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539B1 -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 Google Patents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539B1
KR102585539B1 KR1020230057696A KR20230057696A KR102585539B1 KR 102585539 B1 KR102585539 B1 KR 102585539B1 KR 1020230057696 A KR1020230057696 A KR 1020230057696A KR 20230057696 A KR20230057696 A KR 20230057696A KR 102585539 B1 KR102585539 B1 KR 102585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upport
fixing
fixe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학수
Original Assignee
삼성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로 적재된 적재물에 대한 운반시, 운반하기 적합한 소요 높이로의 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적재물에 대한 운반이 편한 자세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 등의 인체에 가해지는 힘이 최소가 되면서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AUTOMATIC HEIGHT ADJUSTMENT TABLE LIFT}
본 발명은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로 적재된 적재물에 대한 운반시, 운반하기 적합한 소요 높이로의 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적재물에 대한 운반이 편한 자세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 등의 인체에 가해지는 힘이 최소가 되면서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트는 고소에 물건을 올리거나 조립이나 수리 등을 위해 중량체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리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리프트 중에서 테이블리프트는 X자형으로 된 신축아암에 의해 승강되는 테이블 상에 각종 적재물을 안착시켜 사용한다.
이러한 테이블리프트는 통상 받침대, 받침대 상에 설치되는 X자형의 신축아암, 신축아암을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 및 신축아암의 상단에 설치되는 테이블로 이루어진다.
테이블은 적재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실린더의 지지력과 구동에 의해 일정 높이로 리프팅 됨과 동시에 적재물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적재물에 대한 운반 및 다른 곳으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블리프트는 적재된 적재물을 다른 공정 등으로 이동하거나 운반하기 적합한 소요 높이로의 조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적재된 적재물을 이동시키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적재물의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작업자 등이 적재물을 소요 높이까지 반복적으로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87225호(2010.10.1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로 적재된 적재물에 대한 운반시, 운반하기 적합한 소요 높이로의 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적재물에 대한 운반이 편한 자세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 등의 인체에 가해지는 힘이 최소가 되면서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테이블;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테이블을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테이블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테이블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로 적재된 적재물의 운반시, 적재물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지센서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테이블의 일측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으로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기 감지센서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후단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테이블의 일측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를 통과하는 한편, 상기 고정부재로 나사결합되면서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테이블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으로 밀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받침부는 후단부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단부가 고정되며 전단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결합되며 상부면에 상기 수직이동부가 고정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을 상기 하우징에 인출, 인입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받침판의 후단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상기 받침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잠금돌기; 및 상기 잠금돌기로 나사결합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받침부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다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다리는 접이시 수평을 이루며 하우징으로 밀착되는 한편, 펴짐시, 수직을 이루며 설치대상면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이동부는 하부가 상기 받침판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일측에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하부바; 하부가 상기 하부바의 내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감지센서가 배치되는 상부바; 상기 상부바를 상기 하부바에 고정하는 결속수단; 및 상기 상부바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하부바의 상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상부바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면서 상기 하부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속바; 상기 결속바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상부바를 상기 하부바에 결속하는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와 상기 하부바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바로부터 상기 감지센서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기 상부바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관; 후단부에 상기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전단부가 상기 수평관을 통과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수평관으로부터 상기 이동바의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평관은 내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는 외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홈부로 인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며, 이탈방지부재는 링 형태를 이루면서 이동바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탄성줄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수평관의 내주면이나 상기 이동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블로 적재된 적재물에 대한 다른 공정 등으로의 운반시, 운반하기 적합한 소요 높이로의 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적재물에 대한 운반이 편한 자세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 등의 인체에 가해지는 힘이 최소가 되면서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고정부 및 받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수직이동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서 수평이동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이하 "테이블리프트"라 한다)(100)는 지지프레임(110), 지지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테이블(120),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10)으로부터 테이블(120)을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30) 및 테이블(120)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140)를 포함하는 테이블리프트로서, 테이블(120)로 적재된 적재물의 운반시, 적재물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50) 및 감지센서(1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실린더(14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10)은 실외 지면이나 실내 바닥면 등을 포함하는 설치대상면으로 테이블리프트(100)를 지지하며 사각링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에는 복수의 바퀴가 구비되면서 이동성이 확보될 수 있다.
테이블(120)은 사각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부로 적재대상물이 적재될 수 있다.
지지대(130)는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부가 힌지로 결합되며, 상부 양단 중 일단이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테이블에 회전 및 전후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부 양단 중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및 전후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실린더(140)는 지지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구동에 따라 지지대(130)가 접이되거나 펴질 수 있도록 하여 테이블(1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110), 테이블(120), 지지대(130) 및 실린더(140)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리프트(100)는 테이블로 적재된 적재물의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테이블의 높이가 자동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여 테이블로 적재된 적재물에 대한 운반시, 운반하기 적합한 소요 높이로의 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테이블리프트(100)는 테이블로 적재된 적재물에 대한 운반시, 작업자 등이 편한 자세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 등의 인체에 가해지는 힘이 최소가 되면서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이블리프트(100)는 감지센서(150) 및 제어부(160)를 더 포함한다.
적재물은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판상으로 이루어져 테이블로 적어도 2개층 이상을 이루며 적재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센서(150)는 테이블(120)로 적어도 2층 이상을 이루며 적재된 적재물을 다른 곳 예를 들어, 다른 공정 등을 위해 운반하는 과정에서 처음 상태의 층수가 갖는 높이에서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150)는 최상층에 배치되는 최상층적재물(A)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최상층적재물(A)이 다른 곳으로 운반되면, 높이 변화가 발생됐음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150)는 실린더(140)의 구동에 따라 테이블(120)이 승강되면서 최상층적재물(A) 아래의 차상층적재물(B)이 최상층적재물(A)이 있었던 곳에 위치되면, 높이가 원상태로 됐음을 감지할 있다.
즉, 감지센서(150)는 테이블(120)로 적재된 적재물의 높이 변화가 발생됐음을 감지하는 이상신호와 함께 테이블의 승강으로 높이가 원상태로 됐음을 감지하는 정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감지센서(150)의 이상신호에 따라 실린더(140)가 구동되도록 하고 감지센서(150)의 정상신호에 따라 실린더가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테이블리프트(100)는 테이블로 적재된 적재물의 운반시, 적재물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더라도 최상층의 적재물이 항시 같은 위치에 이른 상태에서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100)는 테이블(120) 또는 지지프레임(110)으로부터 감지센서(15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200)는 감지센서(150)와 테이블(120)로 적재되는 적재물 중 최상층적재물(A) 간의 거리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장치(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20)의 일측 또는 지지프레임(110)의 일측으로 고정되는 고정부(210), 고정부(210)에 지지되는 받침부(220), 받침부(220)로부터 감지센서(150)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이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0)는 후단부가 개방되면서 'ㄷ'자 형태를 이루며 테이블(120)의 일측 또는 지지프레임(110)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11), 고정프레임(211)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12), 상부에 손잡이(213a)가 형성되고 하부가 고정부재(212)로 나사결합되며 조임 회전에 따라 하강되면서 테이블(120) 또는 지지프레임(110)으로 밀착되는 고정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200)는 테이블(120)로 안착되는 적재물의 크기 등에 따라 고정구(213)를 결속 또는 결속해제하면서 테이블(120)이나 지지프레임(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 조정될 수 있다.
지지장치(200)는 미사용시, 고정부(210)를 테이블(120)이나 지지프레임(110)으로부터 결속해제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받침부(220)는 후단부에 고정프레임(211)의 전단부가 고정되며 전단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홀(221a)이 형성되는 하우징(221), 하우징(221)의 내부로 결합되며 상부면에 수직이동부(230)가 고정되는 받침판(222) 및 받침판(222)을 하우징(221)에 인출, 인입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2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21)은 전단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받침판(222)이 수용되고 상부에 이동홀(221a)이 형성되면서 감지센서(150)에 대한 전후 위치 조정을 위한 받침판(222)의 이동에 따라 수직이동부(230)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21)은 일측에 가이드홀(221b)이 형성된다.
고정수단(223)은 일단부가 받침판(222)의 후단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이드홀(221b)을 통과하여 받침판(2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잠금돌기(224) 및 잠금돌기(224)로 나사결합되는 잠금부재(225)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판(222)은 하우징(221)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전단부가 하우징(221)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손 등으로의 파지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받침판(222)은 하우징(221)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의 가압을 통해 하우징(22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잠금부재(225)는 조임 회전에 따라 하우징(221)로 밀착되면서 받침판(222)에 대한 이동을 잠금하는 한편, 풀림 회전에 따라 하우징(221)으로부터 밀착해제되면서 받침판(222)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감지센서(150)는 받침판(222)의 이동을 통해 적절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받침부(220)는 일단부가 하우징(221)의 전단부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다리(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다리(226)는 접이시 수평을 이루며 하우징(221)으로 밀착되는 한편, 펴짐시, 수직을 이루며 설치대상면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21)은 후단부가 고정부(210)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전단부가 지지다리(226)에 의해 지지되면서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수직이동부(230)는 하부가 받침판(222)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일측에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231a)이 형성되는 하부바(231), 하부가 하부바(231)의 내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감지센서(150)가 배치되는 상부바(232), 상부바(232)를 하부바(231)에 고정하는 결속수단(233) 및 상부바(2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하부바(231)의 상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부바(232)가 하부바(2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캡(23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바(231)는 원통 형태를 이루면서 하부가 받침판(222)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상부바(232)는 원형봉 형태를 이루면서 하부가 하부바(231)의 상부 내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속수단(233)은 일단부가 상부바(232)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이드공(231a)을 통과하면서 하부바(2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속바(235) 및 결속바(235)로 나사결합되면서 상부바(232)를 하부바(231)에 결속하는 결속부재(236)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부재(236)는 조임 회전에 따라 상부바(232)가 하부바(231)로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결속부재(236)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부바(232)가 하부바(231)와 밀착해제되면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센서(15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결속수단(233)은 결속부재(236)와 하부바(231) 간에 위치되도록 결속바(235)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미끄럼방지부재(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237)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속부재(236)의 조임 회전에 따라 압착되면서 결속부재(236)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237)는 상부바(232)의 하강시, 하부바(23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이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마감캡(234)은 높이조절바(139)의 승강시, 결속바(235)와 접하면서 하부바(231)로부터 상부바(23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장치(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232)로부터 감지센서(150)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이동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이동부(240)는 상부바(232)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관(241), 후단부에 감지센서(150)가 설치되고 전단부가 수평관(241)을 통과하는 이동바(242), 이동바(242)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243) 및 수평관(241)으로부터 이동바(242)의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수단(244)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관(241)과 이동바(242)는 암수결합을 통해 이동바(242)의 이동시, 감지센서(15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관(241)은 내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홈부(241a)가 형성되고, 이동바(242)는 외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홈부(241a)로 인입되는 돌기(24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243)는 링 형태를 이루면서 이동바(24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탄성줄일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243)는 감지센서(150)에 대한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이동을 통해 수평관(241)과 접하면서 외력 등에 의해 이동바(242)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잠금수단(244)은 수평관(241)의 내주면이나 이동바(24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마찰부재(244a)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244a)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찰부재(244a)는 이동바(24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마찰에 의해 이동바(242)의 이동이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동바(242)로의 이동을 정지시킴에 따라 이동바(242)에 대한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감지센서(150)는 상부바(232)의 상하 이동, 받침판(222)의 전후 이동 및 이동바(242)의 전후 이동을 통해 테이블(120)로 적재되는 적재물 중 최상층적재물(A)에 대한 적정 감지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감지센서(150)는 초기 테이블(120)로 적재된 적재물 중 최상층적재물(A)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정된 후에는 위치 조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테이블(120)로 적재된 적재물을 운반할 때 생기는 높이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테이블리프트(100)는 테이블(120)로 적재된 적재물에 대한 운반시, 운반하기 적합한 소요 높이로의 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테이블리프트(100)는 적재물에 대한 운반이 편한 자세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 등의 인체에 가해지는 힘이 최소가 되면서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테이블리프트 110 : 지지프레임
120 : 테이블 130 : 지지대
140 : 실린더 150 : 감지센서
160 : 제어부 200 : 지지장치
210 : 고정부 220 : 받침부
230 : 수직이동부 240 : 수평이동부

Claims (8)

  1. 삭제
  2.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테이블;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테이블을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테이블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테이블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로 적재된 적재물의 운반시, 적재물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테이블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감지센서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테이블의 일측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으로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기 감지센서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후단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테이블의 일측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를 통과하는 한편, 상기 고정부재로 나사결합되면서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테이블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으로 밀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후단부에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단부가 고정되며 전단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결합되며 상부면에 상기 수직이동부가 고정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을 상기 하우징에 인출, 인입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받침판의 후단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상기 받침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잠금돌기; 및
    상기 잠금돌기로 나사결합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다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다리는 접이시 수평을 이루며 하우징으로 밀착되는 한편, 펴짐시, 수직을 이루며 설치대상면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는
    하부가 상기 받침판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일측에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하부바;
    하부가 상기 하부바의 내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감지센서가 배치되는 상부바;
    상기 상부바를 상기 하부바에 고정하는 결속수단; 및
    상기 상부바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하부바의 상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상부바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면서 상기 하부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속바;
    상기 결속바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상부바를 상기 하부바에 결속하는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와 상기 하부바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속바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바로부터 상기 감지센서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기 상부바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관;
    후단부에 상기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전단부가 상기 수평관을 통과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수평관으로부터 상기 이동바의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은 내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는 외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홈부로 인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며,
    이탈방지부재는 링 형태를 이루면서 이동바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탄성줄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수평관의 내주면이나 상기 이동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KR1020230057696A 2023-05-03 2023-05-03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KR102585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696A KR102585539B1 (ko) 2023-05-03 2023-05-03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696A KR102585539B1 (ko) 2023-05-03 2023-05-03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539B1 true KR102585539B1 (ko) 2023-10-06

Family

ID=8829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696A KR102585539B1 (ko) 2023-05-03 2023-05-03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5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300A (ja) * 1998-06-16 2000-01-07 Uchida Seihon Kako:Kk 昇降機のテーブル昇降制御装置
US20060006726A1 (en) * 2004-07-12 2006-01-12 Garvey William R Height adjustable dumping apparatus
KR100987225B1 (ko) 2009-11-06 2010-10-12 김석일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20120005799U (ko) * 2011-02-08 2012-08-17 전광표 덤프 운반차
KR20200098371A (ko) * 2019-02-12 2020-08-20 박철규 계단승강 리프트
JP2021062765A (ja) * 2019-10-15 2021-04-22 タイムオートマシン株式会社 台車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300A (ja) * 1998-06-16 2000-01-07 Uchida Seihon Kako:Kk 昇降機のテーブル昇降制御装置
US20060006726A1 (en) * 2004-07-12 2006-01-12 Garvey William R Height adjustable dumping apparatus
KR100987225B1 (ko) 2009-11-06 2010-10-12 김석일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20120005799U (ko) * 2011-02-08 2012-08-17 전광표 덤프 운반차
KR20200098371A (ko) * 2019-02-12 2020-08-20 박철규 계단승강 리프트
JP2021062765A (ja) * 2019-10-15 2021-04-22 タイムオートマシン株式会社 台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347B1 (ko) 다단계 절첩식 스테이지
US8276858B1 (en) Combination stand and jack for wire spools
US7690408B2 (en) Workbench for power tool
EP1761454B1 (en) Window crane
KR101524763B1 (ko) 고가 사다리차
KR102585539B1 (ko)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KR101639418B1 (ko)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
US2939590A (en) Work hoist
US6631878B1 (en) Adjustable base support mount for HVAC equipment
US5090667A (en) Collapsible mobile base for cable hoists
US10172447B2 (en) Adjustable height desktop workstation
US5303899A (en) Apparatus for lifting construction elements
KR101635367B1 (ko) 운반장치
US3458057A (en) Door handling fixture
EP2116669B1 (en) Aerial Lift with material support assembly
US20110052356A1 (en) Multidimensional Lifting Handtruck
US5685392A (en) Multiple lift platform with lateral movement
JP6657039B2 (ja) 荷揚装置
KR102409163B1 (ko) 칸막이 판넬용 운반 대차
CN206687473U (zh) 一种露营物品和用于露营物品的高度可调节的腿
KR200482238Y1 (ko) 맨홀 커버 개폐 장치
KR102101165B1 (ko) 사다리와 결합하는 조립용 이송장치
US20180086612A1 (en) Lift Device for HVAC Unit
KR102442501B1 (ko) 고정수단 장치를 구비한 핸드 크레인
GB2415183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