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595B1 - 윤축 프레스 - Google Patents

윤축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595B1
KR102257595B1 KR1020190135142A KR20190135142A KR102257595B1 KR 102257595 B1 KR102257595 B1 KR 102257595B1 KR 1020190135142 A KR1020190135142 A KR 1020190135142A KR 20190135142 A KR20190135142 A KR 20190135142A KR 102257595 B1 KR102257595 B1 KR 102257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late
wheel
sliding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0739A (ko
Inventor
최재석
Original Assignee
(주)수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수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135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5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1Railroad wheels on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1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step by step
    • B23Q7/04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step by step for the axial transport of lo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7/00Rail vehicles equipped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축과 차륜을 분리 및 조립하거나 구동 기어 및 디스크의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구현한 윤축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윤축의 차륜과 분리, 압입하는데 유압 실린더의 반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며 휠을 클래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실린더 써포터 프레임; 상기의 실린더 써포터 프레임에 형성된 엔드 프레임에 가해지는 유압 실린더의 압입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타이바; 상기의 윤축 종류에 따라 차륜을 압입하기 위한 각종 지그를 장착하는 반동 프레임; 상기 윤축의 차륜을 분리, 압입하는데 사용하며, 차축이 실린더의 램과 중심 높이 및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테이블; 상기의 이동 테이블에 차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동 테이블을 회전을 위한 회전 테이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높이 조절 프레임; 및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윤축 프레스{WHEELSET PRESS}
본 발명은 윤축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축과 차륜을 분리 및 조립하거나 구동 기어 및 디스크의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구현한 윤축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운송수단으로 사용되는 열차는, 탑승하는 사람과 물량이 방대하여, 열차에 발생하는 하중을 감당할 수 있도록 열차의 바퀴 휠을 금속으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열차에 결합하는 사용하는 바퀴 휠은 오랜 열차의 운행으로 바퀴 휠에 마모와 변형이 발생하므로, 이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열차의 바퀴 휠 교체작업은, 열차에 사용되는 바퀴 휠이 고중량의 금속이므로, 이를 인력으로 제거 및 운반할 수 없어 교체하고자 하는 열차의 바퀴 휠을 회수하고 가공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3091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7189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량 또는 열차의 바퀴 휠 및 구동기어와 디스크의 교체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윤축 프레스를 제공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을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윤축 프레스에 의한 윤축의 차륜과 구동기어 및 디스크를 분리, 압입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윤축 프레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축 프레스는, 베이스 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윤축의 차륜과 구동기어 및 디스크를 분리, 압입하는데 유압 실린더의 반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며 휠을 클래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실린더 써포터 프레임; 상기의 실린더 써포터 프레임에 형성된 엔드 프레임에 가해지는 유압 실린더의 압입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타이바; 상기의 윤축 종류에 따라 차륜을 압입하기 위한 각종 지그를 장착하는 반동 프레임; 상기 윤축의 차륜을 분리, 압입하는데 사용하며, 차축이 실린더의 램과 중심 높이 및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테이블; 상기의 이동 테이블에 차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동 테이블을 회전을 위한 회전 테이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높이 조절 프레임; 및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탄성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과의 일 대향면에는 렉 기어를 형성하는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4 개의 슬라이딩홈;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기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4 개의 슬라이딩홈의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4 개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브레이크액 파우치; 상기 브레이크액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피스톤;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피스톤의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하측에 밀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 하부 지지판;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하부 지지판; 상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하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링크;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1 하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링크는,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상기 제2 링크의 상기 연장 바아를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상기 체결부를 지지하는 수평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차량 또는 열차의 바퀴 휠을 가공함에 있어 안전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바퀴 휠의 회수 및 가공과 설치 작업을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경제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을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윤축 프레스에 의한 윤축의 차륜과 구동기어 및 디스크를 분리, 압입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쇄시킴으로써 보다 정밀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축 프레스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반동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도 1의 써포터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 테이블과 회전 테이블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윤축 프레스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는 도 5의 높이 조절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6의 하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는 도 5의 탄성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의 제1 하부 지지판과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대에 의한 충격 흡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축 프레스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축 프레스(10)는, 써포터 프레임(100), 타이바(200), 반동 프레임(300), 이동 테이블(400) 및 회전 테이블(500)를 포함한다.
써포터 프레임(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태의 철판용접 구조로 제작하며, 유압 실린더(130)의 반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제작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110) 위에 설치되어 윤축(W)의 차륜과 구동기어 및 디스크를 분리, 압입하는데 유압 실린더(130)의 반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며 휠을 클래핑하는 클램프(1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3개의 타이바(200)와 램 실린더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작되며, 상, 하부에 윤축의 인발시 차륜 지지용 호미형 클램프를 120° 간격으로 3개 설치하여 윤축의 인발을 쉽게 하는 구조로 제작한 것이다.
타이바(200)는, 상기의 실린더 써포터 프레임(100)에 형성된 엔드 프레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가해지는 유압 실린더(130)의 압입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타이바(200)는, 사각형의 상 1개, 하 2개로 써포터 프레임(100)과 엔드 프레임에 견고하게 조립 및 고정된 것으로, 반동 프레임(300)이 타이바(200) 사이에 조립되어 유압 실린더(130)의 압입력에도 진동 및 변형이 없도록 견고하게 제작, 조립한 것이다.
반동 프레임(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의 윤축(a) 종류에 따라 차륜(b)을 압입하기 위한 각종 지그(310)를 장착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동 프레임(300)은, 윤축의 종류에 따라 차륜을 압입하기 위한 각종 지그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한 것으로, 차륜의 압입 시 유압 실린더(130)의 출 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고, 가압 시에 상,하 타이바(200)가 균일한 힘을 받도록 박스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동 테이블(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축(a)의 차륜(b)을 분리, 압입하는데 사용하며, 차축이 실린더의 램과 중심 높이 및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동 테이블(400)은, 윤축의 차륜을 분리, 압입하는데 사용하며, 차축 지지부, 차축 지지부 상.하 장치로 구성되며, 이동 테이블(400)의 회전하기 위한 것으로 중간 베이스, 하부 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 테이블(500)은, 상기의 이동 테이블(400)에 차륜(b)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동 테이블(400)을 회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윤축 프레스(10)는, 차량 또는 열차의 바퀴 휠을 가공함에 있어 안전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바퀴 휠의 회수 및 가공과 설치 작업을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경제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윤축 프레스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윤축 프레스(20)는, 써포터 프레임(100), 타이바(200), 반동 프레임(300), 이동 테이블(400), 회전 테이블(500), 높이 조절 프레임(600) 및 탄성 지지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써포터 프레임(100), 타이바(200), 반동 프레임(300), 이동 테이블(400), 회전 테이블(500), 높이 조절 프레임(600) 및 탄성 지지대(7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측 각 모서리에 연결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110)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며, 탄성 지지대(700)의 상측에 안착된다.
탄성 지지대(700)는,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 프레임(6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윤축 프레스(20)는, 높이 조절 프레임(600)을 이용하여 베이스 프레임(110)의 수평을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윤축 프레스에 의한 윤축(W)의 차륜과 구동기어 및 디스크를 분리, 압입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탄성 지지대(700)를 이용하여 감쇄시킴으로써 보다 정밀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는 도 5의 높이 조절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상부 프레임(610) 및 하부 프레임(62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61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측 각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110)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베이스 프레임(11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줌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체적인 수평을 맞춰준다.
하부 프레임(620)은, 탄성 지지대(700)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부 프레임(610)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베이스 프레임(11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그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베이스 프레임(110)의 수평을 유지시키 주는 지지 구조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610)은, 지지 프레임(611) 및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612)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611)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동부(8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각 모서리에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프레임(612)은, 지지 프레임(611)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612)과의 일 대향면에는 피니언 기어(62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렉 기어(6121)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620)은,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및 4 개의 피니언 기어(623)를 포함한다.
안착 프레임(621)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 지지대(700)의 상측에 안착되며,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홈(622)을 형성한다.
슬라이딩홈(622)은,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착 프레임(621)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피니언 기어(623)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공간(628)이 형성된다(도 9 참조).
피니언 기어(623)는, 슬라이딩홈(622)에 삽입된 슬라이딩 프레임(612)의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4 개의 슬라이딩홈(622)의 각 일측에 형성된 설치 공간(628)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622)에서 상부 프레임(61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렉 기어(6121)에 맞물려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서, 피니언 기어(623)는, 슬라이딩 프레임(612)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하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620)은,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4 개의 피니언 기어(623), 브레이크액 파우치(624), 피스톤(625), 상부 지지대(626) 및 하부 지지대(6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및 4 개의 피니언 기어(623)는, 도 7 내지 도 9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브레이크액 파우치(624)는, 슬라이딩홈(622)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관(6241)을 통해 피스톤(625)으로 공급한다.
피스톤(625)은, 브레이크액 파우치(624)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6251)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준다.
이때, 피스톤(625)에 의한 실린더(6251)의 승강 정도는 브레이크액이 수용될 수 있는 피스톤(625)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상부 지지대(626)는, "U"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 공간(628)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며,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축(6231)의 상측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627)는, "U" 형태로 형성되어 피스톤(625)의 실린더(6251)의 상측에 설치되며, 실린더(6251)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축(6231)의 하측에 밀착되어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때, 하부 지지대(627)는, 내측 공간에는 회전축(6231)과의 마찰에 따른 밀착력을 형성하기 위한 브레이크 패드 역할을 수행하는 제동부재(6271)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프레임(620)은,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슬라이딩홈(622)으로 일정 깊이 이상 하강하게 되면 슬라이딩 프레임(612)의 이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을 점진적으로 제동시킴으로써 높이 조절 프레임(600)이 더 이상 수축되지 않도록 하여 베이스 프레임(110)이 더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는 도 5의 탄성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700)는, 제1 상부 지지판(710), 제2 상부 지지판(720), 제1 하부 지지판(730), 제2 하부 지지판(740), 제1 링크(750), 제2 링크(760), 제1 탄성체(770) 및 제2 탄성체(780)를 포함한다.
제1 상부 지지판(710)은,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고, 제1 링크(750)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탄성체(77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상부 지지판(720)은,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이격되어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제2 링크(760)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탄성체(7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때, 효율적으로 높이 조절 프레임(6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상부 지지판(710)은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부 전단을 지지하고, 제2 상부 지지판(720)은,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부 후단을 지지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하부 지지판(730)은, 제1 상부 지지판(710)과 대향하며 바닥면에 안착되며, 제2 링크(76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탄성체(77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하부 지지판(740)은, 제2 상부 지지판(720)과 대향하며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이격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제1 링크(75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탄성체(7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링크(750)는, 상부가 제1 상부 지지판(7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하부 지지판(74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760)와 "X"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제2 링크(760)는, 상부가 제2 상부 지지판(72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1 하부 지지판(73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750)와 "X"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링크(7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760)와의 교차 위치에 잘록한 허리(751)가 형성되고, 제2 링크(760)는 제1 링크(750)와의 교차 위치에 제1 링크(750)의 허리(751)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홈(76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탄성체(770)는,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제1 하부 지지판(73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제1 하부 지지판(730)을 지지한다.
제2 탄성체(780)는, 제2 상부 지지판(720)과 제2 하부 지지판(74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상부 지지판(720)과 제2 하부 지지판(74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700)는,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하측을 지지하는 탄성 구조로서, 도 14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상하 수직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프레임(600)의 경사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도 선택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장비의 구동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10)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전체적인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은 도 11의 제1 하부 지지판과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2 링크(760)는, 상부가 제2 상부 지지판(72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761) 및 두 개의 돌출부(761)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762)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76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제2 링크(760)의 연결 구조는, 다른 지지판과 링크 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연결 관계의 설명은 이후의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제2 링크(760)의 연결 관계로 대체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부 지지판(730)은, 지지 플레이트(731), 슬라이딩홀(732), 체결부(733) 및 수평 탄성체(734)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731)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연장 바아(76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홀(73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홀(732)은, 지지 플레이트(731)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 바아(762)가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이동 공간을 형성한다.
체결부(733)는, 슬라이딩홀(732)에 안착된 제2 링크(760)의 연장 바아(762)를 체결하고, 슬라이딩홀(732)의 공간에서 수평 탄성체(734)에 의하여 지지되어 연장 바아(762)를 지지한다.
수평 탄성체(734)는, 체결부(733)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홀(732)에서 체결부(733)를 지지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윤축 프레스
100: 써포터 프레임
200: 타이바
300: 반동 프레임
400: 이동 테이블
500: 회전 테이블
600: 높이 조절 프레임
700: 탄성 지지대

Claims (8)

  1. 베이스 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윤축의 차륜과 구동기어 및 디스크를 분리, 압입하는데 유압 실린더의 반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며 휠을 클래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실린더 써포터 프레임;
    상기의 실린더 써포터 프레임에 형성된 엔드 프레임에 가해지는 유압 실린더의 압입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타이바;
    상기의 윤축 종류에 따라 차륜을 압입하기 위한 각종 지그를 장착하는 반동 프레임;
    상기 윤축의 차륜을 분리, 압입하는데 사용하며, 차축이 실린더의 램과 중심 높이 및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테이블;
    상기의 이동 테이블에 차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동 테이블을 회전을 위한 회전 테이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높이 조절 프레임; 및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탄성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과의 일 대향면에는 렉 기어를 형성하는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는, 윤축 프레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4 개의 슬라이딩홈;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기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4 개의 슬라이딩홈의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4 개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윤축 프레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브레이크액 파우치;
    상기 브레이크액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피스톤;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피스톤의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하측에 밀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윤축 프레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 하부 지지판;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하부 지지판;
    상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하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링크;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1 하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윤축 프레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윤축 프레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상기 제2 링크의 상기 연장 바아를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상기 체결부를 지지하는 수평 탄성체;를 포함하는, 윤축 프레스.
KR1020190135142A 2019-10-29 2019-10-29 윤축 프레스 KR102257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42A KR102257595B1 (ko) 2019-10-29 2019-10-29 윤축 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42A KR102257595B1 (ko) 2019-10-29 2019-10-29 윤축 프레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39A KR20210050739A (ko) 2021-05-10
KR102257595B1 true KR102257595B1 (ko) 2021-05-28

Family

ID=7591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42A KR102257595B1 (ko) 2019-10-29 2019-10-29 윤축 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0711B (zh) * 2021-06-23 2022-09-02 吉林大学 一种适用于轨道车辆轮对测量机的对中及夹紧装置
CN114406666B (zh) * 2022-01-04 2023-02-21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利用组装装置组装轴箱内置式转向架的方法
KR102408781B1 (ko) * 2022-03-17 2022-06-15 주식회사 현대진모터스 핸들 샤프트 복원 장치
KR102608363B1 (ko) * 2022-08-18 2024-01-03 주식회사 신안에프에이 절곡 작업을 위한 자동 회전 시스템
CN115122074B (zh) * 2022-09-01 2022-12-16 浙江恒基永昕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压销装置
CN115415779B (zh) * 2022-10-09 2023-09-26 机械工业第六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轴件和圆盘件的压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3344A (ja) 2000-03-14 2001-09-18 Kawasaki Heavy Ind Ltd 輪軸圧抜装置と輪軸圧入装置と輪軸着脱装置
KR100819888B1 (ko) * 2006-04-19 2008-04-07 주식회사 새샘 수납 선반용 신축 지주
KR101027049B1 (ko) 2010-02-01 2011-04-11 주식회사 렘코 윤축 프레스 무인 자동화 시스템
KR101303058B1 (ko) * 2012-01-13 2013-09-03 주식회사 렘코 윤축 프레스 무인 자동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891B1 (ko) 2008-08-20 2010-07-22 한국철도공사 윤축프레스의 윤축이송장치
KR100923091B1 (ko) 2009-07-03 2009-10-22 (주)로봇플러스 열차 바퀴휠의 자동 정렬 공급 및 회수기와 이를 이용한 열차 바퀴휠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3344A (ja) 2000-03-14 2001-09-18 Kawasaki Heavy Ind Ltd 輪軸圧抜装置と輪軸圧入装置と輪軸着脱装置
KR100819888B1 (ko) * 2006-04-19 2008-04-07 주식회사 새샘 수납 선반용 신축 지주
KR101027049B1 (ko) 2010-02-01 2011-04-11 주식회사 렘코 윤축 프레스 무인 자동화 시스템
KR101303058B1 (ko) * 2012-01-13 2013-09-03 주식회사 렘코 윤축 프레스 무인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39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595B1 (ko) 윤축 프레스
CA2950635C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with a floor suspension
DE2517799B2 (de) Aufhängung des Triebwerkes am Fahrgestell eines Kraftfahrzeuges
CN107387655A (zh) 一种带缓冲橡胶的减震器
RU2015137721A (ru) Ходовая часть дл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8150769A (zh) 一种带有减震底座的操作平台
US2524955A (en) Automobile support
KR101308062B1 (ko) 자동차 조향장치용 스플라인 샤프트의 가공장치
JP2020157911A (ja) 中間ローラー装置およびクローラー車両
CN205630590U (zh) 一种园林灌溉多功能工具放置小车
DE19601374B4 (de) Flurförderzeug mit einer Fahrer-Plattform
KR102301077B1 (ko) 중량물 주행장치
CN114918596A (zh) 一种汽车安全吸能盒焊接成型加工设备
CN210561733U (zh) 一种桥梁工程施工用支撑防坠落装置
CN203638500U (zh) 一种货架支座
CN214297014U (zh) 一种斜齿轮加工的放料装置
JP2007513783A (ja) 一組の車輪の機械加工ユニットに台車を支持するための支持装置
CN217720930U (zh) 一种变频电机减震底座
CN218311629U (zh) 一种工业焊接机器人用移动底座
CN205500107U (zh) 一种动力摆动装置
KR102263002B1 (ko) 보온 박스
JP6042120B2 (ja) 超音波加工装置
CN219093524U (zh) 一种锻坯翻转装置
KR102198967B1 (ko)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
CN214317197U (zh) 一种木工机械用可调水平的支撑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