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403B1 -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 Google Patents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403B1
KR102502403B1 KR1020220064639A KR20220064639A KR102502403B1 KR 102502403 B1 KR102502403 B1 KR 102502403B1 KR 1020220064639 A KR1020220064639 A KR 1020220064639A KR 20220064639 A KR20220064639 A KR 20220064639A KR 102502403 B1 KR102502403 B1 KR 10250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unit
forklift
folded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부성
이상동
Original Assignee
홍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부성 filed Critical 홍부성
Priority to KR102022006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7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 B66F9/165Foldable forks, i.e. where only the horizontal section m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도록 바퀴가 구비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상측에 위치되어 승강하는 테이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테이블을 교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2 연결부로 연결하여 교차각에 따라 상기 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2 연결부의 교차각을 조절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테이블의 단부에 위치되어 포크 구동부에 의해 틸팅각도가 조절되며, 단부의 포크가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된 포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게차 기능을 기본으로 하면서 테이블을 작업대 등으로 사용 가능하거나 물건 등을 적재하여 운반 가능하고, 구동력으로 절첩 가능한 다단의 높낮이 조절부에 의해 테이블을 높은 곳까지 자동으로 상승시켜 사람이나 물건을 지정된 높이만큼 들어올릴 수 있으며, 포크부 및 발판을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어 미사용시 접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FORK LIFT WITH TABLE LIFT}
본 발명은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대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짐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산업용 트럭의 특수한 형태로, 산업 현장이나 창고에서 사람이 들기 어려운 무거운 짐을 유용하게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는 차량이다.
특히, 지게차는 동력원에 따라 엔진 지게차와 전동 지게차로 구분된다. 엔진 지게차는 디젤이나 가솔린 등을 엔진으로 사용하며, 출력이 좋아 야외 작업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전동 지게차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며, 엔진 지게차에 비해 배기 가스가 없고 소음이 작아 실내 작업에 이용된다.
이러한, 지게차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22-0020163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지게차에만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2-0020163호(2022.02.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작업대 기능을 겸비하도록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도록 바퀴가 구비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상측에 위치되어 승강하는 테이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테이블을 교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2 연결부로 연결하여 교차각에 따라 상기 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2 연결부의 교차각을 조절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테이블의 단부에 위치되어 포크 구동부에 의해 틸팅각도가 조절되며, 단부의 포크가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된 포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부는,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위치된 간격조절봉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간격조절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크 지지대; 및 상기 포크 지지대에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포크 지지대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포크와, 상기 회전포크의 단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장포크로 이루어지는 포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에는 레버 및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도록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에는 상기 조작부 하측에 발판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는 프레임부(110); 상기 프레임부(110) 상측에 위치되어 승강하는 테이블(120); 상기 테이블(1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130); 및 상기 테이블(120)의 단부에 연결된 포크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포크부(150)는 일단이 상기 테이블(120)과 연결된 포크 지지대(154); 일단이 상기 포크 지지대(154)의 타단과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회전포크(156a); 및 일단이 상기 회전포크(156a)의 타단과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연장포크(156b);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포크(156)는 상기 회전포크(156a)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포크(156a)와 접철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회전포크(156a)는 상기 연장포크(156)가 내부에 삽입되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 지지대(154)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포크 지지대(154)와 접철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포크 지지대(154)는 평단면 형상이 "
Figure 112022133839386-pat00013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포크(156a)는 평단면 형상이 상기 포크 지지대(154)와 반대인 "
Figure 112022133839386-pat00014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크 지지대(154)와 회전포크(156a)의 각 개방부는 접철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게차 기능을 기본으로 하면서 테이블을 작업대 등으로 사용 가능하거나 물건 등을 적재하여 운반 가능하고, 구동력으로 절첩 가능한 다단의 높낮이 조절부에 의해 테이블을 높은 곳까지 자동으로 상승시켜 사람이나 물건을 지정된 높이만큼 들어올릴 수 있으며, 포크부 및 발판을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어 미사용시 접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에서 포크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에서 포크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에서 테이블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에서 포크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에서 포크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에서 테이블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100)는 프레임부(110), 테이블(120), 높낮이 조절부(130), 구동부(140), 포크부(150) 및 조작부(16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전방 양측에 종축을 기점으로 회전되는 바퀴(112)가 구비된다.
이때, 프레임부(110)는 좌우 대향면에 단면이 "
Figure 112022055760236-pat00001
", "
Figure 112022055760236-pat00002
"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111)이 구비되며, 가이드 프레임(111)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부(130) 중 제1-2 연결부(134)의 하부가 횡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1 연결부(132)의 하부에 구비된 안내롤러(R)가 가이드 프레임(111)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되면서 제1-1 연결부(132)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더욱이, 프레임부(110)의 후단에는 본체부(116)가 연결된다. 본체부(116)는 상부에 조작부(160)가 구비되고, 하부 후방 중앙에 조향이 가능한 구동바퀴(114)가 구비되며, 후방에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발판(118)이 구비된다.
이때, 구동바퀴(114)는 지게차에 추진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력에 의해 회동되며, 조작부(160)의 조작에 의해 조향이 가능하다.
테이블(12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 상측에 평행하게 위치되어 높낮이 조절부(130)에 의해 승강하며, 홀을 가공하고 홀에 지그 등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용접 등과 같은 작업이 가능하도록 작업대 등으로 사용 가능하거나 상부에 물건 등을 적재하여 운반 가능하고, 구동력으로 절첩 가능한 다단의 높낮이 조절부(130)에 의해 높은 곳까지 자동으로 상승시켜 사람이나 물건을 지정된 높이만큼 들어올릴 수 있다.
테이블(120)은 좌우 대향면에 단면이 "
Figure 112022055760236-pat00003
", "
Figure 112022055760236-pat00004
"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121)이 구비되며, 가이드 프레임(121)의 일측에 높낮이 조절부(130) 중 제2-1 연결부(136)의 상부가 횡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2 연결부(138)의 상부에 구비된 안내롤러(R)가 가이드 프레임(121)의 내부 바닥면에 위치되면서 제2-2 연결부(138)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높낮이 조절부(13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복수의 "X"자 형상으로 다단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어, 프레임부(110)와 테이블(120)을 대향면을 서로 연결하여, 교차각에 따라 테이블(12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때, 높낮이 조절부(130)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연결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동 가능하다.
제1 연결부는 "X"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프레임부(110)의 가이드 프레임(111) 내부 전방에 위치되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롤러(R)가 구비된 제1-1 연결부(132)와, 제1-1 연결부(132)와 중심이 횡축에 의해 연결되며, 하단이 프레임부(11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 연결부(134)를 포함한다.
제2 연결부는 "X"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하단이 제1-2 연결부(134)의 상단에 종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1 연결부(136)와, 제2-1 연결부(136)와 중심이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며, 제1-1 연결부(13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2 연결부(138)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1 연결부(136)의 상단은 테이블(120)의 후단에 횡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은 제1-2 연결부(134)의 상단과 횡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제2-1 연결부(136)는 양측에 횡 방향의 연결바(137) 연결되면서, 연결바(137)의 중심에 구동부(140)의 로드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2 연결부(138)는 상단은 테이블(120)의 가이드 프레임(121) 내부 전방에 위치되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롤러(R)가 구비되고, 하단은 제1-1 연결부(132)의 상단과 횡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동부(14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제2-1 연결부(136)에 연결된 연결바(137)의 중심에 로드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프레임부(110)의 후면 중앙에 몸체의 단부가 고정되어 제1, 2 연결부의 교차각을 조절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구동부(140)는 실린더 등이 이에 적용된다.
포크부(15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20)의 전방에 위치되어 포크 구동부(158)에 의해 틸팅각도가 조절되며, 단부의 포크(156)가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포크 몸체부(152), 포크 지지대(154), 포크(156) 및 포크 구동부(158)를 포함한다.
더욱이, 포크부(150)는 포크(156)를 접은 상태로 포크 지지대(154)에 중첩시켜 지게차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포크 몸체부(152)는 직립 상태에서 후면 상단과 테이블(120)의 전면과의 대향면에 횡축으로 연결되어, 테이블(120)의 전방에서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더욱이, 포크 몸체부(152)는 전방 상부에 횡방향의 간격조절봉(152a)이 고정된다.
포크 지지대(154)는 평단면 형상이 "
Figure 112022055760236-pat00005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간격조절봉(152a)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간격조절봉(152a)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더욱이, 포크 지지대(154)는 포크(156)의 중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횡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핀(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되어, 포크(156)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핀을 결합시키면 핀을 통해 포크 지지대(154)에 포크(156)를 중첩 상태를 유지시킨다.
포크(156)는 포크 지지대(154)에 다단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2단 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때, 포크(156)는 1단 구조로도 구비 가능하다. 즉, 포크(156)는 2단 구조로 구비되는 경우 회전포크(156a)와 연장포크(156b)로 이루어지고, 1단 구조로 구비되는 경우 포크 지지대(154)에 연장포크가 일체로 형성된 회전포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포크(156a)는 평단면 형상이 포크 지지대(154)와 반대인 "
Figure 112022055760236-pat00006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포크 지지대(154)의 하단에 횡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더욱이, 회전포크(156a)는 하단에서 상부로 소정거리 이격된 단부가 포크 지지대(154)와 축 연결되므로 펼침시 하단 상면이 포크 지지대(154)의 하단에 지지되면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연장포크(156b)는 바 구조로 구비되며, 회전포크(156a)의 선단에 후단이 횡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렇게, 연장포크(156b)는 회전포크(156a) 내에 중첩되게 접힌 상태에서 회전포크(156a)가 포크 지지대(154) 내에 중첩되게 접히게 된다.
포크 구동부(158)는 테이블(120)의 전방 저면 양측에 로드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지지되고, 포크 몸체부(152)의 후면 하부 양측에 몸체의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포크 몸체부(152)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포크 구동부(158)는 실린더 등이 이에 적용된다.
조작부(16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6)에 구비되어 구동바퀴(114)의 구동 여부, 구동 방향 및 조향 조절, 포크 구동부(158)의 작동 제어에 의한 포크(156)의 틸팅 각도 조절, 및 구동부(140)에 의한 테이블(120)의 승강 높이 조절 등을 구현 가능하다.
이때, 조작부(160)는 레버(162) 및 버튼(164, 166)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작동을 제어한다. 일예로 구동바퀴(114)의 구동 여부, 구동 방향 및 조향 조절 등은 레버(162)의 전후 및 좌우 회전에 의해 제어되고, 구동부(140)에 의한 테이블(120)의 승강 높이 조절은 버튼(164)에 의해 제어되며, 포크 구동부(158)의 작동 제어에 의한 포크(156)의 틸팅 각도 조절은 버튼(166)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게차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포크 지지대(154)에 핀을 분리하여 중첩된 포크(156)를 횡방향으로 펼치고, 팔레트 등의 간격에 맞게 포크(156)의 간격을 조절한 후 조작부(160)를 조작하여 지게차(100)를 해당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포크(156)가 팔레트 등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삽입되도록 조작부(160)를 조작하여 지게차(100)를 전진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조작부(160)를 조작하여 포크(156)에 의해 팔레트 등을 지면에서 설정 높이까지 들어올리게 된다. 이는 조작부(160)의 조작에 의해 구동부(140)의 로드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의해 적재부(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즉, 구동부(140)의 로드가 전진하면서 제2-1 연결부(136)에 연결된 연결바(137)를 밀게 되면 제2-2 연결부(138)가 연동되면서 제2-1 연결부(136)와 제2-2 연결부(138)가 중심을 기점으로 세워지게 되고, 그 후에 제1-1 연결부(132)와 제1-2 연결부(134)가 연동되면서 중심을 기점으로 세워지게 되므로 테이블(120)이 상승한다.
이렇게, 테이블(120)이 높낮이 조절부(130)의 구동에 의해 상승하면서 테이블(120)에 연결된 포크(156)가 팔레트 등을 들어올리게 되며, 조작부(160)에 의해 포크 구동부(158)를 구동시켜 포크(156)의 틸팅각도를 조절한 후 해당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테이블(120)을 작업다이로 사용하는 경우, 연장포크(156b)를 접어 회전포크(156a)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회전포크(156a)를 회전시키고 포크 지지대(154)에 중첩시킨 후 핀을 삽입하여 포크 지지대(154)에 포크(156)를 중첩 상태를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조작부(160)를 조작하여 테이블(120)을 작업하기 용이한 설정 높이까지 들어올리게 된다. 이는 조작부(160)의 조작에 의해 구동부(140)의 로드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의해 적재부(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즉, 구동부(140)의 로드가 전진하면서 제2-1 연결부(136)에 연결된 연결바(137)를 밀게 되면 제2-2 연결부(138)가 연동되면서 제2-1 연결부(136)와 제2-2 연결부(138)가 중심을 기점으로 세워지게 되고, 그 후에 제1-1 연결부(132)와 제1-2 연결부(134)가 연동되면서 중심을 기점으로 세워지게 되므로 테이블(120)이 상승한다.
그 후, 테이블(120)에 가공된 홀에 지그 등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용접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110: 프레임부
120: 테이블
130: 높낮이 조절부
140: 구동부
150: 포크부
160: 조작부

Claims (4)

  1. 프레임부(110);
    상기 프레임부(110) 상측에 위치되어 승강하는 테이블(120);
    상기 테이블(1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130); 및
    상기 테이블(120)의 단부에 연결된 포크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포크부(150)는
    일단이 상기 테이블(120)과 연결된 포크 지지대(154);
    일단이 상기 포크 지지대(154)의 타단과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회전포크(156a); 및
    일단이 상기 회전포크(156a)의 타단과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연장포크(156b);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포크(156b)는 상기 회전포크(156a)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포크(156a)와 접철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회전포크(156a)는 상기 연장포크(156b)가 내부에 삽입되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 지지대(154)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포크 지지대(154)와 접철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포크 지지대(154)는 평단면 형상이 "
    Figure 112023500356907-pat00015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포크(156a)는 평단면 형상이 상기 포크 지지대(154)와 반대인 "
    Figure 112023500356907-pat00016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크 지지대(154)와 회전포크(156a)의 각 개방부는 접철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는 레버 및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도록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는 상기 조작부 하측에 발판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KR1020220064639A 2022-05-26 2022-05-26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KR102502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639A KR102502403B1 (ko) 2022-05-26 2022-05-26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639A KR102502403B1 (ko) 2022-05-26 2022-05-26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403B1 true KR102502403B1 (ko) 2023-02-21

Family

ID=8532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639A KR102502403B1 (ko) 2022-05-26 2022-05-26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4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498A (ja) * 1990-03-22 1993-10-12 Linde Ag 舵棒で操舵される電動式構内運搬車
KR100987225B1 (ko) * 2009-11-06 2010-10-12 김석일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20140140703A (ko) * 2013-05-30 2014-1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CN211619851U (zh) * 2019-12-13 2020-10-02 上海臣乾物流有限公司 一种叉车
KR20220020163A (ko) 2020-08-11 2022-0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지게차 및 지게차용 자가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498A (ja) * 1990-03-22 1993-10-12 Linde Ag 舵棒で操舵される電動式構内運搬車
KR100987225B1 (ko) * 2009-11-06 2010-10-12 김석일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20140140703A (ko) * 2013-05-30 2014-1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CN211619851U (zh) * 2019-12-13 2020-10-02 上海臣乾物流有限公司 一种叉车
KR20220020163A (ko) 2020-08-11 2022-0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지게차 및 지게차용 자가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2092B1 (en) Lift for skids and pallets
US9004471B2 (en) Workpiece elevating support device
US2753066A (en) Industrial lift truck with laterally adjustable forks
US6571913B2 (en) Multipurpose machine
KR102502403B1 (ko)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US6079935A (en) Forklift truck
US3155251A (en) Lift truck
JP2000289994A (ja) ジャッキ装置
US3485391A (en) Lift truck with extendable and retractable load supporting means
KR20140145756A (ko) 리치 타입 지게차의 레그 구조
JP3082651B2 (ja) パレット移載装置
EP0553067B1 (en) A fork-lift truck
US2905349A (en) Loading and unloading means for industrial trucks
JPH0551888U (ja) 高所作業車
JP2685677B2 (ja) 通り抜けリフト
JPH0638079Y2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荷役装置
JPH0730632Y2 (ja) 車輌整備用リフト
JP3096376B2 (ja) 二段積みパレット変換装置
JP2003237583A (ja) ローリフト
JP2733013B2 (ja) トラックローダー
JP3240920U (ja) ハンドリフト
JP2002193592A (ja) 昇降装置
TWI699326B (zh) 可上車式電動堆高機
US3403801A (en) Universal lift truck
JPS624780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