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889B1 -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 Google Patents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889B1
KR101650889B1 KR1020160025063A KR20160025063A KR101650889B1 KR 101650889 B1 KR101650889 B1 KR 101650889B1 KR 1020160025063 A KR1020160025063 A KR 1020160025063A KR 20160025063 A KR20160025063 A KR 20160025063A KR 101650889 B1 KR101650889 B1 KR 101650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s
forklift
truck
fold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 도 서
Original Assignee
한성웰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웰텍 (주) filed Critical 한성웰텍 (주)
Priority to KR1020160025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3Fork-lift trucks adapted to be carried by transport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화물차의 후방에서 차량의 전후길이방향으로 접이식지게차를 출입시킬 때 차량번호판을 설치하는 후면판이나 후방범퍼 등과 같은 후방구조물에 걸려서 접이식지게차의 출입이 불가능하였던 문제를 해결하고, 화물차가 좁은 공간에 정차된 상태에서 상하차작업을 할 때 화물차의 지게차 적재장치에 접이식지게차를 효율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물차(4)의 뒷바퀴(3) 후방의 차량 베이스프레임(2) 하방에 마스트장치(202)와 포크(203)가 접히는 접이식지게차(200)를 적재하는 지게차 적재장치(100)가 구비된 화물차(4)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 적재장치(100)는 뒷바퀴(3) 후방의 차량 베이스프레임(2)에 전후방상부레일(111,112)이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뒷바퀴축(6)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상부레일(111,112)의 하부에는 접이식지게차(200)가 화물차의 양측방으로 출입하여 적재되는 수평적재대(119)가 설치되며, 이 수평적재대(119)의 전후방에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대응되는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상부레일(111)과 전방하부레일(117)의 사이 및 후방상부레일(112)과 후방하부레일(118)의 사이에는 X형절첩대(114)가 각각 설치되며, X형절첩대(114)의 일측 상하측 단부를 전후방상부레일(111,112) 및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일측 단부에 힌지 설치하고, X형절첩대(114)의 타측 상하측 단부는 전후방상부레일(111,112) 및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안내홈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게 설치하고, 상기 전방하부레일(117)과 차량 베이스프레임(2)의 사이 및 후방하부레일(118)과 차량 베이스프레임(2)사이에는 실린더(120)가 각각 설치되며,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에는 X형절첩대(114)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결속하는 잠금너트가 구비된 힌지잠금볼트(123)와 고리부(124)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는 X형절첩대(114)의 단부에는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에 형성된 안내홈에 안내되는 안내구(115)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The truck equipped with a device for loading a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뒷바퀴 후방의 차량 베이스프레임 하방에 접이식지게차를 접은 상태로 적재할 수 있는 지게차 적재장치를 승하강되게 설치하되, 전후방향이 길게 제작된 접이식지게차가 화물차의 측방향으로 출입하여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화물차의 후방에서 차량의 전후길이방향으로 접이식지게차를 출입시킬 때 차량번호판을 설치하는 후면판이나 후방범퍼 등과 같은 후방구조물에 걸려서 접이식지게차의 출입이 불가능하였던 문제를 해결하고, 화물차가 좁은 공간에 정차된 상태에서 상하차작업을 할 때 화물차의 지게차 적재장치에 접이식지게차를 효율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접이식지게차 및 지게차적재대가 구비된 화물차에 대하여 특허출원하여 특허 등록된 바가 있다.
상기 종래특허(10-1569874)는 대형화물차의 뒷바퀴 후방의 차량베이스프레임 하방에 접이식지게차를 접은 상태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적재대를 소정의 각도만큼 승하강될 수 있게 설치하고, 접이식지게차는 접어진 상태에서도 자가구동으로 지게차적재대에 적재 및 하차되게 한다.
그리고, 지게차적재대에 접이식지게차가 적재된 뒤에는 지게차적재대를 힌지식으로 올려서 지게차적재대와 도로의 지면이 이격되게 한 상태에서 화물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차에 접이식지게차를 싣고 다니다가 그 화물차에 화물을 상하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차량의 지게차적재대에 싣고 다니던 접이식지게차를 내려서 화물을 상하차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은 화물차의 차량베이스프레임 하방에 접이식지게차를 접은 상태로 싣고 다니므로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을 감축시키지 않으면서 지게차를 싣고 다닐 수 있는 효과와, 그 화물차에 적재된 화물을 승하차하는 경우에 그 차량에 싣고 다니던 접이식지게차를 이용하여 화물을 상하차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화물차의 후방에서 차량의 전후길이방향으로 접이식지게차를 출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화물차의 후방에는 차량번호판을 설치하는 후면판이나 후방범퍼 등과 같은 후방구조물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대부분의 화물차들은 차량번호판이 설치되는 후면판 주변을 부분적으로 구조를 변경하는데, 그 후방구조물이 적재함으로부터 하측으로 하향 설치되어 지면과 후방구조물의 하단부 사이의 높이가 낮아서 접이식지게차가 진입할 만큼의 공간이 확보되지 않게 되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렇게 적재함의 후방하측에 접이식지게차가 진입할 공간이 확보되지 못함에 따라 종래의 발명에 포함되는 지게차적재대에는 접이식지게차를 적재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차량의 후방을 구조변경하지 않아 접이식지게차가 화물차의 후방에서 전방측 길이방향으로 출입이 가능한 경우라도 대형화물차는 그 길이가 길은 상태이고, 접이식지게차도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길기 때문에 접이식지게차를 화물차의 후방에서 지게차적재대로 출입할 때, 접이식지게차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이 추가로 확보되어야 하므로 공간이 좁은 곳에서는 접이식지게차를 화물차의 지게차적재대에 적재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를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569874호(발명의 명칭 : 접이식지게차 및 지게차적재대가 구비된 화물차)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물차의 뒷바퀴 후방의 차량 베이스프레임 하방에 접이식지게차를 접은 상태로 적재할 수 있는 지게차 적재장치를 승하강되게 설치하되, 전후방향이 길게 제작된 접이식지게차가 화물차의 측방향으로 출입하여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화물차의 후방에서 차량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접이식지게차를 출입시킬 때 차량번호판을 설치하는 후면판이나 후방범퍼 등과 같은 후방구조물에 걸려서 접이식지게차의 출입이 불가능하였던 문제를 해결하고, 화물차가 좁은 공간에 정차된 상태에서 상하차작업을 할 때 화물차의 지게차 적재장치에 접이식지게차를 효율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차의 뒷바퀴 후방의 차량 베이스프레임 하방에 마스트장치와 포크가 접히는 접이식지게차를 적재하는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 적재장치는 뒷바퀴 후방의 차량 베이스프레임에 전후방상부레일이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뒷바퀴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상부레일의 하부에는 접이식지게차가 화물차의 양측방으로 출입하여 적재되는 수평적재대가 설치되며, 이 수평적재대의 전후방에 전후방상부레일과 대응되는 전후방하부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상부레일과 전방하부레일의 사이 및 후방상부레일과 후방하부레일의 사이에는 X형절첩대가 각각 설치되며, X형절첩대의 일측 상하측 단부를 전후방상부레일 및 전후방하부레일의 일측 단부에 힌지 설치하고, X형절첩대의 타측 상하측 단부는 전후방상부레일 및 전후방하부레일의 안내홈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게 설치되고, 상기 전방하부레일과 차량 베이스프레임의 사이 및 후방하부레일과 차량 베이스프레임 사이에는 실린더가 각각 설치되며, 전후방상부레일과 전후방하부레일에는 X형절첩대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결속하는 잠금너트가 구비된 힌지잠금볼트와 고리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상부레일과 전후방하부레일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는 X형절첩대의 단부에는 전후방상부레일과 전후방하부레일에 형성된 안내홈에 안내되는 안내구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는, 화물차의 뒷바퀴 후방의 차량 베이스프레임 하방에 접이식지게차를 접은 상태로 적재할 수 있는 지게차 적재장치를 승하강되게 설치하되, 전후방향이 길게 제작된 접이식지게차가 화물차의 측방향으로 출입하여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화물차의 후방에서 차량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접이식지게차를 출입시킬 때 차량번호판을 설치하는 후면판이나 후방범퍼 등의 후방구조물에 걸려서 접이식지게차의 출입이 불가능하였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와, 화물차가 좁은 공간에 정차된 상태에서 화물차의 지게차 적재장치에 접이식지게차를 효율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화물차의 후방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적재장치가 화물차의 하방에 차폭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적재장치의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적재장치의 측면사시도.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적재장치에 접이식지게차가 적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적재장치에 적재되는 접이식지게차의 펼친 상태와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와 접이식지게차(20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의 지게차 적재장치(100)에 적재되는 접이식지게차(20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게차본체(201)의 전후방측 길이가 폭 보다 대폭(2배 내외만큼) 길게 제작되어지고, 그 지게차본체(201)의 전방에 마스트장치(202)와 포크(203)가 지게차본체(201)의 상측으로 접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접이식지게차(2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 등록된 종래발명(10-1569874)에 포함된 것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의한 지게차 적재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물차(4)의 뒷바퀴(3) 후방의 차량 베이스프레임(2) 하방에 차폭방향(좌우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화물차의 양측방에서 차량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인 화물차의 측방에서 지게차 적재장치(100)로 접이식지게차(200)가 출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게차 적재장치(100)는, 뒷바퀴(3) 후방의 차량 베이스프레임(2)에 전후방상부레일(111,112)이 전후방으로 접이식지게차(200)가 진출입할 수 있을 만큼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뒷바퀴축(6)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전후방상부레일(111,112)에는 힌지볼트(113)로서 "X"자로 교차되는 부분이 힌지 설치되는 X형절첩대(114)의 상단부를 각각 설치하되, 전후방측 X형절첩대(114)의 일측 단부는 전후방상부레일(111,112)의 일측 단부에 힌지식으로 설치하고, X형절첩대(114)의 또 다른 상단부는 전후방상부레일(111,112)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측 X형절첩대(114)의 양측 하단부는 상기 전후방상부레일(111,112)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전후방하부레일(117,118)에 설치하되, X형절첩대(114)의 일측 하단부는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일측 단부에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X형절첩대(114)의 또 다른 하단부는 전후방하부레일(117,118)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는 X형절첩대(114)의 단부에는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에 형성된 안내홈에 안내되는 안내구(115)가 설치되며, 상기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사이에는 접이식지게차(200)가 측방향으로 진출입하여 적재되는 판형 수평적재대(119)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레일(111,112,117,118)은 "C"형강형태로 안내홈 부분이 형성되고, 그 안내홈에 안내되는 안내구(115)는 안내홈에서 이탈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게 롤러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후방하부레일(117,118)과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차량 베이스프레임(2)의 사이에는 전후방측 X형절첩대(114)를 절첩시키는 실린더(120)가 각각 설치되고,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에는 전후방 X형절첩대(114)가 접혀진 상태를 결속하는 잠금너트가 구비된 힌지잠금볼트(123)와 고리부(12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너트가 구비된 힌지잠금볼트(123)와 고리부(124)는 수평적재대(119)가 상승했을 때, 수평적재대(119)가 하강하지 않고 제자리에 있게 홀딩하는 것으로서, 잠금너트가 구비된 힌지잠금볼트(123)와 고리부(124)는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전후방 단부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힌지잠금볼트(123)는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단부에 설치되며, 그에 대응되는 전후방상부레일(111,112)에는 힌지잠금볼트(123)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잠금너트가 걸리는 고리부(124)가 설치된다.
도면 부호 중 미설명 부호"1"은 화물차에 설치되는 적재함이고, "116"은 각각의 레일(111,112,117,118) 단부에 X형절첩대(114)의 단부를 힌지식으로 설치하는 힌지연결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지게차 적재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물차(4)의 뒷바퀴(3) 후방의 차량 베이스프레임(2) 하부에 화물차(4)의 차폭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접이식지게차(200)를 화물차(4)의 양측방에서 출입하여 적재할 수 있으며, 접이식지게차(200)가 적재되었을 때, 접이식지게차(200)의 전후방이 화물차(4)의 양측방을 향하게 적재된다.
이는 도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이식지게차(200)이 전후길이는 길고 폭은 좁기 때문에 화물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구조물(5)에 간섭을 받지 않고 접은 접이식지게차(200)를 지게차 적재장치(100)에 용이하게 진출입하며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게차 적재장치(100)에 접이식지게차(200)을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의 (나)와 같이 접이식지게차(200)의 마스트장치(202)와 포크(203)를 지게차본체(201)의 상측으로 접어서 접이식지게차(200)의 전후길이가 단축되고 높이가 낮아지게 하며, 지게차 적재장치(100)는 도 1 및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적재대(119)가 지면에 접하도록 하강시켜 접이식지게차(200)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그 다음에 접이식지게차(200)에 설치된 자가구동장치(미표시)를 동작시키면 접이식지게차(20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가 회전하게 되고 핸들을 조작하여 접은 접이식지게차(200)가 도 2와 같이 화물차(4)의 외측방에서 화물차(4)의 폭방향(좌우방향)으로 삽입시킨다.
위와 같이 수평적재대(119)를 하강시키는 작업은, 도 1 및 도 3,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 베이스프레임(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사이에 각각 설치된 실린더(120)의 전체길이가 길어지도록 실린더로드를 돌출시키게 되면, 실린더(120)의 길이가 길어질 때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실린더(120)의 하단부가 연결 설치된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이 하강하게 되고,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사이에 결합 설치된 수평적재대(119)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을 포함한 수평적재대(119)가 하강할 때, 차량 베이스프레임(2)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사이에는 X형절첩대(114)가 설치되어서 X형절첩대(114)가 힌지식으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X형절첩대(114)가 펼쳐지는 동작은 실린더(120)로 미는 힘에 의해 X형절첩대(114)와 힌지결합된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이 하강하게 되고, X형절첩대(114)의 교차된 부분에 설치된 힌지볼트(113)가 설치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타측은 각각의 레일(111,112,117,118)에 슬라이딩 안내되게 설치되면서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이 전후방에 결합 설치된 수평적재대(119)가 수평으로 하강하면서 X형절첩대(114)가 펼쳐지게 되고, 이렇게 하강하는 수평적재대(119)가 지면에 접촉하면 실린더(120)의 동작이 멈추어 접이식지게차(200)가 진입할 공간을 열어두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스트장치(202)와 포크(203)가 접어진 접이식지게차(200)를 자가구동으로 지게차 적재장치(100) 내측의 수평적재대(119)에 진입시키며, 위와 같이 지게차 적재장치(100)의 수평적재대(119)에 진입시킨 접이식지게차(200)가 수평적재대(119)의 정중앙에 도 2의 "A"와 같이 위치하게 되면 접이식지게차(200)를 정지시킨다.
그 다음에는 도 5의 (나)와 같이 지게차 적재장치(100)의 수평적재대(119)를 상승시켜서 접이식지게차(200)가 적재된 지게차 적재장치(100)의 수평적재대(119)가 지면으로부터 간격이 벌어지게 하여 화물차(4)가 주행할 때 수평적재대(119)의 저면이 지면에 접촉하지 않게 해야 한다.
위와 같이 수평적재대(119)를 상승시킬 때는 실린더(120)의 전체길이가 단축되게 하면 실린더(120)가 단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에 의해 수평적재대(119)을 포함한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이 상승하는데,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사이에는 X형절첩대(114)가 설치되어서 전후방측 X형절첩대(114)가 힌지식으로 접히면서 하부측 전후방하부레일(117,118)과 수평적재대(119)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X형절첩대(114)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X형절첩대(114)의 일측은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일측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또 다른 단부는 각각의 레일(111,112,117,118)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게 설치되어서 전후방측 X형절첩대(114)가 영문자 "X"자가 높은 형태에서 낮은 형태로 접히면서 수평적재대(119)를 포함한 전후방하부레일(117,118)가 접히면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접이식지게차(200)가 실린 수평적재대(119)를 포함한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이 상승할 때, 접이식지게차(200)의 지게차본체(201) 소정위치에는 고무블록이나 연질합성수지블록, 목재블록과 같은 완충블록(204)을 설치하여서 접이식지게차(200)이 최고 높이까지 올라가게 되면, 상기 완충블록(204)이 금속재로 된 차량 베이스프레임(2)의 저면에 밀착된다.
이렇게 완충블록(204)이 차량 베이스프레임(2)의 저면에 밀착하면 수평적재대(119)의 상승을 정지시키고, 각각의 전후방상부레일(111,112)의 단부에 설치된 잠금너트가 구비된 힌지잠금볼트(123)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단부에 설치된 고리부(124)에 걸어서 차량이 주행 중일 때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수평적재대(119)가 하강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위와 같이 잠금너트가 구비된 힌지잠금볼트(123)를 고리부(124)에 걸었을 때, 완충블록(204)이 압축되면서 팽창하려는 소정의 탄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접이식지게차(200)가 지게차 적재장치(100)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적재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접이식지게차(200)를 적재하는 지게차 적재장치(100)가 화물차(4)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이 되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접이식지게차(200)를 적재시킬 때, 후방구조물(5)에 걸리는 등의 간섭이 생기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하여 뒷바퀴(3) 후방의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좁은 공간에서도 접이식지게차(200)를 화물차(4)의 지게차 적재장치(100)에 간편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적재함 2 : 차량 베이스프레임 3 : 뒷바퀴
4 : 화물차 5 : 후방구조물 6 : 뒷바퀴축
100 : 지게차 적재장치 111 : 전방상부레일 112 : 후방상부레일
113 : 힌지볼트 114 : X형절첩대 115 : 안내구
116 : 힌지연결부 117 : 전방하부레일 118 : 후방하부레일
119 : 수평적재대 120 : 실린더 123 : 힌지잠금볼트
124 : 고리부 200 : 접이식지게차 201 : 지게차본체 202 : 마스트장치 203 : 포크 204 : 완충블록

Claims (2)

  1. 화물차(4)의 뒷바퀴(3) 후방의 차량 베이스프레임(2) 하방에 마스트장치(202)와 포크(203)가 접히는 접이식지게차(200)를 적재하는 지게차 적재장치(100)가 구비된 화물차(4)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 적재장치(100)는 뒷바퀴(3) 후방의 차량 베이스프레임(2)에 전후방상부레일(111,112)이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뒷바퀴축(6)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상부레일(111,112)의 하부에는 접이식지게차(200)가 화물차의 양측방으로 출입하여 적재되는 수평적재대(119)가 설치되며, 이 수평적재대(119)의 전후방에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대응되는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상부레일(111)과 전방하부레일(117)의 사이 및 후방상부레일(112)과 후방하부레일(118)의 사이에는 X형절첩대(114)가 각각 설치되며, X형절첩대(114)의 일측 상하측 단부를 전후방상부레일(111,112) 및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일측 단부에 힌지 설치하고, X형절첩대(114)의 타측 상하측 단부는 전후방상부레일(111,112) 및 전후방하부레일(117,118)의 안내홈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게 설치되고,
    상기 전방하부레일(117)과 차량 베이스프레임(2)의 사이 및 후방하부레일(118)과 차량 베이스프레임(2)사이에는 실린더(120)가 각각 설치되며,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에는 X형절첩대(114)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결속하는 잠금너트가 구비된 힌지잠금볼트(123)와 고리부(124)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는 X형절첩대(114)의 단부에는 전후방상부레일(111,112)과 전후방하부레일(117,118)에 형성된 안내홈에 안내되는 안내구(115)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2. 삭제
KR1020160025063A 2016-03-02 2016-03-02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KR101650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063A KR101650889B1 (ko) 2016-03-02 2016-03-02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063A KR101650889B1 (ko) 2016-03-02 2016-03-02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889B1 true KR101650889B1 (ko) 2016-08-25

Family

ID=5688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063A KR101650889B1 (ko) 2016-03-02 2016-03-02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051A (ko) 2018-01-16 2019-07-24 (주)무창 화물차량 일체형 지게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게장치 일체형 기능성 화물차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874B1 (ko) 2014-09-29 2015-11-17 한성웰텍 (주) 접이식지게차 및 지게차적재대가 구비된 화물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874B1 (ko) 2014-09-29 2015-11-17 한성웰텍 (주) 접이식지게차 및 지게차적재대가 구비된 화물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051A (ko) 2018-01-16 2019-07-24 (주)무창 화물차량 일체형 지게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게장치 일체형 기능성 화물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1369B2 (ja) 貨物用ラック
US8591164B2 (en) Combination ladder rack and loading device for use with a pickup truck and a method for its use
US20100104408A1 (en) Trailer for transporting freight containers and method of use
KR102433584B1 (ko) 공수 가능한 포크리프트 및 적재 방법
KR101569874B1 (ko) 접이식지게차 및 지게차적재대가 구비된 화물차
KR101591415B1 (ko) 승용차량의 적재물 승강장치
US9550442B2 (en) Loading device
KR101650889B1 (ko)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US8905703B2 (en) Lift gate assembly with pedal opener
US20090115238A1 (en) Truck Bed Lifting Device and Method
KR102081323B1 (ko) 특장차용 발판
US20060182567A1 (en) Glass loading rack
KR101612505B1 (ko) 화물차용 승강받침대
JP2007099247A (ja) 貨物自動車用リフト装置
JP2017024508A (ja) 拡幅車両における車体拡幅構造
KR200231143Y1 (ko) 차량운반용 트럭
US5374155A (en) Stowable load stabilizer for forklift mast
JP3965405B2 (ja) ストッパ装置、これを用いた荷受台及び荷受台昇降装置
CN220662364U (zh) 一种货运车落地装卸结构
JP7212659B2 (ja) 荷箱移動機構
CN111727134B (zh) 用于运输车辆的底盘组件
JP5507918B2 (ja) トラック
JP2008110640A (ja) 荷受台昇降装置
JP3965406B2 (ja) 荷受台及びこれを用いた荷受台昇降装置
KR101822504B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의 고임목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