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077B1 - 중량물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077B1
KR102301077B1 KR1020190153614A KR20190153614A KR102301077B1 KR 102301077 B1 KR102301077 B1 KR 102301077B1 KR 1020190153614 A KR1020190153614 A KR 1020190153614A KR 20190153614 A KR20190153614 A KR 20190153614A KR 102301077 B1 KR102301077 B1 KR 10230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ail
vertical
traveling device
heav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889A (ko
Inventor
류봉현
류호남
Original Assignee
(주)정우프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우프랜트 filed Critical (주)정우프랜트
Priority to KR1020190153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0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66C11/24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with means for locating or sustaining the loads or trolleys in predetermined positions; Hay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8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with means for locking trolleys or cranes to runways or tracks to prevent inadvertent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레일이 동,하절기의 온도 변화로 휘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휘어질 경우에도 중량물인 작업대나 호이스트의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중량물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상에 좌우 방향으로 구비되고 하판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의 전,후방에는 전,후방 롤러 안착부가 구비되는 관 형상의 수평 레일과, 수평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에 중량물인 작업대나 호이스트가 연결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좌우 이동대와, 상기 좌우 이동대와 수평 레일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레일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중량물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 주행장치는 상기 좌우 이동대의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어 전,후방 롤러 안착부를 타고 이동되는 두 개의 상부 주행수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상부 주행수단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는 상부 이동판과, 상기 상부 이동판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둘레가 상기 전,후방 롤러 안착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다수의 상부 주행롤러와, 상기 상부 이동판의 하부에 횡방향 힌지연결부로 연결되어 하부가 상기 횡방향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좌우 이동대의 상면 측부에 고정되는 하부 회전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량물 주행장치{Heavy objects traveling device}
본 발명은 중량물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레일이 동,하절기의 온도 변화로 휘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휘어질 경우에도 중량물인 작업대나 호이스트의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중량물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생산 공장이나 공사 현장 등에서 고소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자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중량물인 제품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작업자가 올라타는 중량물인 작업대나 중량물인 제품을 승강시키는 호이스트를 이동시키는 중량물 주행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종래에 작업대 또는 중량물인 제품을 승강시키는 호이스트와 같은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중량물 주행장치는 작업대나 호이스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 주행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먼저 종래에 작업대나 호이스트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량물 주행장치의 일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중량물 주행장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미도시)에 지지되어 지상에 수평으로 구비되고 하판의 중앙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101)의 전,후방에는 전,후방 롤러 안착부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평 레일(100)과, 수평 레일(100)에 상부 레일 주행장치로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는 중량물인 작업대(미도시)나 호이스트(미도시)가 연결되는 좌우 이동대(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종래의 중량물 주행장치는 좌우 이동대(300)를 모터의 구동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레일 주행장치는 좌우 이동대(300)의 상부 양측에 좌우 직선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01)에 관통되는 두 개의 고정 수직판(200)과, 각각의 상기 고정 수직판(200)의 전,후방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롤러 안착부의 상면에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 롤러(201)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중량물 주행장치는 상기 수평 레일이 동,하절기의 온도변화로 휘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휘어질 경우에는 두 개의 고정 수직판이 좌우 직선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수평 레일의 휘어진 부분에서는 두 개의 고정 수직판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되지 않는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중량물 주행장치는 좌우 이동대의 좌우 이동시 좌우 이동대가 전,후방으로 미세하게 유동될 경우에 미세 유동으로 인한 충격을 전혀 완충할 수 없어, 각각의 고정 수직판에 구비된 전,후 롤러가 단시간에 손상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0207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레일이 동,하절기의 온도 변화로 휘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휘어질 경우에도 중량물인 작업대나 호이스트의 좌우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물 주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물인 작업대나 호이스트가 연결된 좌우 이동대의 좌우 이동시 좌우 이동대가 전,후방으로 미세하게 유동될 경우에 미세 유동으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량물 주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주행장치"는 지상에 좌우 방향으로 구비되고 하판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의 전,후방에는 전,후방 롤러 안착부가 구비되는 관 형상의 수평 레일과, 수평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에 중량물인 작업대나 호이스트가 연결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좌우 이동대와, 상기 좌우 이동대와 수평 레일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레일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중량물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 주행장치는 상기 좌우 이동대의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어 전,후방 롤러 안착부를 타고 이동되는 두 개의 상부 주행수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상부 주행수단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는 상부 이동판과, 상기 상부 이동판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둘레가 상기 전,후방 롤러 안착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다수의 상부 주행롤러와, 상기 상부 이동판의 하부에 횡방향 힌지연결부로 연결되어 하부가 상기 횡방향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좌우 이동대의 상면 측부에 고정되는 하부 회전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주행장치"의 상기 하부 회전 연결부재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 이동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상부에서 횡방향의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직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평 레일이 동,하절기의 온도 변화로 휘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휘어질 경우에도 중량물인 작업대나 호이스트의 좌우 주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평 레일이 휘어지더라도 중량물인 작업대나 호이스트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물인 작업대나 호이스트가 연결된 좌우 이동대의 좌우 이동시 좌우 이동대가 전,후방으로 미세하게 유동될 경우에 미세 유동으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켜, 좌우 이동대와 수평 레일을 연결하는 상부 레일 주행장치가 미세 유동으로 인한 충격으로 손상되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중량물 주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레일 주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도 1a의 B부 확대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측부 레일 주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도 1a의 E부 확대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중량물 주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G-G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중량물 주행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 레일 주행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주행장치는 지지프레임(미도시)에 지지되어 지상에 좌우 방향으로 수평으로 구비되고 하판의 중앙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관통홀(11)이 형성되며 관통홀(11)의 전,후방에는 전,후방 롤러 안착부(12a)(12b)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관 형상의 수평 레일(1)과, 수평 레일(1)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에 중량물인 작업대(4)나 중량물의 제품을 인상시키는 호이스트(미도시)가 연결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좌우 이동대(2)와, 상기 좌우 이동대(2)와 수평 레일(1)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레일 주행장치(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좌우 이동대(2)를 좌우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좌우 구동수단은 여러 형태로 공지된 좌우 구동수단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좌우 이동대(2)의 상부에 구비된 모터(71)와 모터(7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둘레가 상기 수평 레일(1)의 측부에 밀착되어 좌우 이동대(2)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롤러(72)로 이루어진 행거식 구동타입의 좌우 구동수단(7)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주행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 레일 주행장치(5)는 상기 좌우 이동대(2)의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평 레일(1)에 형성된 관통홀(11)에 관통되어 상기 전,후방 롤러 안착부(12a)(12b)를 타고 이동되는 두 개의 상부 주행수단(51)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상부 주행수단(51)은 수평 레일(1)이 동,하절기의 온도 변화로 휘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휘어질 경우에도 작업대(4)의 좌우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1)에 이동이 가능하게 관통되는 상부 이동판(52)과, 상기 상부 이동판(52)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둘레가 상기 전,후방 롤러 안착부(12a)(12b)의 상면에 안착되는 다수의 상부 주행롤러(521)와, 상기 상부 이동판(52)의 하부에 횡방향 힌지연결부(53)로 연결되어 하부가 상기 횡방향 힌지연결부(53)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좌우 이동대(2)의 상면 측부에 고정되는 하부 회전 연결부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횡방향 힌지연결부(53)는 하부 회전 연결부재(54)가 횡방향 힌지연결부(53)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이동판(52)의 하단의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각에는 측 횡형홀(531a)이 형성되는 두 개의 측 브래킷(531)과, 상기 하부 회전 연결부재(54)의 상단에서 상기 양측의 측 브래킷(531)의 사이에 삽입되게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앙 횡형홀(532a)이 형성되는 중앙 브래킷(532)과, 상기 두 개의 측 횡형홀(531a)과 중앙 횡형홀(532a)에 관통되는 힌지축(5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회전 연결부재(54)는 좌우 이동대(2)의 상부 측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 이동대(2)의 상면에 볼트들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는 수평판(541)과, 상기 수평판(541)의 상부에서 횡방향의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직 회전판(5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우 이동대(2)가 좌우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11)의 전,후방 단부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전,후판(13a)(13b)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이동판(52)의 하부 양측에는 둘레가 상기 전,후판(13a)(13b)의 내면에 밀착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두 개의 보조롤러(1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주행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4)의 중량물 주행장치를 사용하여 작업대(4)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좌우 구동수단(7)을 작동시켜 작업대(4)나 호이스트와 같은 중량물이 하부에 연결 구비된 좌우 이동대(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좌우 이동대(2)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수평 레일(1)이 동,하절기의 온도 변화로 휘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좌우 이동대(2)의 상부에 구비된 양측의 상부 주행수단(51)이 수평 레일(1)의 휘어진 부분을 통과하는 순간에는, 좌우 이동대(2)의 상부 양측에 구비된 두 개의 상부 주행수단(51) 중 하나 이상의 상부 주행수단(51)을 구성하는 하부 회전 연결부재(54)가 상부에 위치된 횡방향 힌지연결부(53)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직선형의 좌우 이동대(2)가 수평 레일(1)의 휘어진 부분을 통과하여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평 레일(1)이 동,하절기의 온도 변화로 휘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휘어질 경우에도 중량물인 작업대(4)나 호이스트의 좌우 주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평 레일(1)이 휘어지더라도 중량물인 작업대(4)나 호이스트의 좌우 방향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대(4)나 호이스트가 연결된 좌우 이동대(2)의 좌우 이동시 좌우 이동대(2)가 전,후방으로 미세하게 유동될 경우에는, 좌우 이동대(2)의 상부 양측에 구비된 두 개의 상부 주행수단(51) 중 하나 이상의 상부 주행수단(51)을 구성하는 하부 회전 연결부재(54)가 상부에 위치된 횡방향 힌지연결부(53)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직선형의 좌우 이동대(2)가 미세하게 전,후방으로 유동될 경우에 미세한 유동을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대(4)나 호이스트가 연결된 좌우 이동대(2)의 좌우 이동시 좌우 이동대(2)가 전,후방으로 미세하게 유동될 경우에 미세 유동으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켜, 좌우 이동대(2)와 수평 레일(1)을 연결하는 상부 레일 주행장치(5)를 구성하는 두 개의 상부 주행수단(51)이 미세 유동의 충격으로 손상되는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측부 레일 주행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주행장치는 상기 좌우 이동대(2)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내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내측 수직홈(31)이 형성되는 양측 수직 레일(3)과, 양측 수직 레일(3)의 사이에 양측의 하나 이상의 측부 레일 주행장치(6)로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업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 이동대(2)와 양측 수직 레일을 좌우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좌우 구동수단은 양측 수직 레일(3)의 하부에 모터(미도시)의 작동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 이동대차(미도시)로 구성된 공지된 하부 구동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양측 수직 레일(3)이 사이에 구비된 작업대(4)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수단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구동수단은 여러 형태로 공지된 승강 구동수단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 모터(81)와 모터(81)의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작업대(4)에 고정되어 모터(81)의 구동에 의해 작업대(4)를 승강시키는 체인(82)으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아울러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이송장치용 레일 주행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상기 측부 레일 주행장치(6)는 수직 레일(3)이 동,하절기의 온도 변화로 휘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휘어질 경우에도 작업대(4)의 상하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4)의 측부에 형성되어 수직 레일(3)의 내측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횡방향 관통홀(611)이 형성된 내측 이동판(61)과, 상기 횡방향 관통홀(611)에 나사축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중심 볼트(62)와, 상기 횡방향 관통홀(611)의 외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 볼트(62)의 나사축이 완전히 체결되지 않아 나사축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조여지거나 풀려지는 탭홀(631)이 형성되는 완충 내측 수직대(63)와, 상기 완충 내측 수직대(63)의 외측의 상,하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둘레가 상기 내측 수직홈(31)의 전,후면에 밀착되어 회전 승강되는 두 개의 승강 롤러(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내측 수직대(63)는 작업대(4)가 상하 방향으로 좀 더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완충 내측 수직대(63)의 상,하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둘레가 상기 내측 수직홈(31)의 안쪽 수직면에 밀착되는 두 개의 보조롤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직 레일(3)의 외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외측 수직홈(3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측부 레일 주행장치(6)는 작업대(4)의 상하 이동시 안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4)의 측부에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직 레일(3)의 외측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횡방향 관통홀이 형성된 외측 이동판(65)과, 상기 횡방향 관통홀(651)에 나사축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중심 볼트(66)와, 상기 횡방향 관통홀(651)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 볼트(66)의 나사축이 완전히 체결되지 않아 나사축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조여지거나 풀려지는 탭홀(671)이 형성되는 완충 외측 수직대(67)와, 상기 완충 외측 수직대(67)의 내측의 상,하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둘레가 상기 외측 수직홈(32)의 전,후면에 밀착되어 회전 승강되는 두 개의 승강 롤러(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외측 수직대(67)는 작업대(4)가 상하 방향으로 좀 더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하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둘레가 상기 외측 수직홈(32)의 안쪽 수직면에 밀착되는 두 개의 보조롤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측부 레일 주행장치들은 작업대를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의 양측의 상,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4)의 고소 이송장치용 레일 주행장치를 사용하여 작업대(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승강 구동수단(8)을 작동시켜 작업대(4)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좌우 이동대(2)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수직 레일이 동,하절기의 온도 변화로 휘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각각의 측부 레일 주행장치(6)의 내측 이동판(61)과 외측 이동판(65)의 상,하부에 구비된 상,하부의 두 개의 승강 롤러(68)(64)가 수직 레일(3)의 휘어진 부분을 통과하는 순간에는, 각각의 측부 레일 주행장치(6)의 완충 내측 수직대(63)와 완충 외측 수직대(67)의 중심에 형성된 탭홀(631)(671)이 중심 볼트(62)(66)의 나사축에서 풀리거나 조여져 완충 내,외측 수직대(63)(67)의 각도가 변경되어 완충 내,외측 수직대(63)(67)의 상,하부의 두 개의 승강 롤러(68)(64)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수직 레일(3)을 휘어진 부분을 통과하여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직 레일(3)이 동,하절기의 온도 변화로 휘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휘어질 경우에도 작업대(4)의 상하 방향의 승강 주행을 가능함으로써, 수직 레일(3)이 휘어지더라도 작업대(4)의 상하 방향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대(4)가 상하 이동시 작업대(4)가 전,후방으로 유동될 경우에는, 각각의 측부 레일 주행장치(6)의 완충 내측 수직대(63)와 완충 외측 수직대(67)의 중심에 형성된 탭홀(631)(671)이 중심 볼트(62)(66)의 나사축에서 풀리거나 조여져 완충 내,외측 수직대(63)(67)의 각도가 변경되어 작업대(4)의 전,후방의 유동에 따른 충격을 완충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대(4)의 상하 이동시 작업대(4)가 전,후방으로 유동될 경우에 작업대(4)의 전,후방의 유동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각각의 측부 레일 주행장치(6)를 구성하는 완충 내,외측 수직대(63)(67)의 상,하부에 구비된 상,하 승강 롤러(68)(6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수평 레일
11 : 관통홀
12a : 전방 롤러 안착부
12b : 후방 롤러 안착부
13a : 전판
13b : 후판
14 : 보조롤러
2 : 좌우 이동대
3 : 수직 레일
31 : 내측 수직홈
32 : 외측 수직홈
4 : 작업대
5 : 상부 레일 주행장치
51 : 상부 주행수단
52 : 상부 이동판
521 : 상부 주행롤러
53 : 횡방향 힌지연결부
54 : 하부 회전 연결부재
6 : 측부 레일 주행장치
61 : 내측 이동판
611 : 횡방향 관통홀
62 : 중심 볼트
63 : 완충 내측 수직대
631 : 탭홀
64 : 승강 롤러
65 : 외측 이동판
651 : 횡방향 관통홀
66 : 중심 볼트
67 : 완충 외측 수직대
671 : 탭홀
68 : 승강 롤러
7 : 좌우 구동수단
71 : 모터
72 : 구동 롤러
8 : 승강 구동수단
81 : 모터
82 : 체인

Claims (8)

  1. 지상에 좌우 방향으로 구비되고 하판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의 전,후방에는 전,후방 롤러 안착부가 구비되는 관 형상의 수평 레일과, 수평 레일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에 중량물인 작업대나 호이스트가 연결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좌우 이동대와, 상기 좌우 이동대와 수평 레일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레일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중량물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일 주행장치는 상기 좌우 이동대의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어 전,후방 롤러 안착부를 타고 이동되는 두 개의 상부 주행수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상부 주행수단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는 상부 이동판과,
    상기 상부 이동판의 전,후방에 구비되어 둘레가 상기 전,후방 롤러 안착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다수의 상부 주행롤러와,
    상기 상부 이동판의 하부에 횡방향 힌지연결부로 연결되어 하부가 상기 횡방향 힌지연결부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좌우 이동대의 상면 측부에 고정되는 하부 회전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횡방향 힌지연결부는
    상기 상부 이동판의 하단의 양측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각에는 측 횡형홀이 형성되는 두 개의 측 브래킷과,
    상기 하부 회전 연결부재의 상단에서 상기 양측의 측 브래킷의 사이에 삽입되게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앙 횡형홀이 형성되는 중앙 브래킷과,
    상기 두 개의 측 횡형홀과 중앙 횡형홀에 관통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주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회전 연결부재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 이동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상부에서 횡방향의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직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주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전,후방 단부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전,후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이동판의 하부 양측에는 둘레가 상기 전,후판의 내면에 밀착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두 개의 보조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주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주행장치는
    상기 좌우 이동대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내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내측 수직홈이 형성되는 양측 수직 레일과, 양측 수직 레일의 사이에는 양측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측부 레일 주행장치로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업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측부 레일 주행장치는
    상기 작업대의 측부에 형성되어 수직 레일의 내측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횡방향 관통홀이 형성된 내측 이동판과,
    상기 횡방향 관통홀에 나사축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중심 볼트와,
    상기 횡방향 관통홀의 외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볼트의 나사축이 완전히 체결되지 않아 나사축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조여지거나 풀려지는 탭홀이 형성되는 완충 내측 수직대와,
    상기 완충 내측 수직대의 외측의 상,하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둘레가 상기 내측 수직홈의 전,후면에 밀착되어 회전 승강되는 두 개의 승강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주행장치.
  6. 제5항 있어서,
    상기 완충 내측 수직대는
    상,하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둘레가 상기 내측 수직홈의 안쪽 수직면에 밀착되는 두 개의 보조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주행장치.
  7. 제5항 있어서,
    각각의 수직 레일의 외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외측 수직홈이 더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측부 레일 주행장치는
    상기 작업대의 측부에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직 레일의 외측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횡방향 관통홀이 형성된 외측 이동판과,
    상기 횡방향 관통홀에 나사축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중심 볼트와,
    상기 횡방향 관통홀의 내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중심볼트의 나사축이 완전히 체결되지 않아 나사축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조여지거나 풀려지는 탭홀이 형성되는 완충 외측 수직대와,
    상기 완충 외측 수직대의 내측의 상,하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둘레가 상기 외측 수직홈의 전,후면에 밀착되어 회전 승강되는 두 개의 승강 롤러(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주행장치.
  8. 제7항 있어서,
    상기 완충 외측 수직대는
    상,하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둘레가 상기 외측 수직홈의 안쪽 수직면에 밀착되는 두 개의 보조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주행장치.
KR1020190153614A 2019-11-26 2019-11-26 중량물 주행장치 KR102301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14A KR102301077B1 (ko) 2019-11-26 2019-11-26 중량물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14A KR102301077B1 (ko) 2019-11-26 2019-11-26 중량물 주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89A KR20210064889A (ko) 2021-06-03
KR102301077B1 true KR102301077B1 (ko) 2021-09-14

Family

ID=76396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614A KR102301077B1 (ko) 2019-11-26 2019-11-26 중량물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188B1 (ko) * 2021-07-08 2023-08-17 류호남 호이스트 주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1650A (en) * 1996-04-19 1999-03-16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Running mechanism for chain hoists, load carrying means for trailing cable
DE59709614D1 (de) * 1996-11-29 2003-04-30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Fahrwerk einer Hebevorrichtung
KR20140102079A (ko) 2013-02-13 2014-08-21 남성기계산업 주식회사 호이스트 이송을 위한 크레인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89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78484A1 (en) A flaw detection machine with parallel lifting function, adapted for detecting flaw without demounting wheels
KR200433704Y1 (ko) 천공장치
KR101008359B1 (ko) 거푸집 승강장치
KR20080027155A (ko) 이송장치에 있어서의 승강대의 부착구조
KR102301077B1 (ko) 중량물 주행장치
KR101967220B1 (ko) 승강작업대
KR102528570B1 (ko)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대차장치
KR20110088734A (ko) 화물운반용 리프트의 전방조향장치
KR100894873B1 (ko) 업 다운 리프트장치
KR102183990B1 (ko) 사방으로 연결이 가능한 고소작업대
KR20180003229U (ko)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JP5092486B2 (ja) 移載装置
JPH04141341A (ja) ガントリーローダ
KR20150022066A (ko) 사다리 용접장치
CN215853415U (zh) 一种可旋转顶升移裁机
CN209906268U (zh) 一种基于单升平台的rgv
KR101955639B1 (ko) 카캐리어의 상부 데크 낙하방지장치
KR101398662B1 (ko) 차량용 리프트
KR101840218B1 (ko) 산업용 프레임 커버 제조 장치 및 방법
CN116639590B (zh) 半封闭车站内盾构机组件的拆解移动装置
CN210825252U (zh) 一种墨水成品及原料跨楼层升降搬运装置
CN213230295U (zh) 一种大型设备可转向滑移平台装置
JP2682316B2 (ja) 昇降搬送装置用支柱
KR100471259B1 (ko) 드롭 리프터 시스템
JP2712977B2 (ja) 昇降キャレッジ案内用支柱の据え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