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872Y1 -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872Y1
KR200459872Y1 KR2020090010727U KR20090010727U KR200459872Y1 KR 200459872 Y1 KR200459872 Y1 KR 200459872Y1 KR 2020090010727 U KR2020090010727 U KR 2020090010727U KR 20090010727 U KR20090010727 U KR 20090010727U KR 200459872 Y1 KR200459872 Y1 KR 200459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wheel
leg
ground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865U (ko
Inventor
김만섭
Original Assignee
김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섭 filed Critical 김만섭
Priority to KR2020090010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87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8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8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04G2001/302Ladder scaffolds with ladders supporting the platform
    • E04G2001/307The ladders being self-supporting folding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의 측면에 바퀴를 설치하고, 지면에 대한 바퀴의 접촉이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동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작업공간을 위해 디딤공간을 제공하는 발판;상기 발판의 양단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설치되며, 발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측면에는 걸림턱을 제공하는 걸림공이 형성된 다리;상기 다리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상기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며, 일단부는 걸림공을 통해 노출된 지지축;상기 지지축의 일단부에 축 결합된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바퀴는, 지지축이 걸림턱에 걸렸을 때, 바퀴의 외주면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를 제공한다.
작업대,발판,다리,측면,바퀴,걸림공,걸림홈,이동홈,걸림턱,스프링,지지축

Description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movable worktable}
본 고안은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바퀴가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바퀴가 떨어지도록 한 일련의 과정이 편리하게 설계된 개선된 구조의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대는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디딤공간을 제공해주는 기구로서, 안정감이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높이 조절도 가능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산업현장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벽이나 천장과 같은 높은 위치에 벽지 도배, 커튼 설치, 페인트 도장, 매장 디스플레이 등의 작업을 하거나 자동차 세차와 같은 그외 작업을 할 때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구이다.
상기 작업대는 우마 사다리라 불리우기도 하며,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 가볍고 튼튼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때, 작업대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고 길게 형성된 발판과, 이 발판을 지면에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때, 발판은 중앙을 중심으로 접철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업대는 발판이 접철되는 구성 이외에도, 다리가 발판의 저면을 향해 접철되도록 힌지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이 끝난 후에는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해진다.
하지만, 작업을 하는 도중에, 작업대를 이동하는데 있어서는 불편한게 사실이다.
비록, 재질상의 특징으로 무게가 가볍기는 하지만, 부피가 크기 때문에 들고 다니기가 매우 불편하였던 것이다.
물론, 부피를 줄이기 위해, 각 구성을 접철하여 이동할 수도 있지만, 작업중에 이동을 위해 일일이 접철하는 작업은 여간 번거로운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중에 작업대의 이동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다리(10)에 바퀴(20)를 설치한 작업대(등록실용 20-0384455)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작업대의 다리(10)에 바퀴(20)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중이라 하더라도,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작업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이동중에, 작업도구 및 필요한 물품을 작업대의 발판(30)에 올려 놓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왜냐하면, 작업대의 이동을 위해서는 항상 작업대의 일측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작업대의 타측에 설치된 바퀴(20)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한 후, 이동을 해야 했던 바, 발판(30)은 경사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작업도구 등을 상기 발판(30)에 올려놓지 못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도구 등을 별도로 파지하거나 몸에 지닌 상태로 작업대를 이동시켜야 했기 때문에, 작업자가 매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둘째,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즉, 작업대에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하는 도중 작업자의 무게가 일측으로 치우치면, 바퀴(30)가 지면에 접촉되면서 작업대가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갑작스러운 작업대의 움직임으로 인해, 작업대의 발판(30)으로부터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작업대가 경사면에 배치된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더욱 노출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리의 측면에 바퀴를 설치하고, 지면에 대한 바퀴의 접촉이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동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작업공간을 위해 디딤공간을 제공하는 발판;상기 발판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지면을 향해 점점 넓어지는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며, 발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측면에는 걸림턱을 제공하는 걸림공이 형성된 다리;상기 다리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상기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며, 일단부는 걸림공을 통해 노출된 지지축;상기 지지축의 일단부에 축 결합된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바퀴는, 지지축이 걸림턱에 걸렸을 때, 바퀴의 외주면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걸림공은, 지지축이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인 이동홈과, 이 이동홈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는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공의 반대편 다리에는 축공이 형성되며,상기 지지축의 타단부는 상기 축공에 걸려 다리의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형태는 작업공간을 위해 디딤공간을 제공하는 발판;상기 발판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지면을 향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발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는 각각 걸림턱을 제공하는 걸림공이 형성된 다리;상기 다리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상기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며,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걸림공을 통해 노출된 지지축;상기 지지축의 일단부 와 타단부에 각각 축 결합된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바퀴는, 지지축이 걸림턱에 걸렸을 때, 바퀴의 외주면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에 대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대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작업대의 일측을 들어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대에 대한 이동이 편리하며, 작업도구 등이 발판에 올려진 상태로도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작업대의 이동에 대한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바퀴를 이동홈을 따라 밀어올려 걸림홈에 구속시킴으로써, 작업도중에는 바퀴가 지면에 닿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대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바퀴의 갑작스러운 구름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이하 '작업대'라 함)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00)과, 다리(200)와, 구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판(100)은 작업자의 디딤 공간을 제공하며,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판(100)은 접철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대의 부피를 줄여 보관 및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발판(100)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미끄럼 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다리(200)는 발판(100)을 지면에 지지하며, 발판(1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다리(200)는 지면을 향해 펼쳤을 때, 발판(100)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갈수록 상호간에 점점 벌어지는 경사를 갖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리(200)가 지면을 지지할 때, 안정감이 높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다리(200)의 형태는 'A'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다리(200)는 발판(100)의 저면을 향해 접철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대의 부피를 줄여 보관 및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리(200)는 그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면으로부터 발판(100)의 높이를 다양하게 하여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다리(200)는 중공(中空)의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판(100)을 길이방향으로 작업대의 전,후방향이라 했을 때, 상기 다리(200)의 일측면에는 내부와 연통된 걸림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210)은 후술하는 지지축이 이동되는 부위이며, 이동홈(211)과 걸림홈(2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홈(211)은 바퀴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지지축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로이며 다리(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홈(212)은 상방으로 이동된 바퀴가 하방으로 복원되지 않도록 지지축을 구속하는 부위이며, 이동홈(211)의 단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공(210)은 'ㄱ'형태와 흡사하게 이루어지며, 걸림홈(212)에는 지지축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212a)이 형성된다.
한편, 다리(200)의 타측면에는 다리(200)의 내부와 연통된 축공(220)이 형성된다.
상기 축공(220)은 지지축의 단부가 배치되는 부위이다.
다음으로, 구름수단은 작업대에 대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면을 구르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스프링(300)과, 지지축(400)과, 바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프링(300)은 지지축(400)에 대하여 탄성력을 부여하여 지지축(400)이 걸림공(210)의 이동홈(211)과 걸림홈(212)을 탄성력을 가진채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300)은 다리(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리(2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스프링(300)의 상단부는 다리(200)의 내측에 설치된 걸림쇠(230)에 걸려 지지되며, 스프링(300)의 하단부는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스프링(300)의 하단부는 걸림공(210)을 통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축(400)은 바퀴(500)의 회전축 역할을 하며, 그의 일단부는 바퀴(500)에 축 결합된다.
또한, 지지축(400)의 타단부는 축공(2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지지축(400)의 타단부에는 축공(220)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이탈방지부(4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부(410)의 간섭으로 인해, 지지축(400)은 축공(220)을 통해 다리(200)의 내부로 빠져버리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바퀴(500)는 지면에 접촉되어 구름으로써, 작업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지지축(400)의 일단부에 축 결합된다.
이때, 바퀴(500)의 외경은, 바퀴(50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지지축(400)이 걸림홈(212)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바퀴(500)의 외주면이 지면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작업대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축(400)의 타단부는 다리(200)의 축공(220)에 배치시키고, 지지축(400)의 일단부는 걸림공(210)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시켜 바퀴(500)와 축 결합 시킨다.
이때, 지지축(400)의 타단부에는 이탈방지부(4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탈방지부(410)의 간섭으로 인해 지지축(400)이 축공(220)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지지축(400)의 일단부 역시 바퀴(500)가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다리(200)로부터 지지축(400) 및 바퀴(500)가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다리(200)의 내부에는 걸림쇠(230)에 의해 상단부가 지지된 스프링(300)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300)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축(400)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지지축(400)은 스프링(300)에 눌려 걸림공(210)이 이동홈(211) 하단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500)는 지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며, 다리(200)의 하단은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된다.
즉, 이와 같은 상태는 작업대의 이동을 위한 상태로서, 다리(200)에 설치된 모든 바퀴(500)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작업대의 일측을 상방으로 들어올릴 필요 없이 발판(100)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작업대를 정해진 장소로 이동시킨 후, 작업대의 다리(200) 하단을 지면에 지지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다.
작업의 특성상, 장소를 수시로 이동하면서 해야하는 작업이 있고, 한 곳에서 오랫동안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먼저, 잦은 이동이 필요한 작업의 경우에는, 정해진 장소로 작업대를 이동시킨 후, 발판(100)을 딛고 작업자가 올라선다.
이때, 하중에 의해 다리(200)는 하방으로 내려가고 바퀴(500)의 지지축(400)은 이동홈(211)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지지축(400)은 걸림홈(212)측으로는 이동되지 않는다.
또한, 다리(200)의 단부는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작업대가 유동되지는 않게 된다.
이후, 작업이 끝나면, 발판(100)으로부터 작업자는 내려오게 되고 스프링(300)은 복원되면서 바퀴(500)의 지지축(400)을 하방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바퀴(500)는 다시 지면에 접촉되어 작업대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한 곳에서 오랫동안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바퀴(500)의 지지축(400)을 걸림홈(212)에 걸어 바퀴(50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바퀴(50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지지축(400)을 걸림공(210)의 이동홈(211)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때, 지지축(400)을 누르고 있던 스프링(300)은 지지축(400)에 의해 수축된다.
이후, 지지축(400)이 이동홈(211)의 상부에 도착하면, 상기 지지축(400)을 옆으로 밀어 걸림홈(212)에 배치시킨다.
이후, 지지축(400)을 놓으면, 지지축(400)을 밀고 있던 스프링(300)에 의해 상기 지지축(400)은 걸림턱(212a)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지지축(400)은 걸림홈(212)에 구속되며, 바퀴(500)는 지면으로부 터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면으로부터 바퀴(500)가 떨어짐에 따라, 하중에 의해 다리(200)의 하단부는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대는 지면에 지지된 상태가 되며, 작업자는 발판(100)을 딛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작업이 끝난 후, 작업대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
즉, 지지축(400)을 걸림홈(212)으로부터 이동홈(211) 측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축(400)은 이동홈(211)을 따라 이동홈(211)의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바퀴(500) 역시 하방으로 이동되어 지면에 접촉됨으로써 작업대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는 바퀴(500)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동을 위해 작업대의 일측을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함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작업대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발판(100)에 작업도구 등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바퀴(500)를 지면으로부터 떨어뜨리는 일련의 과정이 간편하기 때문에, 작업대의 이동 및 작업대를 지면에 지지시키기 위한 작업성이 높은 기술적 특징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다리에 바퀴가 한 개 설치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다리의 양측에 바퀴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작업대의 크기가 큰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리의 양측에 각각 바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는 발판(100)과, 다리(200)와, 구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판(100)은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접철 가능한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다리(200)는 발판(10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발판(100)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다리(200)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측면에는 각각 걸림공(210)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공(210)은 서로 일직선 방향에 위치된다.
상기 걸림공(210)은 후술하는 지지축이 위치되는 부위이며, 이동홈(211)과 이동홈(211)으로부터 절곡되어 걸림턱(212a)이 형성된 걸림홈(212)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구름수단은 작업대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며, 스프 링(300)과, 지지축(400)과, 바퀴(500)를 포함한다.
스프링(300)은 다리(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지지축(400)을 탄성지지한다.
이때, 지지축(400)은 바퀴(500)가 축 결합되는 부위로서, 지지축(400)의 양단부에는 각각 바퀴(500)가 설치된다.
이때, 바퀴(500)는 구름 작용을 하며, 지지축(400)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된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업대와는 다르게 각 다리(200)마다 양측에 각각 바퀴(500)가 설치되어 한 쌍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작업대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지지축(400)을 걸림공(210)에 위치시킨다.
이때, 지지축(400)의 양단은 서로 다른 방향의 걸림공(210)을 통해 노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지지축(400)은 스프링(30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걸림공(210)의 이동홈(211) 하단에 배치된다.
이후, 지지축(400)의 양단에 각각 바퀴를 축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업대는 작업자가 발판(100)을 딛고 올라서면, 하중에 의해 다리(200)는 하방으로 내려가고, 지지축(400)은 스프링(300)을 수축시키면서 이동홈(211)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다리(200)의 단부는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작업대의 유동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바퀴(500)를 걸림공(210)의 걸림턱(212a)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동홈(211)을 따라 지지축(400)을 올려 걸림턱(212a)에 안착시킨다.
이에 따라, 바퀴(500)는 지면으로부터 떨어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바퀴(500)를 원위치 시키기 위해서는 걸림턱(212a)으로부터 지지축(400)을 이동홈(211)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300)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축(400)은 이동홈(211)의 하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퀴(500)는 원위치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작업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의 다리에 설치된 바퀴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의 다리에 설치된 바퀴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의 다리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 및 다리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발판 200 : 다리
210 : 걸림공 211 : 이동홈
212 : 걸림홈 212a : 걸림턱
300 : 스프링 400 : 지지축
410 : 이탈방지부 500 : 바퀴

Claims (4)

  1. 작업공간을 위해 디딤공간을 제공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지면을 향해 점점 넓어지는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며, 발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측면에는 내부와 연통된 걸림공이 형성된 다리;
    상기 다리의 내부에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며, 일단부는 걸림공을 통해 노출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일단부에 축 결합된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걸림공은, 지지축이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인 이동홈과, 이 이동홈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는 걸림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퀴는, 지지축이 걸림턱에 걸렸을 때, 바퀴의 외주면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의 반대편 다리에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의 타단부는 상기 축공에 걸려 다리의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
  4. 작업공간을 위해 디딤공간을 제공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지면을 향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발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는 각각 걸림턱을 제공하는 걸림공이 형성된 다리;
    상기 다리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며,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걸림공을 통해 노출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축 결합된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바퀴는, 지지축이 걸림턱에 걸렸을 때, 바퀴의 외주면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
KR2020090010727U 2009-08-18 2009-08-18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 KR200459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27U KR200459872Y1 (ko) 2009-08-18 2009-08-18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27U KR200459872Y1 (ko) 2009-08-18 2009-08-18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65U KR20110001865U (ko) 2011-02-24
KR200459872Y1 true KR200459872Y1 (ko) 2012-04-20

Family

ID=4420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727U KR200459872Y1 (ko) 2009-08-18 2009-08-18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8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178U (ko) 2019-03-27 2020-10-07 김재복 절첩 가능한 캐스터가 구비된 작업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578Y1 (ko) * 1999-07-14 2000-02-15 홍병윤 안전바퀴가 부착된 에이형사다리
KR200384455Y1 (ko) * 2005-02-17 2005-05-16 김진희 이동 가능한 우마 사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578Y1 (ko) * 1999-07-14 2000-02-15 홍병윤 안전바퀴가 부착된 에이형사다리
KR200384455Y1 (ko) * 2005-02-17 2005-05-16 김진희 이동 가능한 우마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178U (ko) 2019-03-27 2020-10-07 김재복 절첩 가능한 캐스터가 구비된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65U (ko)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98652A (en) Mobile ladders and platforms
JP2009299371A (ja) 昇降台装置
US10201895B2 (en) Collapsible mobile work bench and tool support stand
KR20130139064A (ko) 이동식 안전계단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KR200459872Y1 (ko) 이동이 편리한 작업대
JP3125537U (ja) 可搬式作業台
JP4836683B2 (ja) トラック荷台昇降用ステップ
JP4125305B2 (ja) 作業台
KR101972308B1 (ko) 작업용 발판
KR20150085879A (ko) 안전 사다리
KR20080102922A (ko) 리프트 고소 작업대
US11649677B2 (en) Movable ladder
KR200384455Y1 (ko) 이동 가능한 우마 사다리
JP4861957B2 (ja) トラック荷台昇降用ステップ
KR20100048441A (ko) 이동식 작업용 지지 장치
KR20170031440A (ko) 이동식 다단 사다리
JP3778561B2 (ja) 簡易型作業足場
KR200452778Y1 (ko) 작업용 발판
JP5689280B2 (ja) 作業台
KR20140000270U (ko) 핸드레일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사다리
KR200461587Y1 (ko) 작업대의 안전바 어셈블리.
KR20140006078U (ko) 작업대
KR20130065528A (ko) 접이식 사다리
AU2013100334A4 (en) Height Adjustable Workbench with One Hand Operation Height Adjustment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