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55947A2 -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 Google Patents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55947A2
WO2011055947A2 PCT/KR2010/007618 KR2010007618W WO2011055947A2 WO 2011055947 A2 WO2011055947 A2 WO 2011055947A2 KR 2010007618 W KR2010007618 W KR 2010007618W WO 2011055947 A2 WO2011055947 A2 WO 201105594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ft
frame
auxiliary
b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76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55947A3 (ko
WO2011055947A9 (ko
Inventor
김석일
Original Assignee
Kim Seokil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10701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98722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4702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127500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10446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20104647A/ko
Application filed by Kim Seokil filed Critical Kim Seokil
Publication of WO201105594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55947A2/ko
Publication of WO201105594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55947A3/ko
Publication of WO2011055947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55947A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multi-function table lift, more specifically, to give a lot of convenience in transporting the goods by lowering the minimum height of the table as much as possible, the work progresses quickly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as well as convenient to the luggage compartment of the truck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multi-function table lift that can be loaded or unloaded to implement ease of long-distance movement and to improve work efficiency by consuming less operator force.
  • a lift is for safely moving a heavy object
  • a lift is provided as a cart type consisting of a lower frame with a wheel on the bottom, and a table for placing the object to be moved.
  • Such a cart-type lift is used to simply carry and move a heavy object for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feels uncomfortable because there is no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able.
  • an X link mechanism is install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table, and the X link mechanism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power unit to raise and lower the table. It consist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vable table lift
  •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movable table lift.
  • a table 10 having a flat plate shape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4, and the table 10 is a lifting device 20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3.
  • the elevating device is lifted up by), and a control box 1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device 20 is installed at the rear, and a handle 2 for pushing or pulling the table lift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 the lifting device 20 as shown in the drawing consisting of the X-link mechanism 21 and the lifting cylinder 22, a pair of parallel inner link, as long as it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link
  • a two-stage pantograph-type lift which is stacked in two stages up and down, is used, and is interconnected with the elevating device 20 and the control box 1.
  • the wheel 4 is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driving unit 5 generating power, and the table lift is easily moved.
  • the worker lifts the object to be moved on the table 10, and then grabs the handle 2 to move the object down to the desired place.
  • the lifting device 20 is operated to raise the table 10 to the desired height.
  • the operator moves the wheel 4 by rotating the drive unit 5 while pressing the switch of the control box (1), at this time grasping the handle (2) to adjust the direction to move comfortably.
  • the switch of the control box (1) is of course configured as a switch corresponding to the on, off for each operation, for example, a switch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able 10 by operating the lifting device 20
  • the lever may be configured to raise the table 10 when advancing the lever and the table 10 when lowering the lever.
  • control box 1 Since the circuit operated by the control box 1 may use a conventional circuit that is already us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table 10 as can be seen in the figure, even if located at the lowest possible height by the lifting device 20, the table 10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 the wheel 4 is installed Therefore, the bar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a certain height,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ings to be moved, the table 10 should be placed at a lower height, so that the work is slow and the working time increases. This is happening.
  • the conventional movable table lift has only a simple function of moving the table 10 up and down, and thus has a problem in that many items should be considered for purchase and use because the use range is small.
  • the mobile table lift in the long-distance movement, as the mobile table lift should be moved after loading the movable table lift in the luggage compartment of the van, the mobile table lift is loaded by a plurality of people in the luggage compartment, and the stacked mobile table lift is lifted by a plurality of people again. Since it is put down, a lot of workers are required, and work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 the movable table lift is capable of carrying only a function of transporting an object using the table 10, and more various functions are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lower the minimum height of the table 10 as much as possible, not only very easy to transport the goods, but also the work time is shortened due to the convenience of work,
  • the object is to provide a mobi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which allows for improved work efficiency.
  • the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abl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a movable frame, and in the conventional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in which the table is raised or lowered by a lifting device, An auxiliary frame to which the rear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front; An auxiliary table coupled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and position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table to move up or down together with the table; It is made, including, the rear horizontal connection bar is coupled to each of the rear upper sides of the auxiliary frame is coupled to the rear, th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connection bar comprises an insertion hole formed on each side so that the corresponding insertion do.
  • the auxiliary frame and the two horizontal connecting bars, respectively,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central axis, the auxiliary frame includes a horizontal bar across the vertical middle portion, and is installed while connecting the rear of the horizontal bar and the bottom of the table
  • the auxiliary frame includes rotation shaft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nd the auxiliary table includes a rotation tub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shaft at the rear thereof.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ent portion that is bent downwardly between the rotary tube and the auxiliary table, and further includes a support flange form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to protrude forward to support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 each side has a horizontal hole formed in each of the groove shape, and has a side bar formed with side connection bars for inserting the corresponding horizontal holes, respectively, protruding from the front outer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side bar Support bars are provided, respectively for supporting both lower surfaces of the auxiliary table; It is provided with.
  • the auxiliary frame may include horizontal holes formed in grooves on both sides, and side bars formed with side connection bar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holes,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at the front outer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side bars.
  • the auxiliary frame includes a vertical hole formed in a vertical groove shape on each of the upper sides, the vertical connection ba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vertical holes and the upper portion provid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both vertical connection bars
  • a hoist mechanism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r and the upper bar, the hoist being provided in front; It is further provided.
  • a tabl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frame, the table is a general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that is raised or lowered by a lifting device, comprising: an auxiliary frame having a rear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front of the table; A clamping member having a lock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 ⁇ ” shape and fixed to the auxiliary frame by a hook; It may be made, including.
  • the multifunctional table lif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tabl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moving by a plurality of wheels, the general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that the table is raised or lowered by a lifting device.
  • the lower tabl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to be raised or lowered by the lifting device;
  • a support device provid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lower table to support the lower table;
  • a lower frame elevating device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lower frame and the lower table to lift the lower fram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ble lifted by the elev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 the support device may include a front support coupled to each of the front sides of the lower table by a front shaft to rotate about the front shaft and fix the position vertically or horizontally;
  • a rear support coupled to each of the rear rear sides of the lower table, the rear support being rotated about the rear axis and fix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 the front support further includes a front adjustment bar coupled from the lower side into or out of the front support, the rear support, further coupled to the lower rear guide is introduced or drawn into the rear suppor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 the lower frame elevating device the winding portion rotated by a rope motor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One end is wound around the winding part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hook to selectively hook the fixed part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 the upper tabl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table;
  • a rotating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table and the lower table to rotate the upper 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 the rotating device may include a longitudinal sprocket having an outer circumference of a coupling shaft connecting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abl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table, wherein only the upper table rotates together; A juice sprocket install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longitudinal sprocket and rotated by driving a rotary motor; And a chain connected to the juice sprocket and the seed sprocket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juice sprocket to the seed sprocke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 Guide plates having rear connection bars which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upper insertion holes at both rear sides thereof;
  • a front fram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guide plate and having auxiliary holes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 An auxiliary side connecting bar corresponding to both auxiliary holes of the front frame, resp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ing an auxiliary side connecting bar coupled to each lower part thereof;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 the connecting fork is coupled to the auxiliary side bar by the connecting fork rotation shaft, and the connecting fork magnet for fixing the vertically connected connecting fork to rotate around the connecting fork rotation axis on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bar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fork is coupl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 a table rotating shaft formed i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 An auxiliary table having a rotat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table rotating shaft at a rear side thereof;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 auxiliary table installed vertically by rotating around the table rotation axis i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guide plate;
  • upper insertion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table, respectively;
  • a coupling plate having coupling coupling bars which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upper insertion holes at both rear sides thereof; Gourd installed in front of the coupling plate;
  • a forklift device installed to connect the rear of the gourd and the front of the coupling plate to rotate the gourd at various angles and have a forkrai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 the fork lane device the connecting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front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rear of the gourd;
  • a plurality of connecting links installed to connect the front of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coupling plate and the rear of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gourd;
  • a first cylinder having a rear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and a front sid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 a second cylinder whose rear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and whose front side is connected to the gour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xtension device that is drawn out or drawn in the lateral or forward direction on both front sides of the lower frame, respectively, to support the lower frame.
  • the coupling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front side of the lower frame in the groove in the lateral direction; Side extension bars which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upling bar is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coupling hole and is pulled out or pulled in the lateral direction; A front extension bar coupled to the side extension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rawn out or drawn in front; A support roller coupled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ont extension bar by a support shaft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is provided with a table on an upper portion of a frame moving by a whee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and a general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in which the table is raised or lowered by a lifting device.
  • a down bend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bent in front of the table; And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downward bent portion by a hinge, the vertical portion being rotated around the hinge to be folded.
  • auxiliary plate for loading the goods i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or further comprises a roller table that can be easily loaded or unloaded by a plurality of rollers i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 the roller table the frame forming the outer periphery; Or a plurality of rollers rotating forward or rearward in the interior of the frame, wherein the roller table comprises: a frame forming an outer circumference; A plurality of rollers rotating forward or backward within the mold; A driving roller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rame and rotating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rollers to rotate together.
  • the hand car fixing hole is further form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downward bent portion,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ate formed with a connection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hand car fixing hole in the lower rear of both sides of the hand car, the hand with the connection fixing hole and the hand car fixing hole Insert the locking pin to engage the hand car in front of the table.
  • the automatic fork member the side frame including a vertical bar having an insertion bar that is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side insertion hole; A lower fork provided at an outer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 And an upper fork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ork and moving up and down by a fork cylinder installed at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
  • the fork cylinder is fixed to the protrusion provided on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 and further comprises a guide rod penetrating the upper fork and connecting the protrusion and the lower fork.
  • the bar insertion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downward bent portion, the rear is inserted into the bar insertion hole fixed to the front and move to both sides, respectively, the rotating pressing member for rotating the object to be moved at a desired angle with noise It is made to include more.
  • the rotary pressing member the rear member is provided with a rear bar corresponding to the bar insertion hole in the rear, the rotating member including a body having a motor for rotating the motor shaft protruding forward therein;
  • a central plate having a shaft hole coupled to the motor shaft at a rear thereof and rotating by the motor; It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central plate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 which is moved to both sides by a cylinder installed inside the central plate.
  • the crimping port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each of the center plate, the entrance and exit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and exit hole is provided, the front and outside of the entrance and exit piece for holding the object to be moved; Is done.
  • the lowest height of the table can be lowered as much as possible by the auxiliary table, so that the goods can be carried very easily, and at the same time, the work is made comfortable and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 the side bar with the fork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auxiliary frame, it can be usefully used to move the pallet has the effect that can also function as a forklift.
  • the lower table is raised using a lifting device and the lower table is supported by supporting devic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table, respectively, and then the frame is lifted using the frame lifting device. Since the lift can be easily loaded or unloaded, the safety of the operator can be improved, and the convenience of work and the improvement of the work efficiency can be obtained.
  • the upper table can be rotated at various angles using a rotating device, the upper table can be rotated and operated according to a working environment and other conditions,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work.
  • the fork-lane function is also performed by using the fork-lane device installed at the front, and thus the use range is expanded as more various tasks are possible,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satisfaction and increasing the purchase desire to smoothly produce,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sold.
  • auxiliary plate or the roller table is provided in front of the table and the front of the table is folded, the work can be conveniently made in accordance with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 the hand car can be provided in the front, the hand car can be used separately, but when necessary, it can be combined with the front of the mobile multi-function table lift so that the supporting part of the hand car is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table so that the object can be moved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It also work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vable table lift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movable table lift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 6 and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ide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ing the hoist mechanism in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ing the tongs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ure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tables are raised by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 18 is a side view according to FIG. 17.
  • Figure 1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supported by th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2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frame is raised by the lower fram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21 to 2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loading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in the luggage compartment of the van
  •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table is rotated by the rot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2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 30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3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the connection fork and the auxiliary table in fro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 32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according to FIG. 31;
  • 33 and 34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fork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ure 35 and Figure 36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tabl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ure 37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according to Figure 31
  • 3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ension device coupled to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 3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 40 is a side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extension device
  • Figure 4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4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forklift function in fro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 43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according to FIG. 42
  • 44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klif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according to FIG.
  • 4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o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is folded
  • FIG. 4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folded according to FIG. 45;
  • 4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roller table is provided in fro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 4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ssential parts in detail showing the driving part of the roller table in the state of FIG. 47; FIG.
  • FIG. 4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iving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FIG. 47.
  • FIG. 5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llers are rotated according to FIG. 47
  • 5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 car coupled to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 5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andcar is coupled according to FIG. 51; FIG.
  • Figure 5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the automatic fork member to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 54 is a side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automatic fork member according to FIG.
  • FIG. 55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fork member according to FIG. 53 is raised;
  • Figure 5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the rotary pressing member to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 5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FIG. 56 is coupled;
  • FIG. 5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FIG. 56 is coupled;
  • FIG. 5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FIG. 56 is coupled;
  • 60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FIG. 56 is rotated.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6 an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S. 8 and 9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a table 10 having a flat plate shape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4, and the table 10 is a lifting device 20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3.
  • the elevating device is lifted up by), and a control box 1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device 20 is installed at the rear, and a handle 2 for pushing or pulling the table lift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 the lifting device 20 as shown in the drawing consisting of the X-link mechanism 21 and the lifting cylinder 22, a pair of parallel inner link, as long as it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link
  • a two-stage pantograph-type lift which is stacked in two stages up and down, is used, a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cylinder 22 and the control box 1.
  • the driving unit 5 for generating power to automatically rotate the wheel (4) and to make it easy to move the table lift.
  • the front of the table 1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of the secondary frame 100 of the square frame shape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bar 101 across the center, the front left and right of the table 10, respectively, the groove An insertion hole 11 having a shape is provided, and both horizontal connection bars 110 extending rearwar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auxiliary frame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sertion holes 11 are provided.
  • the bar 110 is inserted into both insertion holes 11, the auxiliary frame 10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table 10.
  • a plurality of table coupling holes 12 are formed to penetrate both insertion holes 11 of the table 10, and the table coupling holes 12 and the through coupling holes 111 corresponding to the table coupling holes 12 are horizontally connected. It is formed in each of the bars 110,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and then the fastening member C is inserted through the table coupling hole 12 and the through coupling hole 111 When fixed, the auxiliary frame 100 is firmly fixed to the front of the table 10,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C) is to use a fixing pin, furthermore, the insertion hole 11 by the bolt and nut or organic coupling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fixing parts that can be fixed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110 inserted in), which will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uxiliary frame 100 may be spaced apart at various distances in front of the table 10.
  • the front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110 and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10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entral axis 112 to configure the auxiliary frame 100 can be inclined around the central axis 112 Bar, the central axis 112 can be configured using a variety of components that can form a shaft, such as a fixing pin or bolt and nut, the horizontal bar 101 of the auxiliary frame 100 and the bottom of the table 10 Is connected to the tilt cylinder 120 is provided with a tilt shaft 121 is provided.
  • the front of the tilt shaft 121 is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horizontal bar 101
  • the rear of the tilt cylinder 120 is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table 10, the organic connection method Since various methods are generally used in addition to the method shown in the drawings, any one of them may be selected and used,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according to the organic connection will be omitted.
  • auxiliary frame 100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bar 110 is coupled to the central axis 112
  • any one of them may be selected and us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auxiliary frame 100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112 and tilts.
  • the tilt cylinder 120 operates to pull the tilt shaft 121 backward, the auxiliary frame 100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112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 a groove or a cutout may be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frame 3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tilt cylinder 120. to be.
  • both horizontal connecting bars 110 may be firmly fixed to the auxiliary frame 100 without the central axis 112 so as not to tilt the auxiliary frame 100, all of which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 Both sides of the space portion 102 formed in the auxiliary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103, the auxiliary table 130 is provided with a rotary tube 132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03, The rotary shaft 103 is inserted into the rotary tube 132 and the auxiliary table 130 is coupled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100.
  • the rotating shaft 103 formed in the space 102 may be formed long so as to be fitted on the side of the auxiliary frame 100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rotary tube 132, on both sides of the space 102
  • the auxiliary frame may be formed by forming a rotating groove and forming rotating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tube 132 to insert the rotating protrusion into the rotating groove to couple the auxiliary table 130 to the auxiliary frame 100. Since there are many methods for rotatably coupling the auxiliary table 130 to the 100, it can be implemented in other configurations than shown in the drawings, which will a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tary tube 132 and the auxiliary table 130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horizontal, but the table ( In order to lower the minimum height of 10), the bent portion 131 is bent downwardly between the rotary tube 132 and the auxiliary table 130 to further low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uxiliary table 130.
  • the rotary tube 132 and the auxiliary table 13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horizontal bar, which will a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upport flange 109 protruding forward is provid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100, and the support flange 109 supports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130 to suppor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auxiliary table 130.
  • the rotary shaft 103 is provided on both front lower ends of the auxiliary frame 100, and the rotary tube 132 and the auxiliary table 130 are formed horizontally to low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uxiliary table 130.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which will also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 the width of the auxiliary table 130 is shown to be smal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idth and length of the auxiliary table 130 may be variously manufactured and used, all of which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 Horizontal holes 104 hav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auxiliary frame 100, and side bars 140 provided with side connection bars 141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holes 104 are provided in the auxiliary frame (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r, in this case, the front side lower outer direction of the both side bar 140 is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f the support bar 143 protruding forward, the auxiliary frame ( When the side bars 14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100, the support bars 143 support both lower sides of the sub-table 130, and the support bar 143 and the side bars may be applied to the sub-table 130. 140) endures together.
  • the side bar 140 is firmly fixed to both sides of, of course, the auxiliary table 130 can also be firmly supported.
  • the horizontal hole 104 is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frame 100, and the side connection to the side bar 140 to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hole 104 formed on both sides, the lower side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bar 141 up and down, so that both side connection bars 141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shape of " ⁇ " and " ⁇ ” so as to withstand the load applied to the support bar 143 more strongly.
  • the upper and lower side connecting bars 141 ar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holes 104 to couple the side bars 140 to the auxiliary frame 100.
  • the insertion hole 11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bar 110, the auxiliary frame 100 and the horizontal bar 101, the horizontal hole 104 and the side connection bar 141 and the side bar ( 140 is preferably formed of a square tube and a square groove, it is preferable to form a rectangular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al strength, ease of fabrication and ease of coupling, etc. It can also be formed, which will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made as described above, while holding the handle (2) to adjust the control box (1) by rotating the wheel (4) to the drive unit 5 to move to the place to be moved.
  • the wheel 4 is rotated by the drive unit 5, but the wheel 4 is configured to rotate freely without power, it can be configured to hold the handle (2) so that the operator can push and pull and move Of course.
  • the worker moves the object on the table 10 or the auxiliary table 130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convenience of the work.
  • control box 1 when the object is in a high place, the control box 1 is operated to drive the lifting device 20.
  • the lifting cylinder 22 is operated to lift the lifting shaft 23, and thus X
  • the link mechanism 21 expands and contracts and the table 10 and the auxiliary table 130 move up and down.
  • the worker is to move the object to the table 10 or the auxiliary table 130, the worker can move to the table 10 or the auxiliary table 130 to the place where the goods are stacked, but the auxiliary table Since the object can be easily moved to the table 10 by climbing on the 130, the auxiliary table 130 can raise and lower the worker so that the object can be easily moved to the table 10 at a high position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placing the object. It can also function.
  • the auxiliary table 130 withstands the load together with the support bar 143 of the side bar 140, so that the object is not only safely placed, but also the worker. It is possible to safely work on the auxiliary table 130.
  • control box 1 is operated again to lower the table 10 and the auxiliary table 130.
  • the fixing plate 108 provided on the auxiliary frame 100 is rotated about the fixed shaft 108a so that the auxiliary table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100. By rotating the fixing plate 108 around the (), it prevents the auxiliary table 130 falls to the lower side.
  • the fixed shaft (108a)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hen the auxiliary table 130 is rotated about the rotary shaft 103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100, the fixed plate 108 is One side of the fixed shaft 108a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does not interfere when the auxiliary table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table 10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100. Whe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formed to have an interfering length.
  • the fixing plate 108 is rotated before the auxiliary table 130 reaches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100 so that the por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wer portion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 the fixing plate 108 is rotated again so that the interfering part is located at the bottom so that the auxiliary table 130 is located before the auxiliary frame 100. It is fixed in the direction.
  • the auxiliary table 130 is not necessary.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table 13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100 and fixed plate ( 108).
  • both support bars 143 support the large object and can move the large object to another desired place.
  • the side coupling hole 142 and the horizontal coupling hole 105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s well as the side coupling ho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ide bar 140 is fixed to the fastening member (C) ( 142 and the horizontal coupling hole 105 should each be formed at a plurality of equal intervals.
  • the tilt cylinder 120 is operated by manipulating the box 1, and the tilt axis 121 is drawn out from the tilt cylinder 120, and the horizontal bar 101 is pushed so that the auxiliary frame 100 is moved to the central axis 112. Tilt around).
  • the auxiliary table 130 is also inclined together, so that an object placed on the auxiliary table 130 is also inclined.
  • the tilting cylinder 120 is operated by manipulating the control box 1, and the tilting shaft 121 is inserted in the tilting cylinder 120, and the horizontal bar 101 is pulled, and the auxiliary frame 100 is operated. It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112 and returns to the vertical.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ide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the side bar 140 is provided with a fork 144 that can function as a forklift instead of the support bar 143, the horizontal hole 104 is coupled to the lifting device after the side bar (140) ( Lifting the fork 144 using 20) enables the multifunctional table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a forklift function.
  • the auxiliary table 130 is rotated about the rotating shaft 10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frame 100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108 is a matter of course.
  • the side connecting bars 141 and the side coupling holes 105 and the corresponding side coupling holes 142 are formed in plural number at equal intervals, a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llet to be lifted. Since it can be fixed by adjusting the insertion length of both side connection bar 141, it is possible to use a pallet of various sizes.
  •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hoist mechanism is installed in the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 a vertical hole 106 is formed in each of the upper sides of the auxiliary frame 100 in a vertical groove shape, and a vertical connection bar 151 corresponding to the two vertical holes 106 is provided.
  • the upper bars 150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two vertical connection bars 151, and the upper bar 150 is coupled to the rotating plate 153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a hoist 155 is provided at the front thereof. Hoist mechanism 154 is coupled.
  • the hoist 155 serves as a crane for carrying a relatively light object, and since it is generally widely us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hoist 155 will be omitted.
  • the hoist mechanism 154 is also lifted together so that the object can be easily removed using the hoist 155. You can move it.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ing a tong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a locking portion 162 having a " ⁇ " shape that can be fixed to the horizontal bar 101 of the auxiliary frame 1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locking portion 162
  • the tongs member 160 including the flat plate-shaped tongs unit 161 is provided, and the object may be moved using the tongs member 160.
  • both clamping members 160 are firmly fixed to the auxiliary frame 100, and between the clamping members 160 is adjusted. You can pick up or lift anything you want.
  • the pallet can be lifted using the tong member 160, and accordingly, the forklift func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tong member 160.
  • the locking portion 162 is not the horizontal bar 101 of the auxiliary frame 100, the auxiliary frame Of course, it can be used by hanging on the bottom of the (100).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 14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a lower table 170 having a flat plate shape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4, and the lower table 170 is attached to the lower frame 3 as in the prior art.
  • Lifting or lowering by the installed lifting device 20, the control box 1 for controlling the lifting device 20 is installed at the rear, the handle (2) for pushing or pulling the table lift is It is provided at the top.
  • a rear support 173 which is a support device (G),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fter the lower table 170 is raised by the lifting device 20, the lower table ( 170 is supported from the ground using the rear support 173 and the front support 171 as a support device.
  • the upper table 200 of the flat plate shap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table 170, the upper insertion hole 2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table 200, respectively.
  • the upper tabl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but is connected to the lower table 170 and the rotary device, the main, longitudinal sprockets (212) 214 and the chain 216 of the rotary device (C) As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table 2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using the rotating device C to facilitate the work.
  •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both sides of the lower table 170 are provided with support devices for supporting the lower table 170, which are respectively lifted by the elevating device 20.
  • the support device G is coupl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lower table 170 in a lateral direction, and includes a front support 171 and a rear support 173, and the front and rear prevention zones 171 and 173.
  • Each of the front and rear controls (172, 174) is combined, the front and rear controls (171, 173) to the front and rear controls (172, 174) to draw or withdraw the lower table 170 ) To easily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support from the ground.
  • the front support 171 is coupled to the front shaft (171a) in front of both sides of the lower table 170, to be rotated about the front shaft (171a), the position is fix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 the state where the position is fixed by rot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bout the front axis (171a) is the position is fixed in the stat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lower table 170,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front axis (171a) The fixed position by rotating to support the lower table 170 from the ground.
  • the rear support 173 also rot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bout the rear axis 173a and is fixed in position so that the rear support 173 is in contact with both lower portions of the lower table 170.
  • the fixed position by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173a is to support the lower table 170 from the ground.
  • the front and rear prevention zones 171 and 173 can be used to support the lower table 170 from the ground, and after raising the lower table 170 to the lifting device 20, the front and rear By using the support 171 (173) can be firmly supported on the ground.
  • the front and rear adjustment zones 171 and 173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adjustment bars 172 and 174, and the front and rear adjustment bars 172 and 174 correspond to each other.
  • the front and rear prevention zones 171 and 173 are coupled to be pulled in or out from the bottom, and the front and rear prevention zones 171 and 173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controls (172, 174)
  • the lower table 170 is supported from the groun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drawer.
  • the front and rear prevention zones 171 (173) and the front and rear adjuster 172, 174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holes, while the holes are matched with a pin
  • the position at which the front support 171 is coupled to the front shaft 171a to the lower table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but when loading the luggage compartment 310 of the van 300, the front side of the lower frame (3) Only after the wheel 4 is lifted up to the luggage compartment 310, the front support 171 can be horizontally folded using the front shaft 171a, so that the wheel 4 is rearward from the front wheel 4 of the lower frame 3. It should be coupled to the front shaft 171a in the side position.
  • the rear support 173 is to be pulled out to the rear of the lower table 170, and then to be vertically rotated around the rear axis 173a to support the bar.
  • the rear support 173 can be horizontally folded using the rear shaft 173a. Therefore, it must be coupled to draw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frame (3).
  •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portion of the rear table 173 that is pulled in or pulled out from the lower table 170 and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lower table 170, and the pins are fixed in a state where the holes are aligned. It is preferable to.
  • rollers it is preferable to combine the rollers to the low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adjusters 172 and 174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load and load the loaded car 310.
  • the support device (G) is provided by the front and rear cylinders, not the front and rear prevention zones 171 (173),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support the lower table 170 from the ground without applying force.
  • the support device (G) is provided by the front and rear cylinders, not the front and rear prevention zones 171 (173),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support the lower table 170 from the ground without applying force.
  • this is only a simple design change wi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tables are raised by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 18 is a side view according to FIG. 17,
  • FIG. 19 is a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20 is a side view showing a supported state
  • Figure 2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frame is raised by the lower fram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the elevating device 20 composed of the X-link mechanism 21 and the elevating cylinder 22 has a pair of parallel inner links and a pair of parallel arranged outside the inner links as described above.
  • the lower table 170 is provided with an X-link mechanism 21 formed by connecting one outer link with its central portions so as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and by stretching the X-link mechanism 21 up and down by an elevating cylinder 22. It is possible to raise or lower).
  • the lifting cylinder 22 when the lifting cylinder 22 is driven to push the X link mechanism 21, the X link mechanism 21 moves upward and raises the upper and lower tables 200 and 170.
  • the lower frame lifting device (P) is installed, the lower frame lifting device (P) is a rope motor 180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3) Winding unit 181 is rotated by the), one side is wound around the winding portion 181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hook 182a is provided with a fixed portion 183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table 170 It consists of a rope 182 to be selectively fixed by using the hook 182a.
  • the winding portion 181 is made of a shape that can be wound or unwind the rope 182, of course, such a shape that is commonly used will be omitted fo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inding portion 181.
  • the elevating device 20 of the lower frame 3 is used.
  • the upper and lower tables 200 and 170 receive force from the upper part, and the rope 182 is not loosened from the winding part 181, so that the upper and lower tables 200 are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3. Since the problem of receiving the force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170 rises is caused, when the lifting device 20 is driven to raise the upper, lower tables 200 and 170, the rope motor 180 is not driven.
  • the winding unit 181 is naturally rotated and the rope 182 should be released without.
  • the rope motor 180 which is the lower frame elevating device P is driven to wind the rope 182. ) Should be wrapped.
  • the elevating device 20 when the elevating device 20 is driven to lower the upper and lower tables 200 and 170, the rope 182 is stretched and the X link mechanism 21 is wound or stretched outward, thereby causing problems.
  • the rope motor 180 is driven so that the rope 182 is not stretched so that the rope 182 is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181. It must be wound.
  • the rope motor 180 may be driven even when the elevating device 20 is driven to raise the upper and lower tables 200 and 170.
  • the rope motor 180 is a rope 182.
  • the winding portion 181 should be rotated in the unwinding direction.
  • the elevating device 20 when the elevating device 20 is driven to raise the upper and lower tables 200 and 170, the operator uses the support device G to raise and lower the upper and lower tables 200 and 170. Support from the ground.
  • the front support 171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front axis (171a) in a vertical position, and then the front support 171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tables (200, 170).
  • the front control unit 172 is pulled out downward from the front fixed to the front control unit 172 and the front support (171).
  • the rear support 173 is pulled out rearward from the lower table 170 to a predetermined length (more rearward position than the rear wheel of the frame), and then rotated about the rear axis 173a and positioned vertically.
  • the rear adjuster 174 is pulled downward from the rear support 173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tables 200 and 170 to fix the rear adjuster 174 and the rear support 173.
  • the length of the rear support 173 to be drawn out backward from the lower table 170 should always be the same,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ground or other conditions, so that the length of the rear support 173 is drawn out using a plurality of holes and pins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adjust.
  • the bottom end of the front and rear control 172, 174 should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of cours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other conditions of the ground, the bottom of the front and rear control 172, 174 on the ground Of course, the position may be fixed away.
  • the lower frame 3 is raised and positioned.
  • the lower frame 3 may be brought closer to the lower part of the lower table 170, and the lower frame 3 is raised from the groun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height of the luggage compartment). Of course you can.
  • the hook tool 182a may be selectively fixed to the fixing part 183, and the hook tool 182a may be fixed to the fixing part 183 by a hook or rope 182 according to convenience of use. ) Is preferably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winding unit 181 is wound.
  • 21 to 2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loading the mobile multi-function table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uggage compartment of the van.
  •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is positioned behind the freight car 300 as shown in FIG. 21 to load the luggage compartment 310 of the freight car 300.
  • the elevating device 20 is driven to raise the upper and lower tables 200 and 170 as shown in FIG. 22, and the upper and lower tables are raised as shown in FIG. 23 by using the supporting device G. 200 and 170 will be supported from the ground.
  • the lower frame 3 is lowered by driving the lifting device 20.
  • the elevating device 20 is driven such that the front wheel 4 of the lower frame 3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uggage compartment 310.
  • the front control unit 172 is introduced into the front support 171, and then rotates horizontally about the front axis 171a to contact the front support 171 at the bottom of the lower table 170. Let's do it.
  • the front wheel (4) of the lower frame (3) is loaded on the luggage compartment 310, and is supported by the rear support 173, the lower frame (3) is firmly supported and the front support (171) ) Can be positioned horizontally.
  • the rear adjuster 174 is inserted into the rear support 173, and then rotates horizontally about the rear axis 173a, and at the same time, the rear support 173, which has been pulled to the rear side, is again lower table 170. In).
  • the elevating device 20 by driving the elevating device 20, the upper and lower tables 200 and 170 are lowered and positioned above the lower frame 3,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is in front of the luggage compartment 310 as shown in FIG.
  • the whole process of loading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in the luggage compartment 310 of the van 300 is completed.
  •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can be easily loaded into the luggage compartment 310 of the freight car 300, and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loaded into the luggage compartment 310 of the freight car 300 can be easily put down, and thus, the remote Easy to move to improve work efficiency.
  • Figure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table is rotated by the rot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2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ure 30 is the present invention mobile multifunction This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he rotating device of the table lift.
  • a rotation device C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table 200 and the lower table 170 to rotate the upper table 200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lower table 170.
  • the rotating device (C), the longitudinal sprocket 214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upling shaft 215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table 2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table 170, the coupling shaft ( 215 is installed so that only the upper table 200 rotates together.
  • the coupling shaft 215 and the lower table 170 are coupled to the bearing, and the coupling shaft 215 and the upper table 200 are firmly fixed and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portion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ngitudinal sprocket 214.
  • Table 200 will also be able to rotate together.
  • the coupling shaft 215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tables 200 and 170 as bearings
  • the longitudinal sprocket 214 is coupled to the coupling shaft 215 as a bearing.
  • the upper table 200 may be firmly fix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As such, the longitudinal sprocket 214 and the upper table 200 rotate about the lower table 170 so as to rotate together. Design change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juice sprocket 212 is installed to rotate by the drive of the rotary motor 210 in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sprocket 214, the main, longitudinal sprockets (212, 214) connected to the juice sprocket 212 It consists of a chain 216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ngitudinal sprocket 214.
  • the angle at which the upper table 200 is rotated by the drive of the rotary motor 210 is set in the control box 1, as well as the driving time of the rotary motor 210 in the control box (1)
  • multifunctional table lift it is possible to freely rotate the upper table 200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r working conditions and work type, such that more convenient work can be made, further improving work efficiency will be.
  • the rotating device (C) is not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motor 210 to the main, longitudinal sprocket 214 and the chain 216, it can be provided in the configuration by the gear meshing, Various configurations for rotating the upper table 200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lower table 170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fork and an auxiliary table in fro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 32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according to FIG. 31.
  • FIGS. 35 and 36 are side views of main p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the fro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fork 520 capable of performing the forklift function, and to install a secondary table 540 to perform a wider and wider operation.
  • upper insertion holes 202 formed of grooves in the front to rear direction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table 200, and both rear connection bars 4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insertion holes 202 are provided.
  • Guide plate 400 is coupled to the rear connecting bar 410 into the upper insertion hole 202 of the upper table 200.
  • the front of the guide plate 400 is provided with a front frame 500 having auxiliary holes 501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 lifting unit 505 having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500 is provided with the guide plate 400.
  • the upper frame 500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haft shaft 431 of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430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the front frame 500 is raised or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430.
  • guide holes 420 are formed at both front sides of the guide plate 400, and slide parts 504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s 420 are provided at both rear sides of the front frame 500.
  • the slide unit 504 is guided by the guide tool 420 and the front frame 500 smoothly rises or fall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430.
  •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50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hole 501 made of a lateral groove, the auxiliary side bar 510 provided with an auxiliary side connection bar 511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hole 501.
  • the front frame 50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hole 501 made of a lateral groove, the auxiliary side bar 510 provided with an auxiliary side connection bar 511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hole 501.
  • the auxiliary side bar 510 inserts the pin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hol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fter inserting the auxiliary side connection bar 511 into the auxiliary hole 501,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ont frame 500 It is preferable to couple the auxiliary side bar 510).
  • auxiliary side bar 510 This is to secure the auxiliary side bar 510 to the front frame 500 as needed, as well a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auxiliary side bar 510 is drawn out or drawn in the lateral direction to facilitate various objects. This is to be able to respond.
  •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side bar 51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fork 520 to perform a forklift function, respectively, the rear of the connecting fork 520 is provided with a central hole 521, the auxiliary side bar A lower portion of the 51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hole 512 corresponding to the center hole 521, and the connecting fork rotation shaft 530 is inserted in a state where the center hole 521 and the protrusion hole 512 coincide with each other.
  • the connecting fork 52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side bar 510.
  •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fork 520 that is, the rear end surface of the center hole 521 is formed in a vertical surface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auxiliary side bar 510, forklift using the connecting fork 520
  • the connection fork 520 is prevented from rotating downward when performing a function.
  •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fork 520 protrudes for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side bar 510, it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fork 520 to the side.
  • various configurations for preventing the connection fork 520 from rotating downward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fork 520 when the connection fork 520 does not perform a forklift function, it is preferable to rotate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fork rotation shaft 530 to fix the position vertically, accordingly the connection fork 520 A connecting fork magnet 513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side bar 51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in the state of FIG. 33, the connecting fork 520 is rota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fork rotation shaft 53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forks 520 perpendicular to the front of the auxiliary side bar 510 are fixed by the connecting fork magnets 513.
  • connection fork 520 performs a forklift function of lifting or lowering objects of various shapes and objects of various weights.
  • the connection fork 520 is vertically erected using the connection fork magnet 513 according to a metal material.
  • the connection fork 520 is to be easily attached and fixed.
  • a fixing piece that rotates about an axis is provided in front of the auxiliary side bar 510, and the connecting piece is rotated about the axis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fork 520 is erected.
  • 520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in position, and thus, various configurations for fixing the connection forks 520 vertically installed in front of the auxiliary side bar 510 are 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 An auxiliary table 540 position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table 200 is coupled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500, and the auxiliary table 54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hole 541 at the rear thereof.
  • a table rotating shaft 502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hole 541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500, and the rotating hole 541 is coupled to the table rotating shaft 502 and is located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500.
  • Auxiliary table 540 is coupled.
  • the front frame 500 forms a hole penetrat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en forms the table rotating shaft 502 on both sides of the hole formed in the lower side, and corresponds to the lower hole.
  • the rotating hole 541 corresponding to the table rotating shaft 50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auxiliary table 540.
  • the auxiliary table 540 is preferably perpendicular to the rear and extends to the re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rotary hole 541 is provided, which is when the object is placed on top of the auxiliary table 540.
  • a vertically erected surface behind the auxiliary table 540 and a horizontally extended surface rearward contact the front frame 500, and the auxiliary table 540 rotates downward about the table rotating shaft 502 by the load of the object. Prevent it.
  • the table is rotated upwardly about the table rotating shaft 502 to be vertically fixed.
  • the table magnet 503 is located at the front upper part of the front frame 500. Is provided, in the state of Figure 35 is rota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table rotating shaft 502 to easily fix the auxiliary table 540 positioned vertically as shown in front of the front frame 500 as shown in Figure 36 You can do it.
  • the auxiliary table 540 should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it can be attached by the table magnet 503, and to fix the auxiliary table 540 standing vertically in front of the front frame 500.
  • the configura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s well, various configurations for fixing the vertical table 540 standing vertically in front of the front frame 500 will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430 are driven to connect the connecting fork 520 and the auxiliary table as shown in FIG. 37. 540 is raised or lowered.
  • the upper and lower cylinder shafts 431 of the upper and lower cylinders 430 are raised upward, and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elevating units 505 of the upper and lower cylinder shafts 431.
  • the front frame 500 is raised, and at this time, the slide unit 504 is guided along the guide tool 420 and the front frame 500 is raised.
  • the forklift func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connection fork 520, and the object of the lower position may be easily carried by using the auxiliary table 540.
  • Figure 3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ension device coupled to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ure 3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ure 40 is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Is a side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extension device
  • Figure 4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both front sides of the lower frame 3 are provided with extension devices Y, respectively, and the extension device Y is coupled to the gro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lower frame 3, respectively.
  • 3a are formed, and side extension bars 70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 the side of the side extension bar 70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3a), the coupling bar 71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3a) is provided, through the coupling bar 710
  • the side extension bar 700 is drawn out or drawn in laterally.
  • the front extension bar 720 is coupled to the side extension bar 7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ront extension bar 720 is extended or drawn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front or rear direction, from the side extension bar 700. .
  • the support roller 740 is coupled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ont extension bar 720 by the support shaft 730, so as to rotate around the support shaft 730, the ground and the support roller 740 The bottom of the contact is to support the mobi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forward by the object. This is to prevent the smooth operation.
  • the length of each of the coupling bar 710 in the coupling hole (3a) to draw each side is preferably equal to both sides, the front extension bar (720) in the side extension bar (700),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to be taken out is also the same on both sides.
  • the side extension bar 700 and the front extension bar 7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each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using the pin to penetrate the hole, the side extension bar 700 and It is preferable to combine the front extension bar (720).
  • one or more pins are coupled and fixed with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hereto.
  • the coupling hole 3a and the coupling bar 710 form a plurality of holes in the coupling bar 710, and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holes of the coupling bar 710 in the coupling hole 3a.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tension ball at a position to match a hole in the tension ball and to selectively control the mov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ar 710.
  • the corresponding coupling structure of the side extension bar 700 and the front extension bar 720 or the coupling hole 3a and the coupling bar 7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ade in more various configurations. Invar, the implementation in various configurations for this will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forklift function in fro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ure 43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according to Figure 42
  • Figure 44 is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ure 42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klift function of the mobile multifunction table lift.
  • the rear of the coupling plate 600 is installed to perform the forklift function (R) to the front,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hole 20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table 200 and coupled to
  • a coupling connection bar 610 is provided to couple the fork lane device R to the upper table 200 using the coupling connection bar 610.
  • connection plate 690 is installed between the gourd (650) and the front of the coupling plate 600, which can hold soil or other objects, the connecting plate 690 and the coupling plate A plurality of connection links 630 ar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600 and the rear of the connecting plate 690 and the gourd 650.
  • the coupling plate 600 and the connection link 630 are coupled using a plurality of front coupling holes 62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link) form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coupling plate 600, the gourd 650 )
  • the connecting link 630 is coupled using a plurality of rear coupling spheres 66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link) formed to protrude to the rear of the gourd 650.
  • connection links 630 ar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connection plate 69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center axes 64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links).
  • the front end of the first cylinder 670 corresponds to one connection center axis 640
  • the rear is the connection center axis 640
  •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ylinder 680 which is coupled to and rotatably installed, is coupled to the rear coupling hole 660 of the gourd 650.
  •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s 670 and 680 are driven to rotate the gourd 650 at various angles to perform the forklift function.
  • Figure 4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is folded according to FIG.
  • a table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frame moving by a whee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in the conventional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in which the table is raised or lowered by a lifting device, the table 10 is moved forward. It includes a downward bending portion 810 is extended to the lower portion, the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end and the hinge (H) of the downward bending portion 81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H) is folded Vertical portion 820;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 auxiliary plate 830 that can be loaded o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820.
  • the table 10 is lifted and lowered by a lifting device provided in the lower frame 3 as in the related art.
  • a downwardly bent portion 810 is bent downwardly in front of the table 10, and a vertical portion 820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ownwardly bent portion 810 by a hinge H.
  • the lowest end of the vertical portion 820 should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or the same height as the lowest end of the lower frame 3 so as not to contact the ground.
  • the vertical portion 820 is rotated using the hinge (H) to be folded in front of the downward bent portion 810.
  •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820, the auxiliary plate made of a plate 830 is provided, so that the object to be moved to the auxiliary plate 830 can be placed.
  • the downward bent portion 810 and the vertical portion 820 are coupled by the hinge H, and the vertical portion 820 is folded in front of the downward bent portion 810 by using the hinge H.
  • the auxiliary plate 830 protruding forward to be fol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
  •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plate 83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 to be folded.
  • auxiliary plate 830 locat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table 10 is required.
  • the vertical portion 820 is rotated using the hinge H.
  • the auxiliary plate 83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 to reduce the siz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 the vertical portion 820 and the auxiliary plate 830 are bent using the hinge H.
  • FIG. 4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ller table is provided in fro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 48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main portion is cut away showing the driving unit of the roller table in the state of FIG. 47
  • FIG. 49 is according to FIG. 47
  • 5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iving configuration of the drive unit
  • FIG. 5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llers are rotated according to FIG. 47.
  • a roller table 840 is provided o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820 to easily load or unload the goods by the plurality of rollers 842.
  • the roller table 840 is composed of a mold (841) to form an outer periphery in the "c" shape, and a plurality of rollers 842 to rotate forward or backward inside the mold (841).
  • the roller table 840 when the roller table 840 is not used, the vertical portion 820 and the roller table 840 are folded using the hinge H, and the roller table 840 is plac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table 10.
  • folding 840 the siz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functional table lift can be reduced as described above.
  • the frame 841 is illustrated as being made of a "c"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formed in a square-shaped frame, each of the straight shape protruding forward from both front sides of the vertical portion 820 As a matter of course, various simple shape modifications to the frame 841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ller 842 at the rear end of the plurality of rollers 842 is provided as a driving roller 843, and the driving roller
  • the driving roller 843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842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845 to 843, and the driving roller 843 and the plurality of driving rollers 843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883.
  • the rollers 842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 a driving sprocket 843a is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driving roller, a driving motor 845 is installed at the vertical portion 820, and the driving motor 845 is mounted on the driving motor 845.
  • a motor sprocket 845a is provided to connect the driving sprocket 843a and the motor sprocket 845a with a driving chain 844.
  • the driving roller 843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842 include roller sprockets 842a at both ends, and the rollers provided in the driving roller 843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842.
  • the sprocket 842a is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chain 846 moving in orbit.
  • roller sprocket 842a of the driving roller 843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842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chain 846 are also rotated, the plurality of rollers 842 are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845. Rotating will be able to easily raise or lower the object on top of the roller table (840).
  • the driving motor 845 When the driving motor 845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driving roller 843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842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user puts the object placed on the roller table 840 forward. As it moves to the object can be easily lowered from the roller table (840).
  • the driving sprocket 843a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driving roller 843,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riving sprocket 843a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roller 843, and the driving roller 843 may be provided.
  • the drive motor 845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sprocket 843a.
  • roller sprocket 842a and the interlock chain 846 are provid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old 841, the roller sprocket 842a and the linkage chain 846 are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it can also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lock chain 846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 the driving motor 845 is embedded in the vertical portion 820 or the vertical portion ( Of course, the driving motor 845 may be installed at an open portion of the center upper portion of the 820.
  • the hand car 850 is provided with a plate to connect the lower part of the pillars standing on both sides, and put the object, the lower rear of the two pillars are provided with wheels to facilitate the movement.
  • the hand car 850 after placing the object on the plate and tilted backward to move to a desired position using a wheel, and lifts the object in a standing fixed position to place it.
  • the hand car 850 may be provided with a table 10 position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table 10. It is desirable to.
  • FIG. 5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 car is coupled to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 FIG. 5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and car is coupled according to FIG. 51.
  • a table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frame moving by a whee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in the conventional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in which the table is raised or lowered by a lifting device, the table 10 is moved forward.
  • a downwardly bent portion 810 extended downwardly to the lower portion, and a handcarhole 81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ownwardly bent portion 810, and the handcargo at both rear lower sides of the handcar 850.
  • a connection plate 851 having a connection hole 852 corresponding to the hole 811, and inserting the hand car fixing pin 811 a into the connection hole 852 and the hand car hole 811.
  • the front of the table 10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upling the hand car 850.
  • the hand car fixing pin 811a is inserted to insert the hand car 850 in front of the table 10. If it is fixed, it will be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 the inner surface of the both connecting plate (851)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downward bent portion 810,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fixing hole 852 and the hand car fixing hole 811 is a matter of course.
  • the hand car 850 is coupled to each other by using a hand car 850 that is commonly used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plate 830 or the roller table 840 is not provided in front of the vertical portion 820. This is to provide a plate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table (10).
  • the wheel of the hand car 850 may interfere with the wheel 4 provided in the lower frame 3, the wheel of the hand car 850 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the wheels 4 of the frame 3,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trude to the outside, respectively.
  • Figure 5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the automatic fork member to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ure 54 is a side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automatic fork member according to Figure 53
  • Figure 55 is an automatic fork member according to Figure 53 It is a side view of the state which raised.
  • a table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frame moving by a whee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in the conventional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in which the table is raised or lowered by a lifting device, the table 10 is moved forward.
  • a downwardly bent portion 810 which is bent downwardly and extended to the side, and side insertion holes 860 respectively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ownwardly bent portion 810, and side insertion holes provided in the respective directions. 860 is inserted and fix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tomatic fork member (A) for picking up or placing the object to be moved.
  • the automatic fork member (A) regardless of whether the vertical portion 82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H) to use the fork on both front sides of the table 10 to pick up or place the object will be.
  • the automatic fork member A includes a side frame 870 including a vertical bar 872 having an insertion bar 871 corresponding to the side insertion hole 860, and the vertical bar 872.
  • Upper fork 873 provided up and down by a lower fork 874 provided at the lower outer side and a fork cylinder 875 provided at an upper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 872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ork 874.
  • the side insertion hole 860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downward bent portion 810, the insertion bar 871 of the side frame 870 is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one side
  • Each of the insertion holes 86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860.
  • the outer side of the insertion bar 871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 872, the side frame 870 is to form a "C" shape.
  • a lower fork 874 having a shape protruding forward is fixed to an outer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 872,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fork 874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ork 874.
  • An upper fork 873 is provided.
  • a protruding piece 872a protruding outward is provided at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ar 872, and a fork cylinder 875 is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the protruding piece 872a.
  • the fork cylinder 875 is, of course, provided with a fork cylinder shaft 876 vertically reciprocating movement, the lower portion of the fork cylinder shaft 876 is connected to the upper fork 873 and fixed to the fork cylinder 875 The upper fork 873 is moved up and down by driving).
  • the lower fork 874 is a fixed state, using the lower fork 874 and the upper fork 873 You will be able to pick up or place things.
  • the guide rod 877 the upper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iece 872a,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lower fork 874 is fixed, the guide rod 877 to the upper fork (873)
  • the through-holes are formed to guide the guide rod 877 when the upper fork 873 is raised or lowered by the fork cylinder 875 so that the movement is more smooth.
  • the insertion bar 871 may be inserted to be fixed by a fixing pin 812a.
  • 871a) and side fixing holes 812 are preferably formed.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871a communicat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insertion bar 871 are formed, and the through holes 871a are formed in the front of the side insertion holes 860 of the downward bent portion 810.
  • the reason why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871a and the side fixing holes 812 are formed is to change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automatic fork member 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moved.
  • the insertion bar (871) is inserted into the side insertion hole (860), the through hole (871a) and the provid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end of the insertion bar (871) and the After aligning the centers of the side fixing holes 812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bar 871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the fixing pin 812a is inserted into the matched through holes 871a and the side fixing holes 812. Can be combined.
  • the insertion bar 871 is inserted into the side insertion hole 860, and the insertion hole 871a and the insertion hol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bar 871 in the insertion direction are inserted. After coinciding the center of the side fixing hole 812 provided at the tip of the bar (871) is inserted, and then the fixing pin (812a) is inserted into the matched through hole (871a) and side fixing hole (812) Combine it.
  • Figure 5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the rotary pressing member to the present invention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 Figure 5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Figure 56
  • Figure 58 is a rotation according to Figure 56
  • 59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coupled
  • Figure 5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Figure 56 is coupled
  • Figure 6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pressing member according to Figure 56 is rotated.
  • a table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frame moving by a whee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in the conventional movable multifunctional table lift in which the table is raised or lowered by a lifting device, the table 10 is moved forward. And a downwardly bent portion 810 extending downwardly and downwardly, and a bar insertion hole 813 formed at both front upper sides of the downward bent portion 810, and the rear sid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bar insertion hole 813.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ry pressing member (B) for moving the object to be moved and moved to both sides in the front at a desired angle with noise.
  • B rotary pressing member
  • the rotary pressing member (B) like the automatic fork member (A), regardless of whether the vertical portion 82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H), the rotating member (in front of the table 10) Using the 880 and the pressing member 890 is to hold or place the object to rotate.
  • the rotary pressing member (B) is composed of a large rotating member 880 and the pressing member 890, the rotating member 88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table 10, the front of the rotating member 880 The pressing member 890 is coupled to.
  • the rotating member 880 is provided with both rear bars 882 inserted into the both bar insertion holes 813 at the rear thereof, and the motor 883 rotating the motor shaft 883a protruding forward therein. It is made of a body (881) is provided.
  • the rotating member 880 is provided with rear bars 882 extending rearward on both rear upper sides of the rectangular body 881, and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penetrated in both directions in the rear bar 882.
  • Ball 882a is provided.
  • a plurality of fixed through holes 814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through holes 882a ar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able 10 in which the bar insertion holes 813 are formed.
  • the rear bar 882 is inserted into the bar insertion hole 813 to coincide with the fixed through hole 814 and the insertion through hole 882a. Then, the insertion fixing pin 814a is inserted into the body 881 to the table. It is fixed to the front of (10).
  • the motor 883 installed inside the body 881, it is possible to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motor 883 that can precisely control the angle of rotation.
  • the crimping member 890 is provided with a shaft hole 891a coupled to the motor shaft 883a at a rear side thereof, and includes a center plate 891 rotated by the motor 883 and both sides of the center plate 891. Comprised in each of the pressing plate (894) is moved to both sides by a cylinder (892) provided in the middle plate (891).
  • the central plate 891 is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893)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each side, the pressing hole (894) is provided with an entry and exit piece (895)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and exit hole (893). It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entrance and exit piece (895) consists of a pressing bar 896 for holding the object to be moved.
  • the center plate 891 is provided with a shaft hole 891a to which the motor shaft 883a is coupled to a rear center portion thereof, and the motor 883a is coupled to the shaft hole 891a. By the rotation of the center plate 891 will be rotated.
  • the central plate 891 is provided with entrance and exit holes 833 at both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nd a cylinder 892 having cylinder shafts 892a is provided inside the entrance and exit holes 893.
  • the pressing holes 894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plate 891, respectively, and the entrance and exit pieces 895 corresponding to one side entry and exit hole 833 of the center plate 891 are insert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in the inward direction. Is provided, and consists of a pressing bar 896 of the rectangular frame shape protruding forward and connecting the outside of the entry and exit piece (895).
  • the inner end por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piece 895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cylinder shaft 892a so that the pressing hole 894 is moved inward or outward by the driving of the cylinder 892.
  • the cylinder 892 is built in each entry hole 833, and controls the lateral movement of each entry and exit 895, the pressing hole 894 can move smoothly in the lateral direction. It is desirable to.
  • one entry and exit piece 895 is formed at the rear inner side of the crimping hole 894, and one entry and exit hole 83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enter plate 891, and the entry and exit hole 833 is formed in the entry and exit holes 883.
  • One cylinder 89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rimping hole 894 can move using the one cylinder 892.
  • the entry holes 893 having cylinders 892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enter plate 891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order to exert strong pressing force and precise pressing force. It is preferable to form an entrance and exit piece 895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rear inner side of the pressing hole 894.
  • the shape of the body 881 is shown as a square, but is not limited to this, since the motor 883 is built-in and the rear bar 88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o that the shape of the body 881 Simple variations on all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hape of the pressing bar 896 of the pressing hole 894 is illustrated as a rectangular frame shape, the shape of the pressing bar 894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ylinder 892 is used as the configuration for moving the pressing holes 894 in the lateral direction, this is not limited, but the pressing holes 894 may be moved laterally using a motor. .
  • the rotary crimping member B as described above drives the cylinder 892 to move both crimps 894 outward, and then drives the cylinder 892 to move both crimps 894 inward. They are pressed to hold the two sides of the object.
  • the elev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3 is driven to raise the table 10 and the rotary pressing member B is also lifted to lift an object.
  • the motor 883 is driven to rotate the object together with the middle plate 891.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vable multi-function table lift, the lowest height of the table can be lowered as much as possible by the auxiliary table, so that the goods can be carried very easily, and at the same time, the work is made easy and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Sinc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it is reasonable that industrial applicability is recogniz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후방 상부가 결합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의 전방 하부와 결합하여 테이블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테이블과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하는 보조테이블;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프레임의 후방 상부 양측에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수평연결바가 결합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양 수평연결바가 대응 삽입하도록 양측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조테이블에 의해 테이블의 최저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물건을 매우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작업이 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본 발명은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최저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건을 운반하는데 많은 편리함을 주고, 작업의 편의성으로 작업이 빠르게 진행됨은 물론, 화물차의 짐칸에 간편하게 적재하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여 원거리 이동의 용이성을 구현하며, 작업자의 힘을 덜 소비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트(Lift)는 중량의 물건을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리프트는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 하부프레임과, 이동하고자 하는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테이블로 이루어진 손수레 타입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손수레 타입의 리프트는 단순히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중량의 물건을 운반 및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성이 없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손수레 타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프레임과 테이블 사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X링크기구를 설치하고, 이러한 X링크기구를 동력장치의 구동력으로 상승 및 하강시켜 테이블을 승, 하강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다수 개의 바퀴(4)가 구비된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평판 형상의 테이블(10)이 설치되고, 이때 상기 테이블(10)은 하부프레임(3)에 설치된 승강장치(20)에 의해 승강하게 되며, 상기 승강장치(20)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가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 리프트를 밀거나 당기며 이동시키는 손잡이(2)가 그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링크기구(21)와 승강실린더(22)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한 쌍의 평행한 내링크와, 상기 내링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평행한 외링크를 그 중앙부끼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X링크기구(21)를 가지며, 상기 X링크기구(21)를 승강실린더(22)에 의해 상·하로 신축시킴으로써, 테이블(10)의 승, 하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X링크기구(21)의 승강 높이를 높이기 위해 상·하로 2단 겹친 2단식 팬터그래프(pantograph) 방식의 리프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20) 및 컨트롤박스(1)와 상호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에 의해 바퀴(4)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며 테이블 리프트를 간편하게 이동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는, 작업자가 옮기려고 하는 물건을 테이블(10) 위에 올린 후, 손잡이(2)를 잡고 이동하여 원하는 장소에 물건을 내려놓게 된다.
이때 상기 물건이 높은 위치에 있으면 컨트롤박스(1)의 스위치를 눌러 승강장치(20)를 구동하게 되고, 이에 승강장치(20)가 동작하며 테이블(10)을 원하는 높이로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물건을 테이블(10) 위에 올려놓으면, 컨트롤박스(1)의 스위치를 눌러 승강장치(20)를 구동하게 되고, 이에 승강장치(20)가 동작하며 테이블(10)을 처음 상태대로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컨트롤박스(1)의 스위치를 누르며 구동부(5)에 의해 바퀴(4)를 회전시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손잡이(2)를 잡고 편안하게 방향을 조절하며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원하는 위치에 도착한 후에 테이블(10) 위의 물건을 내려놓으면 모든 작업이 완료되며, 물건을 내려놓을 곳이 높으면 다시 테이블(10)을 상승시킨 후 물건을 내려놓으면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1)의 스위치는 각각의 동작에 대한 온, 오프에 대하여 대응하는 스위치로 구성함은 물론이며, 일 예로 승강장치(20)를 동작시켜 테이블(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위치는 전, 후진 레버를 사용하여 레버를 전진시 테이블(10)이 상승하고, 레버를 후진시 테이블(10)이 하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박스(1)에 의해 동작하는 회로는 이미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회로를 사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테이블(10)은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승강장치(20)에 의해 최대한 낮은 높이에 위치해 있다 하여도, 바퀴(4)가 설치된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테이블(10)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일정 높이 이상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바, 작업환경 및 옮기려는 물건 등에 따라 더 낮은 높이의 위치에 테이블(10)이 놓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작업이 더디게 이루어짐은 물론,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일 예로, 상기 테이블(10)에 올려놓으려는 물건이 무거울 때에는 상기 테이블(10)의 높이까지 들어서 올려야 하므로, 작업자에게 많은 힘을 필요로 함은 물론, 이에 따라 팔과 다리 및 허리 등에 많은 무리를 주어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10)에서 물건을 내려놓을 때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여 작업자의 신체상 안전함을 보장할 수 없어 작업시간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종래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는, 테이블(10)을 올리고 내리며 이동을 할 수 있는 단순한 기능만이 있어, 그 사용범위가 작아 구입하여 사용하는데 많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한편, 상기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는 바퀴(4)의 구름동작에 의해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원거리 이동시 불편함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를 원거리의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바퀴(4)를 이용하여 이동하게 되면 느린 이동속도로 인해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원거리 이동시에는 화물차의 짐칸에 상기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를 적재한 후 이동해야 함에 따라, 상기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를 다수의 사람이 들어 짐칸에 적재하고, 적재된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를 다시 다수의 사람이 들어 내려놓게 되므로, 작업자가 많이 필요하게 되고,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무거운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를 들다가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는, 테이블(10)을 이용한 물건의 운반 기능만을 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블(10)의 최저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하여, 물건을 운반하기가 매우 간편해질 뿐 아니라, 작업의 편의성으로 인해 작업시간도 단축되고, 이에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기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더욱이, 다양한 작업을 하나의 기계로 진행할 수 있어, 많은 기계들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계를 보관하는 장소가 크지 않아도 되어 보관 장소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한, 화물차의 짐칸에 간편하게 적재하거나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원거리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한편, 작업의 편의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물건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물건을 운반하는데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이때 물건을 운반하는 기능 이외에 다른 다양한 기능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으로 신속한 작업이 능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는,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후방 상부가 결합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의 전방 하부와 결합하여 테이블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테이블과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하는 보조테이블;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프레임의 후방 상부 양측에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수평연결바가 결합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양 수평연결바가 대응 삽입하도록 양측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과 양 수평연결바는, 각각 중심축으로 상호 결합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수직 상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는 가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의 후면과 테이블의 하면을 연결하며 설치되는 기울임축이 구비된 기울임실린더;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의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테이블은, 후방에 상기 회전축과 대응 결합하는 회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관과 보조테이블 사이에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보조테이블의 후방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랜지를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은, 양측에 각각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공을 포함하고, 상기 양 수평공에 각각 대응 삽입하는 측부연결바가 형성된 측부바를 구비하며, 상기 양 측부바 각각의 전방 외측 하부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보조테이블의 양측 하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바;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양측에 각각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공을 포함하고, 상기 양 수평공에 각각 대응 삽입하는 측부연결바가 형성된 측부바를 구비하며, 상기 양 측부바 각각의 전방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지게차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은, 양측 상부에 각각 수직상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공을 포함하고, 상기 양 수직공에 각각 대응 삽입하는 수직연결바와, 상기 양 수직연결바의 상단을 연결하며 구비되는 상부바 및, 상기 상부바의 상부에 회전판으로 결합되고, 호이스트가 전방에 구비된 호이스트기구; 를 더 구비한다.
한편,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후방 상부가 결합하는 보조프레임; "┏┓"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에 걸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의 전방 측과 연결된 평판 형상의 집게부로 이루어진 집게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는, 다수의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하부테이블; 상기 하부테이블의 양측 각각에 구비되어 상승한 상기 하부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장치; 상기 하부프레임과 하부테이블 사이를 연결하며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한 하부테이블의 하부로 상기 하부프레임을 끌어올리는 하부프레임승강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하부테이블의 양측 전방 각각에 전방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수직 또는 수평으로 위치 고정하는 전방지지대; 상기 하부테이블의 양측 후방 각각에 후방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후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수직 또는 수평으로 위치 고정하는 후방지지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지지대는, 하부에서 결합하여 상기 전방지지대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전방조절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지지대는, 하부에서 결합하여 상기 후방지지대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후방조절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장치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로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감김부; 한쪽은 상기 감김부에 감기며 다른 쪽 끝단은 걸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테이블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하는 로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부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테이블; 상기 상부테이블과 하부테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테이블을 기설정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상부테이블의 하부와 상기 하부테이블의 상부를 연결하는 결합축의 외주연 구비되되, 상기 상부테이블만이 함께 회전하는 종스프로킷; 상기 종스프로킷의 인접위치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주스프로킷; 및, 상기 주스프로킷과 상기 종스프로킷을 연결하며 설치되어, 상기 주스프로킷의 회전력을 상기 종스프로킷으로 전달하는 체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테이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삽입공; 후방 양측에 상기 양 상부삽입공으로 각각 삽입되어 결합하는 후방연결바가 구비된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전방에 설치되고, 양측에 보조공이 각각 형성된 전방프레임; 상기 전방프레임의 양 보조공과 각각 대응하며 결합하는 보조측부연결바가 각각 구비되고, 각 하부에 연결포크가 결합되는 보조측부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포크는 상기 보조측부바에 연결포크회전축으로 결합되되, 상기 연결포크가 결합된 위치의 보조측부바 상부에 상기 연결포크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연결포크를 고정하는 연결포크자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테이블회전축; 후방에 상기 테이블회전축과 대응하는 회전공이 구비된 보조테이블;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상기 테이블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보조테이블을 위치고정시키는 테이블자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가이드판의 전방에 설치되는 상하실린더; 상기 상하실린더의 상하실린더축 상부와 상기 전방프레임을 연결하는 승강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구;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상기 가이드구를 대응 삽입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테이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삽입공; 후방 양측에 상기 양 상부삽입공으로 각각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연결바가 구비된 결합판; 상기 결합판의 전방에 설치되는 바가지; 상기 바가지의 후방과 상기 결합판의 전방을 연결하며 설치되어, 상기 바가지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며 포크레인 기능을 갖도록 하는 포크레인장치;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크레인장치는, 상기 결합판의 전방과 상기 바가지의 후방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과 상기 결합판의 전방 및, 상기 연결판과 상기 바가지의 후방을 연결하며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링크; 후방이 상기 결합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상기 연결판과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1실린더; 후방이 상기 연결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상기 바가지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2실린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각각 측방향 또는 전방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을 지지하는 연장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장치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각각 측 방향의 홈으로 형성되는 결합공;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결합공에 대응 결합하며 측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결합바가 구비된 측부연장바; 상기 측부연장바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전방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전방연장바; 상기 전방연장바의 전방 하부에 지지축으로 결합되어 하부가 지면과 접촉하며 지지하는 지지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는,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 상부가 상기 하향절곡부의 하부 끝단과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절첩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의 전방 하부에 물건을 실을 수 있는 보조판을 더 구비하거나, 상기 수직부의 전방 하부에 다수의 롤러에 의해 물건을 간편하게 싣거나 내릴 수 있는 롤러테이블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롤러테이블은, 외주연을 형성하는 틀; 상기 틀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롤러테이블은, 외주연을 형성하는 틀; 상기 틀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 상기 틀의 후방 끝단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력이 상기 다수의 롤러에 전달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향절곡부의 상부 양측에 핸드카고정공을 더 형성하되, 핸드카의 양측 하부 후방에 상기 핸드카고정공과 대응하는 연결고정공이 형성된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고정공과 핸드카고정공으로 핸드카고정핀을 삽입하여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상기 핸드카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하향절곡부와 상기 수직부 각각의 양측에 측부삽입공을 형성하되, 상기 각각의 방향에 구비된 측부삽입공으로 삽입하여,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집거나 놓는 자동포크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자동포크부재는, 상기 측부삽입공에 대응 삽입되는 삽입바가 구비된 수직바를 포함하는 측부프레임; 상기 수직바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포크; 상기 하포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포크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포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포크실린더는, 상기 수직바의 외측 상부에 구비된 돌출편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상포크를 관통하며 상기 돌출편과 상기 하포크를 연결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향절곡부의 전방 양측에 바삽입공을 형성하되, 후방이 상기 바삽입공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에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며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잡음과 함께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압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압착부재는, 후방에 상기 바삽입공에 대응 삽입되는 후방바가 구비되고, 내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모터축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몸체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후방에 상기 모터축과 결합되는 축공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중앙판; 상기 중앙판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중앙판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에 의해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는 압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착구는, 상기 중앙판 양측 각각의 상·하부에 입출공을 형성하되, 상기 입출공과 대응하는 입출편이 구비되고, 상기 입출편의 외측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잡는 압착바;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따르면, 보조테이블에 의해 테이블의 최저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물건을 매우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작업이 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기계로 다양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바, 테이블 상부에 물건을 놓고 옮기는 작업 외에, 테이블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보조테이블에 물건을 놓고 옮기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크가 구비된 측부바를 보조프레임의 양측에 결합하면, 팔레트를 옮기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 지게차 기능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호이스트(Hoist)가 구비된 호이스트기구를 보조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면, 물건을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들어 옮길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다양한 작업에 필요한 기계를 각각 구입할 필요가 없어 기계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본 발명 기계만 보관하면 되므로 기계를 보관하는 장소도 여유 공간이 많아져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때 상기 하부테이블을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상승시키고 상기 하부테이블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장치로 상기 하부테이블을 지지한 후, 상기 프레임승강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상승시켜 화물차의 짐칸에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간편하게 적재하거나 내릴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한편, 작업의 편의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방에 설치되는 포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물건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물건을 운반하는데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테이블을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환경 및 기타의 여건에 따라 상기 상부테이블을 회전시키며 작업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전방에 설치되는 포크레인장치를 이용하여 포크레인 기능도 수행하게 되므로, 더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구매욕을 상승시켜 원활한 생산,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보조판 또는 롤러테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의 전방을 절첩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작업환경에 맞추어 편리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방에 상기 핸드카도 결합하여 구비할 수 있으므로, 핸드카를 별도로 사용하다가 필요할 때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 결합하여 테이블보다 낮은 위치에 핸드카의 받침부분이 위치하여 물건을 더욱 쉽고 간편하게 옮길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전방 양측에 자동포크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자동포크부재의 상·하포크에 의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간편하게 집어서 옮길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때 전방에 상기 회전압착부재를 결합하여 물건을 양쪽에서 압착하여 집은 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며 상기 물건을 원하는 위치의 원하는 부분에 정확하게 옮길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받침판의 동작을 보인 요부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기울임 동작을 보인 동작도
도 10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측부바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호이스트기구를 설치하는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집게부재를 설치하는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지지장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지지장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부테이블이 상승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따른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하부프레임승강장치에 의해 하부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1 내지 도 27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화물차의 짐칸에 싣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28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회전장치에 의해 상부테이블이 회전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회전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회전장치를 보인 평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 연결포크와 보조테이블을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2는 도 31에 따른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측면도
도 33과 도 34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포크 동작을 보인 요부 측면도
도 35와 도 36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보조테이블 동작을 보인 요부 측면도
도 37은 도 31에 따른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동작을 보인 측면도
도 38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연장장치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연장장치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보인 분해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연장장치를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
도 41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연장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2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 포크레인 기능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3은 도 42에 따른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측면도
도 44는 도 42에 따른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포크레인 기능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45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부가 절첩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6은 도 45에 따라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가 절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7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 롤러테이블이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8은 도 47의 상태에서 롤러테이블의 구동부를 상세히 보인 요부 절결 사시도
도 49는 도 47에 따른 구동부의 구동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0은 도 47에 따라 롤러들이 회전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1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핸드카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2는 도 51에 따라 핸드카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3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자동포크부재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4는 도 53에 따른 자동포크부재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
도 55는 도 53에 따른 자동포크부재를 상승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56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회전압착부재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7은 도 56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8은 도 56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9는 도 56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0은 도 56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회전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받침판의 동작을 보인 요부 단면도이며, 도 8과 도 9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기울임 동작을 보인 동작도이다.
도면과 같이, 다수 개의 바퀴(4)가 구비된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평판 형상의 테이블(10)이 설치되고, 이때 상기 테이블(10)은 하부프레임(3)에 설치된 승강장치(20)에 의해 승강하게 되며, 상기 승강장치(20)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가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 리프트를 밀거나 당기며 이동시키는 손잡이(2)가 그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링크기구(21)와 승강실린더(22)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한 쌍의 평행한 내링크와, 상기 내링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평행한 외링크를 그 중앙부끼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X링크기구(21)를 가지며, 상기 X링크기구(21)를 승강실린더(22)에 의해 상·하로 신축시킴으로써, 테이블(10)의 승, 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X링크기구(21)의 승강 높이를 높이기 위해 상·하로 2단 겹친 2단식 팬터그래프(pantograph) 방식의 리프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승강실린더(22) 및 컨트롤박스(1)와 상호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에 의해 바퀴(4)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며 테이블 리프트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가로바(101)가 구비된 사각 프레임 형상의 보조프레임(100)이 수직 상 세워 설치되는바, 상기 테이블(10)의 전방 좌, 우측에는 각각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공(11)이 구비되고, 상기 양 삽입공(11)에 대응 삽입하도록 보조프레임(100)의 후방 상측에 후방으로 연장된 양 수평연결바(110)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연결바(110)를 양 삽입공(11)에 대응 삽입시키면 테이블(10)의 전방에 보조프레임(1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10)의 양 삽입공(11)을 각각 관통하며 이루어지는 테이블결합공(12)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결합공(12)과 대응하는 관통결합공(111)이 양 수평연결바(110)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삽입공(11)에 수평연결바(110)를 삽입한 후 체결부재(C)를 테이블결합공(12)과 관통결합공(111)을 관통시키며 삽입하여 고정하면, 테이블(10)의 전방에 보조프레임(100)이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때 체결부재(C)는 고정핀을 사용하면 되는바, 더 나아가 볼트와 너트 또는 유기적인 결합으로 삽입공(11)에 삽입된 수평연결바(110)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고정부품을 사용해도 되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관통결합공(111)을 등간격으로 다수 개 더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11)으로 삽입되는 수평연결바(110)의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며 체결부재(C)로 고정하여 수평연결바(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블(10)의 전방에 보조프레임(100)이 다양한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양 수평연결바(110)의 전방과 보조프레임(100)의 후방 상부는 각각 중심축(112)으로 상호 결합되어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보조프레임(100)이 기울여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바, 상기 중심축(112)은 고정핀 또는 볼트와 너트 등 축을 이룰 수 있는 다양한 부품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가로바(101) 후면과 테이블(10)의 하면을 연결하며 기울임축(121)이 구비된 기울임실린더(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울임축(121)의 전방은 가로바(101)의 후면에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기울임실린더(120)의 후방은 테이블(10)의 하면에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기적인 연결방법은 도면에 도시한 방법 외에 통상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고, 이에 따라 유기적인 연결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100)과 수평연결바(110)가 중심축(112)으로 결합되는 구성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방법 외에 통상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기울임실린더(120)가 동작하여 기울임축(121)을 전방으로 보내면, 보조프레임(100)이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기울여지게 되고, 상기 기울임실린더(120)가 동작하여 기울임축(121)을 후방으로 당기면 보조프레임(100)이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울임실린더(120) 및 기울임축(121)을 설치하게 되므로, 기울임실린더(120)의 동작에 간섭을 하지 않도록 하부프레임(3)의 전방측에 홈을 형성하거나 절결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100)을 기울이지 못하도록 중심축(112) 없이 양 수평연결바(110)를 보조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바,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보조프레임(100)에 형성된 공간부(102)의 양측에는 회전축(103)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03)과 대응 결합하는 회전관(132)이 구비된 보조테이블(130)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관(132)에 회전축(103)을 삽입하며 보조테이블(130)을 보조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공간부(102)에 형성되는 회전축(103)을 길게 형성하여 보조프레임(100)의 측면에서 끼워 회전관(132)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102) 양측에 회전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관(132)의 양측에 회전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홈에 회전돌기를 삽입하여 보조프레임(100)에 보조테이블(130)을 결합할 수도 있는 등, 상기 보조프레임(100)에 보조테이블(13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은 실로 많은 방법이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것 외에 다른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축(103)은 공간부(102)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회전관(132)과 보조테이블(130)을 수평 상 같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비하여도 되지만,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테이블(10)의 최저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관(132)과 보조테이블(130) 사이에 하향 절곡된 절곡부(131)를 구비하여 보조테이블(130)의 설치위치를 더욱 낮출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관(132)과 보조테이블(130)을 수평 상 같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비해도 됨은 물론인바,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플랜지(109)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플랜지(109)가 보조테이블(130)의 후방 하면을 지지하여 보조테이블(1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전방 측 하단 양측에 회전축(103)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관(132)과 보조테이블(130)을 수평 상으로 형성하여 보조테이블(130)의 설치위치를 낮출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바, 이 또한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보조테이블(130)의 폭을 작게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조테이블(130)의 폭이나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양 측면에는 홈 형상의 수평공(104)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공(104)과 대응 삽입하는 측부연결바(141)가 구비된 측부바(140)가 보조프레임(100)의 양측에 설치되는바, 이때 상기 양 측부바(140)의 전방측 하부 외측 방향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 형상의 지지바(143)가 각각 대향되도록 구비되어 있어,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양측에 측부바(140)가 결합되면 지지바(143)가 보조테이블(13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보조테이블(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바(143)와 측부바(140)가 함께 견디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공(104)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결합공(105)이 보조프레임(100)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결합공(105)과 대응하도록 측부연결바(141)에 측부결합공(142)이 형성되어 있어, 측부연결바(141)를 수평공(104)에 결합한 후 체결부재(C)를 수평결합공(105)과 측부결합공(142)을 관통하여 고정하면 보조프레임(100)의 양측에 측부바(140)를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이에 따라 보조테이블(130)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과 같이, 상기 수평공(104)을 보조프레임(100)의 양측 상,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양측 상, 하부에 형성된 수평공(104)과 대응하도록 측부바(140)에 측부연결바(141)를 상·하로 구비함이 바람직한바, 상기 지지바(143)에 가해지는 하중을 더욱 강하게 견딜 수 있도록, "⊂" 과 "⊃" 형상으로 대향되게 양 측부연결바(141)를 형성하여, 상, 하부의 측부연결바(141)를 상, 하부 수평공(104)에 삽입하여 측부바(140)를 보조프레임(10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가로바(101) 위치상에 상측 수평공(104)을 형성하여 수평공(104)을 형성하는데 매우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11)과 수평연결바(110), 보조프레임(100)과 가로바(101), 수평공(104)과 측부연결바(141) 및 측부바(140)는 사각의 관 및 사각의 홈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한바, 구조적 강도와 제작의 용이성 및 결합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원형이나 타원형 및 사각을 제외한 다각형 모양으로도 형성할 수 있는바,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는, 컨트롤박스(1)를 조정하며 손잡이(2)를 잡고 구동부(5)로 바퀴(4)를 회전시켜, 옮기고자 하는 물건이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5)에 의해 바퀴(4)가 회전된다고 기술하였으나, 바퀴(4)가 동력 없이 자유회전 하도록 구성하여, 손잡이(2)를 잡고 작업자가 밀고 당기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옮기려는 물건이 있는 곳으로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이동한 후에는, 작업자는 작업환경 및 작업의 편의에 따라 물건을 테이블(10)이나 보조테이블(130) 위에 옮기게 된다.
즉, 상기 물건이 높은 곳에 있을 경우에는, 컨트롤박스(1)를 조작하여 승강장치(20)를 구동하게 되는바, 상기 승강실린더(22)가 동작하여 승강축(23)이 인출되고, 이에 X링크기구(21)가 신축하며 테이블(10)과 보조테이블(130)이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는 테이블(10)이나 보조테이블(130)에 물건을 옮겨놓게 되는바, 상기 작업자는 물건들이 쌓여있는 곳에 올라가 테이블(10)이나 보조테이블(130)에 물건을 옮길 수도 있으나, 보조테이블(130)에 올라서서 물건을 테이블(10)에 간편하게 옮겨놓을 수 있으므로, 보조테이블(130)은 물건을 놓는 기능 이외에 높은 위치에서 테이블(10)에 물건을 간편하게 옮길 수 있도록 작업자를 올리고 내릴 수 있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테이블(130)에 물건이 놓이거나 작업자가 올라타더라도, 보조테이블(130)이 측부바(140)의 지지바(143)와 함께 하중을 견디게 되어 물건이 안전하게 놓일 뿐 아니라, 작업자도 안전하게 보조테이블(130)에 올라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건을 테이블(10)이나 보조테이블(130)에 다 옮긴 후에는 다시 컨트롤박스(1)를 조작하여 테이블(10)과 보조테이블(130)을 내리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테이블(130) 없이 양 지지바(143) 만으로도 물건을 옮길 수 있을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보조테이블(130)을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밀착하여 고정하게 되는바, 상기 보조테이블(130)을 회전축(103)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100) 상부에 구비된 고정판(108)을, 고정축(108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보조테이블(130)이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밀착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축(108a)을 중심으로 고정판(108)을 회전시켜, 보조테이블(130)이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축(108a)은 보조테이블(130)이 회전축(10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밀착할 때 간섭이 되지 않는 상측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108)은 고정축(108a)을 중심으로 일측은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보조테이블(130)이 밀착할 때 간섭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며, 타측은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보조테이블(130)이 밀착할 때 간섭하는 길이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03)을 중심으로 보조테이블(130)을 회전시키면, 보조프레임(100)의 전방면에 보조테이블(130)이 닿기 전에 고정판(108)을 회전시켜 간섭하지 않는 부분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보조프레임(100)의 전방면에 보조테이블(130)이 밀착되면 다시 고정판(108)을 회전시켜 간섭하는 부분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보조테이블(130)이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보조테이블(130)을 밀착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기 설명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들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는바,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테이블(130)보다 더 큰 물건을 옮기려고 할 경우에는, 보조테이블(130)이 필요 없어지므로,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100)의 전방면에 보조테이블(130)을 밀착하여 고정판(108)으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C)를 분리하고, 옮기려는 큰 물건과 대응하도록 양 측부바(140)를 양측으로 벌린 후 다시 체결부재(C)를 결합하여 보조프레임(100)에 측부바(14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양 측부바(140)의 양 지지바(143) 사이에 큰 물건을 내려놓으면 양 지지바(143)가 큰 물건을 지지하며 원하는 다른 장소로 큰 물건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측부결합공(142) 및 수평결합공(105)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됨은 물론, 상기 측부바(140)의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체결부재(C)로 고정할 수 있도록 측부결합공(142)과 수평결합공(105)을 각각 다수 개의 등간격으로 형성해야 한다.
한편, 상기 보조테이블(130)에 올려놓은 물건이 이동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떨어질 우려가 있을 경우나, 보조테이블(130)에 올려놓은 물건을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해야 할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컨트롤박스(1)를 조작하여 기울임실린더(120)를 동작하고, 이에 기울임실린더(120)에서 기울임축(121)이 인출되며 가로바(101)를 밀게 되어, 보조프레임(100)이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기울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100)이 기울어짐에 따라 보조테이블(130)도 함께 기울어지게 되므로, 보조테이블(130)에 놓인 물건도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1)를 조작하여 기울임실린더(120)를 동작하고, 이에 기울임실린더(120)에서 기울임축(121)이 인입되며 가로바(101)를 당기게 되어, 보조프레임(100)이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수직상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측부바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측부바(140)에 지지바(143) 대신 지게차 기능을 할 수 있는 포크(144)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수평공(104)이 측부바(140)를 결합한 후 승강장치(20)를 이용하여 포크(144)를 들어올리면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가 지게차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테이블(130)은 회전축(10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보조프레임(100)의 전방면에 밀착되어 고정판(108)에 고정된 상태가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측부연결바(141)에도 기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평결합공(105)과 대응하는 측부결합공(142)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어, 들어올리고자 하는 팰릿(Pallet)의 크기에 맞추어 양 측부연결바(141)의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팰릿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호이스트기구를 설치하는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양측 상부에는 각각 수직상 홈 형상으로 수직공(106)이 형성되고, 상기 양 수직공(106)에 대응 삽입하는 수직연결바(151)가 구비되며, 상기 양 수직연결바(151)의 상단을 연결하며 상부바(150)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상부바(150)의 상부에는 회전판(153)으로 결합되고 전방에 호이스트(155)(Hoist)가 구비된 호이스트기구(154)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호이스트(155)는, 비교적 가벼운 물건을 들어 옮기는 기중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호이스트(15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감기통을 손도르래로 움직이게 하는 수동 호이스트(155)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동기를 사용한 전기 호이스트(155)·텔퍼(telpher) 등이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다양한 호이스트(155)를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호이스트(155)에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걸고 승강장치(20)를 동작시켜 테이블(10)을 상승시키면, 호이스트기구(154)도 함께 상승하게 되어 호이스트(155)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물건을 옮길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집게부재를 설치하는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가로바(101)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162)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162)의 전방 측과 연결된 평판 형상의 집게부(161)로 이루어진 집게부재(160)가 구비되어, 상기 집게부재(160)를 이용하여 물건을 옮길 수도 있다.
즉, 상기 걸림부(162)를 양 가로바(101)에 걸어 고정하면 양 집게부재(160)가 보조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상기 양 집게부재(160) 간의 사이를 조절하며 원하는 물건을 집거나 들어 옮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집게부재(160)를 이용하여 팰릿을 들어올릴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집게부재(160)를 이용하여 지게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집게부재(160)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조테이블(130)을 완전 분리하여 사용해야 함은 물론이며, 상기 걸림부(162)를 보조프레임(100)의 가로바(101)가 아닌 보조프레임(100)의 하부에 걸어 사용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측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다수의 바퀴(4)가 구비된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평판 형상의 하부테이블(170)이 설치되고, 이때 상기 하부테이블(170)은 종래와 같이 하부프레임(3)에 설치된 승강장치(20)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며, 상기 승강장치(20)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가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 리프트를 밀거나 당기며 이동시키는 손잡이(2)가 그 상부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양측에는 지지장치(G)인 후방지지대(173)가 도시된바, 추후 상세히 기술하겠지만 하부테이블(170)이 승강장치(20)에 의해 상승한 후 상기 하부테이블(170)을 지지장치인 후방지지대(173)와 전방지지대(171)를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상부에는 평판 형상의 상부테이블(200)이 설치되는바, 상기 상부테이블(20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의 상부삽입공(20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테이블(200)은 추후 상세히 기술하겠지만, 하부테이블(170)과 회전장치로 연결되어 있는바, 상기 회전장치(C)인 주,종스프로킷(212)(214)과 체인(216)이 도시되었으며, 상부테이블(200)을 회전장치(C)를 이용하여 일정각도로 회전하며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지지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지지대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양측에는 각각 승강장치(20)에 의해 상승한 하부테이블(170)을 지지하는 지지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장치(G)는,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측방향 양측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지지대(171)와 후방지지대(17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방지지대(171)(173)는 각각 전,후방조절대(172)(174)가 결합되어, 상기 전,후방지지대(171)(173)로부터 전,후방조절대(172)(174)를 인입 또는 인출하며 상기 하부테이블(17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높이에 용이하게 대응하도록 한다.
상기 전방지지대(171)는,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양측 전방에 전방축(171a)으로 결합하여, 상기 전방축(171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수직 또는 수평으로 위치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전방축(171a)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 고정된 상태는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양측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전방축(171a)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 고정된 상태는 상기 하부테이블(17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지지대(173)도 후방축(173a)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 고정된 상태는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양측 하부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후방축(173a)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 고정된 상태는 상기 하부테이블(17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후방지지대(171)(173)를 이용하여 하부테이블(17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하부테이블(170)을 승강장치(20)로 상승한 후 상기 전,후방지지대(171)(173)를 이용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지지대(171)(173)에는 각각 전,후방조절대(172)(174)가 결합되는바, 상기 전,후방조절대(172)(174)는 대응하는 전,후방지지대(171)(173)의 하부에서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전,후방지지대(171)(173)의 하부에서 전,후방조절대(172)(174)의 인입 또는 인출 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하부테이블(17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지지대(171)(173)와 상기 전,후방조절대(172)(174)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구멍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핀으로 고정하도록 하여, 다양한 길이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테이블(170)에 전방지지대(171)가 전방축(171a)으로 결합하는 위치는, 추후 상세히 기술하겠지만, 화물차(300)의 짐칸(310)에 적재할 때 하부프레임(3)의 전방측 바퀴(4)가 짐칸(310)에 올려진 후에야 전방축(171a)을 이용하여 전방지지대(171)를 수평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하부프레임(3)의 전방측 바퀴(4)보다 후방측 위치에 전방축(171a)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지지대(173)는,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후방으로 일정길이 인출된 후 후방축(173a)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회전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바, 이 또한 상기 화물차(300)의 짐칸(310)에 적재할 때 하부프레임(3)의 후방측 바퀴(4)가 짐칸(310)에 올려진 후에 후방축(173a)을 이용하여 후방지지대(173)를 수평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하부프레임(3)의 후방측으로 일정길이 인출되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후방지지대(173)의 하부테이블(170)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부분과,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대응하는 부분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핀으로 고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후방조절대(172)(174)의 각 최하단에는 롤러를 결합하여 짐칸(310)에 적재할 때 작업자가 용이하게 밀면서 적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장치(G)를 전,후방지지대(171)(173)가 아닌 전,후방실린더로 구비하여, 작업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하부테이블(17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이는 단순 설계변경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부테이블이 상승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하부프레임승강장치에 의해 하부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X링크기구(21)와 승강실린더(22)로 이루어진 승강장치(20)는, 기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행한 내링크와, 상기 내링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평행한 외링크를 그 중앙부끼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X링크기구(21)를 가지며, 상기 X링크기구(21)를 승강실린더(22)에 의해 상하로 신축시킴으로써,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승강 또는 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실린더(22)가 구동하여 X링크기구(21)를 밀게 되면, 상기 X링크기구(21)가 상측으로 올라가며 상,하부테이블(200)(17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3)과 하부테이블(170)을 연결하며 하부프레임승강장치(P)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장치(P)는 상기 하부프레임(3)에 설치된 로프모터(180)에 의해 감김부(18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감김부(181)에 한쪽이 감기고 다른 쪽 끝단에 걸고리(182a)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부(183)에 상기 갈고리(182a)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하는 로프(18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김부(181)는 상기 로프(182)를 감거나 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며, 이와 같은 형상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감김부(18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20)가 구동하여 상,하부테이블(200)(170)을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장치(P)인 로프모터(180)는 구동하지 않아야 한다.
즉, 상기 승강장치(20)가 구동하여 상,하부테이블(200)(170)을 상승시킬 때 상기 로프모터(180)가 구동하고 있으면, 상기 승강장치(20)에 의해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서 상,하부테이블(200)(170)이 상승하려는 힘을 받게 됨과 함께, 상기 감김부(181)에서 로프(182)가 풀리지 않아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서 상,하부테이블(200)(170)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는 힘을 동시에 받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므로, 상기 승강장치(20)가 구동하여 상,하부테이블(200)(170)을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로프모터(180)가 구동하지 않고 감김부(181)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며 로프(182)가 풀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상기 갈고리(182a)를 고정부(183)에 걸지 않은 상태로 감김부(181)에 로프(182)가 감겨있도록 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야기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승강장치(20)가 구동하여 상승한 상,하부테이블(200)(170)을 하강시킬 때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장치(P)인 로프모터(180)가 구동하여 로프(182)를 감김부(181)에 감아야 한다.
즉, 상기 승강장치(20)가 구동하여 상,하부테이블(200)(170)을 하강하게 되면, 상기 로프(182)는 늘어지며 X링크기구(21)를 감거나 외부로 늘어져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므로, 상기 승강장치(20)가 구동하여 상,하부테이블(200)(170)을 하강할 때에는 로프(182)가 늘어지지 않도록 로프모터(180)가 구동하여 감김부(181)에 로프(182)를 감아야 하는 것이다.
이때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갈고리(182a)를 고정부(183)에 걸지 않은 상태로 감김부(181)에 로프(182)가 감겨있도록 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야기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20)가 구동하여 상,하부테이블(200)(170)을 상승시킬 때에도 로프모터(180)를 구동할 수도 있는바, 이때에는 상기 로프모터(180)가 로프(182)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감김부(181)를 회전시켜야 함은 물론이다.
도 19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20)가 구동하여 상,하부테이블(200)(170)을 상승시키게 되면, 작업자는 지지장치(G)를 이용하여 상,하부테이블(200)(17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전방지지대(171)를 전방축(171a)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직상으로 위치시킨 다음, 상기 상,하부테이블(200)(170)의 상승 높이에 대응하도록 전방지지대(171)에서 전방조절대(172)를 하향 인출시켜 전방조절대(172)와 전방지지대(171)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지지대(173)를 하부테이블(170)에서 후방으로 기 설정된 길이(프레임의 뒷바퀴보다 더 후방 위치)로 인출한 다음, 후방축(173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직상으로 위치시킨 다음, 상기 상,하부테이블(200)(170)의 상승 높이에 대응하도록 후방지지대(173)에서 후방조절대(174)를 하향 인출시켜 후방조절대(174)와 후방지지대(173)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후방지지대(173)를 하부테이블(170)에서 후방으로 인출하는 길이는 항상 동일해야 하지만, 지면의 상황이나 기타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도면과 같이 다수의 구멍과 핀을 이용하여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후방조절대(172)(174)의 최하단이 지면에 접촉되어야 함은 물론이나, 지면의 상황이나 기타 여건에 따라 상기 전,후방조절대(172)(174)의 최하단이 지면에서 떨어져 위치 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승한 상,하부테이블(200)(170)이 지지장치(G)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면, 도 20과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장치(P)를 이용하여 하부테이블(170)의 하부로 하부프레임(3)을 상승시켜 위치시키게 된다.
즉,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장치(P)인 상기 로프모터(180)를 구동하여 감김부(181)를 회전시켜 로프(182)를 감게 되면, 상기 로프(182)의 다른 쪽에 구비된 걸이구(182a)가 하부테이블(170)에 고정부(183)로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하부테이블(170)은 지지장치(G)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로프모터(180)의 회전에 의해 감김부(181)에 로프(182)가 감기면서 하부프레임(3)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로프모터(180)의 구동을 제어하여 하부테이블(170)의 하부에 하부프레임(3)을 근접시킬 수도 있고, 하부프레임(3)을 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화물차의 짐칸 높이)로 상승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구(182a)는 고정부(183)에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하면 되는바, 사용상의 편의에 따라 걸이구(182a)를 고정부(183)에 걸어 고정하거나 로프(182)를 감김부(181)에 감아놓은 상태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21 내지 도 27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화물차의 짐칸에 적재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20)와 지지장치(G) 및 하부프레임승강장치(P)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기 설명한 바와 같음에 따라 이하에서는 각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화물차(300)의 짐칸(310)에 적재하기 위해 도 21과 같이 화물차(300)의 후방에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20)를 구동하여 첨부된 도면 중 도 22와 같이 상,하부테이블(200)(170)을 상승시키고, 상기 지지장치(G)를 이용하여 도 23과 같이 상승한 상,하부테이블(200)(17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장치(P)를 구동하여 도 24와 같이 하부테이블(170)의 하부에 하부프레임(3)을 상승시켜 위치시키고, 도 25와 같이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화물차(300) 방향으로 밀어 짐칸(310)의 후방 상부에 하부프레임(3)의 전방측 바퀴(4)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과 같이 상기 짐칸(310)의 후방 상부에 하부프레임(3)의 전방측 바퀴(4)가 위치하면 상기 승강장치(20)를 구동하여 상기 하부프레임(3)을 하강하게 되는바, 상기 하부프레임(3)의 전방측 바퀴(4)가 짐칸(310)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상기 승강장치(20)를 구동한다.
그리고 도 26과 같이 상기 전방조절대(172)를 전방지지대(171)에 인입시킨 후 전방축(171a)을 중심으로 수평상으로 회전시켜 하부테이블(170)의 하부에 전방지지대(171)를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3)의 전방측 바퀴(4)가 짐칸(310)에 얹혀진 상태이고, 후방지지대(173)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므로, 하부프레임(3)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전방지지대(171)를 수평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방지지대(171)를 수평상으로 위치시킨 후에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짐칸(310)의 전방측으로 더 밀어 상기 하부프레임(3)의 후방측 바퀴(4)가 짐칸에 얹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조절대(174)를 후방지지대(173)에 인입시킨 후 후방축(173a)을 중심으로 수평상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후방측으로 인출되었던 후방지지대(173) 부분을 다시 하부테이블(170)에 인입시킨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20)를 구동하여 상,하부테이블(200)(170)을 하강시켜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위치시키면서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도 27과 같이 짐칸(310)의 전방측으로 밀어 안전하게 적재하면 화물차(300)의 짐칸(310)에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적재하는 모든 과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화물차(300)의 짐칸(310)에서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내려놓은 과정은, 기 설명한 바와 같은 반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지면에 내려놓으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화물차(300)의 짐칸(310)에 간편하게 적재하고, 화물차(300)의 짐칸(310)에 적재된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간편하게 내려놓을 수 있게 되므로, 원거리로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물차(300)의 짐칸(310)에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적재하거나 내려놓을 때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28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회전장치에 의해 상부테이블이 회전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회전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0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회전장치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상부테이블(200)과 하부테이블(170) 사이에는 회전장치(C)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테이블(170)을 중심으로 상부테이블(200)을 기설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장치(C)는, 상기 상부테이블(200)의 하부와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상부를 연결하는 결합축(215)의 외주연에 종스프로킷(214)이 구비되되, 상기 결합축(215)은 상기 상부테이블(200)만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결합축(215)과 하부테이블(170)은 베어링으로 결합하고, 상기 결합축(215)과 상부테이블(200)은 견고하게 고정하며 결합하여, 종스프로킷(214)의 회전에 따라 상부테이블(20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축(215)을 상,하부테이블(200)(170)에 각각 베어링으로 결합하고, 상기 결합축(215)에 베어링으로 종스프로킷(214)을 결합함과 함께 상기 종스프로킷(214)과 상부테이블(200)을 견고하게 고정하며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인바, 이와 같이 상기 하부테이블(170)을 중심으로 종스프로킷(214)과 상부테이블(200)이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에 따른 단순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종스프로킷(214)과 인접위치에 회전모터(21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주스프로킷(212)이 설치되고, 상기 주,종스프로킷(212)(214)을 연결하며 주스프로킷(212)의 회전력을 종스프로킷(214)에 전달하는 체인(216)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모터(210)가 구동하여 주스프로킷(212)을 회전시키면, 상기 주스프로킷(212)의 회전력이 체인(216)에 의해 종스프로킷(214)으로 전달되고, 이에, 도 28과 같이 종스프로킷(214)과 함께 상부테이블(20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모터(210)의 구동에 의해 상부테이블(200)이 회전하는 각도는 상기 컨트롤박스(1)에서 기 설정됨은 물론이며, 상기 컨트롤박스(1)에서 상기 회전모터(210)의 구동시간 또는 구동방향 등을 설정하여 상기 상부테이블(200)을 다양한 방향의 다양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사용함에 있어, 작업환경이나 작업조건 및 작업종류 등에 따라 상부테이블(200)을 자유롭게 회전시키며 더욱 간편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작업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장치(C)를 회전모터(210)의 회전력을 주,종스프로킷(214)과 체인(216)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구비하지 않고, 기어의 치합에 의한 구성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실린더를 이용한 구성으로 구비할 수도 있는 등, 상기 하부테이블(170)을 중심으로 상부테이블(200)을 기설정각도로 회전시키는 다양한 구성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 연결포크와 보조테이블을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에 따른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측면도이다.
도 33과 도 34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포크 동작을 보인 요부 측면도이고, 도 35와 도 36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보조테이블 동작을 보인 요부 측면도이며, 도 37은 도 31에 따른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동작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는 지게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연결포크(520)가 결합되고, 보조테이블(540)을 설치하여 더욱 다양하고 폭 넓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상기 상부테이블(200)의 양측에는 전방에서 후방 방향의 홈으로 이루어진 상부삽입공(20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 상부삽입공(202)과 대응하는 양 후방연결바(410)가 구비된 가이드판(400)이 상기 상부테이블(200)의 상부삽입공(202)으로 후방연결바(410)를 삽입하며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400)의 전방에는 양측에 각각 보조공(501)이 형성된 전방프레임(500)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상부이 구비된 승강부(505)가 상기 가이드판(400)의 하부에 설치된 상하실린더(430)의 상하실린더축(431)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상하실린더(4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전방프레임(500)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400)의 전방 양측에는 가이드구(420)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구(420)를 대응 삽입하는 슬라이드부(504)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부(504)가 가이드구(420)의 가이드를 받으며 상기 상하실린더(430)의 구동에 따라 전방프레임(500)이 원활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양측에는 측방향의 홈으로 이루어진 보조공(501)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공(501)과 대응하는 보조측부연결바(511)가 구비된 보조측부바(510)가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조측부바(510)는 도면과 같이 보조측부연결바(511)를 보조공(501)에 삽입한 후 상호 연통하는 다수의 구멍 중 하나의 구멍으로 핀을 삽입하여, 상기 전방프레임(500)에 보조측부바(510)를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조측부바(510)를 필요에 따라 전방프레임(50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함은 물론, 상기 보조측부바(510)가 측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물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양 보조측부바(510)의 하부에는 지게차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연결포크(520)가 각각 결합되는바, 상기 연결포크(520)의 후방에는 중심공(521)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측부바(510)의 하부에는 상기 중심공(521)과 대응하는 돌출공(512)이 구비되어, 상기 중심공(521)과 돌출공(51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연결포크회전축(530)을 삽입하여 보조측부바(510)에 연결포크(52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연결포크(520)의 후방 즉, 중심공(521)의 후방측 끝면은 보조측부바(510)와 면 접촉할 수 있도록 수직상의 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연결포크(520)를 이용하여 지게차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연결포크(520)가 하향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포크(520)의 하면에 대응 접촉하는 편을 보조측부바(51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연결포크(520)의 하면을 상기 편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도 있는바, 이와 같이 상기 연결포크(520)가 하향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포크(520)는 지게차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연결포크회전축(530)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하여 수직상으로 위치 고정함이 바람직한바, 이에 따라 상기 연결포크(520)와 대응 위치하는 보조측부바(510)의 전방 상부에 연결포크자석(513)을 구비하여, 도 33의 상태에서 상기 연결포크회전축(530)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포크(520)를 상향 회전시켜 도 34와 같이 상기 연결포크자석(513)에 의해 보조측부바(510)의 전방에 수직상으로 세워진 연결포크(520)를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포크(520)는 다양한 모양의 물건 및 다양한 무게의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지게차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통상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연결포크자석(513)을 이용하여 수직상으로 세워진 상기 연결포크(520)를 용이하게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포크자석(513) 이외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고정편을 보조측부바(510)의 전방에 구비하여, 상기 연결포크(520)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연결포크(520)를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바, 이와 같이 수직상으로 세워진 연결포크(520)를 상기 보조측부바(510)의 전방에 고정하는 다양한 구성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전방 하부에는 상부테이블(20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보조테이블(540)이 결합되는바, 상기 보조테이블(540)은 후방에 회전공(54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공(541)과 대응하는 테이블회전축(502)이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공(541)을 테이블회전축(502)과 결합하며 전방프레임(500)의 전방 하부에 보조테이블(540)이 결합된다.
이때 도면과 같이 상기 전방프레임(50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구멍을 상하로 형성한 후, 상기 하부측에 형성된 구멍의 양측에 상기 테이블회전축(502)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측 구멍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테이블회전축(502)과 대응하는 회전공(541)을 상기 보조테이블(540)의 후방에 형성한다.
상기 보조테이블(540)은, 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진 후 수평상 후방으로 연장되어 회전공(541)이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보조테이블(540)의 상부에 물건을 올려 놓았을 때 상기 보조테이블(540) 후방의 수직으로 세워진 면과 후방으로 수평상 연장된 면이 전방프레임(500)에 접촉되며 상기 보조테이블(540)이 물건의 하중에 의해 테이블회전축(502)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수평상으로 위치한 보조테이블(540)이 테이블회전공(541)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인바, 이와 같은 단순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테이블(540)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테이블회전축(502)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시켜 수직상으로 위치 고정하게 되는바,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전방 상부에는 테이블자석(503)이 구비되어, 도 35의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회전축(502)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하여 도 36과 같이 수직상으로 위치하는 보조테이블(540)을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전방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테이블(540)은 상기 테이블자석(503)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며, 수직상으로 세워진 상기 보조테이블(540)을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전방에 고정하는 구성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도 물론인바, 이와 같이 상기 수직상으로 세워진 보조테이블(540)을 전방프레임(500)의 전방에 고정하는 다양한 구성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연결포크(520)를 이용하여 지게차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보조테이블(540)에 물건을 올려놓거나 내릴 때, 도 37과 같이 상기 상하실린더(430)를 구동하여 연결포크(520) 및 보조테이블(540)을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상하실린더(430)를 구동하면, 상기 상하실린더(430)의 상하실린더축(431)이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상기 상하실린더축(431)의 상부와 승강부(505)로 연결된 전방프레임(500)이 상승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구(420)를 따라 슬라이드부(504)가 가이드 받으며 상기 전방프레임(500)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실린더(430)를 구동하여 상하실린더축(431)을 하강시키면, 상기 전방프레임(500)도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포크(520)를 이용하여 지게차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보조테이블(540)을 이용하여 낮은 위치의 물건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도 38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연장장치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연장장치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0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연장장치를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1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연장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3)의 전방 양측에는 연장장치(Y)가 각각 구비되는바, 상기 연장장치(Y)는, 하부프레임(3)의 전방 양측에 각각 측 방향의 홈으로 결합공(3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3)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측부연장바(700)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3a)과 대응하는 측부연장바(700)의 측방향에는, 상기 결합공(3a)에 대응하며 결합하는 결합바(710)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바(710)를 통해 상기 측부연장바(700)가 측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측부연장바(700)에는 길이방향으로 전방연장바(720)가 결합되는바, 상기 전방연장바(720)가 측부연장바(700)에서 길이방향 즉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된다.
또한, 상기 전방연장바(720)의 전방 하부에는 지지축(730)으로 지지롤러(740)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73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지면과 상기 지지롤러(740)의 하부가 접촉하며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연장장치(Y)는,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포크(520) 또는 보조테이블(540)을 이용하여 물건을 운반할 때, 상기 물건에 의해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40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포크(520) 또는 보조테이블(540)을 이용한다 할 경우에는, 상기 양 측부연장바(700)를 측방향으로 각각 인출하고, 상기 전방연장바(720)를 측부연장바(700)에서 전방으로 인출하며, 상기 전방연장바(72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된 지지롤러(740)를 지지축(73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지롤러(740)의 하부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공(3a)에서 결합바(710)를 측방향으로 각각 인출하는 길이는 양측이 모두 같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측부연장바(700)에서 전방연장바(720)를 전방으로 각각 인출하는 길이 또한 양측에 모두 같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심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면, 물건을 운반하는 작업에 위험성이 포함되므로, 중심이 일치되도록 측방향 또는 전방방향으로의 인출 길이를 같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부연장바(700)와 전방연장바(720)는 측방향으로 각각 대응하는 구멍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구멍을 관통하며 결합하는 핀을 사용하여, 상기 측부연장바(700)와 전방연장바(720)를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측부연장바(700)에서 전방연장바(720)를 인출하거나 인입한 후, 대응하는 다수의 구멍으로 하나 이상의 핀을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3a)과 결합바(710)는, 상기 결합바(710)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3a)의 내부에 상기 결합바(710)의 다수의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텐션볼을 구비하여, 상기 텐션볼에 구멍이 일치되며 결합바(710)의 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측부연장바(700)와 전방연장바(720) 또는 결합공(3a)과 결합바(710)의 대응 결합구조는 기 설명한 바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더욱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인바, 이에 대한 다양한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42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 포크레인 기능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3은 도 42에 따른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측면도이며, 도 44는 도 42에 따른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포크레인 기능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전방으로 포크레인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포크레인장치(R)가 설치된 결합판(600)의 후방에, 상기 상부테이블(200)의 양측에 구비된 상부삽입공(202)으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연결바(610)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연결바(610)를 이용하여 상부테이블(200)에 포크레인장치(R)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테이블(200)은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장치(2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더욱 다양한 포크레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크레인장치(R)는, 흙이나 기타 물건을 퍼 담을 수 있는 바가지(650)와 상기 결합판(600)의 전방 사이에 연결판(690)이 설치되되, 상기 연결판(690)과 결합판(600)의 전방 및, 상기 연결판(690)과 바가지(650)의 후방을 다수의 연결링크(630)가 연결하며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결합판(600)과 연결링크(630)는 상기 결합판(600)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연결링크와 대응하는)의 전방결합구(620)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상기 바가지(650)와 연결링크(630)는 상기 바가지(650)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연결링크와 대응하는)의 후방결합구(660)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연결링크(630)는 연결판(690)과 다수(연결링크와 대응하는)의 연결중심축(640)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또한 후방이 상기 전방결합구(620)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실린더(670)의 전방 끝단은 하나의 연결중심축(640)에 대응 결합하고, 후방이 상기 연결중심축(640)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실린더(680)의 전방 끝단은 바가지(650)의 후방결합구(660)와 결합된다.
따라서, 도 43과 같이 상기 제1,제2실린더(670)(680)를 구동하여 바가지(650)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며 포크레인 기능을 수행토록 하게 된다.
한편, 도 44와 같이 상기 바가지(650)를 뒤집어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다양한 포크레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가지(650)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결합구(660)를 상하 대칭으로 형성하면, 도 43 또는 도 44와 같은 바가지의 형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5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부가 절첩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6은 도 45에 따라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가 절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810)를 포함하고, 상부가 상기 하향절곡부(810)의 하부 끝단과 힌지(H)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절첩되는 수직부(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820)의 전방 하부에 물건을 실을 수 있는 보조판(8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블(10)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종래와 같이 하부프레임(3) 내부에 구비된 승강장치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는 하향 절곡된 하향절곡부(810)가 구비되고, 상기 하향절곡부(810)의 하부에는 수직부(820)가 힌지(H)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820)의 최하단은, 지면에 닿지 않도록 상기 하부프레임(3)의 최하단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해야 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820)를 상기 힌지(H)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상기 하향절곡부(810)의 전방에 절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직부(820)의 전방 하부에는, 판으로 이루어진 보조판(830)이 구비되어, 상기 보조판(830)에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향절곡부(810)와 수직부(820)는 상기 힌지(H)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H)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820)를 하향절곡부(810)의 전방에 절첩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보조판(830)이 테이블(10) 상면에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6과 같이 상기 힌지(H)를 이용하여 수직부(820)를 절첩하면, 상기 보조판(830)의 상면이 상기 테이블(10)의 상면과 접하며 절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테이블(1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보조판(830)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며, 상기 보조판(83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힌지(H)를 이용하여 수직부(820)를 회전시켜 상기 보조판(830)이 테이블(10) 상면에 접하여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크기를 줄이고자 함이다.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된 보조판(830)이 보관시나 이동시에 주변 물품들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힌지(H)를 이용하여 수직부(820)와 보조판(830)을 절곡하는 것이다.
도 47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 롤러테이블이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8은 도 47의 상태에서 롤러테이블의 구동부를 상세히 보인 요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 49는 도 47에 따른 구동부의 구동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0은 도 47에 따라 롤러들이 회전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수직부(820)의 전방 하부에 다수의 롤러(842)에 의해 물건을 간편하게 싣거나 내릴 수 있는 롤러테이블(84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테이블(840)은, "ㄷ" 형상으로 외주연을 형성하는 틀(841)과, 상기 틀(841)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84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롤러테이블(840)에 물건을 올릴 때에는, 상기 롤러테이블(840) 전방측의 롤러(842)에 물건의 후방 측을 올린 후 상기 물건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롤러(842)들이 자유 회전하며 물건이 후방으로 용이하게 밀리며 이동되어 상기 롤러테이블(840)에 물건을 간편하게 올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테이블(840)에서 물건을 내릴 때에는, 상기 롤러테이블(840)에 올려진 물건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롤러(842)들이 자유 회전하며 물건이 전방으로 용이하게 밀려 상기 롤러테이블(840)에서 물건을 간편하게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테이블(84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힌지(H)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820)와 롤러테이블(840)을 절첩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전방 상부에 상기 롤러테이블(840)을 절첩함으로써,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틀(841)은,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네모 모양의 틀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수직부(820)의 전방 양측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일자 형상의 틀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인바, 이와 같이 상기 틀(841)에 대한 다양한 단순 형상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롤러테이블(840)의 다수의 롤러(842)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물건을 올리거나 내릴 때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틀(841)과 다수의 롤러(842)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롤러(842) 중 후방 끝 부분의 롤러(842)를 구동롤러(843)로 구비하고, 상기 구동롤러(843)에 구동모터(845)의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롤러(843)와 상기 다수의 롤러(842)를 연동하도록 하여 상기 모터(883)의 회전에 의해 구동롤러(843)와 다수의 롤러(842)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47 내지 도 49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의 중간 부분에 구동스프로킷(843a)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부(820)에 구동모터(845)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구동모터(845)에 모터스프로킷(845a)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스프로킷(843a)과 상기 모터스프로킷(845a)을 구동체인(844)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도 50과 같이 상기 구동롤러(843)와 다수의 롤러(842)는, 양측 끝단부에 롤러스프로킷(842a)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롤러(843)와 다수의 롤러(842)에 구비된 롤러스프로킷(842a)을 궤도 운동하는 연동체인(846)으로 연결한다.
이에, 상기 구동모터(845)가 회전하여 모터스프로킷(845a)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체인(844)에 의해 연결된 구동스프로킷(843a)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구동롤러(843)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843)의 롤러스프로킷(842a)과 연동체인(846)으로 연결된 다수의 롤러(842)도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구동모터(845)의 회전에 따라 상기 다수의 롤러(842)가 회전하며 물건을 상기 롤러테이블(840)의 상부에 간편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구동모터(845)를 후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롤러(843)와 다수의 롤러(842)가 후방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사용자는 롤러테이블(840)의 전방에 물건의 후방을 올려놓으면 다수의 롤러(842)에 의해 물건이 후방으로 간편하게 이동하여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845)를 전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롤러(843)와 다수의 롤러(842)가 전방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사용자는 롤러테이블(840)에 올려져 있던 물건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물건을 롤러테이블(840)에서 간편하게 내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스프로킷(843a)을 상기 구동롤러(843)의 중간 부분에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구동롤러(843)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에 구비하고, 상기 구동롤러(843)의 구동스프로킷(843a)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구동모터(845)를 구비해도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스프로킷(842a)과 연동체인(846)이 상기 틀(841)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에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또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구동롤러(843)와 같이 롤러(842)의 중간 부분에 연동체인(846)이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845)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수직부(820)의 하부 일부를 절결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수직부(820)에 상기 구동모터(845)를 내설하거나, 상기 수직부(820)의 중앙 상부에 개방된 부분에 상기 구동모터(845)를 설치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845)의 회전력에 의해 다수의 롤러(842)가 회전하는 구성에 따른 단순 설계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핸드카(850)는, 양측에 세워진 기둥의 하부를 연결하며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판이 구비되고, 상기 양 기둥의 하부 후방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핸드카(850)는, 물건을 판에 올려놓은 후 후방으로 기울여 바퀴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세워 고정한 상태에서 물건을 들어 원하는 장소에 놓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핸드카(850)를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테이블(1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테이블(10)을 핸드카(850)를 이용하여 구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1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핸드카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2는 도 51에 따라 핸드카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810)와, 상기 하향절곡부(8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핸드카고정공(811)을 포함하고, 핸드카(850)의 양측 하부 후방에 상기 핸드카고정공(811)과 대응하는 연결고정공(852)이 형성된 연결판(851)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고정공(852)과 핸드카고정공(811)으로 핸드카고정핀(811a)을 삽입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상기 핸드카(850)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2와 같이, 상기 연결고정공(852)과 상기 핸드카고정공(811)을 일치시킨 후, 상기 핸드카고정핀(811a)을 삽입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핸드카(850)를 고정하면 도 51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양 연결판(851)의 내측면이 각각 상기 하향절곡부(810) 양 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연결고정공(852)과 핸드카고정공(811)이 일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테이블(10)의 전방에 핸드카(850)를 결합하면, 상기 테이블(10)보다 낮은 위치에 핸드카(850)의 물건을 놓을 수 있는 판이 위치하여, 물건을 더욱 간편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핸드카(850)를 결합하는 것은, 상기 수직부(820)의 전방에 보조판(830)이나 롤러테이블(840)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은 핸드카(850)를 이용하여 테이블(1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판을 구비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핸드카(850)를 결합할 때, 상기 핸드카(850)의 바퀴가 하부프레임(3)에 구비된 바퀴(4)에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핸드카(850)의 바퀴를 하부프레임(3)의 바퀴(4)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각각 외측으로 더 돌출시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 53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자동포크부재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4는 도 53에 따른 자동포크부재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55는 도 53에 따른 자동포크부재를 상승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810)와, 상기 하향절곡부(810)의 양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측부삽입공(860)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방향에 구비된 측부삽입공(860)으로 삽입 고정되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집거나 놓는 자동포크부재(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동포크부재(A)는,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수직부(820)가 회전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상기 테이블(10)의 전방 양측에 포크를 이용하여 물건을 집거나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자동포크부재(A)는, 상기 측부삽입공(860)에 대응 삽입되는 삽입바(871)가 구비된 수직바(872)를 포함하는 측부프레임(870)과, 상기 수직바(872)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포크(874) 및, 상기 하포크(874)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872)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포크실린더(875)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포크(87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측부삽입공(860)은, 상기 하향절곡부(810)의 각각의 양측에 수직 상 동일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측부프레임(870)의 삽입바(871)는 일측의 상·하부 측부삽입공(860)과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바(871)의 외측은 수직바(872)로 연결되어, 상기 측부프레임(870)은 "ㄷ"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872)의 외측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하포크(874)가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포크(874)의 상부에는 상기 하포크(87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상포크(87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직바(872)의 외측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편(872a)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872a)의 상부에 포크실린더(875)가 구비된다.
상기 포크실린더(875)는, 수직 상 왕복 운동하는 포크실린더축(876)이 구비됨은 물론이며, 상기 포크실린더축(876)의 하부는 상기 상포크(873)와 연결 고정되어 상기 포크실린더(875)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포크(873)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포크(873)가 상기 포크실린더(875)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하포크(874)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하포크(874)와 상포크(873)를 이용하여 물건을 집거나 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포크(873)의 상·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그 이동 위치를 고수하기 위해, 상기 돌출편(872a)과 하포크(874)를 연결하는 가이드봉(877)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877)은 상기 상포크(873)를 관통하여 구비해야 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가이드봉(877)은, 상부가 돌출편(872a)의 하면과 접하고, 하부가 하포크(874)와 접하며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되, 상기 상포크(873)에 가이드봉(877)이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상포크(873)가 포크실린더(875)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가이드봉(877)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봉(877)을 2개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바(871)와 상기 측부삽입공(860)이 형성된 하향절곡부(810)의 전방에는, 상기 삽입바(871)를 삽입하여 고정핀(812a)으로 고정할 수 다수의 관통공(871a) 및 측부고정공(81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삽입바(871)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통된 다수의 관통공(871a)을 형성하고, 상기 하향절곡부(810)의 측부삽입공(860)이 형성된 전방에 상기 관통공(871a)과 대응하는 측부고정공(812)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바(871)를 측부삽입공(860)에 삽입한 후 상기 관통공(871a)과 측부고정공(812)을 일치시켜 고정핀(812a)으로 고정하여 자동포크부재(A)를 테이블(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관통공(871a)과 측부고정공(812)을 다수개로 형성하는 이유는, 옮기고자 하는 물건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자동포크부재(A)의 결합위치를 변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옮기고자 하는 물건이 양측으로 넓을 경우에는, 상기 삽입바(871)를 측부삽입공(860)에 삽입하되, 상기 삽입바(871)의 삽입방향 선단에 구비된 관통공(871a)과 상기 삽입바(871)가 삽입되는 방향의 선단에 구비된 측부고정공(812)의 중심을 일치시킨 후, 상기 일치된 관통공(871a)과 측부고정공(812)으로 고정핀(812a)을 삽입하여 결합하면 된다.
그리고 옮기고자 하는 물건이 양측으로 좁을 경우에는, 상기 삽입바(871)를 측부삽입공(860)에 삽입하되, 상기 삽입바(871)의 삽입방향 후단에 구비된 관통공(871a)과 상기 삽입바(871)가 삽입되는 방향의 선단에 구비된 측부고정공(812)의 중심을 일치시킨 후, 상기 일치된 관통공(871a)과 측부고정공(812)으로 고정핀(812a)을 삽입하여 결합하면 된다.
도 56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회전압착부재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7은 도 56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58은 도 56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9는 도 56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60은 도 56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회전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810)와, 상기 하향절곡부(810)의 전방 상부 양측에 형성된 바삽입공(813)을 포함하고, 후방이 상기 바삽입공(813)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에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며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잡음과 함께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압착부재(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압착부재(B)는, 상기 자동포크부재(A)와 같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수직부(820)가 회전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회전부재(880)와 압착부재(890)를 이용하여 물건을 잡거나 놓으며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압착부재(B)는, 크게 회전부재(880)와 압착부재(890)로 이루어지되,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회전부재(880)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880)의 전방에 압착부재(890)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재(880)는, 후방에 상기 양 바삽입공(813)에 대응 삽입되는 양 후방바(882)가 구비되고, 내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모터축(883a)을 회전시키는 모터(883)가 구비된 몸체(881)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부재(880)는, 사각의 몸체(881) 후방 상부 양측에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바(882)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바(882)에는 양측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삽입관통공(882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바삽입공(813)이 형성된 테이블(10)의 측방향에는 상기 삽입관통공(882a)과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관통공(8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바(882)를 바삽입공(813)으로 삽입하여 고정관통공(814)과 삽입관통공(882a)을 일치시킨 후, 삽입고정핀(814a)을 삽입하여 몸체(881)를 테이블(10)의 전방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삽입공(813)에 삽입되는 후방바(882)의 길이를 조절하여 삽입고정핀(814a)으로 고정하게 되므로,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서 몸체(881)가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881)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883)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되, 회전되는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모터(883)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부재(890)는, 후방에 상기 모터축(883a)과 결합되는 축공(891a)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883)에 의해 회전하는 중앙판(891)과, 상기 중앙판(89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중앙판(891)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892)에 의해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는 압착구(89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앙판(891)은, 양측 각각의 상·하부에 입출공(893)을 형성하되, 상기 압착구(894)는, 상기 입출공(893)과 대응하는 입출편(895)이 구비되고, 상기 입출편(895)의 외측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잡는 압착바(89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중앙판(891)은, 후방 중앙부에 상기 모터축(883a)이 결합되는 축공(891a)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축(883a)이 축공(891a)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모터(883)의 회전에 의해 중앙판(89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판(891)은, 양측 상·하부에 각각 입출공(893)이 구비되고, 상기 입출공(893)의 내부측에는 각각 실린더축(892a)이 구비된 실린더(892)가 내설된다.
상기 압착구(894)는, 상기 중앙판(89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 방향 상·하부에 상기 중앙판(891)의 일측 입출공(893)에 대응 삽입하는 입출편(895)이 구비되고, 상기 입출편(895)의 외측을 연결하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압착바(89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입출편(895)의 내측 끝단부는, 상기 실린더축(892a)의 외측 끝단과 결합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89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압착구(894)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892)는 각각의 입출공(893) 내부에 내설되는 것으로, 각각의 입출편(895)의 측 방향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압착구(894)가 측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착구(894)의 후방 내측에 하나의 입출편(895)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판(891)의 일측에 하나의 입출공(893)을 형성하며, 상기 입출공(893)에 하나의 실린더(892)를 구비하여, 상기 하나의 실린더(892)를 이용하여 압착구(894)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해도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압착구(894)는 물건을 압착하며 잡아주어야 하므로, 강한 압착력 및 정밀한 압착력을 발휘하기 위해 상기 중앙판(891)의 일측 상·하부에 각각 실린더(892)가 내설된 입출공(893)을 형성하고, 상기 압착구(894)의 후방 내측에도 상·하부에 입출편(895)을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881)의 형상을 사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모터(883)가 내설됨과 함께 후방 양측에 후방바(882)가 구비된 형상이면 되므로, 상기 몸체(881)의 형상에 대한 단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착구(894)의 압착바(896) 형상을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포크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압착구(894)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실린더(892)를 사용하였으나 이 또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모터를 이용하여 압착구(894)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상기 압착구(894)의 형상 및 상기 압착구(894)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따른 단순 설계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회전압착부재(B)는, 상기 실린더(892)를 구동시켜 양 압착구(894)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실린더(892)를 구동시켜 양 압착구(894)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물건의 양측을 압착하며 잡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3)의 내부에 설치된 승강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테이블(10)을 상승시킴과 아울러 회전압착부재(B)도 상승하며 물건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물건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모터(883)를 구동하여 중앙판(891)과 함께 물건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로서, 보조테이블에 의해 테이블의 최저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물건을 매우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작업이 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인정됨이 타당하다.

Claims (37)

  1.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후방 상부가 결합하는 보조프레임(100);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와 결합하여 테이블(1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테이블(10)과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하는 보조테이블(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후방 상부 양측에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수평연결바(110)가 결합되고,
    상기 테이블(10)은, 상기 양 수평연결바(110)가 대응 삽입하도록 양측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00)과 양 수평연결바(110)는, 각각 중심축(112)으로 상호 결합되고,
    상기 보조프레임(100)은, 수직 상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는 가로바(101)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101)의 후면과 테이블(10)의 하면을 연결하며 설치되는 기울임축(121)이 구비된 기울임실린더(1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0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02)의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103)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테이블(130)은, 후방에 상기 회전축(103)과 대응 결합하는 회전관(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132)과 보조테이블(130) 사이에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13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보조테이블(130)의 후방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랜지(109)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00)은, 양측에 각각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공(104)을 포함하고,
    상기 양 수평공(104)에 각각 대응 삽입하는 측부연결바(141)가 형성된 측부바(140)를 구비하며,
    상기 양 측부바(140) 각각의 전방 외측 하부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보조테이블(130)의 양측 하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바(143);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00)은, 양측에 각각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공(104)을 포함하고,
    상기 양 수평공(104)에 각각 대응 삽입하는 측부연결바(141)가 형성된 측부바(140)를 구비하며,
    상기 양 측부바(140) 각각의 전방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지게차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144);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00)은, 양측 상부에 각각 수직상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공(106)을 포함하고,
    상기 양 수직공(106)에 각각 대응 삽입하는 수직연결바(151)와, 상기 양 수직연결바(151)의 상단을 연결하며 구비되는 상부바(150) 및, 상기 상부바(150)의 상부에 회전판(153)으로 결합되고, 호이스트(155)가 전방에 구비된 호이스트기구(154); 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9.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후방 상부가 결합하는 보조프레임(100);
    "┏┓"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162)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프레임(100)에 걸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162)의 전방 측과 연결된 평판 형상의 집게부(161)로 이루어진 집게부재(1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0. 다수의 바퀴(4)에 의해 이동하는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2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치(2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하부테이블(170);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양측 각각에 구비되어 상승한 상기 하부테이블(170)을 지지하는 지지장치(G);
    상기 하부프레임(3)과 하부테이블(170) 사이를 연결하며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치(20)에 의해 상승한 하부테이블(170)의 하부로 상기 하부프레임(3)을 끌어올리는 하부프레임승강장치(P);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G)는,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양측 전방 각각에 전방축(171a)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방축(171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수직 또는 수평으로 위치 고정하는 전방지지대(171);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양측 후방 각각에 후방축(173a)으로 결합되어 상기 후방축(173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수직 또는 수평으로 위치 고정하는 후방지지대(17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대(171)는, 하부에서 결합하여 상기 전방지지대(171)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전방조절대(17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지지대(173)는, 하부에서 결합하여 상기 후방지지대(173)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후방조절대(17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승강장치(P)는,
    상기 하부프레임(3)에 설치된 로프모터(180)에 의해 회전하는 감김부(181);
    한쪽은 상기 감김부(181)에 감기며 다른 쪽 끝단은 걸고리(182a)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부(183)에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하는 로프(18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테이블(200);
    상기 상부테이블(200)과 하부테이블(17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테이블(200)을 기설정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C);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C)는,
    상기 상부테이블(200)의 하부와 상기 하부테이블(170)의 상부를 연결하는 결합축(215)의 외주연 구비되되, 상기 상부테이블(200)만이 함께 회전하는 종스프로킷(214);
    상기 종스프로킷(214)의 인접위치에 설치되어 회전모터(21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주스프로킷(212); 및,
    상기 주스프로킷(212)과 상기 종스프로킷(214)을 연결하며 설치되어, 상기 주스프로킷(212)의 회전력을 상기 종스프로킷(214)으로 전달하는 체인(216);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이블(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삽입공(202);
    후방 양측에 상기 양 상부삽입공(202)으로 각각 삽입되어 결합하는 후방연결바(410)가 구비된 가이드판(400);
    상기 가이드판(400)의 전방에 설치되고, 양측에 보조공(501)이 각각 형성된 전방프레임(500);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양 보조공(501)과 각각 대응하며 결합하는 보조측부연결바(511)가 각각 구비되고, 각 하부에 연결포크(520)가 결합되는 보조측부바(5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포크(520)는 상기 보조측부바(510)에 연결포크회전축(530)으로 결합되되,
    상기 연결포크(520)가 결합된 위치의 보조측부바(510) 상부에 상기 연결포크회전축(53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연결포크(520)를 고정하는 연결포크자석(51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테이블회전축(502);
    후방에 상기 테이블회전축(502)과 대응하는 회전공(541)이 구비된 보조테이블(54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전방 상부에 상기 테이블회전축(50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보조테이블(540)을 위치고정시키는 테이블자석(50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400)의 전방에 설치되는 상하실린더(430);
    상기 상하실린더(430)의 상하실린더축(431) 상부와 상기 전방프레임(500)을 연결하는 승강부(505);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40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구(420);
    상기 전방프레임(500)의 후방 양측에 상기 가이드구(420)를 대응 삽입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부(504);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이블(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삽입공(202);
    후방 양측에 상기 양 상부삽입공(202)으로 각각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연결바(610)가 구비된 결합판(600);
    상기 결합판(600)의 전방에 설치되는 바가지(650);
    상기 바가지(650)의 후방과 상기 결합판(600)의 전방을 연결하며 설치되어, 상기 바가지(650)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며 포크레인 기능을 갖도록 하는 포크레인장치(R);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레인장치(R)는,
    상기 결합판(600)의 전방과 상기 바가지(650)의 후방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판(690);
    상기 연결판(690)과 상기 결합판(600)의 전방 및, 상기 연결판(690)과 상기 바가지(650)의 후방을 연결하며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링크(630);
    후방이 상기 결합판(6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상기 연결판(690)과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1실린더(670);
    후방이 상기 연결판(69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이 상기 바가지(650)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2실린더(6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3)의 전방 양측에 각각 측방향 또는 전방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며 상기 하부프레임(3)을 지지하는 연장장치(Y)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장치(Y)는,
    상기 하부프레임(3)의 전방 양측에 각각 측 방향의 홈으로 형성되는 결합공(3a);
    상기 하부프레임(3)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결합공(3a)에 대응 결합하며 측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결합바(710)가 구비된 측부연장바(700);
    상기 측부연장바(700)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전방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전방연장바(720);
    상기 전방연장바(720)의 전방 하부에 지지축(730)으로 결합되어 하부가 지면과 접촉하며 지지하는 지지롤러(7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6.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810)를 포함하고,
    상부가 상기 하향절곡부(810)의 하부 끝단과 힌지(H)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절첩되는 수직부(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820)의 전방 하부에 물건을 실을 수 있는 보조판(8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820)의 전방 하부에 다수의 롤러(842)에 의해 물건을 간편하게 싣거나 내릴 수 있는 롤러테이블(84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롤러테이블(840)은,
    외주연을 형성하는 틀(841);
    상기 틀(841)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8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롤러테이블(840)은,
    외주연을 형성하는 틀(841);
    상기 틀(841)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842);
    상기 틀(841)의 후방 끝단에 구비되어 구동모터(84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843); 및,
    상기 구동롤러(843)의 회전력이 상기 다수의 롤러(842)에 전달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31.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810)와, 상기 하향절곡부(8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핸드카고정공(811)을 포함하고,
    핸드카(850)의 양측 하부 후방에 상기 핸드카고정공(811)과 대응하는 연결고정공(852)이 형성된 연결판(851)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고정공(852)과 핸드카고정공(811)으로 핸드카고정핀(811a)을 삽입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상기 핸드카(850)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32.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810)와, 상기 하향절곡부(810)의 양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측부삽입공(860)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방향에 구비된 측부삽입공(860)으로 삽입 고정되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집거나 놓는 자동포크부재(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자동포크부재(A)는,
    상기 측부삽입공(860)에 대응 삽입되는 삽입바(871)가 구비된 수직바(872)를 포함하는 측부프레임(870);
    상기 수직바(872)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포크(874);
    상기 하포크(874)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872)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포크실린더(875)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포크(8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포크실린더(875)는, 상기 수직바(872)의 외측 상부에 구비된 돌출편(872a)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상포크(873)를 관통하며 상기 돌출편(872a)과 상기 하포크(874)를 연결하는 가이드봉(87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35.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810)와, 상기 하향절곡부(810)의 전방 상부 양측에 형성된 바삽입공(813)을 포함하고,
    후방이 상기 바삽입공(813)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에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며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잡음과 함께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압착부재(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회전압착부재(B)는,
    후방에 상기 바삽입공(813)에 대응 삽입되는 후방바(882)가 구비되고, 내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모터축(883a)을 회전시키는 모터(883)가 구비된 몸체(881)를 포함하는 회전부재(880);
    후방에 상기 모터축(883a)과 결합되는 축공(891a)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883)에 의해 회전하는 중앙판(891);
    상기 중앙판(89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중앙판(891)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892)에 의해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는 압착구(8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894)는,
    상기 중앙판(891) 양측 각각의 상·하부에 입출공(893)을 형성하되,
    상기 입출공(893)과 대응하는 입출편(895)이 구비되고, 상기 입출편(895)의 외측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잡는 압착바(89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PCT/KR2010/007618 2009-11-06 2010-11-01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WO2011055947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012A KR100987225B1 (ko) 2009-11-06 2009-11-06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10-2009-0107012 2009-11-06
KR10-2010-0047024 2010-05-19
KR1020100047024A KR20110127500A (ko) 2010-05-19 2010-05-19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10-2010-0104461 2010-10-26
KR1020100104461A KR20120104647A (ko) 2010-10-26 2010-10-26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5947A2 true WO2011055947A2 (ko) 2011-05-12
WO2011055947A3 WO2011055947A3 (ko) 2011-09-22
WO2011055947A9 WO2011055947A9 (ko) 2011-11-10

Family

ID=4397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7618 WO2011055947A2 (ko) 2009-11-06 2010-11-01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1055947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9425A (zh) * 2016-03-16 2016-07-06 国网山东省电力公司章丘市供电公司 一种基于plc控制的高空操作平台及其使用方法
KR101823592B1 (ko) 2016-01-28 2018-02-02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CN109018825A (zh) * 2018-07-20 2018-12-18 滁州丰源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飞轮清洗喷漆转运装置
CN110937386A (zh) * 2018-09-21 2020-03-31 张志峰 运输设备
FR3103443A1 (fr) 2019-11-26 2021-05-28 Lsi Chariot de chargement et déchargement de véhicules destiné à transporter des biens corporels du véhicule vers une destination.
CN113391029A (zh) * 2021-05-19 2021-09-14 上海可深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加油站安全隐患监测预警系统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888U (ja) * 1991-12-20 1993-07-09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
KR19980072015A (ko) * 1998-07-14 1998-10-26 주일환 스키드 로더용 작업기
JP2000327285A (ja) * 1999-05-17 2000-11-28 Komatsu Forklift Co Ltd ダブルフォークリフト
KR200266423Y1 (ko) * 2001-11-22 2002-02-28 이종한 고소(高所) 작업대
JP2003252580A (ja) * 2002-03-05 2003-09-10 Chuzaburo Ichiyoshi 重量物用移動式リフター
KR100760673B1 (ko) * 2007-06-05 2007-09-20 (주)에고테크 전동식 리프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59Y2 (ko) * 1986-10-08 1992-01-30
JP2745192B2 (ja) * 1992-10-28 1998-04-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高所作業車
JPH0930786A (ja) * 1995-07-19 1997-02-04 Japanic:Kk 重量物運搬装置
JP3167113B2 (ja) * 1997-05-09 2001-05-2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板状体のハンド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888U (ja) * 1991-12-20 1993-07-09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
KR19980072015A (ko) * 1998-07-14 1998-10-26 주일환 스키드 로더용 작업기
JP2000327285A (ja) * 1999-05-17 2000-11-28 Komatsu Forklift Co Ltd ダブルフォークリフト
KR200266423Y1 (ko) * 2001-11-22 2002-02-28 이종한 고소(高所) 작업대
JP2003252580A (ja) * 2002-03-05 2003-09-10 Chuzaburo Ichiyoshi 重量物用移動式リフター
KR100760673B1 (ko) * 2007-06-05 2007-09-20 (주)에고테크 전동식 리프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592B1 (ko) 2016-01-28 2018-02-02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CN105739425A (zh) * 2016-03-16 2016-07-06 国网山东省电力公司章丘市供电公司 一种基于plc控制的高空操作平台及其使用方法
CN109018825A (zh) * 2018-07-20 2018-12-18 滁州丰源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飞轮清洗喷漆转运装置
CN110937386A (zh) * 2018-09-21 2020-03-31 张志峰 运输设备
FR3103443A1 (fr) 2019-11-26 2021-05-28 Lsi Chariot de chargement et déchargement de véhicules destiné à transporter des biens corporels du véhicule vers une destination.
CN113391029A (zh) * 2021-05-19 2021-09-14 上海可深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加油站安全隐患监测预警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5947A3 (ko) 2011-09-22
WO2011055947A9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85943A1 (ko)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WO2011055947A9 (ko)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WO2020013473A1 (ko)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WO2015160099A1 (en) Display apparatus
WO2012087055A2 (ko) 의류처리장치
WO2021002567A1 (ko) 의류 폴딩 머신
WO2015174699A1 (ko) 바퀴 접이식 캐리어
WO2022010061A1 (ko)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WO2021177699A1 (ko) 청소기 스테이션,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EP3105519A1 (en) Refrigerator
WO2020158964A1 (ko) 액션 로봇
WO2016099145A2 (ko) 스마트 믹서기 및 이의 작동방법
WO2020055216A1 (ko) 청소기
WO2024019346A1 (ko) 무제한 장력 거리 조절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치차 라쳇 장력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WO2021002566A1 (ko) 의류 폴딩 머신
WO2020138937A1 (ko) 프레스 장치
WO2015190811A1 (ko)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WO2015190812A1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WO2017200150A1 (ko) 렌치
WO2022050823A1 (ko) 의류 폴딩 머신 및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WO2019235692A1 (ko) 핸드 리프트 장치
WO2023003112A1 (ko) 셔터 어셈블리, 락킹장치, 배전반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WO2021241955A1 (ko) 의류 폴딩 머신 및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WO2018038372A1 (ko) 청소기
WO2022010335A1 (ko) 청소기 스테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284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284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