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012B1 -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 Google Patents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012B1
KR102610012B1 KR1020210105987A KR20210105987A KR102610012B1 KR 102610012 B1 KR102610012 B1 KR 102610012B1 KR 1020210105987 A KR1020210105987 A KR 1020210105987A KR 20210105987 A KR20210105987 A KR 20210105987A KR 102610012 B1 KR102610012 B1 KR 102610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ola
workpiece
work
cage
ca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3998A (ko
Inventor
홍근철
홍지환
Original Assignee
대한곤돌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곤돌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곤돌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5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01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작업물의 양면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구조화됨과 동시에 설치위치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에 의해 발포작업이나 스프레이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이나 교량을 포함한 구조물의 슬래브(10) 저면에서 하향 돌출된 H빔(11)을 포함한 피작업물의 좌우 양측에서 슬래브(10)의 저면에 와이어로프(22,23)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승강되는 곤돌라본체(21)를 포함하는 대형곤돌라로서, 상기 곤돌라본체(21)는, 상기 피작업물의 일측에 구비된 와이어로프(22)에 매달리며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작업물의 일면을 작업하도록 된 제1 제1케이지부(26); 및 상기 피작업물의 타측에 구비된 와이어로프(23)에 매달리며 상기 제1케이지부(26)와 일체로 연결되어 제1케이지부(26)와 함께 승강되고, 작업자가 탑승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작업물의 타면을 작업하도록 된 제2 케이지부(27);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지부(26)와 제2케이지부(27) 사이에는 제1케이지부(26)와 제2케이지부(27)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피작업물이 삽입되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홈(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이다.

Description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Big size gondola of contact structure}
본 발명은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작업물의 양면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구조화됨과 동시에 설치위치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에 의해 발포작업이나 스프레이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교량 등의 시공이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곤돌라는 대개 옥상이나 슬래브 상에 고정 지지되어 와이어로프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작업을 행하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곤돌라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된 케이지가 구비되어 와인더에 의해 와이어로프를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하여 건물의 외벽을 상하로 이동하거나 건물이나 교량의 슬래브 저면측에 매달린 상태로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예를 들면, 건물의 방재 또는 단열공사 등을 위해 우레탄폼을 발포하거나 방수공사나 부식방지 또는 미관을 위해 페인트 등을 스프레이하는 작업을 위해서는 곤돌라를 와이어로프에 의해 슬래브 측으로 끌어 올린 상태에서 슬래브나 이를 보강하기 위해 설치된 H빔에 곤돌라를 고정 설치한 상태로 작업자가 작업을 행하는데, 이러한 발포작업이나 스프레이작업 중에는 폼이나 페인트가 낙하하거나 독성의 기체가 발산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가림막 등으로 곤돌라의 둘레을 커버한 상태로 작업을 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곤돌라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 자체의 크기나 구조가 전술된 H빔과 같은 피작업물의 좌우로 구분되는 양면을 동시에 작업하는 데에 한계가 따르는 것으로, 이로 인해 종래에는 양면 작업이 필요한 피작업물의 경우에 개별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 인해 곤돌라의 승강작동이나 가림막 등의 설치나 셋팅 등의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7935호(2018. 01. 24)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좌우로 분할된 케이지에 의해 피작업물의 양면을 동시에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설치위치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에 의해 가림막 등을 용이하게 설치하여 발포작업이나 스프레이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된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건물이나 교량을 포함한 구조물의 슬래브(10) 저면에 와이어로프(22,23)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작업이 가능한 곤돌라본체(21)가 구비되되;
상기 곤돌라본체(21)는
상기 와이어로프(22,23) 상에서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래브(10)의 저면에 하향 돌출되는 H빔(11)을 포함한 피작업물이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 형성된 오홈(25);
상기 수용부(25)의 일측에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작업물의 일면을 작업하도록 된 제1 케이지부(26)와;
상기 제1 케이지부(26)에 대향되도록 상기 수용부(25)의 타측에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작업물의 타면을 작업하도록 된 제2 케이지부(2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곤돌라본체(21)의 상단에는 상기 슬래브(1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가압바(30)와;
상기 가압바(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지수단(3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로프(22,23)는 상기 제1 케이지부(26)의 좌우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와이어로프(22)와, 상기 제2 케이지부(27)의 좌우에 결합되는 다른 한 쌍의 제2 와이어로프(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곤돌라본체(21)에는 상기 가압바(30)의 접촉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곤돌라본체(21)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도록 된 리미트센서(2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H빔(11)과 같은 피작업물이 곤돌라본체(21)의 서로 일체로 결합된 제1케이지부(26)와 제2케이지부(27) 사이의 상면이 개방된 오목홈(25)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므로, 상에 제1 및 제2케이지부(26,27)가 일체로 함께 승강되기 때문에 승강수단의 구조가 간소화되면서 작업자가 피작업물의 양면에 우레탄폼을 발포하는 작업이나 페인트 등을 스프레이하는 작업 등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곤돌라본체(21) 상단에 슬래브(10)에 밀착되는 가압바(30)가 구비됨에 따라, 작업과정에서 폼이나 페인트 등과 같은 액상물질이 튀거나 신나와 같은 독한 냄새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는 데에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와이어로프(22,23)에 의해 다수의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곤돌라본체(21)를 지지하여 대형의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미트센서(28)에 의해 곤돌라본체(21)의 상승위치를 감지하여 가압바(30)에 의한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장치의 손상이나 사고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형곤돌라(20)는 좌우에 각각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건물이나 교량의 시공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슬래브(10)의 프레임 상에 와이어로프(22,23)를 결합하고, 승강와인더(24)에 의해 곤돌라본체(21)가 와이어로프(22,23)를 타고 승강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곤돌라본체(21)는 프레임에 의해 대략 사각박스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박스의 폭중간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홈(25)이 형성되는데, 이 오목홈(25)은 곤돌라본체(21)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슬래브(10)의 저면에 하향 돌출되는 H빔(11)과 같은 피작업물이 삽입되도록 된 것이고, 이 수용홈(25)의 좌우에 각각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된 제1케이지부(26)와 제2케이지부(27)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곤돌라본체(21)는 상기 제1 케이지부(26)와 제2 케이지부(27)가 형성될 수 있도록 자체의 무게나 사이즈가 큰 대형의 장치로 제작되므로, 이를 지탱하기 위한 와이어로프(22,23)는 상기 제1 케이지부(26)와 제2 케이지부(27) 측을 각각 좌우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와이어로프(22)와 다른 한 쌍으로 된 제2 와이어로프(23)로 구성될 수 있고, 이 제1 및 제2 와이어로프(22,23)에 의해 곤돌라본체(21)를 4개의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지탱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래브(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와이어로프(22,23)에 매달린 상태로 위치 고정되어 H빔(11)과 같은 피작업물의 양면에서 동시에 작업하는 데에 용이한 것으로,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은 오목홈(25)에 의해 피작업물이 곤돌라본체(21)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오목홈(25)의 좌우에 위치되는 제1케이지부(26)와 제2케이지부(27)에 각각 작업자가 탑승하여 상기 피작업물의 양면에서 동시에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구체적인 작업의 일례로는 슬래브(10)의 H빔(11) 상에 난연이나 단열을 위한 우레탄폼 등을 발포할 때에 작업자가 H빔(11)의 양면에서 동시에 발포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발포작업을 종래의 곤돌라에 의해 행하게 된다면 H빔(11)의 일면에 발포작업을 행한 후에, 곤돌라를 H빔(11)의 타면에 대응되도록 설치 및 셋팅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작업시간의 지연이 발생될 수밖에 없는 반면에, 본 발명은 장치의 설치나 셋팅을 최소화한 상태로 양면작업이 가능하여 시간과 작업상의 난이도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곤돌라본체(21)의 상단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지수단(31)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가압바(30)가 구비된 것으로, 이 가압바(30)는 슬래브(10)의 저면에 밀착 가능하여 곤돌라본체(21)를 커버하는 가림막(40) 등을 설치하는 데에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를 도 2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바(30)는 곤돌라본체(21)의 전장에 대응되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되고, 이 가압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탄지수단(31)이 구비되어 가압바(30)를 전체적으로 슬래브(10) 상에 밀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가압바(30)의 밀착과정에서는 곤돌라본체(21)의 포스트 상단측에 구비된 리미트센서(28)에 의해 가압바(30)의 접촉상태를 감지하여 장치의 승강작동을 제어 가능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H빔(11)과 같은 피작업물 상에 우레탄폼을 발포하여 방재 또는 단열공사를 하거나 페인트 등을 스프레이하여 방수 또는 미장작업을 행할 때에는 액상의 우레탄이나 페인트 등이 튀거나 분진 또는 페인트나 신나와 같은 독한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비닐이나 천 등으로 가림막(40)을 설치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곤돌라본체(21)의 설치시에 슬래브(10) 저면에 가압바(30)가 접촉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가압 밀착됨에 따라, 전술된 바와 같은 가림막(40)의 설치시에 가압바(30)에 의해 가림막(40)이 물린 상태로 슬래브 상에 밀착시킬 수 있어 작업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 것이며,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추락방지장치(35)와 과부하방지장치(36)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슬래브 11: H빔
20: 대형곤돌라 21: 곤돌라본체
22,23: 와이어로프 24: 승강와인더
25: 오목홈 26: 제1 케이지부
27: 제2 케이지부 28: 리미트센서
30: 가압바 31: 탄지수단
40: 가림막

Claims (3)

  1. 건물이나 교량을 포함한 구조물의 슬래브(10) 저면에서 하향 돌출된 H빔(11)을 포함한 피작업물의 좌우 양측에서 슬래브(10)의 저면에 와이어로프(22,23)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승강되는 곤돌라본체(21)를 포함하는 대형곤돌라로서,
    상기 곤돌라본체(21)는,
    상기 피작업물의 일측에 구비된 와이어로프(22)에 매달리며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작업물의 일면을 작업하도록 된 제1 제1케이지부(26); 및
    상기 피작업물의 타측에 구비된 와이어로프(23)에 매달리며 상기 제1케이지부(26)와 일체로 연결되어 제1케이지부(26)와 함께 승강되고, 작업자가 탑승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작업물의 타면을 작업하도록 된 제2 케이지부(27);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지부(26)와 제2케이지부(27) 사이에는 제1케이지부(26)와 제2케이지부(27)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상기 피작업물이 삽입되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홈(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본체(21)의 상단에는 상기 슬래브(1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가압바(30)와;
    상기 가압바(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지수단(3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본체(21)에는 가압바(30)의 접촉상태를 감지하여 곤돌라본체(21)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도록 된 리미트센서(2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KR1020210105987A 2021-08-11 2021-08-11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KR102610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987A KR102610012B1 (ko) 2021-08-11 2021-08-11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987A KR102610012B1 (ko) 2021-08-11 2021-08-11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98A KR20230023998A (ko) 2023-02-20
KR102610012B1 true KR102610012B1 (ko) 2023-12-06

Family

ID=8532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987A KR102610012B1 (ko) 2021-08-11 2021-08-11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0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508B1 (ko) * 2019-08-16 2019-11-04 (주)이엘렌탈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CN213449427U (zh) * 2020-08-17 2021-06-15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用于沉井井孔内的垂直升降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858Y2 (ja) * 1992-10-21 1997-04-23 三伸機材株式会社 吊り足場
NO314551B1 (no) * 1999-06-11 2003-04-07 Ove Aaland Anordning ved arbeidsplattform som er opphengt i en overliggende b¶rekonstruksjon
KR101892243B1 (ko) 2016-07-15 2018-08-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용 케이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508B1 (ko) * 2019-08-16 2019-11-04 (주)이엘렌탈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CN213449427U (zh) * 2020-08-17 2021-06-15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用于沉井井孔内的垂直升降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98A (ko)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24777B (zh) 建筑外墙装饰施工专用悬吊平台
JP2008045363A (ja) 吊下げ装置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JP2018070362A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KR102610012B1 (ko)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JP2002138659A (ja) 簡易組立型のゴンドラ吊下式作業装置
JP5181275B2 (ja) 外周養生装置およびカーテンウォールの施工方法
JP4071249B2 (ja) 索条吊下げ用治具
JP3950800B2 (ja) つり足場
KR200165564Y1 (ko) 안전그물망장치
KR200198526Y1 (ko) 건축 공사에 있어서 방진프레임 현수장치
JP4796198B1 (ja) 作業用足場装置
JP2687050B2 (ja) 作業足場
KR102590849B1 (ko) 이중레일구조의 곤돌라장치
JP3215062U (ja) 落下防止ユニット
JP2008063873A (ja) 天井の搬送機構及び施工方法
JPH0718845A (ja) 昇降足場
JP4886292B2 (ja) エレベータ据え付け工事における親綱の保持構造
CN212957531U (zh) 一种建筑施工用室内脚手架
JPH03262869A (ja) 作業足場
RU2760654C2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модульных ограждаю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KR102621157B1 (ko) 곤도라 확장용 발판
JPH06206698A (ja) ゴンドラ懸吊装置
JP3124057U (ja) ユニックアーム吊設用足場
KR101652066B1 (ko) 중량 구조물의 승강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