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471B1 -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471B1
KR102632471B1 KR1020210169243A KR20210169243A KR102632471B1 KR 102632471 B1 KR102632471 B1 KR 102632471B1 KR 1020210169243 A KR1020210169243 A KR 1020210169243A KR 20210169243 A KR20210169243 A KR 20210169243A KR 102632471 B1 KR102632471 B1 KR 102632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upper plate
coupled
cover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1310A (ko
Inventor
홍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황
Priority to KR1020210169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4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81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에 있어 공간적인 제약이 적고,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통부 커버를 인양하는 인양부(120)와, 상기 인양부(120)에 결합되는 상판(110)이 형성되는 상판부(100); 상기 상판(1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판(210)과, 상기 하판(210) 하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이동바퀴(220)가 형성되는 하판부(200); 일단은 상기 상판(110)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하판(210)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부(100)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부(300); 및 상기 상판부(10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도르레(410)와, 복수 개의 상기 도르레(410)에 권취되며 상기 인양부(120)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420)가 형성되는 도르레부(400);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Apparatus for lifting and installing for cover for penetration of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에 있어 공간적인 제약이 적고,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벽면은 주로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자력 발전소의 설계 시 케이블의 배선 및 유체관의 배관을 위한 관통부를 포함한다.
이 관통부는 일반 설비와 같이 개구 면적이 작은 면적일 수 있으나, 1m²이상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종래의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이러한 관통부를 실리콘 등으로 채워 케이블의 배선 및 유체관의 배관을 고정함과 아울러 케이블의 배선 및 유체관의 배관을 제외한 관통부를 막았다.
한편, 실리콘 등과 같이 화재에 취약한 재료는 원자력 발전소에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전파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전면 및 후면 강판 패널과 중앙의 콘크리트 패널로 구성된 관통부 커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면 및 후면 강판 패널과 중앙의 콘크리트 패널로 구성된 관통부 커버의 무게는 약 150kg 이상으로, 이러한 관통부 커버를 최소 2m 이상의 위치까지 리프팅하고 관통부로 밀어 넣는 것은 인력으로 하기 힘든 작업으로 장비 사용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시에는 리프팅 장비인 크레인, 지게차 등의 장비와 리프팅 러그, 체인블럭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크레인, 지게차 등의 리프팅 장비는 협소한 공간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해 공간적 제약이 많으며, 리프팅 러그 및 체인블럭의 사용은 원자력 발전소 구조물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시, 케이블의 배선 및 유체관의 배관으로부터의 전도 및 관통부 커버의 추락 등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들을 보호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구조물의 손상 없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에 있어 공간적인 제약이 적고,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에 있어서, 관통부 커버를 인양하는 인양부(120)와, 상기 인양부(120)에 결합되는 상판(110)이 형성되는 상판부(100); 상기 상판(1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판(210)과, 상기 하판(210) 하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이동바퀴(220)가 형성되는 하판부(200); 일단은 상기 상판(110)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하판(210)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부(100)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부(300); 및 상기 상판부(10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도르레(410)와, 복수 개의 상기 도르레(410)에 권취되며 상기 인양부(120)에 일단이 고정연결되는 와이어(420)가 형성되는 도르레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부(100)는 상기 상판(110)의 상부 끝단에 수직 결합되어 관통부 커버가 상기 인양부(120)에 의해 인양될 시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사각띠 형상의 스톱퍼(1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도르레부(400)는 상기 스톱퍼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도르레(410a), 상기 스톱퍼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제2 도르레(410b), 상기 상판 일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3 도르레(410c) 및 와이어(420)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420)는 상기 인양부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제1 도르레(410a), 제2 도르레(410b)를 통과한 후, 제3 도르레(410c)에서 권취되며, 상기 와이어가 도르레에 권취되거나 풀어짐으로써, 권취시에는 상기 인양부는 수직으로 세워진 스톱퍼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고, 풀어짐에 따라 상기 인양부는 상판과 평형하게 놓여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양부(120)는 상기 상판(110) 측면부 끝단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부(126)와, 관통부 커버의 폭에 따라 상호 이격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126)에 결합되는 한 쌍의 좌우조절부(122), 및 관통부 커버의 높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126)와 상호 이격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쌍의 상기 좌우조절부(122)에 결합되는 상하조절부(124)를 포함하여, 중앙이 빈 사각띠 형상을 지니되, 상기 관통부 커버의 크기에 맞게 좌우조절부와 상하조절부를 조절하여 관통부 커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리프트부(300)는,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며 상기 상판부(100)를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통부 커버의 크기에 따라 인양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 사용에 한계가 있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공간 제약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프팅 러그 및 체인블럭 등을 사용하지 않아 구조물의 손상이 없으며,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의 하부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는 크게 상판부(100), 하판부(200), 리프트부(300) 및 도르레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상판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의 상부를 구성하는 몸체로서, 상판(110), 인양부(120) 및 스톱퍼(13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10)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리프트부(300)에 의해 승하강되는 경우 지면과의 평행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110)에는 상기 인양부(120)가 결합되는데, 상기 인양부(120)는 좌우조절부(122), 상하조절부(124) 및 고정부(126)를 포함한다. 인양부(120)는 관통부 커버를 인양하는 부분으로서, 볼트 등을 통해서 관통부 커버는 인양부(12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126)는 상기 인양부(120)에 의해 인양되는 상기 관통부 커버가 상기 리프트부(300)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상기 상판(110)의 측면부 끝단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좌우조절부(122)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상기 좌우조절부(122)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상기 좌우조절부(122)의 일측 끝단에는 일정 크기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삽입공에 상기 고정부(126)의 양 끝단이 삽입결합된다.
상기 상하조절부(124)는 상기 고정부(126)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좌우조절부(122)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하조절부(124)의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좌우조절부(122)의 타측 끝단이 삽입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상기 좌우조절부(122)의 일측은 상기 고정부(126) 상에서 슬라이딩되고, 한 쌍의 상기 좌우조절부(122)의 타측은 상기 상하조절부(124)의 내부에 형성된 일정크기의 삽입공 내에서 슬라이딩 되며 상기 관통부 커버의 폭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좌우조절부(122)가 상호 이격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관통부 커버의 넓이에 따라 상기 상하조절부(124)는 한 쌍의 상기 좌우조절부(122) 상에서 슬라이딩 되며 상기 고정부(126)와 상호 이격되는 간격이 조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1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부(120)는 고정부(126), 한쌍의 좌우조절부(122), 상하조절부(126)으로 이루어져 중앙이 빈 사각띠 형상을 지니는데, 이는 관통부 커버의 크기에 맞게 좌우조절부와 상하조절부를 조절하여 관통부 커버를 안정적으로 인양부에 올리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판부(200)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의 하부를 구성하는 몸체로서, 하판(210)과 복수 개의 이동바퀴(220)로 구성된다.
상기 하판(210)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상판(11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판(210)의 하단에는 복수 개의 상기 이동바퀴(220)가 형성됨으로써 작업 장소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톱퍼(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띠 형상을 지니며, 상기 상판(110)의 상부 끝단에 수직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인양부(120)에 의해 인양되는 상기 관통부 커버가 수직으로 세워진 뒤 상기 관통부 커버의 무게에 의해 상기 상판(110) 위로 젖혀질 수 있는데, 상기 스톱퍼(13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관통부 커버가 상기 인양부(120)에 의해 인양될 시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스톱퍼가 사각띠 형상을 지님으로, 즉, 중앙이 빈 사각형 구조임으로 관통부 커버 인양시 관통부 커버가 스톱퍼에 부딛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리프트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의 중간부를 구성하는 몸체로서, 리프트(310)와 유압실린더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310)는 상하로 절첩되는 방식으로, 다수 개의 링크(312)로 구성된다. 2개의 상기 링크(312)를 "X" 형태로 조립하여 링크부를 구성하고, 이 "X" 형태의 상기 링크부를 적어도 2개 이상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크(312)는 연결되는 각가의 끝 부분과 중앙 부위가 겹쳐진 상태에서 핀(314)으로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절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프트(310)의 일단은 상기 상판(110) 하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하판(210)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링크(312)가 회전하며 절첩될 경우 상기 리프트(310)의 일단 및 타단의 힌지부분이 슬라이딩된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부(320)는 일단은 상기 상판(110)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하판(210)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며 상기 상판부(100)를 승하강시킨다.
상기 유압실린더부(320)가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리프트(310)의 상기 링크(312)는 회전하며 절첩되며, 상기 리프트(310)의 일단 및 타단은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의 하부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르레부(400)는 제1 도르레(410a), 제2 도르레(410b), 제3 도르레(410c) 및 와이어(4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도르레(410a)는 상기 스톱퍼(13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도르레(410b)는 상기 스톱퍼(13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도르레(410c)는 상기 상판(110)의 일측 끝단에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420)는 상기 제1 도르레(410a), 제2 도르레(410b), 제3 도르레(410c)에 권취되며, 일단은 상기 인양부(120)에 고정 연결된다. 와이어는 관통부 커버를 감싸서 권취함으로써 고정한다.
관통부 커버가 인양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르레(410)에 상기 와이어(420)가 권취됨으로써(권취하면) 상기 인양부(120)는 상기 스톱퍼(130)가 설치된 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상기 유압실린더부(320)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며 상기 상판부(100)를 승강시킬 경우 상기 인양부(120)에 의해 상기 관통부 커버를 들어올리게 된다. 그런다음 하판에 설치된 이동바퀴(220)를 움직여 원하는 위치, 관통부 커버를 관통부 쪽으로 이동한다. 설치와 인양은 서로 반대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부(320)에 의해 상판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인양부도 하강하게 되고, 그런 후, 상기 도르레(410)에 권취된 상기 와이어(420)가 풀어지게 되면, 상기 인양부(120)는 상기 상판(110)과 동일한 높이에 평행하게 놓여지게 된다(도 1, 2 참조).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상판부
110 : 상판
120 : 인양부
122 : 좌우조절부
124 : 상하조절부
126 : 고정부
130 : 스톱퍼
200 : 하판부
210 : 하판
220 : 이동바퀴
300 : 리프트부
310 : 리프트
312 : 링크
314 : 핀
320 : 유압실린더부
400 : 도르레부
410 : 도르레
410a : 제1 도르레
410b : 제2 도르레
410c : 제3 도르레
420 : 와이어

Claims (5)

  1. 관통부 커버를 인양하는 인양부(120)와, 상기 인양부(120)에 결합되는 상판(110)이 형성되는 상판부(100);
    상기 상판(1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판(210)과, 상기 하판(210) 하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이동바퀴(220)가 형성되는 하판부(200);
    일단은 상기 상판(110)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하판(210)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부(100)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부(300); 및
    상기 상판부(10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도르레(410)와, 복수 개의 상기 도르레(410)에 권취되며 상기 인양부(120)에 일단이 고정연결되는 와이어(420)가 형성되는 도르레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100)는 상기 상판(110)의 상부 끝단에 수직 결합되어 관통부 커버가 상기 인양부(120)에 의해 인양될 시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사각띠 형상의 스톱퍼(13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도르레부(400)는 상기 스톱퍼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제1 도르레(410a), 상기 스톱퍼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제2 도르레(410b), 상기 상판 일측에 결합되는 제3 도르레(410c) 및 와이어(420)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420)는 상기 인양부의 일단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제1 도르레(410a), 제2 도르레(410b)를 통과한 후, 제3 도르레(410c)에서 권취되며,
    상기 와이어가 도르레에 권취되거나 풀어짐으로써 상기 인양부는 수직으로 세워진 스톱퍼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거나 상판과 평형하게 놓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120)는,
    상기 상판(110) 측면부 끝단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부(126)와,
    관통부 커버의 폭에 따라 상호 이격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126)에 결합되는 한 쌍의 좌우조절부(122) 및
    관통부 커버의 높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126)와 상호 이격되는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쌍의 상기 좌우조절부(122)에 결합되는 상하조절부(124)를 포함하여 중앙이 빈 사각띠 형상을 지니되,
    상기 관통부 커버의 크기에 맞게 좌우조절부와 상하조절부를 조절하여 관통부 커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300)는 수직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며 상기 상판부(100)를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KR1020210169243A 2021-11-30 2021-11-30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KR102632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243A KR102632471B1 (ko) 2021-11-30 2021-11-30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243A KR102632471B1 (ko) 2021-11-30 2021-11-30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310A KR20230081310A (ko) 2023-06-07
KR102632471B1 true KR102632471B1 (ko) 2024-02-02

Family

ID=8676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243A KR102632471B1 (ko) 2021-11-30 2021-11-30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4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50B1 (ko) 2008-03-04 2008-07-14 (주)에이원렌탈 물품 승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작업대
KR100987225B1 (ko) * 2009-11-06 2010-10-12 김석일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CN213171315U (zh) * 2020-09-28 2021-05-11 苏州纽斯特尔特种升降机械有限公司 一种带有辅助装货功能的固定式升降平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67U (ja) * 1984-06-11 1986-01-09 京都繊維機器株式会社 ワインダ
KR980008109U (ko) * 1996-07-27 1998-04-30 추호석 전동식 지게차의 배터리 인출장치
KR200485946Y1 (ko) * 2013-09-11 2018-03-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50B1 (ko) 2008-03-04 2008-07-14 (주)에이원렌탈 물품 승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작업대
KR100987225B1 (ko) * 2009-11-06 2010-10-12 김석일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CN213171315U (zh) * 2020-09-28 2021-05-11 苏州纽斯特尔特种升降机械有限公司 一种带有辅助装货功能的固定式升降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310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3076B1 (en) Cask transport assembly
US1012550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US3907066A (en) Wing-type scaffold system
CA2593769A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US20180047472A1 (en) Cask transport assembly
US4134237A (en) Modular section mast
KR102632471B1 (ko)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CA2322352A1 (en) Universal traversing assembly for legs of cranes or the like
GB2332188A (en) A spreader with guide means for stacking containers
CN104627849B (zh) 一种用于内天井管道吊装的吊装设备及吊装方法
JP2013218102A (ja) 移動型安全体感設備用架構
CN108118885A (zh) 垂直移动式防护平台及其在钢结构柱对接施工中的应用
US5592779A (en) Expanded area safety gate
JP2022046562A (ja) 移動システム、物品の移動方法、および関連する構成要素
WO2012042192A1 (en) Sheet material handling device
CN215115124U (zh) 一种高空作业平台试验台架
CN220395267U (zh) 一种可调节式桩孔洞的定型化防护装置
JP5902513B2 (ja) 構築装置
AU2018100181A4 (en) Moving system, method of moving an item and related components
JP7322610B2 (ja) クレーンのバックストップ姿勢変更装置
KR20240028158A (ko) 철탑용 추락 방지 장치
EP1603823B1 (en) Side-lift spreader for a container
US3458063A (en) Tube bundle vehicle
JP2022190553A (ja) クレーンのバックストップ姿勢変更装置
CN110644795A (zh) 高空作业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