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371A - 계단승강 리프트 - Google Patents

계단승강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371A
KR20200098371A KR1020190095285A KR20190095285A KR20200098371A KR 20200098371 A KR20200098371 A KR 20200098371A KR 1020190095285 A KR1020190095285 A KR 1020190095285A KR 20190095285 A KR20190095285 A KR 20190095285A KR 20200098371 A KR20200098371 A KR 20200098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joint
operation unit
sprocke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751B1 (ko
Inventor
박철규
엄성영
Original Assignee
박철규
엄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규, 엄성영 filed Critical 박철규
Publication of KR20200098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75Tracked vehicles for ascending or descending stairs, steep slopes or vert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4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62D55/125Fina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5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haracterised by the ground engaging elements, e.g. wheel type
    • B62B2301/25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haracterised by the ground engaging elements, e.g. wheel type by using endless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확장가능한 확장부(18a)를 구비하고, 상면에 화물(W)을 적재하는 적재대(18); 상기 적재대(18)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적재대 수평 유지모듈; 상기 적재대(18)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18)에 대한 승강 또는 덤핑 작용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 상기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는 박스형의 하우징(28); 상기 하우징(28)의 양측에 연결, 설치된 한쌍의 무한궤도(21); 및 상기 무한궤도(21)를 구동시킬 수 있는 상기 하우징(28) 내에 설치된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한궤도(21)는, 내부에, 상기 하우징(28)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과 각도에 따라 상하로 비스듬하게 움직여서 무게를 분산시키도록 작동하는 스프라켓 작동부(A);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에 관절연결되어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전측에서 하중분산효과를 주는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에 관절연결되어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후측에서 하중분산효과를 주는 후측 보조롤러 작동부(C); 및 상기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에 관절연결되어 계단 등반시 앞쪽에서 작동부가 아래로 내려와 상기 무한궤도(21)를 변형시키도록 작동하는 아이들 롤러 작동부(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단승강 리프트{Stairway Ascending And Descending Lift}
본 발명은 전후 확장가능한 확장부(18a)를 구비하고, 상면에 화물(W)을 적재하는 적재대(18); 상기 적재대(18)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적재대 수평 유지모듈; 상기 적재대(18)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18)에 대한 승강 또는 덤핑 작용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 상기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는 박스형의 하우징(28); 상기 하우징(28)의 양측에 연결, 설치된 한쌍의 무한궤도(21); 및 상기 무한궤도(21)를 구동시킬 수 있는 상기 하우징(28) 내에 설치된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한궤도(21)는, 내부에, 상기 하우징(28)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과 각도에 따라 상하로 비스듬하게 움직여서 무게를 분산시키도록 작동하는 스프라켓 작동부(A);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에 관절연결되어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전측에서 하중분산효과를 주는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에 관절연결되어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후측에서 하중분산효과를 주는 후측 보조롤러 작동부(C); 및 상기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에 관절연결되어 계단 등반시 앞쪽에서 작동부가 아래로 내려와 상기 무한궤도(21)를 변형시키도록 작동하는 아이들 롤러 작동부(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건물 내부에서 비교적 낮은 층수로 물건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계단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계단을 올라갈 수 있는 계단승강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사람의 힘에 의존하지 않고, 편리하게 일정한 하중을 가지는 물건 등을 윗층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현재까지 상술한 바와 같은 계단승강장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것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관절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리에 의한 방식이나 차륜에 의한 방식 또는 케터필러를 이용하는 크롤러(crawler)에 의한 방식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
관절 운동을 수행하는 다리에 의한 방식은, 인간 또는 동물의 보행해석을 기구적으로 구현한 것으로 기구적으로 복잡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경제적 및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큰 하중을 지지하면서 계단을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동시에 구비하지 않으면 안되는 단점도 지적된다.
그리고 차륜에 의한 방식에 있어서는, 평지에서의 주행 성능은 우수하지만, 각각의 바퀴가 계단을 올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잡한 기구적인 구성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계단 승강시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크롤러 방식에 의하면, 계단을 올라갈 수는 있으나 무거운 화물을 적재대에 적재하고 올라가는 경우에는 처음의 계단을 올라갈 수 있도록 구성하는 부분에서 다소 어려움이 제기되고 있으며, 계단을 올라가는 도중에는 상기 무거운 화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 없어 안정성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크롤러 방식에 의하면, 상기 적재대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부피를 많이 차지하면서 복잡한 기구적인 구성을 구비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크롤러 방식에 의하면, 처음의 계단을 올라갈 때 또는 올라가는 도중에 케터필러가 계단이나 다른 장애물에 부딪히는 경우에 충격을 그대로 전달받아 계단승강장치 본체 또는 계단승강장치의 적재대 상에 놓여 있는 화물에 그대로 전달되어 화물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크롤러 방식에 의하면, 계단을 올라간 후에 빌라, 상가 등의 저층 천정 공사 시 또는 지하철, 대형 시설물의 실내의 높은 곳에서 화물을 이용한 작업이 필요할 때에 계단승강장치 자체는 사다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작업자는 별도의 사다리 위에서 화물을 이용하여 작업해야만 하는 결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4755호(2003.02.20.)
본 발명에 의한 계단승강 리프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거운 화물을 적재대에 적재하고 올라가는 경우 처음의 계단을 올라갈 수 있도록 구성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이 없으며, 계단을 올라가는 도중에는 무거운 화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을 구비하여 안정성을 확보한 계단승강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물 적재대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에서 부피를 적게 차지하면서 간단한 구성을 구비한 계단승강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처음의 계단을 올라갈 때 또는 올라가는 도중에 무한궤도가 계단이나 다른 장애물에 부딪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계단승강장치 본체 또는 계단승강장치의 적재대 상에 놓여 있는 화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 또는 저감시켜 화물 파손 우려를 저감하는 계단승강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목적은, 계단을 올라간 후에 빌라, 상가 등의 저층 천정 공사 시 또는 지하철, 대형 시설물의 실내의 높은 곳에서 화물을 이용한 작업이 필요할 때에 적재대를 승강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별도의 사다리 위에서 화물을 이용하여 작업할 필요없이 적재대에 탑승하여 화물을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는 계단승강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계단승강 리프트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전후 확장가능한 확장부(18a)를 구비하고, 상면에 화물(W)을 적재하는 적재대(18); 상기 적재대(18)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적재대 수평 유지모듈; 상기 적재대(18)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18)에 대한 승강 또는 덤핑 작용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 상기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는 박스형의 하우징(28); 상기 하우징(28)의 양측에 연결, 설치된 한쌍의 무한궤도(21); 및 상기 무한궤도(21)를 구동시킬 수 있는 상기 하우징(28) 내에 설치된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한궤도(21)는, 내부에, 상기 하우징(28)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과 각도에 따라 상하로 비스듬하게 움직여서 무게를 분산시키도록 작동하는 스프라켓 작동부(A);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에 관절연결되어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전측에서 하중분산효과를 주는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에 관절연결되어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후측에서 하중분산효과를 주는 후측 보조롤러 작동부(C); 및 상기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에 관절연결되어 계단 등반시 앞쪽에서 작동부가 아래로 내려와 상기 무한궤도(21)를 변형시키도록 작동하는 아이들 롤러 작동부(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는, 상기 구동수단의 축에 관절연결된 스프라켓 관절축(14)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여 상기 무한궤도(21)를 구동시키는 스프라켓(15), 상기 스프라켓 관절축(14)과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구동수단의 축에 일단이 관절연결된 제1 축(26), 및 상기 하우징(28)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 관절축(14)의 일측의 단부에 접하는 수평축(12a)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축(26)에 타단이 연결되어 설치된 스프라켓 리어 관절쇼바(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는, 상기 제1 축(26)의 타단이 관절연결된 부분에 상측이 관절연결된 제1 보조트랙 관절축(9), 상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의 하단에 관절연결된 지지부(6s), 및 상기 지지부(6s)의 하부 양측에 연결된 전측 보조트랙롤러(6)를 포함하고, 상기 후측 보조롤러 작동부(C)는, 상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과 X자 형태로 교차되어 교차된 부분이 관절연결된 제2 보조트랙 관절축(9a), 상기 제2 보조트랙 관절축(9a)의 하단에 관절연결된 지지부(6s), 및 상기 지지부(6s)의 하부 양측에 연결된 후측 보조트랙롤러(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계단승강 리프트는, 상기 구성에, 상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의 상단과 상기 제2 보조트랙 관절축(9a)의 상단에 양단이 연결된 보조 트렉 롤러 리어 쇼바(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이들 롤러 작동부(D)는, 상기 제1 축(26)의 타단이 관절연결된 부분에 일측이 관절연결된 제2 축(27), 상기 제2 축(27)의 타측이 관절연결된 축(5) 부분에 일측이 관절연결된 외측 아이들 관절(5a), 상기 외측 아이들 관절(5a)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내측 아이들 관절(5b), 상기 내측 아이들 관절(5b)의 타측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아이들 롤러(2)와 트랙 롤러(3), 및 상기 내측 아이들 관절(5b)과 외측 아이들 관절(5a)의 사이에 설치된 장력 스프링(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은, 상기 적재대(18)의 양측방의 하측에서 각각 두 개의 링크가 X자 형태로 교차되어 교차된 부분이 관절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링크의 좌측 단부는 각각 상기 적재대(18)에, 그리고 상기 하우징(28)의 상면에 배치된 제1 지지판(28a)의 상면에 배치된 제2 지지판(28b)으로서, 측방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에서는 상측이 개방된 요홈을 구비한 제2 지지판(28b)에 힌지(25, 25a)로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링크의 우측 단부는 각각, 상기 적재대(18) 내에서 측방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지지판(28b)의 상기 요홈 내에도 상측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설치된 레일(R)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M), 및 상기 이동체(M)가 구비된 쪽의 반대쪽에 구비된 핀(P)을 가지는 사다리 프레임(17); 상기 두 개의 링크의 우측 단부 중 아래 쪽에 위치하는 우측 단부에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고 타단이 갈고리 모양의 후크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링크의 우측 단부들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였을 때 상기 후크를 상기 핀(P)에 끼워 고정하였다가 고정 해제할 수 있어 상기 사다리 프레임(17)의 상기 두 개의 링크를 서로 고정하였다가 고정 해제할 수 있는 사다리 프레임 고정장치(17L); 원통형 실린더 부분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 지지판(28a)에 힌지연결되어 있고, 상기 적재대(18)의 양측방의 하측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사다리 프레임(17)의 두 개의 링크 중 상기 제2 지지판(28b)에 상기 힌지(25a)로 연결된 링크의 상기 교차된 부분과 상기 힌지(25a) 사이의 부분들을 연결하는 연결봉(17a)에 상기 원통형 실린더로부터 출몰하는 로드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유압실린더(19); 및 상기 사다리 프레임(17)이 상기 힌지(25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사다리 프레임(17)의 이동체(M)를 상기 레일(R)에 수용되도록 하여 고정하였다가 상기 레일(R)의 개방된 상측의 일부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고정해제할 수 있는 덤프락(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대 수평 유지모듈은, 상기 덤프락(24)이 고정해제되고 상기 사다리 프레임 고정장치(17L)가 상기 두 개의 링크를 서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적재대(18)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센서; 및 상기 수평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하우징(28)에 설치된 유압파워팩(10)을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19)를 구동하도록 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콘트롤러 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은 0.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축을 구비한 모터(11); 축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11)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시키는 감속기(13); 및 상기 감속기(13)의 축과 스프라켓(15)의 축 사이에 설치된 체인(14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계단승강 리프트는, 상기 구성에, 상기 하우징(28)에 연결된 수평축에 중심이 결합되고,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무한궤도(21)에 접하며, 회전할 수 있는 상부롤러(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계단승강 리프트는, 상기 구성에, 상기 외측 아이들 관절(5a)의 상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축(27)의 상측에 타측이 연결된 아이들 관절 리어쇼바(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계단승강 리프트는, 상기 구성에, 상기 제2 축(27)의 상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상부롤러(8)에 접하는 상기 무한궤도(21)의 부분을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상기 무한궤도(21)와 평행하게 연장된 가로축(27a); 및 상기 상부롤러용 축(27a)의 타측에 일측이 관절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과 X자 형태로 교차되어 교차된 부분에 타측이 관절연결된 세로축(27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계단승강 리프트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무거운 화물을 적재대에 적재하고 올라가는 경우 처음의 계단을 올라갈 수 있도록 구성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이 없으며, 계단을 올라가는 도중에는 무거운 화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을 구비하여 안정성을 확보한 계단승강 리프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화물 적재대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에서 부피를 적게 차지하면서 간단한 구성을 구비한 계단승강 리프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처음의 계단을 올라갈 때 또는 올라가는 도중에 무한궤도가 계단이나 다른 장애물에 부딪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계단승강장치 본체 또는 계단승강장치의 적재대 상에 놓여 있는 화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 또는 저감시켜 화물 파손 우려를 저감하는 계단승강 리프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계단을 올라간 후에 빌라, 상가 등의 저층 천정 공사 시 또는 지하철, 대형 시설물의 실내의 높은 곳에서 화물을 이용한 작업이 필요할 때에 적재대를 승강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별도의 사다리 위에서 화물을 이용하여 작업할 필요없이 적재대에 탑승하여 화물을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는 계단승강 리프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승강 리프트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승강 리프트의 배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계단승강 리프트의 사다리 프레임이 적재대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a의 계단승강 리프트의 적재대를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덤핑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a의 계단승강 리프트가 계단을 올라갈 때 무한궤도의 우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적재대가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a의 계단승강 리프트가 무한궤도의 우하단을 지면에서 이격되게 하여 계단을 올라가면서 적재대가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a의 계단승강 리프트의 무한궤도 내부에 배치된 네개의 작동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네개의 작동부 중 아이들 롤러 작동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네개의 작동부 중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와 후측 보조롤러 작동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네개의 작동부 중 스프라켓 작동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승강 리프트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승강 리프트의 배면도이며, 도 2a는 도 1a의 계단승강 리프트의 사다리 프레임이 적재대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a의 계단승강 리프트의 적재대를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덤핑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a의 계단승강 리프트가 계단을 올라갈 때 무한궤도의 우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적재대가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a의 계단승강 리프트가 무한궤도의 우하단을 지면에서 이격되게 하여 계단을 올라가면서 적재대가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a의 계단승강 리프트의 무한궤도 내부에 배치된 네개의 작동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네개의 작동부 중 아이들 롤러 작동부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네개의 작동부 중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와 후측 보조롤러 작동부를 표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6의 네개의 작동부 중 스프라켓 작동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승강 리프트는, 적재대(18), 적재대 수평 유지모듈,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 박스형의 하우징(28), 한쌍의 무한궤도(21), 및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도 2a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대(18)는 상면에 화물(W)을 적재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함께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는 적재대에 탑승하여 화물을 옮기거나 화물을 이용한 다른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a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은 상기 적재대(18)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18)에 대한 승강 또는 덤핑 작용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적재대(18)의 양측방의 하측에서 각각 두 개의 링크가 X자 형태로 교차되어 교차된 부분이 관절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링크의 좌측 단부는 각각 상기 적재대(18)에, 그리고 상기 하우징(28)의 상면에 배치된 제1 지지판(28a)의 상면에 배치된 제2 지지판(28b)으로서, 측방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에서는 상측이 개방된 요홈을 구비한 제2 지지판(28b)에 힌지(25, 25a)로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링크의 우측 단부는 각각, 상기 적재대(18) 내에서 측방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지지판(28b)의 상기 요홈 내에도 상측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설치된 레일(R)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M), 및 상기 이동체(M)가 구비된 쪽의 반대쪽에 구비된 핀(P)을 가지는 사다리 프레임(17); 상기 두 개의 링크의 우측 단부 중 아래 쪽에 위치하는 우측 단부에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고 타단이 갈고리 모양의 후크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링크의 우측 단부들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였을 때 상기 후크를 상기 핀(P)에 끼워 고정하였다가 고정 해제할 수 있어 상기 사다리 프레임(17)의 상기 두 개의 링크를 서로 고정하였다가 고정 해제할 수 있는 사다리 프레임 고정장치(17L); 원통형 실린더 부분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 지지판(28a)에 힌지연결되어 있고, 상기 적재대(18)의 양측방의 하측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사다리 프레임(17)의 두 개의 링크 중 상기 제2 지지판(28b)에 상기 힌지(25a)로 연결된 링크의 상기 교차된 부분과 상기 힌지(25a) 사이의 부분들을 연결하는 연결봉(17a)에 상기 원통형 실린더로부터 출몰하는 로드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유압실린더(19); 및 상기 사다리 프레임(17)이 상기 힌지(25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사다리 프레임(17)의 이동체(M)를 상기 레일(R)에 수용되도록 하여 고정하였다가 상기 레일(R)의 개방된 상측의 일부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고정해제할 수 있는 덤프락(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한궤도(21)는 외측면에 돌출부(21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동체(M)는 바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계단을 올라간 후에 빌라, 상가 등의 저층 천정 공사 시 또는 지하철, 대형 시설물의 실내의 높은 곳에서 화물을 이용한 작업이 필요할 때에 적재대를 승강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별도의 사다리 위에서 화물을 이용하여 작업할 필요없이 적재대에 탑승하여 화물을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재대(18)에 수용된 화물(W), 모래, 자갈 또는 다른 물건 등에 대한 덤핑 작업이 가능하여 화물(W), 모래, 자갈 또는 다른 물건 등의 이동 적치가 용이하다.
도 1a,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적재대 수평 유지모듈은, 상기 덤프락(24)이 고정해제되고 상기 사다리 프레임 고정장치(17L)가 상기 두 개의 링크를 서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적재대(18)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센서; 및 상기 수평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하우징(28)에 설치된 유압파워팩(10)을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19)를 구동하도록 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콘트롤러 함(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각도는 0.5˚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계단승강 리프트가 계단을 올라갈 때에 적재대에 배치된 화물이 미끄러져 이동되지 않는다면 0.6˚, 0.7˚, 0.8˚, 0.9˚ 또는 1˚인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계단승강 리프트가 계단을 타고 올라가는 도중에 수평센서를 통해 적재대(18)의 수평상태를 감지하여 적재대(18)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예, 0.5˚)를 벗어나면 수평센서에서 감지된 적재대(18)의 각도 정보를 콘트롤러 함(20)이 수신하여 유압파워팩(10)을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19)를 구동하여 적재대(18)를 수평상태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계단승강 리프트가 계단을 타고 올라가는 도중에도 적재대(18)를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화물(W)이 움직여 다른 물체에 부딪혀서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9를 참조하면, 상기 한쌍의 무한궤도(21)는 상기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는 박스형의 하우징(28); 상기 하우징(28)의 양측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데, 내부에, 상기 하우징(28)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과 각도에 따라 상하로 비스듬하게 움직여서 무게를 분산시키도록 작동하는 스프라켓 작동부(A);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에 관절연결되어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전측에서 하중분산효과를 주는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에 관절연결되어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후측에서 하중분산효과를 주는 후측 보조롤러 작동부(C); 및 상기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에 관절연결되어 계단 등반시 앞쪽에서 작동부가 아래로 내려와 상기 무한궤도(21)를 변형시키도록 작동하는 아이들 롤러 작동부(D)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28)으로부터 스프라켓 작동부(A)로 전달되는 하중과 각도에 따라 상하로 비스듬하게 움직여서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전측 또는 후측에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계단 등반시 앞쪽에서 작동부가 아래로 내려와 상기 무한궤도(21)를 변형시킬 수 있음으로써 무한궤도(21)의 앞쪽 아래 부분이 지면에 닿아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6, 9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는, 상기 구동수단의 축에 관절연결된 스프라켓 관절축(14)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여 상기 무한궤도(21)를 구동시키는 스프라켓(15), 상기 스프라켓 관절축(14)과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구동수단의 축에 일단이 관절연결된 제1 축(26), 및 상기 하우징(28)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 관절축(14)의 일측의 단부에 접하는 수평축(12a)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축(26)에 타단이 연결되어 설치된 스프라켓 리어 관절쇼바(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우징(28)으로부터 수평축(12a)과 상기 구동수단의 축으로 전달되는 하중과 각도에 따라 스프라켓 관절축(14)과 제1 축(26)에 비스듬하게 하중이 가해지면서 무게를 분산시킴과 동시에 스프라켓 리어 관절쇼바(12)에 의해 하우징(28)으로부터 수평축(12a)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6,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는, 상기 제1 축(26)의 타단이 관절연결된 부분에 상측이 관절연결된 제1 보조트랙 관절축(9), 상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의 하단에 관절연결된 지지부(6s), 및 상기 지지부(6s)의 하부 양측에 연결된 전측 보조트랙롤러(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축(26)의 타단이 관절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으로 가해지는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아래쪽의 무한궤도(21)로부터 전측 보조트랙롤러(6)로 가해지는 하중을 포함하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제1 보조트랙 관절축(9), 지지부(6s), 및 전측 보조트랙롤러(6)가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전측에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후측 보조롤러 작동부(C)는, 상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과 X자 형태로 교차되어 교차된 부분이 관절연결된 제2 보조트랙 관절축(9a), 상기 제2 보조트랙 관절축(9a)의 하단에 관절연결된 지지부(6s), 및 상기 지지부(6s)의 하부 양측에 연결된 후측 보조트랙롤러(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축(26)의 타단이 관절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으로 가해지는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아래쪽의 무한궤도(21)로부터 후측 보조트랙롤러(6)로 가해지는 하중을 포함하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제1 보조트랙 관절축(9), 지지부(6s), 및 후측 보조트랙롤러(6)가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후측에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계단승강 리프트는, 상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의 상단과 상기 제2 보조트랙 관절축(9a)의 상단에 양단이 연결된 보조 트렉 롤러 리어 쇼바(7)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보조트랙 관절축(9)의 상단과 상기 제2 보조트랙 관절축(9a)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또는 충격을 저감 또는 완화시킬 수 있다.
도 6, 7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들 롤러 작동부(D)는, 상기 제1 축(26)의 타단이 관절연결된 부분에 일측이 관절연결된 제2 축(27), 상기 제2 축(27)의 타측이 관절연결된 축(5) 부분에 일측이 관절연결된 외측 아이들 관절(5a), 상기 외측 아이들 관절(5a)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내측 아이들 관절(5b), 상기 내측 아이들 관절(5b)의 타측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아이들 롤러(2)와 트랙 롤러(3), 및 상기 내측 아이들 관절(5b)과 외측 아이들 관절(5a)의 사이에 설치된 장력 스프링(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장력 스프링(4)의 스프링력에 의해 무한궤도(21)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계단승강 리프트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8)에 연결된 수평축에 중심이 결합되고,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무한궤도(21)에 접하며, 회전할 수 있는 상부롤러(8)를 더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28)으로부터 상부롤러(8)의 중심이 결합된 수평축으로도 하중을 전달함으로써 하우징(28)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상부롤러(8)의 외주면의 일부가 무한궤도(21)의 상측과 접하면서 위로 눌러주기 때문에 무한궤도(21)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계단승강 리프트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아이들 관절(5a)의 상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축(27)의 상측에 타측이 연결된 아이들 관절 리어쇼바(16)를 더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처음의 계단을 올라갈 때 또는 올라가는 도중에 무한궤도(21)의 전측이 계단이나 다른 장애물에 부딪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을 아이들 관절 리어쇼바(16)로 완화시켜 계단승강장치 본체 또는 계단승강장치의 적재대 상에 놓여 있는 화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 또는 저감시켜 화물 파손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계단승강 리프트는, 상기 제2 축(27)의 상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상부롤러(8)에 접하는 상기 무한궤도(21)의 부분을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상기 무한궤도(21)와 평행하게 연장된 가로축(27a); 및 상기 가로축(27a)의 타측에 일측이 관절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과 교차된 부분에 타측이 관절연결된 세로축(27b)을 더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외측 아이들 관절(5a), 상기 제2 축(27), 가로축(27a), 및 세로축(27b)의 단부들이 서로 관절연결되어 사각형의 링크구조를 이루며 이러한 링크구조에 의해 이 사각형의 링크구조의 자세나 모양이 계단승강 시나 충격을 받을 때 등의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변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무한궤도(21)를 구동시킬 수 있는 상기 하우징(28) 내에 설치되어 있는데,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축을 구비한 모터(11); 축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11)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시키는 감속기(13); 및 상기 감속기(13)의 축과 스프라켓(15)의 축 사이에 설치된 체인(14a)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11)는 하우징(28) 내에 배치된 별도의 배터리(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11)가 회전할 수 있고 이러한 모터(11)의 회전에 의해 감속기(13)의 축이 회전하여 감속기(13)의 축과 스프라켓(15)의 축 사이에 설치된 체인(14a)을 통해 스프라켓(15)으로 전달하여 무한궤도(21)를 회전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계단승강 리프트가 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배터리
2 : 아이들 롤러
3 : 트랙 롤러
4 : 장력 스프링
5 : 축
5a : 외측 아이들 관절
5b : 내측 아이들 관절
6 : 보조트랙롤러
6s : 지지부
7 : 보조 트렉 롤러 리어 쇼바
8 : 상부롤러
9 : 제1 보조트랙 관절축
9a : 제2 보조트랙 관절축
10 : 유압파워팩
11 : 모터
12 : 관절쇼바
12a : 수평축
13 : 감속기
14 : 스프라켓 관절축
14a : 체인
15 : 스프라켓
16 : 아이들 관절 리어쇼바
17 : 사다리 프레임
17L : 사다리 프레임 고정장치
18 : 적재대
18a : 확장부
19 : 유압실린더
20 : 콘트롤러 함
21 : 무한궤도
24 : 덤프락
25 : 덤프축
26 : 제1 축
27 : 제2 축
27a : 가로축
27b : 세로축
28 : 하우징
A : 스프라켓 작동부
B :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
C : 후측 보조롤러 작동부
D : 아이들 롤러 작동부
W : 화물

Claims (12)

  1. 전후 확장가능한 확장부(18a)를 구비하고, 상면에 화물(W)을 적재하는 적재대(18);
    상기 적재대(18)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적재대 수평 유지모듈;
    상기 적재대(18)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18)에 대한 승강 또는 덤핑 작용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
    상기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는 박스형의 하우징(28);
    상기 하우징(28)의 양측에 연결, 설치된 한쌍의 무한궤도(21); 및
    상기 무한궤도(21)를 구동시킬 수 있는 상기 하우징(28) 내에 설치된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한궤도(21)는, 내부에,
    상기 하우징(28)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과 각도에 따라 상하로 비스듬하게 움직여서 무게를 분산시키도록 작동하는 스프라켓 작동부(A);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에 관절연결되어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전측에서 하중분산효과를 주는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에 관절연결되어 상기 하중의 세기에 따라 또는 다른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자세 또는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후측에서 하중분산효과를 주는 후측 보조롤러 작동부(C); 및 상기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에 관절연결되어 계단 등반시 앞쪽에서 작동부가 아래로 내려와 상기 무한궤도(21)를 변형시키도록 작동하는 아이들 롤러 작동부(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 작동부(A)는,
    상기 구동수단의 축에 관절연결된 스프라켓 관절축(14)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여 상기 무한궤도(21)를 구동시키는 스프라켓(15), 상기 스프라켓 관절축(14)과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구동수단의 축에 일단이 관절연결된 제1 축(26), 및 상기 하우징(28)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 관절축(14)의 일측의 단부에 접하는 수평축(12a)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축(26)에 타단이 연결되어 설치된 스프라켓 리어 관절쇼바(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보조롤러 작동부(B)는,
    상기 제1 축(26)의 타단이 관절연결된 부분에 상측이 관절연결된 제1 보조트랙 관절축(9), 상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의 하단에 관절연결된 지지부(6s), 및 상기 지지부(6s)의 하부 양측에 연결된 전측 보조트랙롤러(6)를 포함하고,
    상기 후측 보조롤러 작동부(C)는,
    상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과 X자 형태로 교차되어 교차된 부분이 관절연결된 제2 보조트랙 관절축(9a), 상기 제2 보조트랙 관절축(9a)의 하단에 관절연결된 지지부(6s), 및 상기 지지부(6s)의 하부 양측에 연결된 후측 보조트랙롤러(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의 상단과 상기 제2 보조트랙 관절축(9a)의 상단에 양단이 연결된 보조 트렉 롤러 리어 쇼바(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롤러 작동부(D)는,
    상기 제1 축(26)의 타단이 관절연결된 부분에 일측이 관절연결된 제2 축(27), 상기 제2 축(27)의 타측이 관절연결된 축(5) 부분에 일측이 관절연결된 외측 아이들 관절(5a), 상기 외측 아이들 관절(5a)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내측 아이들 관절(5b), 상기 내측 아이들 관절(5b)의 타측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아이들 롤러(2)와 트랙 롤러(3), 및 상기 내측 아이들 관절(5b)과 외측 아이들 관절(5a)의 사이에 설치된 장력 스프링(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 승강 및 덤핑 모듈은,
    상기 적재대(18)의 양측방의 하측에서 각각 두 개의 링크가 X자 형태로 교차되어 교차된 부분이 관절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링크의 좌측 단부는 각각 상기 적재대(18)에, 그리고 상기 하우징(28)의 상면에 배치된 제1 지지판(28a)의 상면에 배치된 제2 지지판(28b)으로서, 측방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에서는 상측이 개방된 요홈을 구비한 제2 지지판(28b)에 힌지(25, 25a)로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링크의 우측 단부는 각각, 상기 적재대(18) 내에서 측방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지지판(28b)의 상기 요홈 내에도 상측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설치된 레일(R)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M), 및 상기 이동체(M)가 구비된 쪽의 반대쪽에 구비된 핀(P)을 가지는 사다리 프레임(17);
    상기 두 개의 링크의 우측 단부 중 아래 쪽에 위치하는 우측 단부에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고 타단이 갈고리 모양의 후크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링크의 우측 단부들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였을 때 상기 후크를 상기 핀(P)에 끼워 고정하였다가 고정 해제할 수 있어 상기 사다리 프레임(17)의 상기 두 개의 링크를 서로 고정하였다가 고정 해제할 수 있는 사다리 프레임 고정장치(17L);
    원통형 실린더 부분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 지지판(28a)에 힌지연결되어 있고, 상기 적재대(18)의 양측방의 하측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사다리 프레임(17)의 두 개의 링크 중 상기 제2 지지판(28b)에 상기 힌지(25a)로 연결된 링크의 상기 교차된 부분과 상기 힌지(25a) 사이의 부분들을 연결하는 연결봉(17a)에 상기 원통형 실린더로부터 출몰하는 로드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유압실린더(19); 및
    상기 사다리 프레임(17)이 상기 힌지(25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사다리 프레임(17)의 이동체(M)를 상기 레일(R)에 수용되도록 하여 고정하였다가 상기 레일(R)의 개방된 상측의 일부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고정해제할 수 있는 덤프락(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 수평 유지모듈은,
    상기 덤프락(24)이 고정해제되고 상기 사다리 프레임 고정장치(17L)가 상기 두 개의 링크를 서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적재대(18)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센서; 및
    상기 수평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적재대(18)의 수평상태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하우징(28)에 설치된 유압파워팩(10)을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19)를 구동하도록 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콘트롤러 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은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축을 구비한 모터(11);
    축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11)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시키는 감속기(13); 및
    상기 감속기(13)의 축과 스프라켓(15)의 축 사이에 설치된 체인(14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8)에 연결된 수평축에 중심이 결합되고,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무한궤도(21)에 접하며, 회전할 수 있는 상부롤러(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아이들 관절(5a)의 상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축(27)의 상측에 타측이 연결된 아이들 관절 리어쇼바(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27)의 상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상부롤러(8)에 접하는 상기 무한궤도(21)의 부분을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상기 무한궤도(21)와 평행하게 연장된 가로축(27a); 및
    상기 상부롤러용 축(27a)의 타측에 일측이 관절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트랙 관절축(9)과 교차된 부분에 타측이 관절연결된 세로축(27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승강 리프트.
KR1020190095285A 2019-02-12 2019-08-06 계단승강 리프트 KR102180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162 2019-02-12
KR20190016162 2019-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371A true KR20200098371A (ko) 2020-08-20
KR102180751B1 KR102180751B1 (ko) 2020-11-19

Family

ID=7229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285A KR102180751B1 (ko) 2019-02-12 2019-08-06 계단승강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7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6772A (zh) * 2022-09-22 2022-12-02 淄博中博建材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砖块运输装置
KR20230036248A (ko) * 2021-09-07 2023-03-14 김무열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KR102566148B1 (ko) * 2023-06-09 2023-08-11 삼성기술 주식회사 레이저 스크랩 덤핑 캐리어
IT202200003269A1 (it) * 2022-02-22 2023-08-22 Adamo Runco Trattore agricolo con doppio telaio
KR102585539B1 (ko) * 2023-05-03 2023-10-06 삼성기술 주식회사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440A (ja) * 1983-06-21 1985-01-10 Mametora Noki Kk ダンプ兼リフトカ−
KR100374755B1 (ko) 1999-11-01 2003-03-04 이효철 계단승강장치
KR20160139214A (ko) * 2015-05-27 2016-12-07 엘앤에스(주) 전동대차
KR20170117161A (ko) * 2015-02-18 2017-10-20 에이티아이 인코포레이티드 하중에 대해 독립적인 하중 분포를 가지는 궤도-모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440A (ja) * 1983-06-21 1985-01-10 Mametora Noki Kk ダンプ兼リフトカ−
KR100374755B1 (ko) 1999-11-01 2003-03-04 이효철 계단승강장치
KR20170117161A (ko) * 2015-02-18 2017-10-20 에이티아이 인코포레이티드 하중에 대해 독립적인 하중 분포를 가지는 궤도-모듈 장치
KR20160139214A (ko) * 2015-05-27 2016-12-07 엘앤에스(주) 전동대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248A (ko) * 2021-09-07 2023-03-14 김무열 다목적 고소작업장치
IT202200003269A1 (it) * 2022-02-22 2023-08-22 Adamo Runco Trattore agricolo con doppio telaio
CN115416772A (zh) * 2022-09-22 2022-12-02 淄博中博建材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砖块运输装置
KR102585539B1 (ko) * 2023-05-03 2023-10-06 삼성기술 주식회사 자동 높이조절형 테이블리프트
KR102566148B1 (ko) * 2023-06-09 2023-08-11 삼성기술 주식회사 레이저 스크랩 덤핑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751B1 (ko)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751B1 (ko) 계단승강 리프트
CN114555509B (zh) 在建筑物建造期间使用的自爬式电梯装置
CN106917499B (zh) 一种自驱式全自动机器人爬架
CN105000482A (zh) 带行走机构的塔吊
CN109719698A (zh) 一种建筑用机器人搭载系统及控制方法
CN114585581A (zh) 用于在建筑物建造期间安装电梯的自爬式安装平台
CN206157569U (zh) 移动式桥梁修建防护平台
CN109704192A (zh) 一种建筑施工系统及其施工方法
US20040083660A1 (en) Mobile elevating hut
JP2766091B2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JP2001213584A (ja) 大型昇降ステージとこれを用いた揚重方法および逆打工法
KR101614474B1 (ko)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0374755B1 (ko) 계단승강장치
JP2017071488A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JP3725860B2 (ja) ボーリング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ボーリングシステム
CN114555508A (zh) 在建筑物建造期间使用的自爬式机房
KR20210000005A (ko) 철로용 리프트 작업대
JP3892196B2 (ja) 斜面機材運搬作業装置及びこの装置の構築方法
JPH092780A (ja) ジャッキアップ付ジブ式走行クレーン
CN219547582U (zh) 用于桥梁建设施工的可移动施工台
SU1087459A1 (ru) Передвижной подъемник
JP2001019399A (ja) 自走台車装置及び架台レール、階段昇降装置
JP3103715B2 (ja) 揚重搬送装置および揚重搬送方法
KR20100057569A (ko) 고소 작업용 리프트
JP2531228Y2 (ja) 建築物施工及び補修用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