肃路桥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交通用公路隧道维修加固平台 |
CN110844850B (zh) * | 2019-11-19 | 2021-03-05 | 苏州智米高装备科技有限公司 | 一种高空作业平台的安全控制系统 |
KR102299163B1 (ko) * | 2020-01-16 | 2021-09-06 | 김연한 |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
-
2014
- 2014-12-11 KR KR1020140178562A patent/KR10168094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1560A (ko) | 2016-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0686B1 (ko) |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 |
JP4590506B2 (ja) | 昇降路の底端部の高さが低いエレベータにおいて作業者を保護する安全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 | |
KR101680944B1 (ko) |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 |
JP6654995B2 (ja) | 高所作業車用安全具 | |
KR200475143Y1 (ko) |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 |
KR101547432B1 (ko) |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 |
KR100769925B1 (ko) |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 |
KR100962299B1 (ko) | 고소작업대의 자동제동장치 | |
KR102039508B1 (ko) |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 |
KR200490977Y1 (ko) |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 |
JP2011063352A (ja) | 他物接近監視機能付き高所作業用バケット | |
US10875456B2 (en) | Cab guard with adjustable railing system for aerial device | |
KR20180001335U (ko) | 높이 조절 가능한 레이더 마스트 및 이를 가지는 선박 | |
KR102445406B1 (ko) | 이동성이 개선된 배전반 | |
US20060042883A1 (en) | Elevator pit safety device | |
KR101629707B1 (ko) |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 |
KR20140000033U (ko) | 협착방지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 |
US8662251B2 (en) | Fall protection for personnel servicing an elevated work area from a man lift | |
KR20090063628A (ko) |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 |
KR200454307Y1 (ko) |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 |
KR102299163B1 (ko) |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 |
KR101605992B1 (ko) |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 |
KR101632485B1 (ko) | 작업용 승강기 | |
KR102205520B1 (ko) | 끼임사고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 |
KR101233749B1 (ko) |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하중 감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