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010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010B1
KR101936010B1 KR1020177026497A KR20177026497A KR101936010B1 KR 101936010 B1 KR101936010 B1 KR 101936010B1 KR 1020177026497 A KR1020177026497 A KR 1020177026497A KR 20177026497 A KR20177026497 A KR 20177026497A KR 101936010 B1 KR101936010 B1 KR 101936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elevator car
lever
moving par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865A (ko
Inventor
나오유키 마루야마
다카히데 이시구로
가즈야 신도
히로노부 가마다
준코 와카모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8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B66B5/0062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by device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he elevator 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난간 가동부(8)는 통상 위치와 하강 위치와의 사이에서 난간 베이스부(7)에 대해서 상하동 가능하다. 유지 기구(9)는 난간 가동부를 통상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시킨다. 유지 기구에는 해제 레버(10)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 내의 최상층의 승강장 층상보다도 상방에는, 작동 부재(11)가 마련되어 있다. 작동 부재(11)는 엘리베이터 칸이 통상의 이동 범위를 넘어 상승했을 때, 해제 레버(10)에 닿아서 해제 레버(10)를 변위시킴으로써, 난간 가동부(8)를 하강 위치로 하강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상면에 난간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한쌍의 측면 난간과, 배면(背面) 난간이 엘리베이터 칸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측면 난간 및 배면 난간은, 엘리베이터 칸 상에 눕혀진 상태와 세워진 상태의 사이에서 각각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4220464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칸 상에 올라타서 측면 난간 및 배면 난간을 세우는 작업을 행하지만,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의 간극이 큰(예를 들면, 300mm 이상) 경우에는, 작업자가 간극으로부터 승강로 내로 낙하하지 않도록 난간을 상시 세워 두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또, 난간에서부터 승강로벽까지의 수평거리가 큰 경우(예를 들면, 500mm 이상)에는, 작업자가 잘못하여 난간을 타고 넘어가지 않도록 난간의 높이를 높게(예를 들면, 1100mm 이상)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승강로의 정부(頂部, 꼭대기부)에는, 만일 엘리베이터 칸이 상방향으로 폭주(暴走)하여 균형추가 승강로 피트의 완충기에 충돌했을 경우에도, 난간이 승강로의 천정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여유 치수, 즉 오버헤드 치수가 확보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예를 들면 1100mm 높이의 난간을 엘리베이터 칸 상에 상설했을 경우, 예를 들면 700mm 높이의 난간을 상설하는 경우에 비해 400mm나 오버헤드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또, 난간에서부터 승강로벽까지의 수평거리를 작게 하도록, 승강로벽에 낙하 방지판을 설치하는 방법도 있지만, 기재(機材) 코스트 및 설치 코스트가 높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오버헤드 치수의 증대 및 코스트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난간 장치의 필요한 높이 치수를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상면을 가지고 있고,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엘리베이터 칸 상면에 고정된 난간 베이스부와, 난간 베이스부에 접속되어 있는 난간 가동부를 가지고 있는 난간 장치를 구비하고, 난간 가동부는 난간 베이스부로부터 상방(上方)으로 돌출된 통상 위치와, 통상 위치로부터 하강한 위치인 하강 위치와의 사이에서 난간 베이스부에 대해서 상하동(上下動) 가능하게 되어 있고, 난간 베이스부와 난간 가동부와의 사이에는, 난간 가동부를 통상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시키는 유지 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유지 기구에는, 유지 기구에 의한 난간 가동부의 유지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레버가 마련되어 있고, 승강로 내의 최상층의 승강장 층상보다도 상방에는, 엘리베이터 칸이 통상의 이동 범위를 넘어 상승했을 때, 해제 레버에 닿아서 해제 레버를 변위시킴으로써, 유지 기구에 의한 난간 가동부의 유지를 해제시켜 난간 가동부를 하강 위치로 하강시키는 작동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이 통상의 이동 범위를 넘어 상승했을 때, 작동 부재가 해제 레버에 닿아서 해제 레버를 변위시킴으로써, 유지 기구에 의한 난간 가동부의 유지를 해제시켜 난간 가동부를 통상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하강시키므로, 오버헤드 치수의 증대 및 코스트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난간 장치의 필요한 높이 치수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난간 가동부가 하강 위치로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난간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난간 가동부가 하강 위치로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유지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해제 레버가 캠에 닿아 회전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난간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난간 가동부가 하강 위치로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4의 텐션 스프링(tension spring)을 생략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유지 기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유지 기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유지 기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난간 가동부가 하강 위치로 변위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는, 현가체(懸架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승강로(3) 내에 매달려 있고, 권상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3) 내를 승강한다.
현가체로서는,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복수 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권상기는 구동 시브,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 및 구동 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현가체는 구동 시브에 감겨져 있다.
승강로(3)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1)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a, 4b)과, 균형추(2)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a, 5b)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1)은 수평한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에는, 난간 장치(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난간 장치(6)는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의 좌우의 가장자리부와 뒤측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세워져 있다.
또, 난간 장치(6)는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에 고정된 난간 베이스부(하부 난간)(7)와, 난간 베이스부(7)에 접속되어 있는 난간 가동부(상부 난간)(8)를 가지고 있다. 난간 가동부(8)는 난간 베이스부(7)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통상 위치와, 통상 위치로부터 하강한 위치인 하강 위치와의 사이에서 난간 베이스부(7)에 대해서 상하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은 난간 가동부(8)가 통상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난간 가동부(8)가 하강 위치로 변위(낙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난간 장치(6) 전체의 높이 치수는, 난간 가동부(8)를 상하동시킴으로써 가변으로 되어 있다. 즉, 난간 가동부(8)를 통상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난간 장치(6) 전체의 높이 치수를 축소시킬 수 있다.
난간 가동부(8)가 통상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난간 장치(6)의 높이 치수는, 작업자가 잘못하여 난간 장치(6)를 타고 넘어 난간 장치(6)의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는 크기(예를 들면 1100mm 이상)이다. 또, 난간 가동부(8)를 하강 위치로 변위시킨 상태에서는, 난간 장치(6)의 높이 치수는, 난간 가동부(8)가 통상 위치에 위치할 때보다도 작게 억제되어 있다(예를 들면 700mm 이하).
난간 베이스부(7)와 난간 가동부(8)와의 사이에는, 난간 가동부(8)를 통상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시키는 복수(이 예에서는 좌우 한쌍)의 유지 기구(9)가 마련되어 있다. 각 유지 기구(9)에는, 유지 기구(9)에 의한 난간 가동부(8)의 유지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레버(10)가 마련되어 있다.
난간 가동부(8)가 통상 위치에 위치할 때, 해제 레버(10)는 난간 베이스부(7)로부터 난간 장치(6)의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해제 레버(10)는 바로 위에서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해제 레버(10)의 선단(先端)이 하방으로 압하(押下)되어, 해제 레버(10)가 회전(변위)하면, 유지 기구(9)에 의한 난간 가동부(8)의 유지가 해제된다.
승강로(3) 내의 최상층의 승강장 층상보다도 상방에는, 작동 부재로서의 복수(이 예에서는 한 쌍)의 캠(11)이 마련되어 있다. 캠(11)은, 엘리베이터 칸(1)이 통상의 이동 범위를 넘어 상승했을 때, 대응하는 해제 레버(10)에 닿아 해제 레버(10)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지 기구(9)에 의한 난간 가동부(8)의 유지를 해제시켜 난간 가동부(8)를 하강 위치로 하강시킨다.
캠(11)이 해제 레버(10)에 닿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는, 예를 들면, 최상층 착상 위치를 설정 거리(예를 들면 50mm)만큼 상방으로 통과한 위치, 또는 승강로 정부와 난간 장치(6)의 상단(난간 가동부(8)가 통상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단)과의 사이의 간극이 설정 치수(예를 들면 300mm)가 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캠(11)은,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각각 지지 부재(12)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a, 4b)에 장착되어 있다. 각 지지 부재(12)는 수평이면서,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의 전후 방향(도 2의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캠(11)은 엘리베이터 칸(1)의 전후 방향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a, 4b)의 뒤측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3) 내의 최상층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으로부터 승강로(3) 내로의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 방지판(스크린)(13)이 마련되어 있다. 낙하 방지판(13)은 최상층의 승강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으로 올라탈 수 있는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1)을 정지시켰을 때 엘리베이터 칸(1) 및 난간 장치(6)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대향하도록, 승강로(3) 내에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난간 장치(6)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4의 난간 가동부(8)가 하강 위치로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이다. 난간 베이스부(7)는 엘리베이터 칸 상면(1a)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 개의 하부 지주(支柱, 7a)를 가지고 있다. 난간 가동부(8)는 대응하는 하부 지주(7a)에 접속된 복수 개의 상부 지주(8a)를 가지고 있다.
상부 지주(8a)의 하단부는, 하부 지주(7a)에 삽입되어 있다. 난간 가동부(8)가 통상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변위할 때에는, 상부 지주(8a)가 하부 지주(7a)를 따라서 하강하여, 상부 지주(8a)의 하부 지주(7a)로의 삽입량이 커진다. 즉, 하부 지주(7a)는 난간 가동부(8)의 상하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로서 기능한다.
난간 베이스부(7)와 난간 가동부(8)와의 사이에는, 난간 가동부(8)를 하강 위치측으로 당기는 복수(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텐션 스프링(14)이 마련되어 있다. 모든 유지 기구(9)에 의한 난간 가동부(8)의 유지가 해제되면, 난간 가동부(8)는 자중(自重)과 텐션 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 위치로 변위한다.
난간 베이스부(7)에는, 난간 가동부(8)가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15)가 마련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15)는 난간 가동부(8)가 하강 위치로 변위했을 때, 난간 가동부(8)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직접 조작된다. 검출 스위치(15)가 조작되면, 엘리베이터 칸(1)의 통상 운전(자동 운전)이 불가해진다.
도 8은 도 1의 유지 기구(9)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IX-IX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해제 레버(10)가 캠(11)에 닿아 회전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유지 기구(9)는 프레임(21), 래치 부재로서의 래치봉(latch rod, 22), 압축 스프링(compression spring, 23), 레버축(24), 핀(25) 및 해제 레버(10)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21)은 대응하는 하부 지주(7a)에 고정되어 있다. 래치봉(22)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다. 래치봉(22)의 선단부는 프레임(2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하부 지주(7a)에는 래치봉(22)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통상시에는, 래치봉(22)의 선단부는 하부 지주(7a) 내에 삽입되어 있다. 난간 가동부(8)가 통상 위치에 위치할 때, 대응하는 상부 지주(8a)는 래치봉(22)의 선단부 상에 지지되어 있다. 즉, 래치봉(22)은 난간 가동부(8)의 하강 위치로의 변위를 저지하고 있다.
압축 스프링(23)은 프레임(21)과 래치봉(22)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하부 지주(7a) 내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래치봉(22)을 누르고 있다. 레버축(24)은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해제 레버(10)는 레버축(24)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어, 레버축(24)과 일체로 회전한다.
레버축(24)에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24a, 24b)가 마련되어 있다. 핀(25)은 돌기부(24a, 24b)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또, 핀(25)의 중간부는, 래치봉(22)을 관통하고 있다.
캠(11)에 의해 해제 레버(10)의 선단이 압하되면, 레버축(24)이 도 9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축 스프링(23)을 압축하면서 래치봉(22)이 도 9의 좌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래치봉(22)의 프레임(21)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아져, 래치봉(22)이 하부 지주(7a)로부터 뽑아 내져, 즉 난간 가동부(8)의 아래로부터 뽑아 내져, 난간 가동부(8)의 하강 위치로의 변위의 저지가 해제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이 통상의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난간 가동부(8)가 통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난간 장치(6)의 높이 치수는, 작업자가 잘못하여 난간 장치(6)를 타고 넘어 난간 장치(6)의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는 크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난간 장치(6)로부터 승강로벽까지의 수평거리가 큰 경우에도, 승강로벽의 거의 전체에 낙하 방지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코스트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1)이 통상의 이동 범위를 넘어 상승했을 경우에는, 난간 가동부(8)가 하강 위치로 변위하여, 난간 장치(6)의 높이 치수가 낮아지므로, 오버헤드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오버헤드 치수의 증대 및 코스트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에서의 보수 작업시에, 난간 장치(6)의 필요한 높이 치수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1)이 통상의 이동 범위를 넘어 상승하여, 난간 가동부(8)가 하강 위치로 변위했을 경우,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칸(1)을 수동으로 하강시켜, 최상층의 승강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에 올라탄다. 그리고 난간 가동부(8)를 통상 위치로 끌어올린다. 이 때, 최상층의 승강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으로 올라탈 수 있는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1)을 정지시킨 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에 낙하 방지판(13)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난간 장치(6)와 승강로벽과의 사이의 수평거리가 큰(예를 들면, 500mm 이상) 경우에도, 작업자가 승강로(3) 내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낙하 방지판(13)의 설치 범위를, 최상층의 승강장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한정함으로써, 코스트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난간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좌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2의 난간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상면(1a)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 개의 난간 베이스부(하부 지주)(31)와, 난간 베이스부(31)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평판(平板) 모양의 난간 가동부(상부 난간)(32)를 가지고 있다.
난간 가동부(32)의 상단부는,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의 가장자리부와는 반대측으로 직각으로 꺾여 구부러져 있다. 난간 가동부(32)의 하단부는,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의 가장자리부측으로 직각으로 꺾여 구부러져 있다. 난간 가동부(32)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한쌍의 가이드 구멍(32a)이 마련되어 있다. 각 난간 베이스부(31)에는,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32a)에 삽입된 복수의 가이드 핀(33)이 고정되어 있다.
난간 가동부(32)는 가이드 핀(33)으로 안내되어, 난간 베이스부(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통상 위치와, 통상 위치로부터 하강한 위치인 하강 위치와의 사이에서 난간 베이스부(31)에 대해서 상하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난간 가동부(32)가 통상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3 및 도 14는 난간 가동부(32)가 하강 위치로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난간 장치 전체의 높이 치수는, 난간 가동부(32)를 상하동시킴으로써,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가변으로 되어 있다.
난간 베이스부(31)와 난간 가동부(32)와의 사이에는, 난간 가동부(32)를 통상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시키는 복수(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유지 기구(34)가 마련되어 있다. 각 유지 기구(34)는 대응하는 난간 베이스부(31)에 고정된 지지부(35)와, 지지부(35)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해제 레버(36)를 가지고 있다.
해제 레버(36)는 제1 단부(36a)와 제2 단부(36b)를 가지고 있다. 난간 가동부(32)가 통상 위치에 위치할 때, 제1 단부(36a)는 난간 베이스부(31)로부터 난간 장치의 외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제1 단부(36a)는 바로 위에서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난간 가동부(32)가 통상 위치에 위치할 때, 제2 단부(36b)상에는, 난간 가동부(32)의 하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해제 레버(36)의 선단이 캠(11)에 의해 하방으로 압하되어, 해제 레버(36)가 도 1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변위)하면, 제2 단부(36b)가 난간 가동부(32) 아래로부터 뽑아 내져, 유지 기구(34)에 의한 난간 가동부(32)의 유지가 해제된다.
난간 가동부(32)의 하단부와 엘리베이터 칸 상면(1a)과의 사이에는, 난간 가동부(32)를 하강 위치측으로 당기는 복수(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텐션 스프링(37)이 마련되어 있다. 모든 유지 기구(34)에 의한 난간 가동부(32)의 유지가 해제되면, 난간 가동부(32)는 자중과 텐션 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 위치로 변위한다.
난간 베이스부(31)에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검출 스위치(15)가 마련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15)는 난간 가동부(32)가 하강 위치로 변위했을 때, 난간 가동부(32)의 상단부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직접 조작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이 평판 모양의 난간 가동부(32)를 이용한 난간 장치더라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 2에서는, 난간 가동부(8, 32)를 텐션 스프링(14, 37)에 의해 하강 위치로 인하했지만, 하강 위치로의 변위가 난간 가동부의 자중만으로 충분히 가능한 경우,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것처럼, 텐션 스프링(14, 37)을 생략해도 된다.
또, 텐션 스프링(14, 37) 대신에, 또는 텐션 스프링(14, 37)에 더하여, 난간 가동부(8, 32)에 추를 부가해도 된다.
또한, 유지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1, 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6은 유지 기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2세트의 유지 기구(9)의 레버축(24) 및 해제 레버(10)를 공유화하고, 1개의 해제 레버(10)의 변위에 의해 2개의 래치봉(22)이 동시에 슬라이드(2점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도 17은 유지 기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난간 가동부(8)가 하강 위치로 변위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유지 기구(41)는 지지부(42), 해제 레버(43), 롤러(44) 및 래치 부재로서의 래치 핀(45)을 가지고 있다. 지지부(42)는 대응하는 하부 지주(7a)에 고정되어 있다.
해제 레버(43)는 직선 모양의 제1 부분(43a)과, 제1 부분(43a)에 대해서 둔각(鈍角)을 이루는 직선 모양의 제2 부분(43b)을 가지고 있다. 또, 해제 레버(43)는 제1 부분(43a)과 제2 부분(43b)과의 연결부에서 지지부(42)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롤러(44)는 해제 레버(43)의 하단부(제1 부분(43a)의 제2 부분(43b)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래치 핀(45)은 해제 레버(43)의 상단부(제2 부분(43b)의 제1 부분(43a)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하부 지주(7a)에는 래치 핀(45)이 삽입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통상시에는, 래치 핀(45)은 하부 지주(7a) 내에 삽입되어 있다. 난간 가동부(8)가 통상 위치에 위치할 때, 대응하는 상부 지주(8a)는 래치 핀(45)의 선단부 상에 지지되어 있다.
캠(11)에 롤러(44)가 닿으면, 캠(11)에 의해 해제 레버(10)의 하단부가 압하되어, 해제 레버(43)가 도 17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래치 핀(45)이 하부 지주(7a)로부터 뽑아 내져, 난간 가동부(8)의 하강 위치로의 변위의 저지가 해제된다.
또, 도 18은 유지 기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난간 가동부가 하강 위치로 변위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실시 형태 1의 해제 레버(10)가 엘리베이터 칸 상면(1a)보다도 상방에서 난간 장치(6)에 마련되어 있는 상부 레버(10a)와, 엘리베이터 칸 상면(1a)보다도 하부에서 엘리베이터 칸(1)에 마련되어 있는 하부 레버(10b)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레버(10a)와 하부 레버(10b)는, 연결 부재(4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46)는 하부 레버(10b)의 변위로 연동하여 상부 레버(10a)를 변위시킨다. 연결 부재(46)로서는, 링크봉 또는 와이어가 이용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1)이 통상의 이동 범위를 넘어 상승했을 때, 상부 레버(10a)는 캠(11)에 닿지 않고, 하부 레버(10b)는 캠(11)에 닿아 회전한다. 이 때, 상부 레버(10a)는 하부 레버(10b)와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캠(11)의 설치 위치를 실시 형태 1보다도 낮게 할 수 있어,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 이와 같이 해제 레버를 상하로 분할하는 구성은, 유지 기구(34, 41)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의 좌우의 가장자리부와 뒤측의 가장자리부에 걸쳐 난간 장치를 세웠지만, 난간 장치를 세우는 위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의 배면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의 간극이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뒤측의 난간 장치는 생략할 수 있다.
또, 반드시 난간 장치 전체로 높이 치수를 가변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뒤측의 난간 장치로부터 승강로벽까지의 수평거리가 작은 경우에는, 뒤측의 난간 장치의 높이 치수를 가변으로 하지 않고, 낮은 채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난간 가동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난간 가동부가 난간 베이스부에 대해서 회전(굴곡 및 신장)하여 상하동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에 더하여, 예를 들면,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칸 상면(1a)상으로 이동하지 않고, 승강장으로부터 난간 가동부를 통상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승강로 내에 낙하 방지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 작동 부재는 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1:1 로핑(roping)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승강로의 상부에 기계실을 가지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또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 칸 상면을 가지고 있고,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상면에 고정된 난간 베이스부와, 상기 난간 베이스부에 접속되어 있는 난간 가동부를 가지고 있는 난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난간 가동부는, 상기 난간 베이스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통상 위치와, 상기 통상 위치로부터 하강한 위치인 하강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난간 베이스부에 대해서 상하동(上下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난간 베이스부와 상기 난간 가동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난간 가동부를 상기 통상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시키는 유지 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유지 기구에는, 상기 유지 기구에 의한 상기 난간 가동부의 유지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레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 내의 최상층의 승강장 층상보다도 상방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통상의 이동 범위를 넘어 상승했을 때, 상기 해제 레버에 닿아 상기 해제 레버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유지 기구에 의한 상기 난간 가동부의 유지를 해제시켜 상기 난간 가동부를 상기 하강 위치로 하강시키는 작동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난간 베이스부에 삽입되어, 통상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난간 가동부를 지지하는 래치 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해제 레버에 닿아 상기 해제 레버가 변위하면, 상기 난간 가동부의 아래로부터 뽑아 내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난간 가동부가 통상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난간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난간 장치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상에는 상기 난간 가동부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작동 부재가 상기 해제 레버에 닿으면, 상기 해제 레버가 회전하여,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난간 가동부의 아래로부터 뽑아 내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상면으로부터 상기 승강로 내로의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 방지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낙하 방지판은, 최상층의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칸 상면으로 올라 탈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켰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난간 장치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대향하도록 상기 승강로 내에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베이스부에는, 상기 난간 가동부가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검출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통상 운전이 불가해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난간 베이스부에는, 상기 난간 가동부가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검출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통상 운전이 불가해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77026497A 2015-02-26 2015-02-26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36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5627 WO2016135922A1 (ja) 2015-02-26 2015-02-26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865A KR20170118865A (ko) 2017-10-25
KR101936010B1 true KR101936010B1 (ko) 2019-01-07

Family

ID=5678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497A KR101936010B1 (ko) 2015-02-26 2015-02-2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38270B2 (ko)
KR (1) KR101936010B1 (ko)
CN (1) CN107428509B (ko)
DE (1) DE112015006235T5 (ko)
WO (1) WO2016135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8499B (zh) * 2015-04-08 2019-05-2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WO2018078211A1 (en) * 2016-10-25 2018-05-03 Kone Corporation Elevator and elevator car roof railing
JP6737420B2 (ja) * 2018-03-23 2020-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手摺装置
CN109250598B (zh) * 2018-11-13 2023-11-07 苏州德奥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位置检测装置
JPWO2022259359A1 (ko) * 2021-06-08 2022-12-15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125A (ja) 1998-09-03 2000-05-23 Toshiba Corp エレべ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1281A (ja) * 1988-05-06 1989-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安全さく
JP2002145545A (ja) * 2000-11-09 2002-05-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及びこの終端安全装置を使用したエレベータの保守方法
CN1283543C (zh) * 2002-03-07 2006-11-0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上扶手装置
FR2866665A1 (fr) * 2004-02-24 2005-08-26 Juan Perea Dispositif de securite du type garde corps, systeme d'ascenseur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procede de mise en securite d'une installation
CN202880621U (zh) * 2012-10-15 2013-04-17 三菱电机上海机电电梯有限公司 带有锁紧装置的伸缩式轿顶护栏
JP5962473B2 (ja) * 2012-12-05 2016-08-03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125A (ja) 1998-09-03 2000-05-23 Toshiba Corp エレべ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38270B2 (ja) 2017-11-29
CN107428509A (zh) 2017-12-01
JPWO2016135922A1 (ja) 2017-05-25
DE112015006235T5 (de) 2017-12-28
CN107428509B (zh) 2019-05-28
KR20170118865A (ko) 2017-10-25
WO2016135922A1 (ja)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0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80549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352049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用のかご駆動装置取り付け方法及びこれによるエレベータ
JP4261368B2 (ja) エレベータ主索伸び補償装置
US9764925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car stop for maintaining overhead clearance
KR20220147834A (ko)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산업용 리프트
CN110446676B (zh) 电梯装置
KR200437138Y1 (ko)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장치
WO2015159319A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出入り装置
CN108698792B (zh) 电梯装置
JP201016816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289743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0054057B (zh) 电梯装置
CN113544073B (zh) 电梯装置
JP201016818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46034B2 (ja) エレベータのコンペンチェーンガイド装置
KR20210085852A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11256001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3394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4269673A (zh) 施工用电梯装置
JP200435241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7167274B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6636409B2 (ja)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ー
CN110171760B (zh) 调速器张紧机构、调速器装置及电梯
CN106429726B (zh) 无机房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