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860B1 -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 Google Patents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860B1
KR101454860B1 KR1020130080782A KR20130080782A KR101454860B1 KR 101454860 B1 KR101454860 B1 KR 101454860B1 KR 1020130080782 A KR1020130080782 A KR 1020130080782A KR 20130080782 A KR20130080782 A KR 20130080782A KR 101454860 B1 KR101454860 B1 KR 101454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ork
pin
hole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래
정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비코
정선래
정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비코, 정선래, 정병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비코
Priority to KR102013008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3Fork-lift trucks adapted to be carried by transport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7Monom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혼자서 트럭의 적재함에 간편하게 싣고 내릴 수 있으며, 계단과 같은 단차가 있는 오르막 또는 내리막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인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에 있어서, 전원의 온/오프 및 포크부의 수직 이동거리 제어와 몸체부의 수직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를 구비한 콘트롤박스와; 플레이트의 저면에 회전가능한 이동바퀴가 부착되고 상면에는 커버가 씌워져 설치되되 플레이트와 일체로 고정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고정레일의 내측에 설치된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며 고정레일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이송레일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물품의 이동시키는 포크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포크수단과; 상기 콘트롤박스와 손잡이가 구비된 제1케이싱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설치된 제2케이싱의 끝단에는 회전바퀴가 설치되되 상기 제1케이싱의 일 끝단에는 축공과 스토퍼연결핀공이 형성된 제1연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판에는 제2연결판이 일체로 형성된 수평이송대가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리프트이송수단과; 상기 제1케이싱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제2케이싱을 직선이동시키는 제2실린더와; 상기 몸체부에는 유압펌프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Go vertical for easy forklift}
본 발명은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혼자서 트럭의 적재함에 간편하게 싣고 내릴 수 있으며, 계단과 같은 단차가 있는 오르막 또는 내리막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리프트(Forklift)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한쌍의 포크(Fork)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임의의 높이로 리프트시켜 운송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의미한다.
포크리프트는 엔진 및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 및 포크를 승강시키는 자동포크리프트와,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 및 포크를 승강시키는 수동 포크리프트로 크게 구분된다.
자동 포크리프트의 경우 작업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으나, 장거리 운행이 곤란하여 멀리있는 작업현장으로 이동하여 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수동 포크리프트의 경우 작업성이 좋지 못하는 반면에 자동 포크리프트에 비하여 무게 및 부피가 작아 트럭 등의 적재함에 실어 옮길 수 있는 등 이동성이 좋은 장점을 가지고있다.
보다 간편하게 트럭 등의 적재함에 실어 옮길 수 있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94615호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94615호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바퀴(110, 120)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100)과;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00)에 축고정되고, 높이가 차량(200)의 적재함(210) 폭과 동일하거나 차량(200)의 적재함(210)의 폭보다 작은 장방형의 수직프레임(300)과; 상기 수직프레임(30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포크부(500)와; 상기 포크부(50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포크부(500)는 상기 수직프레임(30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대(510)와; 상부가 상기 승강대(510)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포크지지대(520)와; 상기 포크지지대(520)의 하단부에 후단부가 축고정되는 포크몸체(530)와; 상기 포크몸체(530)로부터 전측으로 인출되고, 선단부에 하향경사지는 경사판부(542)가 구비되는 인출부재(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적재가 용이한 접이식 수동리프트는 포크지지대(540)에 짐이 실려 있을 때에는 실려 있는 짐을 내려놓고 리프트 운반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구조상 계단과 같은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장소에는 리프트를 사용한 물품의 이송/이동이 불가능하고 포크부를 들어올리고 올려진 포크지지대(540)를 적재함(210)의 바닥에 올려놓고 하부프레임(100)을 절첩한 후 하부프레임(100)을 작업자가 직접 들어올려야 함으로 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여성의 경우에는 포크리프트 자체를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946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544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21660호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010260호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315145호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상 계단과 같은 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장소에는 리프트를 사용한 물품의 이송/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포크부에 짐이 실려 있을 때에는 실려 있는 상태에서도 짐을 내려놓지 않고서도 리프트 운반 작업을 할 수 있는 편리성과, 작업자가 직접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리프트를 차량 등에 실을 수 있어 노약자 또는 여성의 경우에는 포크리프트 자체를 이동시킬 수 없는 편리성이 있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에 있어서, 전원의 온/오프 및 포크부의 수직 이동거리 제어와 몸체부의 수직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를 구비한 콘트롤박스와; 플레이트의 저면에 회전가능한 이동바퀴가 부착되고 상면의 유압펌프는 커버가 씌워져 설치되되 플레이트와 일체로 고정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고정레일의 내측에 설치된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며 고정레일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이송레일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물품의 이동시키는 포크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포크수단과; 상기 콘트롤박스와 손잡이가 구비된 제1케이싱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설치된 제2케이싱의 끝단에는 회전바퀴가 설치되되 상기 제1케이싱의 일 끝단에는 축공과 스토퍼연결핀공이 형성된 제1연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판에는 제2연결판이 일체로 형성된 수평이송대가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리프트이송수단과; 상기 제1케이싱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제2케이싱을 직선이동시키는 제2실린더와; 상기 몸체부에는 각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유압펌프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포크부는 기준프레임의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기준프레임의 일측으로는 축핀에 의해 회전하는 받침대가 설치되며 포크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며 받침대에는 스토퍼가 삽입되는 걸림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스토퍼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몸체부의 플레이트 저면에는 결합핀이 끼워지는 핀결합공을 형성하고 일 측면에는 가이드핀이 끼워지는 통공을 형성한 가이드레일이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수평이송대는 가이드레일을 관통하여 수평지지프레임의 끝단에 회전로울러가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수평지지프레임의 끝단은 연결프레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되, 연결프레임에는 결합핀이 끼워지는 핀결합공을 형성되고 축공과 스토퍼연결핀공이 형성된 제2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몸체부의 플레이트 저면에는 결합핀이 끼워지는 핀결합공을 형성하고 일 측면에는 가이드핀을 삽입하는 통공을 형성한 가이드레일이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혼자서 트럭의 적재함에 간편하게 싣고 내릴 수 있으며 계단과 같은 단차가 있는 오르막 또는 내리막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이점과, 또한 포크부에 짐이 실려 있을 때에는 실려 있는 상태에서도 짐을 내려놓지 않고서도 리프트 운반 작업을 할 수 있는 편리성과, 작업자가 직접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리프트를 차량 등에 실을 수 있어 간편함과 편리성이 있으며, 더불어 노약자 및 여성의 경우에도 포크리프트 자체를 이동시킬 수 없는 편리성이 있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접이식 수동리프트를 적재함에 싣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요부인 포크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요부인 포크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
도 5는 도 4a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6a은 본 발명의 요부인 몸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요부인 몸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
도 7은 고정레일과 이송레일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리프트이송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리프트이송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몸체부와 리프트이송수단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물품운반시 리프트 이동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a 내지 도 13i는 본 발명인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를 차량의 적재함에 싣는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14a는 포크부의 상하 이동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b는 몸체부를 상하 이동시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1)는 전원의 온/오프 및 포크부(21)의 수직 이동거리 제어와 몸체부(30)의 수직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를 구비한 콘트롤박스(10)와 물건을 이송 및 운반하는 포크수단(20)과, 포크리프트(1)를 높이 차가 발생된 장소로 이동시키는 리프트이송수단(40)과, 상기 포크수단(20)과 리프트이송수단(40)을 상하 직선이동시키는 제1 및 제2실린더(60)(70)와 상기 몸체부(30)에는 각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유압펌프(50)가 설치되어 대별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0)는 첨부도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1)의 저면에 회전가능한 이동바퀴(32)가 부착되고 상면의 각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유압펌프(50)는 커버(30a)가 씌워져 가려져 설치되되 플레이트(31)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레일(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고정레일(33)은 이송레일(22)이 끼워 설치되는 가이드홈(33-1)을 형성하고 플레이트(3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31) 저면에는 결합핀(35)이 끼워지는 핀결합공(34-1)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가이드핀(35a)을 삽입하는 통공(34-2)을 형성한 가이드레일(34)이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일(33)의 내측에는 제1실린더(6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에는 고정레일(33)의 가이드홈(33-1)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이송레일(22)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물품을 이동시키는 포크부(21)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포크수단(20)이 연결 설치된다.
첨부도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수단(20)의 구조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물품을 이동시키는 포크부(21)와 상기 포크부(21)를 상하 이송시키는 이송레일(22) 및 포크부(21)와 이송레일(22)을 연결하는 연결부(23)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포크부(21)는 기준프레임(21-1)의 내측으로 공간(21-2)을 형성하고 기준프레임(21-1)의 일측으로는 축핀(21-3)에 의해 회전하는 받침대(24)가 설치되며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부(21)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로킹부재(21-4)가 형성되며 받침대(24)에는 로킹부재(21-4)가 삽입되는 걸림공(24-1)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며, 이때 상기 로킹부재(21-4)가 삽입되는 걸림공(24-1)에 자석을 설치하거나 또는 로킹부재(21-4) 자체를 자석으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킹부재(21-4)를 자석으로 하는 이유는 사용상의 편리성 때문이다. 즉 받침대(24)를 회전시켜 포크부(21)를 지지하도록 사용하다가 받침대(24)를 미사용시 원위치로 회전시킬 때 자중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면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6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일(33)의 내부 측면에는 이탈방지홈(33-2)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홈(33-2)에는 이송레일(22)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봉(22-1)이 끼워져 상하 이동시 흔들림 및 이탈을 고정레일(33)에서 이송레일(2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리프트이송수단(4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박스(10)와 손잡이(41)가 구비된 제1케이싱(42)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설치된 제2케이싱(43)의 내측에는 제2실린더(70)이 설치되며 제2실린더(70) 일 끝단에는 회전바퀴(44)가 설치된다.
상기 제1케이싱(42)의 일 끝단에는 힌지축(45-3)과 스토퍼연결핀(45-4)이 끼워지는 힌지축공(45-1)과 스토퍼연결핀공(45-2)이 형성된 제1연결판(45)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판(45)에는 제2연결판(46)이 일체로 형성된 수평이송대(47)가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제1케이싱(42) 내부에는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2케이싱(43)이 설치되며 상기 제2케이싱(43) 내측 공간에는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제2케이싱(43)을 직선이동시키는 제2실린더(70)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30)에는 각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유압펌프(50)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이송대(47)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4)을 관통하여 수평지지프레임(47-1)의 끝단에 회전로울러(47-2)가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수평지지프레임(47-1)의 끝단은 연결프레임(47-5)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되, 연결프레임(47-5)에는 결합핀(35)이 끼워지는 핀결합공(47-5-1)이 형성되고 축공과 스토퍼연결핀공이 형성된 제2연결판(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리프트를 사용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물품운반 사용과 이송과 리프트 자체를 차량 등에 싣는 리프트 자체이송 등의 사용 방법이 있다.
먼저 통상적인 물품운반 사용 방법으로는 첨부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하여야 할 물품이 있는 장소로 리프트이송수단(40)의 손잡이(41)를 잡아당겨 이동시킨다. 상기 손잡이(41)를 잡아당기면 상기 콘트롤박스(10)와 손잡이(41)가 구비된 제1케이싱(42)과 제2케이싱(43), 제2케이싱(43) 내부에 장착된 제2실린더(70)가 회전축(45-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케이싱(42)과 제2케이싱(43)의 회전은 스토퍼연결핀(45-4)에 걸려 일정한 각도로만 회전된다. 상기 제1케이싱(42)과 제2케이싱(43)가 회전되면서 스토퍼연결핀(45-4)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 제1케이싱(42)과 제2케이싱(43)이 회전하지 못하므로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몸체부(30)의 하부 및 수평이송대(47-1)에 구비된 바퀴(32) 및 로울러(47-2)에 의해 포크리프트(1) 전체가 이동된다.
상기 본 발명의 포크리프트(1)를 운반하여야 할 장소까지 끌고 이동시킨 후 포크부(47)를 물품의 저면에 집어넣은 후 콘트롤박스(10)에 구비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첨부도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60)를 작동시키면 제1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가 신장된다.
한편 상기 고정레일(33)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1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면 이송레일(22)이 고정레일(33)의 가이드홈(33-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레일(22)에는 포크부(21)가 연결부(23)에 의해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크부(21)가 이송레일(22)을 따라서 같이 들어 올려지므로 포크부(21)에 떠받혀 있던 물품이 들어 오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레일(22)이 제1실린더(60)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질 때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일(33)의 내측면에 형성된 이탈방지홈(33-2)에는 이송레일(22)의 가이드봉(22-1)이 끼워져 상하 이동시 흔들림 및 각 레일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준프레임(21-1)의 내측으로 공간(21-2)을 형성한 포크부(21)가 들어 올려지면 포크부(21)의 내측 공간(21-2)에 삽입되어 있던 수평이송대(47)는 그대로 대지면에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물품을 포크부(21)로 들어올린 상태로 이송하고자 하는 장소로 포크리프트(1)를 이동시키면 된다.
포크리프트(1)를 차량을 이용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포크리프트(1)를 차량의 후미 또는 측면으로 이동시킨 후 첨부도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부(21)를 들어올리며, 상기 포크부(21)의 상부 이동은 전자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도면 14a 참조).
상기 포크부(21)가 제1실린더(60)의 작동으로 일정한 상부 위치로 들어 올려지면 첨부도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1)를 밀어 수평이송대(47)와 포크부(21)의 사이에 차량이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포크리프트(1)가 차량 쪽으로 밀어 이동된 상태에서 첨부도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10)를 이용하여 제1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가 하향되게 작동시킨다.
상기 제1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가 하향 이동하게 되면 제1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이송레일(33)이 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때 올려진 포크부(21)가 내려지게 된다. 상기 포크부(21)가 내려지는 위치는 차량의 적재함 즉 리프트를 싣고자 하는 위치까지이다.
상기 포크부(21)가 적재함 바닦면에 접지되되 실질적으로 첨부도면 도 5 및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4)를 힌지 회전시켜 포크부(21)가 받침대(24)가 돌출된 만큼 바닦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받침대(24)가 포크부(21)에서 회전되어 돌출되면 첨부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4)의 핀결합공(34-1)과 연결프레임(47-5)의 핀결합공(47-5-1)에 끼워진 결합핀(35)을 뽑아 상기 몸체부(20)와 리프트이송수단(40)을 분리시킨다.
상기 결합핀(35)을 뽑아 몸체부(20)와 리프트이송수단(40)을 분리시키 후 결합핀(35)은 통공(47-5-2)에 끼워 보관하고, 첨부도면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이송수단(40)을 차량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몸체부(30)의 가이드레일(34)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있던 수평이송대(47)가 빠져나옴으로 리프트이송수단(40) 전체가 후미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평이송대(47)가 차량의 밑에 위치하다가 차량으로부터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밖으로 완전하게 빠져나올 때까지 잡아당긴다.
상기 리프트이송수단(40) 전체가 후미 쪽으로 이동되면 첨부도면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10)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2실린더(70)를 작동시키면 첨부도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케이싱(43)이 제1케이싱(42) 내부에서 인출되면서 제2케이싱(43)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바퀴(44)가 지면에 부딪히게 된다.
상기 회전바퀴(44)가 지면에 부딪히게 되면 제2실린더(70)의 작동은 계속 작동되기 때문에 제2케이싱(43)은 더 이상 하방향으로 인출되지 못하고 제1케이싱(42)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케이싱(42)의 제1연결판(45)에는 수평이송대(4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2연결판(46)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이송대(47)도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이송대(47)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되면 수평이송대(47)는 몸체부(30)의 가이드레일(34)에 끼워져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몸체부(30) 전체를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수평이송대(47)의 상부 이송 거리는 먼저 이송되어 있는 포크부(21)의 기준프레임(21-1)의 내측 공간(21-2)으로 수평지지프레임(47-1)이 삽입되어져 걸려지는 위치 즉 포크부(21) 내측에 삽입되는 위치까지이다.
상기 포크부(21)에 수평이송대(47)가 삽입되면 후방에 빠져 있던 제1케이싱(42)과 제2케이싱(43)을 첨부도면 도 1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 쪽으로 밀면 수평이송대(47)의 수평지지프레임(47-1)이 몸체부(30)의 가이드레일(3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평지지프레임(47-1)과 가이드레일(37)의 작동 관계는 첨부도면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프레임(47-1)이 가이드레일(34)에 삽입되어 있으나 상기 수평지지프레임(47-1)에는 가이드공(47-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레일(34)에는 핀공(34-2)이 형성되어 있어 핀공(34-2)을 관통한 가이드핀(35a)이 핀공(34-2)에 끼워 설치되어 안내 및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첨부도면 도 1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싱(42)과 제2케이싱(43)이 적재함 쪽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면 적재함 바닦면과 포크부(21)가 직접 닫지 않도록 받침대(24)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상기 이격된 사이로 수평지지프레임(47-1)이 삽입되되 수평지지프레임(47-1)의 끝단에 회전로울러(47-2)가 설치되어 있어 수평지지프레임(47-1)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케이싱(42)과 제2케이싱(43)이 몸체부(30) 쪽으로 더 밀착 이동하게 되면 통공(47-5-2)에 보관되어 있던 결합핀(35)을 핀결합공(47-5-1)에 끼워 넣으면 연결프레임(47-5)과 수평지지프레임(47-1) 사이에 끼워진 가이드레일(34)의 핀결합공(34-1)에 끼워짐으로 몸체부(30)와 리프트이송수단(40)이 연결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1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몸체부(30)를 적재함 쪽으로 밀어 넣으면 몸체부(30)가 적재함에 위치하게 되면서 포크리프트(1)의 무게 중심이 적재함 쪽으로 이동되어 있기 포크리프트(1)의 유동성이 방지되면서 적재함으로부터 포크리프트(1)가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기면서 안전성을 갖게 된다.
첨부도면 도 1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가 적재함 쪽으로 이동되면 제2실린더(70)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를 절첩시키면 제2케이싱(43)이 제1케이싱(42) 내부로 삽입되면서 접어지게 되며, 상기 연결프레임(47-5)과 수평지지프레임(47-1) 사이에 끼워진 가이드레일(34)에 의해 몸체부(30)에 연결되어 있는 제1케이싱(42), 제2케이싱(43) 및 제2실린더(70)가 공중에 떠 있게 되며, 이때 첨부도면 도 1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0)를 적재함 안쪽으로 더 밀어 넣으면 안전하고 간편하게 차량의 적재함에 리프트를 싣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혼자서 트럭의 적재함에 간편하게 싣고 내릴 수 있으며 계단과 같은 단차가 있는 오르막 또는 내리막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이점과, 또한 포크부에 짐이 실려 있을 때에는 실려 있는 상태에서도 짐을 내려놓지 않고서도 리프트 운반 작업을 할 수 있는 편리성과, 작업자가 직접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리프트를 차량 등에 실을 수 있어 간편함과 편리성이 있으며, 더불어 노약자 및 여성의 경우에도 포크리프트 자체를 이동시킬 수 없는 편리성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본 발명의 포크리프트(1)을 계단과 같이 단차가 발생된 장소를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적재함에 리프트를 싣고자 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동한다.
1 : 포크리프트 10 : 콘트롤박스
20 : 포크수단 21 : 포크부
21-1 : 기준프레임 21-2 : 공간
21-3 : 축핀 21-4 : 로킹부재
22 : 이송레일 23 : 연결부
24 : 받침대 24-1 : 걸림공
30 : 몸체부 30a : 커버
31 : 플레이트 32 : 이동바퀴
33 : 고정레일 33-2 : 이탈방지홈
33-1 : 가이드홈 34 : 가이드레일
34-1 : 핀결합공 34-2 : 통공
35 : 결합핀 35a : 가이드핀
40 : 리프트이송수단 41 : 손잡이
42 : 제1케이싱 43 : 제2케이싱
44 : 회전바퀴 45 : 제1연결판
45-1 : 힌지축공 45-2 : 스토퍼연결핀공
45-3 : 힌지축 45-4 : 스토퍼연결핀
46 : 제2연결판 47 : 수평이송대
47-1 : 수평지지프레임 47-2 : 회전로울러
47-5 : 연결프레임 47-5-1 : 핀결합공
50 : 유압펌프 60 : 제1실린더
70 : 제2실린더

Claims (6)

  1.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에 있어서,
    전원의 온/오프 및 포크부의 수직 이동거리 제어와 몸체부의 수직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를 구비한 콘트롤박스와;
    플레이트의 저면에 회전가능한 이동바퀴가 부착되고 상면에는 커버가 씌워져 설치되되 플레이트와 일체로 고정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고정레일의 내측에 설치된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며 고정레일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이송레일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물품의 이동시키는 포크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포크수단과;
    상기 콘트롤박스와 손잡이가 구비된 제1케이싱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설치된 제2케이싱의 끝단에는 회전바퀴가 설치되되 상기 제1케이싱의 일 끝단에는 축공과 스토퍼연결핀공이 형성된 제1연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판에는 제2연결판이 일체로 형성된 수평이송대가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리프트이송수단과;
    상기 제1케이싱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제2케이싱을 직선이동시키는 제2실린더와;
    상기 몸체부에는 유압펌프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는 기준프레임의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기준프레임의 일측으로는 축핀에 의해 회전하는 받침대가 설치되며 포크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로킹부재가 형성되며 받침대에는 로킹부재가 삽입되는 걸림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플레이트 저면에는 결합핀이 끼워지는 핀결합공을 형성하고 일 측면에는 가이드핀이 끼워지는 통공을 형성한 가이드레일이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대는 가이드레일을 관통하여 수평지지프레임의 끝단에 회전로울러가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수평지지프레임의 끝단은 연결프레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되, 연결프레임에는 결합핀이 끼워지는 핀결합공이 형성되고 축공과 스토퍼연결핀공이 형성된 제2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플레이트 저면에는 결합핀이 끼워지는 핀결합공을 형성하고 일 측면에는 가이드핀을 삽입하는 통공을 형성한 가이드레일이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KR1020130080782A 2013-07-10 2013-07-10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KR101454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782A KR101454860B1 (ko) 2013-07-10 2013-07-10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782A KR101454860B1 (ko) 2013-07-10 2013-07-10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860B1 true KR101454860B1 (ko) 2014-11-03

Family

ID=5228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782A KR101454860B1 (ko) 2013-07-10 2013-07-10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8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810B1 (ko) * 2016-02-19 2017-05-23 여정기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KR20180097412A (ko) 2017-02-23 2018-08-31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다용도 리프트
CN110255448A (zh) * 2019-05-27 2019-09-20 安徽好运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叉车及属具油路布置方法
CN110562885A (zh) * 2019-09-30 2019-12-13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间距货叉用翻转机构
KR20220001949A (ko) * 2020-06-30 2022-01-06 대호 (주) 텔레스코픽 마스터를 갖는 작업 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1240A (ja) * 1996-09-10 1998-03-31 Sugikuni Kogyo Kk パレットトラック
JP2004238183A (ja) * 2003-02-07 2004-08-26 Nippon Yusoki Co Ltd かさ上げフォーク付きローリフトトラック
JP2010515635A (ja) * 2007-01-08 2010-05-13 ビシャモ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キッド及びパレットのためのリフト
KR100987225B1 (ko) * 2009-11-06 2010-10-12 김석일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1240A (ja) * 1996-09-10 1998-03-31 Sugikuni Kogyo Kk パレットトラック
JP2004238183A (ja) * 2003-02-07 2004-08-26 Nippon Yusoki Co Ltd かさ上げフォーク付きローリフトトラック
JP2010515635A (ja) * 2007-01-08 2010-05-13 ビシャモ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コーポレーション スキッド及びパレットのためのリフト
KR100987225B1 (ko) * 2009-11-06 2010-10-12 김석일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810B1 (ko) * 2016-02-19 2017-05-23 여정기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KR20180097412A (ko) 2017-02-23 2018-08-31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다용도 리프트
CN110255448A (zh) * 2019-05-27 2019-09-20 安徽好运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叉车及属具油路布置方法
CN110562885A (zh) * 2019-09-30 2019-12-13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间距货叉用翻转机构
CN110562885B (zh) * 2019-09-30 2024-05-03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间距货叉用翻转机构
KR20220001949A (ko) * 2020-06-30 2022-01-06 대호 (주) 텔레스코픽 마스터를 갖는 작업 차량
KR102367687B1 (ko) 2020-06-30 2022-02-28 대호 (주) 텔레스코픽 마스터를 갖는 작업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860B1 (ko)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US9815672B2 (en) Loading apparatus
US8376089B2 (en) Lift for skids and pallets
CN104875659A (zh) 用于卡车升降机安装的货物舱的闩锁/锁定系统
JP6143302B2 (ja) テールゲートにおける落下防止ストッパの安全装置
KR101847831B1 (ko) 차량 운송용 트레일러
US20070074935A1 (en) Order picker product platform
US4639004A (en) Hand cart with fulcrum lever and vertically adjustable auxiliary wheels
JP6285083B2 (ja) パレットトラック互換床置き型荷物用エレベータ
JP4778280B2 (ja) 可搬型消防ポンプの昇降積み降し装置
JP5309864B2 (ja) 台車による搬送装置
US11117790B2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a thrust device
WO2006006860A2 (en) System for coupling fork-lift truck and truck
FR3102727A1 (fr) Dispositif de déplacements sécurisé d’une charge portée par une palette.
JP7419708B2 (ja) 階段昇降装置及び搬送方法
KR20200020215A (ko) 진공 흡착 장치가 구비된 스태커
KR101738810B1 (ko)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KR950003592B1 (ko) 무게 중심의 이동 및 조정 기능을 갖는 운반장치
EP2923916A1 (en) Sack truck
KR101426074B1 (ko) 풋다운 방식 이송대차
JP2021038089A (ja) リフト装置
GB2469136A (en) Tipping skip release mechanism
KR101341802B1 (ko) 이동 운반용 파렛트
JP2006224708A (ja) 運搬車
US2708043A (en) Auxiliary mast construction for fork lift tru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