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703A -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703A
KR20140140703A KR1020130061385A KR20130061385A KR20140140703A KR 20140140703 A KR20140140703 A KR 20140140703A KR 1020130061385 A KR1020130061385 A KR 1020130061385A KR 20130061385 A KR20130061385 A KR 20130061385A KR 20140140703 A KR20140140703 A KR 20140140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forklift
folded portion
drive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0703A/ko
Publication of KR20140140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 B66F9/165Foldable forks, i.e. where only the horizontal section m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4Electrical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를 베이스부와 절첩부로 형성하고, 일반 주행시 절첩부만이 상향 경사지도록 작동시켜 포크날 끝이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포크날과 장애물이 충돌하더라도 충돌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쇄시켜 운전자의 부상 및 차체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경사진 사면에 화물이 놓인 경우라도 경사에 맞춰 절첩부를 회동시켜 화물을 픽업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STRUCTURE FOR PREVENTION COLLISION OF FORK FOR FORKLIFT TRUCK}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포크를 베이스부와 절첩부로 형성하고, 일반 주행시 절첩부만이 상향 경사지도록 작동시켜 포크날 끝이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충돌시의 충격을 상쇄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한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짐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산업용 트럭의 특수한 형태로, 산업 현장이나 창고에서 사람이 들기 어려운 무거운 짐을 유용하게 적재, 운반할 수 있는 차량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차체의 안정방식에 따라, 혹은 동력원에 따라 분류되는데, 먼저 차체 안정방식으로는 포크 및 마스트를 차체 전방에 장착하고 후방에 카운터 바란스를 장착한 카운터 벨런스형과, 차체 전방으로 튀어나온 아우트리거에 의해 차체의 안정을 유지하며 그 아우트리거 안을 포크가 전후방으로 움직이면서 하역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는 리치형 지게차가 있다.
동력원으로의 분류는 디젤엔진 식과, LPG/가솔린엔진 식 그리고, 근래 환경친화형 장비로 보급되는 밧데리를 이용한 전동식 지게차가 있다.
보통 이러한 지게차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지게차는 카운터 벨런스 형태에 디젤 엔진이 장착된 지게차로 파워 쉬프트 트랜스 밋션이 장착된 공기 타이어식 구조로 되어있으며, 4륜(구동2륜, 조향2륜), 원동기 후방위치 등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지게차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지게차(10)는 일반 지게차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1)과 운전석(12)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조향 핸들(13), 유압밸브레버(14) 그리고 카운터 웨이트(15) 및 마스트(200), 포크(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조 이외에 엔진(16) 및 트랜스 밋션(17) 등이 구비되며, 상기 포크(100)는 상기 마스트(200)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된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지게차는 수직 및 수평 지겟발로 이루어져 화물을 들어올리는 포크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즉, 종래의 포크는 화물이 올려지는 수평의 좌,우측 지겟발이 수직바에 일체로 연결되고 이 수직바가 연결대에 고정된 구성으로, 이 연결대가 마스트와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며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작업 과정에서 경사진 사면에 화물이 놓인 경우 지겟발을 끼워넣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물론 화물의 무게가 인력으로 경사진 측면을 들어올려 수평을 맞출 수 있다면 운반이 가능하겠으나 이때에도 작업이 힘들어 질 수밖에 없고,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지게차는 화물을 적재하지 않은 일반 주행시 포크를 아래로 내린 상태로 주행하게 되는데, 주행로 주변의 도로 경계석이나 턱과 같이 시야확보가 어려운 장애물에 포크 끝단이 걸려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7525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게차의 포크를 베이스부와 절첩부로 형성하고, 일반 주행시 절첩부만이 상향 경사지도록 작동시켜 포크날 끝이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충돌시의 충격을 상쇄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한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게차의 포크 날 부위를 베이스부와 절첩부로 형성하고, 일반 주행시 절첩부만을 상향 경사지도록 작동시켜 포크 날 끝이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와 절첩부 사이를 힌지부로 연결하고, 상기 힌지부에 스프링부재를 내삽하여 절첩부가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상향 경사진 상태를 최대각도로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절첩부의 일측단부에 운전석 측과 연결된 작동케이블을 연결시켜 운전자가 작동케이블을 작동시켜 절첩부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를 베이스부와 절첩부로 형성하고, 일반 주행시 절첩부만이 상향 경사지도록 작동시켜 포크날 끝이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포크날과 장애물이 충돌하더라도 충돌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쇄시켜 운전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진 사면에 화물이 놓인 경우라도 경사에 맞춰 절첩부를 회동시켜 화물을 픽업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지게차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게차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 4는 본 발명의 포크 작동 전후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게차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10)는 일반 지게차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1)과 운전석(12)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조향 핸들(13), 유압밸브레버(14) 그리고 카운터 웨이트(15) 및 마스트(200), 포크(1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운전석(12) 하부에는 엔진(16) 및 트랜스 밋션(17) 등이 구비되며, 상기 포크(100)는 마스트(200)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크(100) 날 부위는 베이스부(110)와 절첩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첩부(120)는 베이스부(110)에 힌지 결합되어 소정각도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4는 본 발명의 포크 작동 전후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포크(100)는 베이스부(110)와 절첩부(120) 사이를 힌지부(130)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절첩부(120)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절첩부(120)의 회동범위를 인위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회동제한용 스톱퍼 돌기를 절첩부(120) 또는 베이스부(110)에 형성할 수 있다. 도 3, 4에서는 절첩부(120)에 스톱퍼 돌기를 형성하는 예가 도시되고 있다.
이때, 베이스부(110)에는 스톱퍼 돌기가 내삽되는 스톱퍼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절첩부(120)의 회동을 위해 작동케이블(140)이 연결된다.
상기 작동케이블(140)의 일단부는 절첩부(12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운전석(12) 측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레버조작 등을 통해 작동된다. 상기 작동케이블(140)은 운전석(12)에서의 조작에 연동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며, 신축방향으로 절첩부(120)를 끌어당겨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작동케이블(140)에 의해 연동되는 절첩부(120)는 도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40)을 운전석(12) 방향으로 끌어당겼을 때, 절첩부(120)가 회전하여 베이스부(110)와 수평을 이루도록 하고, 이와 반대 상황에서는 절첩부(120)가 회전하여 지게차의 주행방향에 대해 상향 경사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첩부(120)가 상향 경사진 상태로 회동하기 위한 작동력을 스프링부재(150)를 통해 구할 수 있다.
도 3, 4에서와 같이 힌지부(130)에 스프링부재(150)를 내삽하여 절첩부(120)가 스프링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부재(150)는 절첩부(120)가 회동하여 항상 상향 경사진 상태를 최대각도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일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크(100)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들려있는 상태의 절첩부(120)를 베이스부(110)와 수평상태가 되도록 해야 하는데, 운전석(12)에 있는 운전자가 레버를 조작하여 작동케이블(140)을 끌어당김으로써, 절첩부(120)가 회동하여 베이스부(110)와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레버의 조작범위에 따라 절첩부(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데, 이는 경사진 사면에 있는 화물을 적재할 때, 경사면에 맞춰 절첩부(120)의 회전각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포크(100) 날이 쉽게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를 베이스부와 절첩부로 형성하고, 일반 주행시 절첩부만이 상향 경사지도록 작동시켜 포크날 끝이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포크날과 장애물이 충돌하더라도 충돌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쇄시켜 운전자의 부상 및 차체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경사진 사면에 화물이 놓인 경우라도 경사에 맞춰 절첩부를 회동시켜 화물을 픽업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이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지게차 11: 프레임
12: 운전석 13: 조향핸들
14: 유압밸브레버 15: 카운터 웨이트
16: 엔진 17: 트랜스 밋션
100: 포크 110: 베이스부
120: 절첩부 130: 힌지부
140: 작동케이블 150: 스프링부재
200: 마스트

Claims (2)

  1. 지게차의 포크(100) 날 부위를 베이스부(110)와 절첩부(120)로 형성하고, 일반 주행시 절첩부(120)만을 상향 경사지도록 작동시켜 포크 날 끝이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0)와 절첩부(120) 사이를 힌지부(130)로 연결하고, 상기 힌지부(130)에 스프링부재(150)를 내삽하여 절첩부(120)가 스프링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상향 경사진 상태를 최대각도로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절첩부(120)의 일측단부에 운전석 측과 연결된 작동케이블(140)을 연결시켜 운전자가 작동케이블(140)을 작동시켜 절첩부(12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KR1020130061385A 2013-05-30 2013-05-30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KR20140140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385A KR20140140703A (ko) 2013-05-30 2013-05-30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385A KR20140140703A (ko) 2013-05-30 2013-05-30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703A true KR20140140703A (ko) 2014-12-10

Family

ID=5245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385A KR20140140703A (ko) 2013-05-30 2013-05-30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070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0178A (zh) * 2015-08-06 2015-11-18 遂宁市长丰机械科技有限公司 自动组合叉臂搬运车
CN106744514A (zh) * 2016-12-12 2017-05-3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研究所 一种载荷装载装置
CN109987553A (zh) * 2019-04-11 2019-07-09 苏州法艾姆物流设备有限公司 一种叉车用碰撞防护装置
CN114436168A (zh) * 2021-12-27 2022-05-06 浙江尤恩叉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叉车
CN115159405A (zh) * 2022-08-11 2022-10-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叉臂及叉车
KR102502403B1 (ko) * 2022-05-26 2023-02-21 홍부성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0178A (zh) * 2015-08-06 2015-11-18 遂宁市长丰机械科技有限公司 自动组合叉臂搬运车
CN106744514A (zh) * 2016-12-12 2017-05-3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研究所 一种载荷装载装置
CN106744514B (zh) * 2016-12-12 2019-04-0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0研究所 一种载荷装载装置
CN109987553A (zh) * 2019-04-11 2019-07-09 苏州法艾姆物流设备有限公司 一种叉车用碰撞防护装置
CN114436168A (zh) * 2021-12-27 2022-05-06 浙江尤恩叉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叉车
CN114436168B (zh) * 2021-12-27 2022-08-05 浙江尤恩叉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叉车
KR102502403B1 (ko) * 2022-05-26 2023-02-21 홍부성 테이블 리프트가 구비된 지게차
CN115159405A (zh) * 2022-08-11 2022-10-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叉臂及叉车
CN115159405B (zh) * 2022-08-11 2024-04-1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叉臂及叉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0703A (ko)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US6821075B2 (en) Hoist with trailer hitch attachment
KR101740877B1 (ko) 견인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트럭지게차
EP1829815B1 (en) A forklift truck
US20170057392A1 (en) A Repositionable Load Carrying Tray Assembly for a Vehicle
DE102012103931A1 (de) Mitgängergeführter Hochhubwagen
US201001895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forklift blade
CN207016422U (zh) 铲车附件
KR101569874B1 (ko) 접이식지게차 및 지게차적재대가 구비된 화물차
WO1996031430B1 (en) A mechanism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onto vehicles
KR101832146B1 (ko) 접이식 원격조정 지게차
US20030168286A1 (en) Lift truck and lift truck operating method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US20220371868A1 (en) Vehicle apparatus with an elevatable platform used for building a structure
US20030168872A1 (en) Grappler with horizontal contact shoe
KR20110037527A (ko) 지게차의 시야 확보 장치
CN112408272A (zh) 一种侧面叉车及其车架倾斜系统
KR101650889B1 (ko)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CN213322815U (zh) 一种可升降式载货汽车
JP6621270B2 (ja) 改良されたアンダーリフトに採用される荷重変換機構
CN217319988U (zh) 一种叉车用翻转式挡风装置
JP2007176465A (ja) 運搬車両
US11850987B2 (en) Chassis assembly for a delivery vehicle
US10159613B2 (en) Vehicle,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a vehicle
KR102147852B1 (ko) 격납식 차량 적재함용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