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553U -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553U
KR20210001553U KR2020190005327U KR20190005327U KR20210001553U KR 20210001553 U KR20210001553 U KR 20210001553U KR 2020190005327 U KR2020190005327 U KR 2020190005327U KR 20190005327 U KR20190005327 U KR 20190005327U KR 20210001553 U KR20210001553 U KR 202100015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pindle shaft
support
heigh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190005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553U/ko
Publication of KR202100015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가 용이하면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스핀들을 상,하로 승강동작시켜 배관이나 밸브 등의 피대상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에 바닥에 안착되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서포트 몸체와; 배관이나 밸브의 피대상물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중공 내에 마련된 승강블록에 연동되는 받침대와; 상기 서포트 몸체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에 연동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연동되고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된 스핀들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축에 전달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축의 상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스핀들축의 회전동작시 승강동작되어 상기 받침대를 승강동작시키는 승강블록;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SUPPORT WITH CONTROLLING HEIGHT}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하면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스핀들을 상,하로 승강동작시켜 배관이나 밸브 등의 피대상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배관이나 밸브용 서포트의 장치를 살펴보면, 중공 구조를 형성하는 서포트 관부에는 배관의 구경이 가변 되더라도 견고한 지지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관의 외면을 압지 하는 압지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나 서포트 관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부는 단순히 길이를 갖고 연결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의 신장 또는 신체 조건에 맞는 높이 조절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부에 대한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게 되면, 예를 들어 상기 지지다리부의 높이보다 작업자의 신장이 클 경우 든, 또는 컨트롤 박스의 높이보다 작업자의 신장이 작을 경우 든 컨트롤 박스의 높이는 작업자가 작업 자세를 편하게 취할 수 있는 높이가 아니므로 작업을 하게 될 때, 머리를 숙이면서 허리를 굽히는 자세를 취하게 되거나 반대로 머리를 젖혀 위를 바라 보게 되는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작업자가 부자연스러운 자세에서 작업을 하다 보면 팔 자세 또한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에 대한 불편함과 함께 작업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작업자가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할 경우, 부자연스러운 자세가 비록 짧은 시간이더라도 신체에 전달되는 피로 도는 급상승하게 된다. 아울러, 통증도 동반하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높이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부에 대한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게 되면, 각종 장치 및 장비의 사용을 위해 배관의 높이를 맞추지 못하여 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지다리부에 버팀목을 받치는 형태로 높이를 조절하거나 높이에 맞는 배관용 서포트 장치를 각각 제작하여야 하고, 배관을 해당 높이에 맞는 배관용 서포트 장치로 옮기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배관 작업에 대한 지연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0740호 "배관용 서포트 장치의 높이조절 어셈블리"(공개일자 ; 2017년03월02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관의 둘레를 감싸주는 서포트 관부; 상기 서포트 관부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갖고 설치되며 서포트 관부를 통과한 배관의 외면을 압지 형태로 지지 고정하는 압지수단; 상기 서포트 관부의 하부에 고정 연결되어 서포트 관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세워진 지지다리부; 상기 지지다리부의 내부에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 되며 승,하강하는 높이 조절 어셈블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용 서포트 장치의 높이조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높이조절 어셈블리는 지지다리부를 승,하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에 구비되는 이동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유닛은 승,하강 및 정지 기능을 구현하며 이동로드가 삽입 형태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과 오일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형태로 지지다리부에 고정되는 오일탱크장치; 상기 오일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오일저장탱크의 오일을 구동원으로 공급 또는 회수하도록 하는 조작스위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위의 경우에는 배관에만 적용 가능하고, 구동원과 오일탱크장치 등의 구동유닛이 필요하므로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0740호 "배관용 서포트 장치의 높이조절 어셈블리"(공개일자 ; 2017년03월02일)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면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스핀들을 상,하로 승강동작시켜 배관이나 밸브 등의 피대상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에 바닥에 안착되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서포트 몸체와; 배관이나 밸브의 피대상물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중공 내에 마련된 승강블록에 연동되는 받침대와; 상기 서포트 몸체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에 연동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연동되고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된 스핀들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축에 전달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축의 상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스핀들축의 회전동작시 승강동작되어 상기 받침대를 승강동작시키는 승강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축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핀들축에 결합되어 상기 스핀들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구동기어는 피니언기어이고, 상기 종동기어는 베벨기어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휴대가 용이하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손잡이부재를 회전시켜 복수의 기어 구성요소와 스핀들축을 이용하여 승강블록과 받침대를 상,하 승강시킴으로써, 피대상물의 높낮이 조절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바닥에 안착되는 지지판(1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10)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125)이 형성된 서포트 몸체(100)와; 배관이나 밸브의 피대상물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중공(125) 내에 마련된 승강블록(600)에 연동되는 받침대(700)와; 상기 서포트 몸체(100)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200)와; 상기 손잡이부재(200)에 연동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중공(125) 내에 배치되는 구동기어(300)와; 상기 구동기어(300)와 치합되어 연동되고 상기 중공(125) 내에 배치된 스핀들축(5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300)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축(500)에 전달하는 종동기어(400); 및 상기 중공(125)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축(500)의 상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스핀들축(500)의 회전동작시 승강동작되어 상기 받침대(700)를 승강동작시키는 승강블록(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 몸체(100)는 하부에 지면 바닥과의 넓은 지지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지지판(110)과, 상기 지지판(110)의 중앙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공(125)을 갖는 관 형태의 관체(120)로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몸체(100)의 관체(120)는 중간 정도의 높이에 손잡이부재(200)가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재(200)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일단부가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동기어(300)는 상기 중공(125) 내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재(200)에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일 예로 피니언기어를 채용한다.
상기 종동기어(400)는 베벨기어를 채용할 수 있으며, 스핀들축(50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300)와 기어이 맞물림 치합되어 상기 구동기어(300)의 회전력을 스핀들 축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스핀들 축은 상부가 승강블록(600)의 내부에 나사체결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스핀들축(500)의 회전력으로 상기 승강블록(600)을 상,하 승강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승강블록(600)은 상부에 받침대(700)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축(500)의 회전동작시 승강동작력으로 전환시켜 받침대(700)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중공(125)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축(5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판(810)과, 상기 고정판(810)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핀들축(500)에 결합되어 상기 스핀들축(500)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재(820)를 더 구비한다.
미설명 부호 "850"은 상기 스핀들축(500)에 끼워지고 상기 중공(125)내에 배치되어 상기 스핀들축(5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부싱(850)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배관이나 밸브 등의 피대상물을 받침대(700)의 상측에 안착시키고, 작업자가 손잡이부재(200)를 파지한 상태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손잡이부재(200)에 결합된 구동기어(300)가 연동회전되면서 상기 종동기어(400)측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400)는 스핀들축(500)과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기어(300)의 회전시 상기 스핀들축(500)을 회전시키도록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핀들축(500)은 중공(125) 내에 마련된 베어링부재(820)와 부싱(850)에 의해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스핀들축(500)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시 승강블록(600)을 상,하로 승강동작시킨다.
상기 승강블록(600)은 상,하 승강동작시 받침대(700)를 연동되게 상,하 승강동작시켜 받침대(700) 상에 안착된 피대상물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휴대가 용이하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손잡이부재(200)를 회전시켜 복수의 기어 구성요소와 스핀들축(500)을 이용하여 승강블록(600)과 받침대(700)를 상,하 승강시킴으로써, 피대상물의 높낮이 조절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100 : 서포트 몸체 110 : 지지판
120 : 관체 125 : 중공
200 : 손잡이부재 300 : 구동기어
400 : 종동기어 500 : 스핀들축
600 : 승강블록 700 : 받침대
810 : 고정판 820 : 베어링부재
850 : 부싱

Claims (3)

  1. 하부에 바닥에 안착되는 지지판(1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10)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125)이 형성된 서포트 몸체(100)와;
    배관이나 밸브의 피대상물이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중공(125) 내에 마련된 승강블록(600)에 연동되는 받침대(700)와;
    상기 서포트 몸체(100)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200)와;
    상기 손잡이부재(200)에 연동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중공(125) 내에 배치되는 구동기어(300)와;
    상기 구동기어(300)와 치합되어 연동되고 상기 중공(125) 내에 배치된 스핀들축(5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300)의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축(500)에 전달하는 종동기어(400); 및
    상기 중공(125)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축(500)의 상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스핀들축(500)의 회전동작시 승강동작되어 상기 받침대(700)를 승강동작시키는 승강블록(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125)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축(5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판(810)과,
    상기 고정판(810)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핀들축(500)에 결합되어 상기 스핀들축(500)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재(8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300)는 피니언기어이고, 상기 종동기어(400)는 베벨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
KR2020190005327U 2019-12-30 2019-12-30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 KR202100015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327U KR20210001553U (ko) 2019-12-30 2019-12-30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327U KR20210001553U (ko) 2019-12-30 2019-12-30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53U true KR20210001553U (ko) 2021-07-08

Family

ID=7686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327U KR20210001553U (ko) 2019-12-30 2019-12-30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55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655B1 (ko) * 2021-09-30 2022-05-03 홍성우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초고속 서비스 제공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40U (ko) 2015-08-19 2017-03-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용 서포트 장치의 높이조절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40U (ko) 2015-08-19 2017-03-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용 서포트 장치의 높이조절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655B1 (ko) * 2021-09-30 2022-05-03 홍성우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초고속 서비스 제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754427U (zh) 一种用于管道对口的三维调节管道支架
KR20210001553U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
KR20090121512A (ko) 작업대의 높낮이 조절장치
US6612548B2 (en) Hoist
KR20170046890A (ko) 배관파이프용 리프트
CN206899527U (zh) 一种便于调高的打孔装置
KR101773255B1 (ko) 고소작업대
KR20140106157A (ko) 곡선을 갖는 작업대상의 용접장치
CN211003546U (zh) 用于玻璃吊装的可调吊装装置
CN106799721B (zh) 一种电力设备检修台
CN209031408U (zh) 一种智能可升降的桌架
KR101431374B1 (ko) 잭-업 플랫폼 구동장치
CN202824748U (zh) 一种钻孔器的辅助工装
KR20170000740U (ko) 배관용 서포트 장치의 높이조절 어셈블리
CN213828872U (zh) 一种室内装修用工作台
CN204024078U (zh) 用于梁板底部植筋的钻机工作架
CN208290751U (zh) 一种具有自动升降功能的喷码机支架
CN205432883U (zh) 自动控制翻转升降的龙门式画板
CN207553993U (zh) 自由调节升降桥座
CN219042629U (zh) 一种可伸缩调整高度的床边扶手
KR101386083B1 (ko) 승강 테이블
CN203712190U (zh) 钢管插接法兰埋弧焊接液压倾斜变位机
CN220338009U (zh) 一种操作面板可升降的操控台
KR20190037208A (ko) 레미콘 믹서트럭 슈트 반자동화 구동장치 2.
KR102661226B1 (ko)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맨홀프레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