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225B1 -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 Google Patents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225B1
KR100987225B1 KR1020090107012A KR20090107012A KR100987225B1 KR 100987225 B1 KR100987225 B1 KR 100987225B1 KR 1020090107012 A KR1020090107012 A KR 1020090107012A KR 20090107012 A KR20090107012 A KR 20090107012A KR 100987225 B1 KR100987225 B1 KR 10098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auxiliary frame
bar
lif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일
Original Assignee
김석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일 filed Critical 김석일
Priority to KR102009010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225B1/ko
Priority to PCT/KR2010/007618 priority patent/WO201105594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non-adjustable and non-inclinable jibs mounted solely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022Pivot axis common with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후방 상부가 결합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의 전방 하부와 결합하여 테이블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테이블과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하는 보조테이블;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조테이블에 의해 테이블의 최저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물건을 매우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작업이 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최저높이, 받침, 지게차, 크레인

Description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Multi-Function Table Lift of Movable Type}
본 발명은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최저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건을 운반하는데 많은 편리함을 주고, 작업의 편의성으로 작업이 빠르게 진행됨은 물론, 작업자에게 힘을 덜 소비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트(Lift)는 중량의 물건을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리프트는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 하부프레임과, 이동하고자 하는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테이블로 이루어진 손수레 타입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손수레 타입의 리프트는 단순히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중량의 물건을 운반 및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성이 없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손수레 타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프레임과 테이블 사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X링크기구를 설치하고, 이러한 X링크기구를 동력장치의 구동력으로 상승 및 하강시켜 테이블을 승, 하강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다수 개의 바퀴(4)가 구비된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평판 형상의 테이블(10)이 설치되고, 이때 상기 테이블(10)은 하부프레임(3)에 설치된 승강장치(20)에 의해 승강하게 되며, 상기 승강장치(20)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가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 리프트를 밀거나 당기며 이동시키는 손잡이(2)가 그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링크기구(21)와 승강실린더(22)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한 쌍의 평행한 내링크와, 상기 내링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평행한 외링크를 그 중앙부끼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X링크기구(21)를 가지며, 상기 X링크기구(21)를 승강실린더(22)에 의해 상·하로 신축시킴으로써, 테이블(10)의 승, 하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X링크기구(21)의 승강 높이를 높이기 위해 상·하로 2단 겹친 2단식 팬터그래프(pantograph) 방식의 리프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20) 및 컨트롤박스(1)와 상호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에 의해 바 퀴(4)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며 테이블 리프트를 간편하게 이동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는, 작업자가 옮기려고 하는 물건을 테이블(10) 위에 올린 후, 손잡이(2)를 잡고 이동하여 원하는 장소에 물건을 내려놓게 된다.
이때 상기 물건이 높은 위치에 있으면 컨트롤박스(1)의 스위치를 눌러 승강장치(20)를 구동하게 되고, 이에 승강장치(20)가 동작하며 테이블(10)을 원하는 높이로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물건을 테이블(10) 위에 올려놓으면, 컨트롤박스(1)의 스위치를 눌러 승강장치(20)를 구동하게 되고, 이에 승강장치(20)가 동작하며 테이블(10)을 처음 상태대로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컨트롤박스(1)의 스위치를 누르며 구동부(5)에 의해 바퀴(4)를 회전시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손잡이(2)를 잡고 편안하게 방향을 조절하며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원하는 위치에 도착한 후에 테이블(10) 위의 물건을 내려놓으면 모든 작업이 완료되며, 물건을 내려놓을 곳이 높으면 다시 테이블(10)을 상승시킨 후 물건을 내려놓으면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1)의 스위치는 각각의 동작에 대한 온, 오프에 대하여 대응하는 스위치로 구성함은 물론이며, 일 예로 승강장치(20)를 동작시켜 테이블(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위치는 전, 후진 레버를 사용하여 레버를 전진시 테이 블(10)이 상승하고, 레버를 후진시 테이블(10)이 하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박스(1)에 의해 동작하는 회로는 이미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회로를 사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테이블(10)은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승강장치(20)에 의해 최대한 낮은 높이에 위치해 있다 하여도, 바퀴(4)가 설치된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테이블(10)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일정 높이 이상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바, 작업환경 및 옮기려는 물건 등에 따라 더 낮은 높이의 위치에 테이블(10)이 놓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작업이 더디게 이루어짐은 물론,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일 예로, 상기 테이블(10)에 올려놓으려는 물건이 무거울 때에는 상기 테이블(10)의 높이까지 들어서 올려야 하므로, 작업자에게 많은 힘을 필요로 함은 물론, 이에 따라 팔과 다리 및 허리 등에 많은 무리를 주어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10)에서 물건을 내려놓을 때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여 작업자의 신체상 안전함을 보장할 수 없어 작업시간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종래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는, 테이블(10)을 올리고 내리며 이동을 할 수 있는 단순한 기능만이 있어, 그 사용범위가 작아 구입하여 사용하는데 많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10)의 최저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하여, 물건을 운반하기가 매우 간편해질 뿐 아니라, 작업의 편의성으로 인해 작업시간도 단축되고, 이에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기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더욱이, 다양한 작업을 하나의 기계로 진행할 수 있어, 많은 기계들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계를 보관하는 장소가 크지 않아도 되어 보관 장소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는,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후방 상부가 결합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의 전방 하부와 결합하여 테이블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테이블과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하는 보조테이블;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의 후방 상부 양측에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수평연결바가 결합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양 수평연결바가 대응 삽입하도록 양측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과 양 수평연결바는, 각각 중심축으로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은, 수직 상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는 가로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의 후면과 테이블의 하면을 연결하며 설치되는 기울임축이 구비된 기울임실린더; 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테이블 대신에, "┏┓"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의 가로바에 걸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의 전방 측과 연결된 평판 형상의 집게부로 이루어진 집게부재;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의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테이블은, 후방에 상기 회전축과 대응 결합하는 회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관과 보조테이블 사이에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보조테이블의 후방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랜지를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은, 양측에 각각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공을 포함하고, 상기 양 수평공에 각각 대응 삽입하는 측부연결바가 형성된 측부바를 구비하 며, 상기 양 측부바 각각의 전방 외측 하부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보조테이블의 양측 하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바;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 대신에, 상기 양 측부바 각각의 전방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지게차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은, 양측 상부에 각각 수직상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공을 포함하고, 상기 양 수직공에 각각 대응 삽입하는 수직연결바와, 상기 양 수직연결바의 상단을 연결하며 구비되는 상부바 및, 상기 상부바의 상부에 회전판으로 결합되고, 호이스트가 전방에 구비된 호이스트기구; 를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는, 보조테이블에 의해 테이블의 최저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물건을 매우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작업이 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기계로 다양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바, 테이블 상부에 물건을 놓고 옮기는 작업 외에, 테이블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보조테이블에 물건을 놓고 옮기는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크가 구비된 측부바를 보조프레임의 양측에 결합하면, 팔레트를 옮기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 지게차 기능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호이스트(Hoist)가 구비된 호이스트기구를 보조프레임의 상부에 결합하면, 물건을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들어 옮길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다양한 작업에 필요한 기계를 각각 구입할 필요가 없어 기계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본 발명 기계만 보관하면 되므로 기계를 보관하는 장소도 여유 공간이 많아져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받침판의 동작을 보인 요부 단면도이며,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기울임 동작을 보인 동작도이다.
도면과 같이, 다수 개의 바퀴(4)가 구비된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평판 형상의 테이블(10)이 설치되고, 이때 상기 테이블(10)은 하부프레임(3)에 설치된 승강장치(20)에 의해 승강하게 되며, 상기 승강장치(20)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가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 리프트를 밀거나 당기며 이동시키는 손잡이(2)가 그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링크기구(21)와 승강 실린더(22)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한 쌍의 평행한 내링크와, 상기 내링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평행한 외링크를 그 중앙부끼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X링크기구(21)를 가지며, 상기 X링크기구(21)를 승강실린더(22)에 의해 상·하로 신축시킴으로써, 테이블(10)의 승, 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X링크기구(21)의 승강 높이를 높이기 위해 상·하로 2단 겹친 2단식 팬터그래프(pantograph) 방식의 리프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승강실린더(22) 및 컨트롤박스(1)와 상호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에 의해 바퀴(4)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며 테이블 리프트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가로바(101)가 구비된 사각 프레임 형상의 보조프레임(100)이 수직 상 세워 설치되는바, 상기 테이블(10)의 전방 좌, 우측에는 각각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공(11)이 구비되고, 상기 양 삽입공(11)에 대응 삽입하도록 보조프레임(100)의 후방 상측에 후방으로 연장된 양 수평연결바(110)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연결바(110)를 양 삽입공(11)에 대응 삽입시키면 테이블(10)의 전방에 보조프레임(1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10)의 양 삽입공(11)을 각각 관통하며 이루어지는 테이블결합공(12)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결합공(12)과 대응하는 관통결합공(111)이 양 수평연결바(110)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삽입공(11)에 수평연결바(110)를 삽입한 후 체결부재(C)를 테이블결합공(12)과 관통결합공(111)을 관통시키며 삽입하여 고정하면, 테이블(10)의 전방에 보조프레임(100)이 견고하게 고정되 며, 이때 체결부재(C)는 고정핀을 사용하면 되는바, 더 나아가 볼트와 너트 또는 유기적인 결합으로 삽입공(11)에 삽입된 수평연결바(110)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고정부품을 사용해도 되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관통결합공(111)을 등간격으로 다수 개 더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11)으로 삽입되는 수평연결바(110)의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며 체결부재(C)로 고정하여 수평연결바(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블(10)의 전방에 보조프레임(100)이 다양한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양 수평연결바(110)의 전방과 보조프레임(100)의 후방 상부는 각각 중심축(112)으로 상호 결합되어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보조프레임(100)이 기울여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바, 상기 중심축(112)은 고정핀 또는 볼트와 너트 등 축을 이룰 수 있는 다양한 부품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가로바(101) 후면과 테이블(10)의 하면을 연결하며 기울임축(121)이 구비된 기울임실린더(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울임축(121)의 전방은 가로바(101)의 후면에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기울임실린더(120)의 후방은 테이블(10)의 하면에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기적인 연결방법은 도면에 도시한 방법 외에 통상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고, 이에 따라 유기적인 연결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100)과 수평연결바(110)가 중심축(112)으로 결합되는 구성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방법 외에 통상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상기 기울임실린더(120)가 동작하여 기울임축(121)을 전방으로 보내면, 보조프레임(100)이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기울여지게 되고, 상기 기울임실린더(120)가 동작하여 기울임축(121)을 후방으로 당기면 보조프레임(100)이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울임실린더(120) 및 기울임축(121)을 설치하게 되므로, 기울임실린더(120)의 동작에 간섭을 하지 않도록 하부프레임(3)의 전방측에 홈을 형성하거나 절결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100)을 기울이지 못하도록 중심축(112) 없이 양 수평연결바(110)를 보조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바,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보조프레임(100)에 형성된 공간부(102)의 양측에는 회전축(103)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03)과 대응 결합하는 회전관(132)이 구비된 보조테이블(130)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관(132)에 회전축(103)을 삽입하며 보조테이블(130)을 보조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공간부(102)에 형성되는 회전축(103)을 길게 형성하여 보조프레임(100)의 측면에서 끼워 회전관(132)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102) 양측에 회전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관(132)의 양측에 회전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홈에 회전돌기를 삽입하여 보조프레임(100)에 보조테이블(130)을 결합할 수도 있는 등, 상기 보조프레임(100)에 보조테이블(13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은 실로 많은 방법이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것 외에 다른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축(103)은 공간부(102)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회전관(132)과 보조테이블(130)을 수평상 같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비하여도 되지만,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테이블(10)의 최저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관(132)과 보조테이블(130) 사이에 하향 절곡된 절곡부(131)를 구비하여 보조테이블(130)의 설치위치를 더욱 낮출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관(132)과 보조테이블(130)을 수평상 같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비해도 됨은 물론인바,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플랜지(109)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플랜지(109)가 보조테이블(130)의 후방 하면을 지지하여 보조테이블(1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전방 측 하단 양측에 회전축(103)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관(132)과 보조테이블(130)을 수평상으로 형성하여 보조테이블(130)의 설치위치를 낮출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바, 이 또한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보조테이블(130)의 폭을 작게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 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조테이블(130)의 폭이나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양 측면에는 홈 형상의 수평공(104)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공(104)과 대응 삽입하는 측부연결바(141)가 구비된 측부바(140)가 보조프레임(100)의 양측에 설치되는바, 이때 상기 양 측부바(140)의 전방측 하부 외측 방향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 형상의 지지바(143)가 각각 대향되도록 구비되어 있어,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양측에 측부바(140)가 결합되면 지지바(143)가 보조테이블(13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며 보조테이블(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바(143)와 측부바(140)가 함께 견디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공(104)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결합공(105)이 보조프레임(100)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결합공(105)과 대응하도록 측부연결바(141)에 측부결합공(142)이 형성되어 있어, 측부연결바(141)를 수평공(104)에 결합한 후 체결부재(C)를 수평결합공(105)과 측부결합공(142)을 관통하여 고정하면 보조프레임(100)의 양측에 측부바(140)를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이에 따라 보조테이블(130)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과 같이, 상기 수평공(104)을 보조프레임(100)의 양측 상,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양측 상, 하부에 형성된 수평공(104)과 대응하도록 측부바(140)에 측부연결바(141)를 상·하로 구비함이 바람직한바, 상기 지지바(143)에 가해지는 하중을 더욱 강하게 견딜 수 있도록, "⊂" 과 "⊃" 형상으로 대향되게 양 측부연결 바(141)를 형성하여, 상, 하부의 측부연결바(141)를 상, 하부 수평공(104)에 삽입하여 측부바(140)를 보조프레임(10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가로바(101) 위치상에 상측 수평공(104)을 형성하여 수평공(104)을 형성하는데 매우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11)과 수평연결바(110), 보조프레임(100)과 가로바(101), 수평공(104)과 측부연결바(141) 및 측부바(140)는 사각의 관 및 사각의 홈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한바, 구조적 강도와 제작의 용이성 및 결합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원형이나 타원형 및 사각을 제외한 다각형 모양으로도 형성할 수 있는바,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는, 컨트롤박스(1)를 조정하며 손잡이(2)를 잡고 구동부(5)로 바퀴(4)를 회전시켜, 옮기고자 하는 물건이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5)에 의해 바퀴(4)가 회전된다고 기술하였으나, 바퀴(4)가 동력 없이 자유회전 하도록 구성하여, 손잡이(2)를 잡고 작업자가 밀고 당기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옮기려는 물건이 있는 곳으로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이동한 후에는, 작업자는 작업환경 및 작업의 편의에 따라 물건을 테이블(10)이나 보조테이블(130) 위에 옮기게 된다.
즉, 상기 물건이 높은 곳에 있을 경우에는, 컨트롤박스(1)를 조작하여 승강 장치(20)를 구동하게 되는바, 상기 승강실린더(22)가 동작하여 승강축(23)이 인출되고, 이에 X링크기구(21)가 신축하며 테이블(10)과 보조테이블(130)이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는 테이블(10)이나 보조테이블(130)에 물건을 옮겨놓게 되는바, 상기 작업자는 물건들이 쌓여있는 곳에 올라가 테이블(10)이나 보조테이블(130)에 물건을 옮길 수도 있으나, 보조테이블(130)에 올라서서 물건을 테이블(10)에 간편하게 옮겨놓을 수 있으므로, 보조테이블(130)은 물건을 놓는 기능 이외에 높은 위치에서 테이블(10)에 물건을 간편하게 옮길 수 있도록 작업자를 올리고 내릴 수 있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테이블(130)에 물건이 놓이거나 작업자가 올라타더라도, 보조테이블(130)이 측부바(140)의 지지바(143)와 함께 하중을 견디게 되어 물건이 안전하게 놓일 뿐 아니라, 작업자도 안전하게 보조테이블(130)에 올라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건을 테이블(10)이나 보조테이블(130)에 다 옮긴 후에는 다시 컨트롤박스(1)를 조작하여 테이블(10)과 보조테이블(130)을 내리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테이블(130) 없이 양 지지바(143) 만으로도 물건을 옮길 수 있을 경우에는, 도 6b와 같이 보조테이블(130)을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밀착하여 고정하게 되는바, 상기 보조테이블(130)을 회전축(103)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100) 상부에 구비된 고정판(108)을, 고정축(108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보조테이블(130)이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밀착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축(108a)을 중심으로 고정판(108)을 회전시켜, 보조테이블(130)이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축(108a)은 보조테이블(130)이 회전축(10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밀착할 때 간섭이 되지 않는 상측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108)은 고정축(108a)을 중심으로 일측은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보조테이블(130)이 밀착할 때 간섭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며, 타측은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보조테이블(130)이 밀착할 때 간섭하는 길이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03)을 중심으로 보조테이블(130)을 회전시키면, 보조프레임(100)의 전방면에 보조테이블(130)이 닿기 전에 고정판(108)을 회전시켜 간섭하지 않는 부분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보조프레임(100)의 전방면에 보조테이블(130)이 밀착되면 다시 고정판(108)을 회전시켜 간섭하는 부분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보조테이블(130)이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프레임(100) 전방면에 보조테이블(130)을 밀착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기 설명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들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는바,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테이블(130)보다 더 큰 물건을 옮기려고 할 경우에는, 보조 테이블(130)이 필요 없어지므로,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100)의 전방면에 보조테이블(130)을 밀착하여 고정판(108)으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C)를 분리하고, 옮기려는 큰 물건과 대응하도록 양 측부바(140)를 양측으로 벌린 후 다시 체결부재(C)를 결합하여 보조프레임(100)에 측부바(14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양 측부바(140)의 양 지지바(143) 사이에 큰 물건을 내려놓으면 양 지지바(143)가 큰 물건을 지지하며 원하는 다른 장소로 큰 물건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측부결합공(142) 및 수평결합공(105)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됨은 물론, 상기 측부바(140)의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체결부재(C)로 고정할 수 있도록 측부결합공(142)과 수평결합공(105)을 각각 다수 개의 등간격으로 형성해야 한다.
한편, 상기 보조테이블(130)에 올려놓은 물건이 이동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떨어질 우려가 있을 경우나, 보조테이블(130)에 올려놓은 물건을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해야 할 경우에는, 도 7b와 같이 컨트롤박스(1)를 조작하여 기울임실린더(120)를 동작하고, 이에 기울임실린더(120)에서 기울임축(121)이 인출되며 가로바(101)를 밀게 되어, 보조프레임(100)이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기울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100)이 기울어짐에 따라 보조테이블(130)도 함께 기울어지게 되므로, 보조테이블(130)에 놓인 물건도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1)를 조작하여 기울임실린더(120)를 동작하고, 이에 기울임실린더(120)에서 기울임축(121)이 인입되며 가로바(101)를 당기게 되어, 보조프레임(100)이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수직상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측부바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측부바(140)에 지지바(143) 대신 지게차 기능을 할 수 있는 포크(144)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수평공(104)이 측부바(140)를 결합한 후 승강장치(20)를 이용하여 포크(144)를 들어올리면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가 지게차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테이블(130)은 회전축(10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보조프레임(100)의 전방면에 밀착되어 고정판(108)에 고정된 상태가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측부연결바(141)에도 기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수평결합공(105)과 대응하는 측부결합공(142)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어, 들어올리고자 하는 팰릿(Pallet)의 크기에 맞추어 양 측부연결바(141)의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팰릿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호이스트기구를 설치하는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양측 상부에는 각각 수직상 홈 형상으 로 수직공(106)이 형성되고, 상기 양 수직공(106)에 대응 삽입하는 수직연결바(151)가 구비되며, 상기 양 수직연결바(151)의 상단을 연결하며 상부바(150)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상부바(150)의 상부에는 회전판(153)으로 결합되고 전방에 호이스트(155)(Hoist)가 구비된 호이스트기구(154)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호이스트(155)는, 비교적 가벼운 물건을 들어 옮기는 기중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호이스트(15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감기통을 손도르래로 움직이게 하는 수동 호이스트(155)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동기를 사용한 전기 호이스트(155)·텔퍼(telpher) 등이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다양한 호이스트(155)를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호이스트(155)에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걸고 승강장치(20)를 동작시켜 테이블(10)을 상승시키면, 호이스트기구(154)도 함께 상승하게 되어 호이스트(155)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물건을 옮길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집게부재를 설치하는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가로바(101)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162)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162)의 전방 측과 연결된 평판 형상의 집게부(161)로 이루어진 집게부재(160)가 구비되어, 상기 집게부재(160)를 이용하여 물건을 옮길 수도 있다.
즉, 상기 걸림부(162)를 양 가로바(101)에 걸어 고정하면 양 집게부재(160)가 보조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상기 양 집게부재(160) 간의 사이를 조절하며 원하는 물건을 집거나 들어 옮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집게부재(160)를 이용하여 팰릿을 들어올릴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집게부재(160)를 이용하여 지게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집게부재(160)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조테이블(130)을 완전 분리하여 사용해야 함은 물론이며, 상기 걸림부(162)를 보조프레임(100)의 가로바(101)가 아닌 보조프레임(100)의 하부에 걸어 사용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관하여,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각 부품들의 여러 가지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받침판의 동작을 보인 요부 단면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기울임 동작을 보인 동작도
도 8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측부바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호이스트기구를 설치하는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집게부재를 설치하는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컨트롤박스 2 - 손잡이 3 - 하부프레임
4 - 바퀴 5 - 구동부
10 - 테이블 11 - 삽입공 12 - 테이블결합공
20 - 승강장치 21 - X링크기구 22 - 승강실린더
23 - 승강축
100 - 보조프레임 101 - 가로바 102 - 공간부
103 - 회전축 104 - 수평공 105 - 수평결합공
106 - 수직공 107 - 수직결합공 108 - 고정판
108a - 고정축
110 - 수평연결바 111 - 관통결합공 112 - 중심축
120 - 기울임실린더 121 - 기울임축
130 - 보조테이블 131 - 절곡부 132 - 회전관
140 - 측부바 141 - 측부연결바 142 - 측부결합공
143 - 지지바 144 - 포크
150 - 상부바 151 - 수직연결바 152 - 상부결합공
153 - 회전판 154 - 호이스트기구 155 - 호이스트
160 - 집게부재 161 - 집게부 162 - 걸림부

Claims (11)

  1.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후방 상부가 결합하는 보조프레임(100);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와 결합하여 테이블(1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테이블(10)과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하는 보조테이블(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후방 상부 양측에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수평연결바(110)가 결합되고,
    상기 테이블(10)은, 상기 양 수평연결바(110)가 대응 삽입하도록 양측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00)과 양 수평연결바(110)는, 각각 중심축(112)으로 상호 결합되고,
    상기 보조프레임(100)은, 수직 상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는 가로바(101)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바(101)의 후면과 테이블(10)의 하면을 연결하며 설치되는 기울임축(121)이 구비된 기울임실린더(1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0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02)의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103)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테이블(130)은, 후방에 상기 회전축(103)과 대응 결합하는 회전관(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132)과 보조테이블(130) 사이에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13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보조테이블(130)의 후방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랜지(109)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00)은, 양측에 각각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공(104)을 포함하고,
    상기 양 수평공(104)에 각각 대응 삽입하는 측부연결바(141)가 형성된 측부바(140)를 구비하며,
    상기 양 측부바(140) 각각의 전방 외측 하부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보조테이블(130)의 양측 하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바(143);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00)은, 양측에 각각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공(104)을 포함하고,
    상기 양 수평공(104)에 각각 대응 삽입하는 측부연결바(141)가 형성된 측부바(140)를 구비하며,
    상기 양 측부바(140) 각각의 전방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지게차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144);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100)은, 양측 상부에 각각 수직상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공(106)을 포함하고,
    상기 양 수직공(106)에 각각 대응 삽입하는 수직연결바(151)와, 상기 양 수직연결바(151)의 상단을 연결하며 구비되는 상부바(150) 및, 상기 상부바(150)의 상부에 회전판(153)으로 결합되고, 호이스트(155)가 전방에 구비된 호이스트기구(154); 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1. 이동할 수 있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통상의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후방 상부가 결합하는 보조프레임(100);
    "┏┓"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162)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프레임(100)에 걸어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162)의 전방 측과 연결된 평판 형상의 집게부(161)로 이루어진 집게부재(1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1020090107012A 2009-11-06 2009-11-06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10098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012A KR100987225B1 (ko) 2009-11-06 2009-11-06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PCT/KR2010/007618 WO2011055947A2 (ko) 2009-11-06 2010-11-01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012A KR100987225B1 (ko) 2009-11-06 2009-11-06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225B1 true KR100987225B1 (ko) 2010-10-12

Family

ID=4313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012A KR100987225B1 (ko) 2009-11-06 2009-11-06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22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860B1 (ko) * 2013-07-10 2014-11-03 주식회사 리비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KR101490430B1 (ko) 2013-08-28 2015-02-05 에이치앤케이멕테크 주식회사 다단붐형 고기동 다목적 작업차량
KR102091940B1 (ko) * 2018-10-18 2020-03-20 박정만 화물 인양용 지그
KR20210123894A (ko) * 2020-04-06 2021-10-14 한국기계연구원 적층형 모듈 로봇
WO2021221442A1 (ko) * 2020-04-27 2021-11-04 한국기계연구원 리프트 모듈 및 적층형 모듈 로봇
KR102502403B1 (ko) * 2022-05-26 2023-02-21 홍부성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KR20230081310A (ko) *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신황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KR102585539B1 (ko) 2023-05-03 2023-10-06 삼성기술 주식회사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399A (ja) 1982-03-24 1983-10-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フオ−クリフト
JPS5974999U (ja) 1982-11-08 1984-05-21 株式会社野沢製作所 自走式作業台車
JPS6426692U (ko) * 1987-08-05 1989-02-15
KR100846150B1 (ko) 2008-03-04 2008-07-14 (주)에이원렌탈 물품 승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399A (ja) 1982-03-24 1983-10-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フオ−クリフト
JPS5974999U (ja) 1982-11-08 1984-05-21 株式会社野沢製作所 自走式作業台車
JPS6426692U (ko) * 1987-08-05 1989-02-15
KR100846150B1 (ko) 2008-03-04 2008-07-14 (주)에이원렌탈 물품 승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작업대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860B1 (ko) * 2013-07-10 2014-11-03 주식회사 리비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KR101490430B1 (ko) 2013-08-28 2015-02-05 에이치앤케이멕테크 주식회사 다단붐형 고기동 다목적 작업차량
KR102091940B1 (ko) * 2018-10-18 2020-03-20 박정만 화물 인양용 지그
KR20210123894A (ko) * 2020-04-06 2021-10-14 한국기계연구원 적층형 모듈 로봇
KR102405917B1 (ko) * 2020-04-06 2022-06-07 한국기계연구원 적층형 모듈 로봇
WO2021221442A1 (ko) * 2020-04-27 2021-11-04 한국기계연구원 리프트 모듈 및 적층형 모듈 로봇
KR20210132463A (ko) * 2020-04-27 2021-11-04 한국기계연구원 리프트 모듈 및 적층형 모듈 로봇
KR102405918B1 (ko) * 2020-04-27 2022-06-07 한국기계연구원 리프트 모듈 및 적층형 모듈 로봇
KR20230081310A (ko) *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신황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KR102632471B1 (ko) * 2021-11-30 2024-02-02 주식회사 신황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KR102502403B1 (ko) * 2022-05-26 2023-02-21 홍부성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KR102585539B1 (ko) 2023-05-03 2023-10-06 삼성기술 주식회사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225B1 (ko)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101809568B1 (ko) 벽돌운반용 리프트 장치
JP3210118U (ja) 移動昇降装置
KR101932442B1 (ko) 파지폭이 범위가 넓은 벽돌운반장치
CA2189403C (en) Tiltable portable pallet
AU2013266020A1 (en) Lifting devices
US20220315078A1 (en) Hydraulic Lift Dolly
KR101131382B1 (ko)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
CN107010565B (zh) 一种家用重物托举辅助装置
JP2022541549A (ja) パレットを持ち上げるリフト装置を有する掘削機
EP1816051A2 (en) Trolley, particularly for moving pieces of furniture
EP3521236A1 (en) Material handling vehicle
JP2011032022A (ja) クレーン、クレーンセット、荷物吊上治具および支持台配置用器具
EP2923916A1 (en) Sack truck
JP4808015B2 (ja) 電動揚重装置
KR20090000250U (ko) 무게 중심 축을 개량한 수직 적재식 손수레
JP2005112612A (ja) 簡易リフター
KR20170031440A (ko) 이동식 다단 사다리
US20060182582A1 (en) Hand truck/forklift aparatus
KR200423167Y1 (ko) 핸들조작이 용이한 이동작업대
KR101852545B1 (ko) 리프트 겸용 운반 사다리
KR200443186Y1 (ko) 다리부의 폭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팔레트 스태커
JP2807997B2 (ja) ブロックの組積用施工機械
JP2005096984A (ja) 重量物用の梃子棒
TWM583448U (zh) 可上車式電動堆高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