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229U -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229U
KR20180003229U KR2020170002249U KR20170002249U KR20180003229U KR 20180003229 U KR20180003229 U KR 20180003229U KR 2020170002249 U KR2020170002249 U KR 2020170002249U KR 20170002249 U KR20170002249 U KR 20170002249U KR 20180003229 U KR20180003229 U KR 201800032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tunnel
moving
sprocket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산업
Priority to KR2020170002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229U/ko
Publication of KR201800032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22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04Staff transport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7/00Othe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ve power plant used;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r types of motive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9/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system used;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 B61C9/2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rotary prime movers, e.g. turbines
    • B61C9/30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rotary prime movers, e.g. turbin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널에 별도의 구조물 설치 없이 작업진행 방향을 따라 작업대를 자동으로 안전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정적이고, 자동으로 작업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성 향상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도록 터널의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터널의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지지턱을 따라 작업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상기 지지턱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대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전,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로드 하단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지지턱의 상면에 구름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롤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동롤러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각각의 상기 이동롤러와 연결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WORK PLATFORM MOVING DEVICE FOR TUNNEL CONSTRUCTION}
본 고안은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널에 별도의 구조물 설치 없이 터널의 내부에서 작업진행 방향을 따라 안정적이고, 자동으로 작업대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에서 작업 시에는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 및 높이에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대는 터널의 내부에서 작업 진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작업대의 이동을 위해서는 터널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 지지턱에 별도의 레일을 설치하고, 이 레일을 따라 작업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작업대의 하부에 레일롤러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작업대는 레일의 상부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일롤러에 의해 작업진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레일은 작업자가 터널의 내부에서 직접 설치하게 되며, 레일 파이프의 길이제약으로 인해 설정구간만 설치한 후, 터널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레일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대는 작업자가 설치한 레일이 지지턱의 불규칙한 면에 놓이거나 무거운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작업대가 흔들려 작업자가 추락할 염려가 있었고, 불안정한 자세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일정구간 마다 작업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을 다시 설치해야만 하여 레일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이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되고, 작업소요시간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또한, 터널 내부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작업대의 중량이 많이 나가 사람의 힘으로는 옮길 수 없으므로, 지게차 등을 터널 내부로 들여와 이동시켜야만 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터널에 별도의 구조물 설치 없이 작업진행 방향을 따라 작업대를 자동으로 안전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정적이고, 자동으로 작업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성 향상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는 터널의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터널의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지지턱을 따라 작업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상기 지지턱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대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전,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로드 하단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지지턱의 상면에 구름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롤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동롤러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각각의 상기 이동롤러와 연결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전후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전방 및 후방이 설정각도 만큼 상, 하부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로드의 선단에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이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롤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틸 소재로 형성되는 허브부; 및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턱에 구름 접촉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그 재질이 우레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허브부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각각의 상기 이동롤러 중,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이동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고, 회전축이 상기 터널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장착되는 구동 스프로킷;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대응하여 상기 터널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각 이동롤러의 회전축 외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각 이동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스프로킷; 각각의 상기 제1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체인; 상기 이동롤러 중,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이동롤러에서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터널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 롤러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제2 스프로킷; 및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구동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터널의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체인과 상기 구동체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턱을 따라 상기 각 이동롤러가 이동할 경우, 상기 지지턱으로부터 상기 이동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장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장착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는 장착 볼트; 및 상기 장착 볼트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턱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름 접촉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볼트는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에 상, 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에는 상기 지지턱의 폭 길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턱의 폭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는 그 재질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에 의하면, 터널에 별도의 구조물 설치 없이 작업진행 방향을 따라 작업대를 자동으로 안전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종래 레일 설치작업 시간을 제거하여 전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대 이동장치에 우레탄 소재가 적용된 이동롤러를 적용함으로써, 지지턱의 불규칙한 면에 놓이거나 작업대에 무거운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안전하게 흡수하면서 지지턱과의 접지력을 최대화시켜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케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터널 내부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작업대 이동장치에 적용된 구동수단의 작동을 통하여 작업대를 선택적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작업대 이동을 위한 지게차 등이 없이도 작업대의 원활한 위치 이동이 가능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가 적용된 터널 작업장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가 적용된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에 적용되는 구동수단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 수단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면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가 적용된 터널 작업장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가 적용된 작업대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에 적용되는 구동수단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 수단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100)는 터널(2)의 내부에서 작업자가 터널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10)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터널(2)의 내부에는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지지턱(4)이 상기 터널(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0)의 각 모서리부에는 상기 작업대(10)를 상,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하강 실린더(12)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대(10)의 전방 일측에는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10)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사다리(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12)는 터널작업 위치에 대응하여 작동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작동로드(R)가 상승하면서 상기 작업대(10)를 상기 터널(2)의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작동로드(R)가 하강하면서 상부로 이동된 작업대(10)를 다시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대 이동장치(100)는 상기 터널(2)의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지지턱(4)을 따라 상기 작업대(10)를 이동시키기 위해 적용된다.
이러한 작업대 이동장치(100)는,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 이동롤러(120), 및 구동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각각의 상기 지지턱(4)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대(10)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전, 후방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12)의 작동로드(R) 하단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전후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10)은 전방 및 후방이 설정각도 만큼 상, 하부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로드(R)의 선단에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이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기 지지턱(4)의 상면이 수평이 아닌 불규칙하게 형성될 경우, 불규칙한 상기 지지턱(4)의 상면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로드(R)를 중심으로 설정각도 만큼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상기 작동로드(R)와 연결된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높이 만큼 상,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턱(4) 상에서 상기 작업대(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롤러(120)는 상기 지지턱(4)의 상면에 구름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롤러(1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틸 소재로 형성되는 허브부(122)와, 상기 허브부(122)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턱(4)에 구름 접촉되는 완충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124)는 상기 지지턱(4)의 상면에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될 경우, 상기 지지턱(4)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동시에, 완충작용을 하도록 그 재질이 우레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124)는 일정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허브부(122)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롤러(120)는 상기 지지턱(4)의 상면에 원활하게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13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작업대(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130)은,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동롤러(120)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각각의 상기 이동롤러(120)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수단(130)은, 구동모터(131), 구동 스프로킷(132), 제1 스프로킷(133), 연결체인(134), 제2 스프로킷(135), 및 구동체인(136)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구동모터(131)는 각각의 상기 이동롤러(120) 중,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이동롤러(120)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일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31)는 그 회전축이 상기 터널(2)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31)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모터로 형성되며, 작동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스프로킷(132)은 상기 구동모터(131)의 회전축 선단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1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로킷(133)은 상기 구동 스프로킷(132)에 대응하여 상기 터널(4)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각 이동롤러(120)의 회전축 외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각 이동롤러(120)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연결체인(134)은 상기 각 이동롤러(120)에 각각 장착된 상기 제1 스프로킷(133)들을 상호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후방에 각각 장착된 상기 이동롤러(120)는 각각의 상기 제1 스프로킷(133)이 상기 연결체인(134)을 통해 상호 연결됨에 따라, 상기 터널(4)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스프로킷(135)은 상기 이동롤러(120) 중,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에서 상기 구동모터(131)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기 이동롤러(120)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2 스프로킷(135)은 상기 구동 스프로킷(132)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프로킷(133)으로부터 상기 터널(4)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스프로킷(133)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 롤러(120)의 회전축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체인(136)은 상기 구동 스프로킷(132)과 상기 제2 스프로킷(135)을 상호 연결한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130)은 상기 터널(2)의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7)는 상기 연결체인(134)과 상기 구동체인(136)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 플레이트(137)는 터널작업 시에 발생되는 분진, 모래, 돌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이 상기 구동 스프로킷(132), 상기 연결체인(134), 상기 제1, 및 제2 스프로킷(133, 135), 및 상기 구동체인(136)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상기 구동수단(130)에서 발생될 수 있는 구동불량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구동수단(13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구동모터(131)가 작동압 공급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구동 스프로킷(132)은 상기 구동모터(131)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제2 스프로킷(135)은 상기 구동체인(136)을 통해 상기 구동 스프로킷(13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스프로킷(135)과 동일한 회전축에 연결된 상기 제1 스프로킷(133)은 상기 제2 스프로킷(135)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에 위치된 상기 이동롤러(120)를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방에 위치된 상기 이동롤러(120)는 상기 연결체인(134)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상기 제1 스프로킷(133)에 의해 상기 제2 스프로킷(13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방의 상기 이동롤러(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대 이동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구동수단(130)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지지턱(4) 상에서 터널작업 위치에 맞게 상기 작업대(10)를 상기 터널(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상기 지지턱(4)을 따라 상기 각 이동롤러(120)가 이동할 경우, 상기 지지턱(4)으로부터 상기 이동롤러(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롤러(12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14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140)은, 도 3과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브라켓(142, 144), 장착 볼트(146), 및 가이드 롤러(148)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 브라켓(142)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장착된다.
상기 제2 브라켓(144)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브라켓(142, 144)은 대체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측면과 수직한 부분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제2 브라켓(142, 144)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42, 142)이 상호 연결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볼트(146)는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42, 144)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측면과 수직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 볼트(146)는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142, 144) 상에서 고정너트들에 의해 각각 상, 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롤러(148)는 상기 장착 볼트(146)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턱(4)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름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롤러(148)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된 상기 지지턱(4)과의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그 재질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브라켓(144)에는 상기 지지턱(4)의 폭 길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148)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턱(4)의 폭 방향으로 슬롯(14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148)는 상기 지지턱(4)의 폭 길이에 맞게 상기 장착 볼트(146)를 상기 슬롯(149) 상에서 폭 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턱(4)의 양쪽 측면과 각각의 상기 가이드 롤러(148)를 원활하게 구름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가이드 수단(140)은 상기 구동수단(130)의 작동에 의해 각각의 상기 이동롤러(120)들이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면서 상기 작업대(10)를 이동시킬 경우, 상기 지지턱(4)의 하부 양쪽 측면에서 각각의 상기 가이드 롤러(148)가 구름 접촉된 상태로, 상기 작업대 이동장치(100)의 이동을 가이드 함으로써, 상기 이동롤러(120)들이 상기 지지턱(4) 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작업대(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100)를 적용하면, 상기 터널(2)에 별도의 구조물 설치 없이 작업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작업대(10)를 자동으로 안전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종래 레일 설치작업 시간을 제거하여 전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 이동장치(100)에서 승하강 실린더(12)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우레탄 소재의 완충부(124)가 적용된 상기 이동롤러(120)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지지턱(4)의 불규칙한 면에 놓이거나 상기 작업대(10)에 무거운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안전하게 흡수하면서 상기 지지턱(4)과의 접지력을 최대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수단(140)을 통해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케 함으로써, 터널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널(4) 내부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작업대 이동장치(100)에 적용된 상기 구동수단(130)의 작동을 통하여 상기 작업대(10)를 선택적으로 원활하게 전, 후진 이동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작업대 이동을 위한 지게차 등이 없이도 상기 작업대(10)의 원활한 위치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 터널
4 : 지지턱
10 : 작업대
12 : 승하강 실린더
14 : 사다리
100 : 작업대 이동장치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이동롤러
122 : 허브부
124 : 완충부
130 : 구동수단
131 : 구동모터
132 : 구동 스프로킷
133 : 제1 스프로킷
134 : 연결체인
135 : 제2 스프로킷
136 : 구동체인
137 : 커버 플레이트
140 : 가이드 수단
142, 144 : 제1, 및 제2 브라켓
146 : 장착볼트
148 : 가이드 롤러
149 : 슬롯

Claims (14)

  1. 터널의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터널의 폭 방향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지지턱을 따라 작업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상기 지지턱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대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서 전,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로드 하단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지지턱의 상면에 구름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롤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동롤러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각각의 상기 이동롤러와 연결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전후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전방 및 후방이 설정각도 만큼 상, 하부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로드의 선단에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이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틸 소재로 형성되는 허브부; 및
    상기 허브부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턱에 구름 접촉되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그 재질이 우레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허브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각각의 상기 이동롤러 중,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이동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고, 회전축이 상기 터널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장착되는 구동 스프로킷;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대응하여 상기 터널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각 이동롤러의 회전축 외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각 이동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스프로킷;
    각각의 상기 제1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체인;
    상기 이동롤러 중,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이동롤러에서 상기 구동 스프로킷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터널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 롤러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제2 스프로킷; 및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을 상호 연결하는 구동체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그 작동압을 유압으로 하는 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터널의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체인과 상기 구동체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턱을 따라 상기 각 이동롤러가 이동할 경우, 상기 지지턱으로부터 상기 이동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장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장착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는 장착 볼트; 및
    상기 장착 볼트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턱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름 접촉되는 가이드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볼트는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에 상, 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에는
    상기 지지턱의 폭 길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턱의 폭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그 재질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KR2020170002249U 2017-05-08 2017-05-08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KR201800032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49U KR20180003229U (ko) 2017-05-08 2017-05-08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49U KR20180003229U (ko) 2017-05-08 2017-05-08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29U true KR20180003229U (ko) 2018-11-16

Family

ID=6455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249U KR20180003229U (ko) 2017-05-08 2017-05-08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22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011B1 (ko) * 2019-10-11 2020-05-25 한설봉 레일을 이용한 엔진 동력식 작업대차
CN112623655A (zh) * 2020-12-17 2021-04-09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化煤矿巷道运煤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011B1 (ko) * 2019-10-11 2020-05-25 한설봉 레일을 이용한 엔진 동력식 작업대차
CN112623655A (zh) * 2020-12-17 2021-04-09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化煤矿巷道运煤系统
CN112623655B (zh) * 2020-12-17 2021-07-06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化煤矿巷道运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62232B2 (ja) 壁シートを貼着する壁面の下地仕上機
KR20180003229U (ko) 터널 작업용 작업대 이동장치
KR101967220B1 (ko) 승강작업대
CN112196309A (zh) 一种竖向支撑结构的拆除清运方法
KR101317141B1 (ko) 차량용 시트 투입장치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JPH0361541B2 (ko)
CN211306561U (zh) 一种木门生产用板料中转架
KR200312650Y1 (ko) 터널의 방수시트 부착 작업차
JPH05177391A (ja) 溶接用ポジショナー
CN110696098A (zh) 一种木门板料的拼接裁切系统
CN110696097A (zh) 一种木门生产用板材运转系统
CN110815399A (zh) 一种板料输送架及上料系统
CN110834368A (zh) 一种木门板材的拼接加工方法
KR20190113032A (ko) 지게차 마스트 조립용 지그장치
CN117300424B (zh) 一种适用于狭窄空间的钢筋焊接设备
CN217840780U (zh) 一种建筑安装施工平台
CN211306665U (zh) 一种板料上料台
CN219768176U (zh) 一种简化摩托车装配流程的辅具
JPH05149080A (ja) アンカードリル用昇降作業台
KR100333509B1 (ko) 교량 평탄화 작업기계
CN219401765U (zh) 一种槽钢开口调节装置
CN218620140U (zh) 一种可增加高度的设备安装脚手架
KR200180811Y1 (ko) 교량 평탄화 작업기계
KR101840218B1 (ko) 산업용 프레임 커버 제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