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440A - 이동식 다단 사다리 - Google Patents

이동식 다단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440A
KR20170031440A KR1020150128977A KR20150128977A KR20170031440A KR 20170031440 A KR20170031440 A KR 20170031440A KR 1020150128977 A KR1020150128977 A KR 1020150128977A KR 20150128977 A KR20150128977 A KR 20150128977A KR 20170031440 A KR20170031440 A KR 20170031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winch
cart
present
movable mul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관수
이석희
강승욱
김형락
박건호
이재현
현재열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1440A/ko
Publication of KR2017003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다단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는 제1사다리; 상기 제1사다리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위치된 제2사다리; 상기 제1사다리의 상부에 위치된 제1도르래; 상기 제1사다리의 하부에 위치된 제1윈치; 상기 제1사다리의 하부에 위치된 제2윈치; 상기 제2사다리의 상부에 위치된 제2도르래; 및 상기 제1사다리 및 상기 제2사다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슬리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위치된 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사다리는 상기 제1도르래를 거친 와이어로 제1윈치에 연결되며, 상기 카트는 상기 제2도르래를 거친 와이어로 상기 제2윈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윈치 등에 의하여 사다리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식 다단 사다리{A movable multi-stage ladder}
본 발명은 이동식 다단으로 구성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 사다리에 구비된 윈치 등을 이용하여 일단의 사다리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타단의 사다리를 이동시켜 다단 사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받침대와 바퀴를 동시에 구비시켜 사다리를 사용할 때에는 받침대로 지지하고 이동시에는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사다리에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카트를 구비시켜 무거운 물건 등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대형 마트의 물류창고 또는 대형 농장의 창고 등에서는 물건들을 주기적으로 쌓거나 내려지는 경우가 있다. 또는 높은 곳에 위치하는 물건들을 정리하거나 배열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과정 중에서 사람들은 사다리를 이용하는데, 이때 사다리를 이용하는 과정 중에서 무거운 물건 때문에 또는 높은 위치 때문에 위험이 수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위 사다리와 아래 사다리를 로프로 연결시켜 이에 연결된 활차를 이용하고, 고정걸림쇄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신축형 사다리에 관한 종래기술인 특허출원번호 1019970040134가 개시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위사다리와 아래사다리가 구분되어 있고, 위사다리와 아래사다리에는 좌우단에 안내레일을 형성한 지주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을 일정의 위치에 스프링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 걸림쇄가 위사다리의 일측에 형성되고, 아래사다리의 하부 일측면에 로울러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의 일측면에도 로울러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울러 하우징 내부에는 로울러 등으로 형성된 활차가 취부되어 사다리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로프가 아이볼트에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높이의 조절 뿐만 아니라 분리동작도 가능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신축형 사다리는 사다리의 높이 조절을 위해 아래 사다리에서 위사다리를 이동시키는데 사람이 직접 로프를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신축형 사다리를 이동시킬 때 사람이 사다리를 직접 들고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동시에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거운 짐을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경우에 사람이 사다리를 타면서 직접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려야 하기에 작업에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람이 사다리를 딛고 올라가는 경우에 사다리가 흔들릴 수 있고 로프를 이용하여 위사다리를 이용시키는 바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1997-0040134 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다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다단 사다리에 윈치 등을 구비시켜 일단의 사다리에서 타단의 사다리를 이동시켜 사다리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이 증가될 수 있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간단한 작동으로 높은 위치에 무거운 물건을 올리거나 높은 위치에 있는 물건을 내릴 수 있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다리 사용시에 사람이 사다리를 딛고 올라가도 사다리가 흔들리지 않는 구조를 갖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다리가 이동되는 경우 사람이 직접 사다리를 들고 이동하는 것보다 훨씬 편리하게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이동될 수 있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사다리(100); 상기 제1사다리(10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위치된 제2사다리(200); 상기 제1사다리(100)의 상부에 위치된 제1도르래(160); 및 상기 제1사다리(100)의 하부에 위치된 제1윈치(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사다리(200)는 상기 제1도르래(160)를 거친 와이어로 제1윈치(130)에 연결되는 다단 사다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사다리(100)의 하부에 위치된 제2윈치(140); 상기 제2사다리(200)의 상부에 위치된 제2도르래(220); 및 상기 제1사다리(100) 및 상기 제2사다리(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슬리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위치된 카트(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카트(300)는 상기 제2도르래(220)를 거친 와이어로 상기 제2윈치(14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1사다리(100)의 하단에 장착된 받침대(110); 및 상기 제1사다리(100)의 하부에 위치된 바퀴(1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1윈치(1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사다리(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2윈치(1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카트(300)가 슬라이딩 이동되며, 지면에 대한 상기 제1사다리(100)의 기울기가 변함에 따라 지면에서 접하는 위치가 상기 받침대(110) 에서 상기 바퀴(120)로 또는 상기 바퀴(120)에서 상기 받침대(110)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윈치 등에 의하여 사다리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가 제공된다.
또한, 옮겨질 수 있는 물건의 하중이 증가될 수 있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가 제공된다.
또한, 사다리가 사용될 때는 흔들리지 않는 안정적인 이동식 다단 사다리가 제공되며, 사다리가 이동될 때는 손쉽게 사다리 손잡이만을 잡고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가 제공된다.
또한, 사람의 힘에 의하지 않고 무거운 물건 등을 용이하게 적재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의 앞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의 뒤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의 카트를 도시한 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구조설명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는 제1사다리(100) 및 제1사다리(10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사다리(2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2사다리(200)는 제1사다리(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바, 사용자는 제2사다리(200)를 제1사다리(100)에서 이동시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사다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는 제2사다리(20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제3사다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한 사다리의 높이에 따라 이러한 방식으로 다단의 사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사다리(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설명한다.
제1사다리(100)의 상부 일측에는 제1도르래(160)가 위치하며, 제1사다리(100)의 하부 일측에는 제1윈치(130)가 위치한다. 제1윈치(130)와 제1도르래(160)는 와이어로 연결된다.
또한, 제1도르래(160)에 연결된 와이어는 제1도르래(160)를 거친 이후 제2사다리(200)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도르래(160)를 거친 와이어는 제2사다리(200)의 하부의 일측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제1윈치(130)를 작동시켜 와이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가 줄어든 경우에 와이어에 연결된 제2사다리(200)는 제1사다리(100)에서 상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와이어가 늘어나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2사다리(200)가 제1사다리(100)에서 하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윈치(130)는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모터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2사다리(200)의 하부에는 제2사다리(100)가 제1사다리(100)에 걸칠 수 있도록 걸쇠(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윈치(130)를 작동시켜 사다리의 높이를 조절한 후에 걸쇠(미도시)를 제1사다리(100)에 걸쳐 제2사다리(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다시 제2사다리(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이동식 다단 사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 사용자는 제2사다리(20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걸쇠(미도시)를 제1사다리(1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2사다리(200)의 하부 일측에는 제1사다리의 일정 높이에서 제2사다리(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제1사다리(100)의 상부 일측에 그리고 제2사다리(200)의 하부 일측에 각각 구비된 홈(미도시)과 돌출부(미도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는 제1사다리(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윈치(140) 및 제2사다리(200)의 상부에 위치된 제2도르래(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 사용시 무거운 물건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카트(300)가 제2사다리(20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위치된다.
카트(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설명한다.
카트(300)와 제2도르래(220)는 와이어로 연결된다. 또한, 제2도르래(220)에 연결된 와이어는 제2도르래(220)를 거친 이후 제2윈치(140)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도르래(220)를 거친 와이어는 카트(300)의 하부의 일측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제2윈치(140)를 작동시켜 와이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가 줄어든 경우에 와이어에 연결된 카트(300)는 제1사다리(100) 및 제2사다리(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상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와이어가 늘어나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카트(300)가 제1사다리 및 제2사다리(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하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의 카트(300)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제2사다리(200)가 제1사다리(100)에서 상향으로 올라오지 않는 상태에서 카트(300)는 제1사다리(100)와 제2사다리(200)에 걸쳐 위치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300)는 제1사다리(100) 또는 제2사다리(200)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로울러(320)를 구비하고 있는데, 아래쪽에 위치된 제1로울러(321)는 제2사다리(200)에 위치되고, 위쪽에 위치된 제2로울러(322)는 제1사다리(100)에 위치된다.
제2사다리(200)가 제1사다리(100)에서 상향으로 올라온 상태에서 카트(300)는 제2윈치(140)의 작동에 의해 제1사다리(100)에서 제2사다리(200)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즉, 카트(300)가 제1사다리(100)에 위치되는 동안 제1로울러(321)와 제2로울러(322)는 제1사다리(100)에 위치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며, 카트(300)가 상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제1로울러(321)와 제2로울러(322)는 제1사다리(100)에서 제2사다리(200)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제2윈치(140)는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모터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카트(300)의 하부에는 카트(300)가 제1사다리(100) 또는 제2사다리(200)에 걸칠 수 있도록 걸쇠(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윈치(140)를 작동시켜 카트(300)의 높이를 조절한 후에 걸쇠(미도시)를 제1사다리(100) 또는 제2사다리(200)에 걸쳐 카트(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다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카트(300)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 사용자는 카트(30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걸쇠(미도시)를 제1사다리(100) 또는 제2사다리(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카트(300)의 일측에는 일정 높이에서 카트(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제2사다리(200)의 상부 일측에 그리고 카트(300)의 일측에 각각 구비된 돌출부(미도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는 제1사다리(100)의 하단에 장착된 받침대(110) 및 제1사다리(100)의 하부에 위치된 바퀴(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는 받침대를 지면에 접하도록 하여 이동식 다단 사다리 상에서 제2사다리(200) 또는 카트(300)가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사용자는 제1사다리(100)의 상부 일측에 위치된 손잡이(150)를 잡고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지면쪽으로 기울려 제1사다리(100)의 하부에 위치한 바퀴(120)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바퀴(120)가 지면에 닿은 후에 사용자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밀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면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의 기울기가 변함에 따라 지면에 접하는 위치가 받침대(110)에서 바퀴(120)로 또는 바퀴(120)에서 받침대(110)로 전환될 수 있다.
즉, 기울기가 큰 경우에 받침대(110)가 지면에 닿으며, 기울기가 작은 경우 바퀴(120)가 지면에 닿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 사용시에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식 다단 사다리 이동시에 바퀴(20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이동시킬 수 있다
2. 작동설명
사용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제1윈치(130)를 작동시켜 제1사다리(100)에서 제2사다리(2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2사다리(200)가 상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제1윈치(130)를 작동시키며, 높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제2사다리(200)가 하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제1윈치(130)를 작동시킨다.
제2사디리(200)가 원하는 높이에 오른 후에 사용자는 걸쇠(미도시) 등을 제1사다리(100)에 걸쳐 제2사다리(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시킨다.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경우, 사용자는 제2윈치(140)를 작동시켜 카트(300)를 상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일정 높이에 위치된 카트(300)에서 물건을 내리거나 카트(300)에 물건을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150)를 잡고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지면쪽으로 기울려 바퀴(140)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바퀴(140)가 지면에 닿은 후에 사용자는 이동식 다단 사다리를 밀어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제1사다리
110: 받침대
120: 바퀴
130: 제1윈치
140: 제2윈치
150: 손잡이
160: 제1도르래
200: 제2사다리
220: 제2도르래
300: 카트
320: 로울러
321: 제1로울러
322: 제2로울러

Claims (4)

  1. 제1사다리(100);
    상기 제1사다리(10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위치된 제2사다리(200);
    상기 제1사다리(100)의 상부에 위치된 제1도르래(160); 및
    상기 제1사다리(100)의 하부에 위치된 제1윈치(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사다리(200)는 상기 제1도르래(160)를 거친 와이어로 제1윈치(130)에 연결되는 다단 사다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사다리(100)의 하부에 위치된 제2윈치(140);
    상기 제2사다리(200)의 상부에 위치된 제2도르래(220); 및
    상기 제1사다리(100) 및 상기 제2사다리(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슬리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위치된 카트(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트(300)는 상기 제2도르래(220)를 거친 와이어로 상기 제2윈치(140)에 연결되는 다단 사다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사다리(100)의 하단에 장착된 받침대(110); 및
    상기 제1사다리(100)의 하부에 위치된 바퀴(120)를 더 포함하는 다단 사다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윈치(1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사다리(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2윈치(1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카트(300)가 슬라이딩 이동되며,
    지면에 대한 상기 제1사다리(100)의 기울기가 변함에 따라 지면에서 접하는 위치가 상기 받침대(110) 에서 상기 바퀴(120)로 또는 상기 바퀴(120)에서 상기 받침대(110)로 전환되는 다단 사다리.






KR1020150128977A 2015-09-11 2015-09-11 이동식 다단 사다리 KR20170031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977A KR20170031440A (ko) 2015-09-11 2015-09-11 이동식 다단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977A KR20170031440A (ko) 2015-09-11 2015-09-11 이동식 다단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40A true KR20170031440A (ko) 2017-03-21

Family

ID=5850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977A KR20170031440A (ko) 2015-09-11 2015-09-11 이동식 다단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14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009A (ko) * 2017-11-22 2017-12-12 홍기혁 사다리, 작업대 겸용 상하차 운반기구
KR102026616B1 (ko) * 2019-04-05 2019-09-30 (주)오즈코리아 이동식 사다리대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009A (ko) * 2017-11-22 2017-12-12 홍기혁 사다리, 작업대 겸용 상하차 운반기구
KR102026616B1 (ko) * 2019-04-05 2019-09-30 (주)오즈코리아 이동식 사다리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4836C (en) Aerial work apparatus with laterally offset work platform
MX2015000527A (es) Elevador de tarimas.
CN111433106A (zh) 可调倾斜的手推车装置
KR101685615B1 (ko) 핸드 트럭
US8973898B2 (en) Portable and foldable lift
US9862324B2 (en) Driver lift device
EP2818381B1 (en) Trolley for the transportation of a load on staircases
KR20170031440A (ko) 이동식 다단 사다리
JP2015057337A5 (ko)
KR20160092223A (ko) 리프트 장치
US20100230918A1 (en) Hand Truck Loading Accessories
EP1816051A2 (en) Trolley, particularly for moving pieces of furniture
US20110156365A1 (en) Lift wheel set used in a machine tool
EP0937190A1 (en) Mobile ladder including a goods lift
KR200422068Y1 (ko) 센터리스 연마기의 연마봉 자동 로딩 장치
CN205396172U (zh) 升降图书推车
JP2008002108A (ja) トラック荷台昇降用ステップ
KR101852545B1 (ko) 리프트 겸용 운반 사다리
US20160355386A1 (en) Double lift for mobility device repair
EP2923916A1 (en) Sack truck
KR20130092166A (ko) 테이블 리프트
KR20170079471A (ko) 리프트
KR102358213B1 (ko) 수동 리프터
KR200459872Y1 (ko)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
JP2021037865A (ja) 台車、階段昇降装置及び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