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181A - 지게차 - Google Patents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181A
KR20200101181A KR1020190019479A KR20190019479A KR20200101181A KR 20200101181 A KR20200101181 A KR 20200101181A KR 1020190019479 A KR1020190019479 A KR 1020190019479A KR 20190019479 A KR20190019479 A KR 20190019479A KR 20200101181 A KR20200101181 A KR 20200101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forklift
carriage
laser irradiation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631B1 (ko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팩로지스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팩로지스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팩로지스틱스
Priority to KR102019001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3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승강하는 포크의 승강 높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주변 사람들이 지게차의 작업반경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게차(100)는 차체(110)의 전방에 설치된 마스트 레일부(120)를 따라 승강하는 백레스트(130)와, 상기 백레스트의 전방에 고정된 캐리지(140)와, 상기 캐리지의 전단에 고정된 한 쌍의 포크(150)와, 전방의 대상체를 향해 수평라인 형태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160a,160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지게차{Forklif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승강하는 포크의 승강 높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주변 사람들이 지게차의 작업반경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토목이나 건설 분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산업용 차량의 일종으로서, 엔진이나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동력으로 유압력을 발생시켜 화물을 들어올릴 수 있는 기계적 구조를 이루며, 고중량의 화물을 현장 내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각종 운반차량에 해당화물을 적재 또는 하차하는데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지게차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포크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임의의 높이로 리프트시켜 운송할 수 있게 구성된 관계로 운전자는 화물을 포크에 상차하거나 포크로부터 하차시킬 때 주로 아래로 내려다보거나 위로 올려다 보아야 하므로 포크의 높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다.
만일, 포크의 높이가 정확한 상차위치 또는 하차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차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운반 중인 화물은 물론 적재된 화물까지 전복되는 큰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지게차는 차고 자체가 높기 때문에 근처에 앉아 있는 작업자나 허리를 숙이고 작업하는 작업자를 인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게차의 작동을 전후방 주변에 알리는 경고기능을 부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게차는 지게차의 작동을 단순히 전후방 주변에 알리는 경고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주변이 항상 시끄럽고 청각보호를 위하여 귀마개를 한 작업자가 다수인 작업장 환경을 감안할 때 실질적인 작업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KR 10-1459760 B1
본 발명은 운전자가 포크의 높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주변의 작업자가 청각에 의존하지 않도고 지게차의 작동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지게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게차는 차체의 전방에 설치된 마스트 레일부를 따라 승강하는 백레스트와, 상기 백레스트에 고정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전단에 고정된 한 쌍의 포크와, 전방의 대상체를 향해 수평라인 형태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차체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작업장 바닥에 작업반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크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캐리지의 전단 중앙에 설치되어 포크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포크는 틸팅유닛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포크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포크를 상기 캐리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마스트 레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포크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실린더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포크의 틸팅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접촉스위치로부터 틸팅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한하여 동작이 중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촉스위치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캐리지의 전단에 설치된 스위칭 회로부와, 상기 포크에 설치되며 포크 틸팅시 상기 스위칭 회로부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접촉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촉단은 제1몸체와 제2몸체 그리고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하는 투명소재의 제3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3몸체부의 내측에는 양단이 각각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에 결합되어 일정강도 이상의 충격을 받거나 다회에 걸친 충격으로 일정이상의 피로가 누적되는 경우 파단되는 리미트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마스트 레일부에는 백레스트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위험신호를 발생시키는 높이제한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차체에는 상기 높이제한센서로부터 위험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 한하여 동작되는 알림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방의 대상체를 향해 수평라인 형태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장의 바닥에 레이저 라인으로 지게차의 작업반경을 표시하는 종래와는 달리 지게차의 작업반경 근처에 있는 작업자들이 청각이 아닌 시각을 통해 작업반경을 매우 용이하고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장의 소음이나 귀마개 착용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청각이 크게 떨어진 경우에 대해서까지 작업 안전성을 확실하게 보장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포크가 틸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포크가 틸팅되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접촉편의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는 차체(110)의 전방에 설치된 마스트 레일부(120)를 따라 승강하는 백레스트(130)와, 상기 백레스트(130)에 고정된 캐리지(140)와, 상기 캐리지(140)의 전단에 고정된 한 쌍의 포크(15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백레스트(130)와 캐리지(140)와 포크(150)들은 모두 종래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레이저 조사부(160a,160b)를 구비한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160a,160b)는 전방의 대상체를 향해 라인형태로 레이저를 조사한다.
이 경우, 상기 레이저 조사부(160a)는 작업장 바닥에 지게차(100)의 작업반경을 표시할 수 있도록 차체(110)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레이저 조사부(160a)를 일정각도로 바닥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하면 작업장 바닥에 수평라인 형태로 레이저가 조사되므로 설치 높이에 따라 설치각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작업장의 바닥에 레이저 라인으로 지게차(100)의 작업반경을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체(110)에 상기 레이저 조사부(160a)가 설치되면 지게차(100)의 작업반경 근처에 있는 작업자들이 청각이 아닌 시각으로 작업반경을 매우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장의 소음이나 귀마개 착용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청각이 크게 떨어진 경우라 하더라도 작업안전성이 확실하게 보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160a)가 차체(110)의 후방 상단에 설치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레이저 조사부(160b)는 상기 포크(150)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캐리지(140)의 전단 중앙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게차 운전자는 전방에 표시되는 레이저 라인을 통해 포크(150)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매우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화물의 상차와 하차를 매우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150)는 틸팅부재(170)를 통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틸팅부재(170)는 상기 포크(15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포크(150)를 상기 캐리지(140)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결합부(171)와, 상기 마스트 레일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포크(150)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실린더부재(17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172)는 백레스트(120)에 고정된 실린더와, 상기 캐리지(140)를 관통하여 캐리지(140) 전방에 위치한 포크(150)의 후면을 지지하는 실린더로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로드가 상기 실린더로부터 인출되면 포크(150)가 힌지결합부(171)를 중심으로 상향회전하면서 틸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포크(150)가 틸팅가능하게 구성되면, 작업자는 포크(150)를 상향으로 틸팅시킨 상태에서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즉, 포크(150)에 화물을 상차시킨 상태에서 포크(150)를 상방으로 틸팅시키면 화물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보다 안정된 상태로 화물의 운반이 가능해지며, 특히 지게차(100)를 후진시킬 때 발생되는 관성에 의해 화물이 포크(150)의 전방으로 밀리면서 포크(150)로부터 추락하는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포크(150)의 틸팅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스위치(18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접촉스위치(180)는 상기 레이저 조사부(160b)와 연결되며 상기 캐리지(140)의 전단에 설치된 스위칭 회로부(181)와, 상기 포크(150)에 설치되며 포크(150) 틸팅시 상기 스위칭 회로부(181)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접촉편(18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리지(140)의 전단 중앙에 설치된 레이저 조사부(160b)는 상기 접촉스위치(180)로부터 틸팅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한하여 동작이 중지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촉스위치(180)가 설치되면, 포크(150)가 틸팅되는 경우, 스위칭 회로부(181)와 접촉편(182)과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서 접촉스위치(180)로부터 상기 캐리지(140)의 전단 중앙에 설치된 레이저 조사부(160b)로 틸팅신호가 송출되고 이 신호를 수신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160b)는 동작이 정지되면서 더 이상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게 된다.
이는 포크(150)가 틸팅상태 하에서는 지게차(100)가 상차 또는 하차를 마치고 운행을 개시 또는 운행 중인 상태이므로 운행 중 불필요하게 포크(150)의 전방으로 레이저가 조사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접촉편(182)은 캐리지(140)와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편(182)은 포크(150)에 부착되는 탄성재질의 제1몸체(182a)와 자유단을 이루는 제2몸체(182b), 그리고 상기 제1몸체(182a)와 제2몸체(182b)를 연결하는 투명 탄성재질의 제3몸체(182c)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3몸체(182c)부의 내측에 양단이 각각 제1몸체(182a)와 제2몸체(182b)에 결합된 리미트 부재(182d)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미트 부재(182d)는 외부 충격시 탄성변형되는 제3몸체(182c)를 따라 구부러지는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과 같이 연성이 높은 재질로 와이어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몸체(182a)나 제2몸체(182b)로부터 일정강도 이상의 충격을 받거나 다회에 걸친 충격으로 일정이상의 피로가 누적되는 경우 파단된다.
따라서, 상기 리미트부재(182d)가 파단되면 제1몸체(182a)와 제2몸체(182b)에도 동일한 응력이 누적되어 접촉편(182)의 접촉성능이 크게 떨어전 것이므로 조기에 교체가 요구되며, 사용자는 투명한 제3몸체(182c)를 통해 리미트 부재(182d)의 파단 여부와 접촉편(182)의 교체시기를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스트 레일부(120)에는 백레스트(130) 또는 포크(150)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운행 위험신호를 발생시키는 높이제한센서(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체(110)에는 상기 높이제한센서(200)로부터 운행 위험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 한하여 동작되는 알림부재(210)가 설치된다. 상기 알림부재(210)는 지게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경광등이나 알람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높이제한센서(200)는 감지범위 내로 접근하는 백레스트(130) 또는 포크(150)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트 레일부(120)에 설치된 근접센서로서, 백레스트(130) 또는 포크(150)가 일정높이로 상승하면 상기 알림부재(210)에 운행 위험신호를 송출한다.
이와 같이, 높이제한센서(200)가 설치되면, 지게차 운전자가 포크(150)를 일정높이 상승시킨 상태로 운행을 할 경우 알림부재(210)가 동작하면서 지게차 운전자로 하여금 포크의 높이를 낮추도록 주위를 환기시켜 주므로 자칫 지게차 운전자의 부주의로 포크(150)를 상승시킨 상태로 지게차(100)를 운행하다가 포크(150)와 함께 상승한 마스트의 상부가 작업장 내 상부 구조물에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백레스트(130) 또는 포크(150)가 일정높이로 상승할 때 마다 알림부재(210)가 동작되면 지게차 운전자가 과도한 피로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차체(110)에 탑재된 주행제어장치에 딜레이 회로를 추가하여 주행개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한하여 알림부재(210)가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차체 후방측으로 별도의 소정의 향을 발산하는 공지된 형태의 발향부(166)를 두어 소정 거리 이내로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발향부(166)를 통하여 주변에 소정의 향을 발산함으로써 지게차의 움직임에 따른 위험을 주변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평상시에는 램프를 통한 빛을 발산하다가 상기 리미트부재(182d)가 파손되는 경우에는 램프가 꺼지도록 상기 리미트부재(182d)를 전원 연결선으로 적용되는 형태로 상기 제1몸체(182a) 또는 제2몸체(182b)에 각각 램프(188a)와 전원부(188b)가 적용되고, 램프(188a)의 광원을 외부에서 쉽게 파악하도록 하는 볼록반사부(188c)가 상기 제1몸체(182a) 또는 제2몸체(182b)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절 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투명 탄성재질의 제3몸체(182c) 측부에는 쐐기부(881) 및 상기 쐐기부(881)를 상기 제3몸체(182c) 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탄성부(882)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제3몸체(182c)가 잦은 사용으로 내구성이 약화된 경우 상기 쐐기부(881)가 이동하여 제3몸체(182c) 내측 중앙부로 이동하면서 제3몸체(182c)가 파손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지게차 110; 차체
120; 마스트 레일부 130; 백레스트
140; 캐리지 150; 포크
160a,160b; 레이저 조사부

Claims (3)

  1. 차체의 전방에 설치된 마스트 레일부를 따라 승강하는 백레스트;
    상기 백레스트에 고정된 캐리지;
    상기 캐리지의 전단에 고정된 한 쌍의 포크; 및
    전방의 대상체를 향해 수평라인 형태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
    를 구비한 지게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차체의 외측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작업장 바닥에 작업반경을 표시하는 지게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는 상기 포크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캐리지의 전단 중앙에 설치되어 포크의 높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지게차.
KR1020190019479A 2019-02-19 2019-02-19 지게차 KR102166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79A KR102166631B1 (ko) 2019-02-19 2019-02-19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479A KR102166631B1 (ko) 2019-02-19 2019-02-19 지게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181A true KR20200101181A (ko) 2020-08-27
KR102166631B1 KR102166631B1 (ko) 2020-10-16

Family

ID=7223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479A KR102166631B1 (ko) 2019-02-19 2019-02-19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9113A (zh) * 2020-11-23 2021-03-12 湖南利美防爆装备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叉车用防货物坠落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393A (ja) * 1999-06-24 2001-01-09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
EP2184254A1 (en) * 2008-11-11 2010-05-12 Deutsche Post AG Guidance and collision warning device for forklift trucks
KR101459760B1 (ko) 2007-12-26 2014-11-07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주변 경고장치
KR20150007618A (ko) * 2013-07-11 2015-0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도크의 반목 위치 인식 표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8276A (ko)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두산 지면 조사 기능을 가지는 차량
KR20170102202A (ko) * 2014-09-15 2017-09-08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광학적 적재물 감지 구조물을 구비한 리프트 트럭
US20170285644A1 (en) * 2016-03-30 2017-10-05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Forklif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393A (ja) * 1999-06-24 2001-01-09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
KR101459760B1 (ko) 2007-12-26 2014-11-07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주변 경고장치
EP2184254A1 (en) * 2008-11-11 2010-05-12 Deutsche Post AG Guidance and collision warning device for forklift trucks
US20110234389A1 (en) * 2008-11-11 2011-09-29 Deutsche Post Ag Guidance and collision warning device for forklift trucks
KR20150007618A (ko) * 2013-07-11 2015-0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도크의 반목 위치 인식 표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02202A (ko) * 2014-09-15 2017-09-08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광학적 적재물 감지 구조물을 구비한 리프트 트럭
KR20170078276A (ko)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두산 지면 조사 기능을 가지는 차량
US20170285644A1 (en) * 2016-03-30 2017-10-05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Forklif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9113A (zh) * 2020-11-23 2021-03-12 湖南利美防爆装备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叉车用防货物坠落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479113B (zh) * 2020-11-23 2024-05-03 湖南利美防爆装备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叉车用防货物坠落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631B1 (ko)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19673T3 (es) Dispositivo antiatrapamiento para elevadores de tijera
AU2014301264B2 (en) Aerial lift with secure control console
CN108529516B (zh) 用于空中作业平台的障碍检测系统
JP6274665B2 (ja) 高所作業車用上部衝突防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衝突防止方法
KR101941915B1 (ko) 안전 시스템이 설치된 지게차
KR20080039329A (ko) 고소작업차
CN107161916B (zh) 一种前移式叉车的自动调平装置和方法
KR102166631B1 (ko) 지게차
KR20200013544A (ko) 지게차
KR20120084868A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지게차
JP6397954B2 (ja) 操作者制御ステーションの保護を強化する光電気システム
JP6654995B2 (ja) 高所作業車用安全具
KR20220145363A (ko) 차량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차량 매개변수 수정
KR102018765B1 (ko) 지게차 포크 위치 검출 장치
JP6766741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4298453B2 (ja) 荷役補助装置、及び、監視装置
JP2022130788A (ja) 産業車両
KR20180007741A (ko) 지게차 안전장치
JP5435603B1 (ja) ピッキングリフトの転落防止装置、および該転落防止装置を備えたピッキングリフト
CN108545670A (zh) 一种激光导航叉车装置
CN211496697U (zh) 一种具有支腿松动检测装置的起重机
JP2003192295A (ja) フォークリフト
JP2006023497A (ja) 表示装置
JP2002327468A (ja) 作業機械の保安装置
KR200394583Y1 (ko) 차량의 전복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