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810B1 -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 Google Patents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810B1
KR101738810B1 KR1020160019900A KR20160019900A KR101738810B1 KR 101738810 B1 KR101738810 B1 KR 101738810B1 KR 1020160019900 A KR1020160019900 A KR 1020160019900A KR 20160019900 A KR20160019900 A KR 20160019900A KR 101738810 B1 KR101738810 B1 KR 10173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order picker
hole
mast
st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정기
서인석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여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정기 filed Critical 여정기
Priority to KR102016001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7Monom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7Whole unit including fork support moves relative to mast

Abstract

본 발명은 스태커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기능에서 오더피커로 실시간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휠이 구비된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마스트에 결합되는 리프트와, 상기 지지홀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포크와,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휠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운전자 탑승용 발판이 구비된 오더피커 바디와, 상기 오더피커 바디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며,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포크에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적재를 수행하는 포크가 필요시 관통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삽입됨으로서, 오더피커 바디와 탑승자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오더피커가 가지는 탑승자의 승하강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A CONVERTIBLE STACKER TO AN ORDER PICKER}
본 발명은 스태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구조를 가진 포크를 탑승자가 위치한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더피킹이라 함은, 고객의 주문에 따라 물품을 보관 장소에서 찾아내어 각 배송처리별로 분류하고 정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필요한 물량을 집하장 내에서 모집하여 출하를 시키는 것을 일컫으며, 사람이 물품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골라내는 방법과 사람이 이동하지 않고 물품을 자동적으로 반출해 내는 방법이 있다. 다만, 상기 작업방법 중 작업자가 물품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골라내는 방법에는 단순히 노동력을 이용하는 방법과, 컨베이어, 스태커, 오더피커 등의 오더피킹 작업을 위한 장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장비 중 현재 물류이송을 위하여 가장 자주 쓰이는 장치로는, 결국 적재를 취급하는 스태커와 작업인원을 승강하는 오더피커로 구분되고 있다. 이러한 장비는 구동방식이 동일하고 사용처가 유사하지만, 각각의 장비로 출시되어 운용되고 있어 전용기계에서 복합기계 방식으로 전환되는 스마트 물류기계 시장의 흐름에 부합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낳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079호(2011년 11월 2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4584호(2014년 6월 26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스태커의 기본 기능에 더하여 오더피커로서의 기능이 함께 구비됨으로서, 단일 장비를 작업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는, 휠이 구비된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마스트에 결합되는 리프트와, 상기 지지홀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포크와,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휠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운전자 탑승용 발판이 구비된 오더피커 바디와, 상기 오더피커 바디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며,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포크에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홀의 측면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는 포크 고정대가 결합되어, 상기 포크 고정대를 이용하여 상기 포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크에는 상기 포크 고정대의 단부가 결합되는 이탈방지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 프레임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오더피커 바디의 하부면에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는 적재를 수행하는 포크가 필요시 오더피커 바디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삽입됨으로서, 오더피커 바디와 탑승자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스태커의 기본 기능에 더하여 오더피커로서의 기능이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단일장비를 사용자의 의도 또는 작업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적재작업의 정밀성 향상이나 고소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의 고정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의 모드(Mode) 전환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의 멀티 모드 활용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더피커로 용도전환이 가능한 스태커는 바디 프레임(10), 마스트(20), 리프트(30), 지지홀(40), 포크(50), 오더피커 바디(60) 및 관통홀(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처음으로 서술할, 바디 프레임(10)은 본 발명의 기본 골격을 이루며, 바디 프레임(10) 이외의 구성요소와 탑승자를 상방으로 지탱하여 화물의 적재 및 반출을 수행할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다. 이를 위하여 하중에 무게를 이겨내고, 화물의 추락으로 인한 손상에도 강하도록 단단하고 무게가 무거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면적은 모든 부재와 탑승자를 수용할 수 있는 넓이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하부면이 지면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무게중심을 최대한 낮추어 스태커가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전복되는 경우를 최대한 방지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바디 프레임(10)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형태의 제한없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
또한, 바디 프레임(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디 프레임(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휠(11)이 구비되게 된다. 실제 주행을 위하여 휠(11)을 구동시킬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를 통하여 실제로 휠(11)이 주행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이 더 포함되며, 구성 및 공간 효율을 위하여, 구동부 및 구동모터는 후술하게 될 오더피커 바디(60)와 바디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수용설치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스트(20)는 바디 프레임(1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마스트(20)의 길이방향으로 화물이 왕복 이동할 수 있게끔, 설치되는 이동축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며 마스트(20)의 길이를 설정하고 화물 승강을 위하여 마스트(20)와 결합되는 부재들을 지탱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마스트(20)도 바디 프레임(10)와 마찬가지로 무게하중에 강한 소재로 선택하여 제조하거나, 처음부터 바디 프레임(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되는 것으로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스트(20)의 길이는 전술한 이유와 동일하게 사고 방지 및 화물 적재 및 반출작업의 효율을 고려하여 일정 범위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마스트(20)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에 대해 서술하도록 한다. 액추에이터는 전기나 유압 또는 압축 공기 등을 사용하는 원동기를 총칭한다. 일반적으로는 유체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피스톤 또는 실린더나, 일정 목적의 제어 기구가 구비된 전기모터를 일컫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리프트(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액추에이터의 위치는 마스트(20)에서 리프트(30)를 움직이기 용이하도록 마스트(20)의 내부에 형성되는 빈공간에 장착되는 것이 효율적이며, 이외에도 스태커의 구성시 공간 및 사용의 효율을 위하여 마스트(20) 내부 외에도 다양한 위치에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액추에이터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리프트(30)는,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마스트(20)를 축으로 상하 이동되며, 후술하게 될 포크(50)를 내측에 체결하여 함께 이동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리프트(30)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된 지지홀(40)은 포크(50)가 화물 적재 및 반출 작업을 수행시에도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시와 동일하게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곧게 뻗어진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하는 서포터의 기능을 수행한다.
실제로 화물과 후술하게 될 오더피커 바디(6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포크(50)는 리프트(30)에 위치한 지지홀(40)의 내부에 항상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모드 전환시에는 지지홀(40)에서 전후방으로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포크(50)의 위치는 포크(5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상하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마스트(20)와 액추에이터를 중앙으로 집중시키고 포크(50)를 탑승자의 시점에서 좌우 양단으로 내보내는 구조를 선택함으로써, 리프트(20)의 중앙에 가깝게 포크(50)가 집중되었을 시보다 화물과 오더피커 바디(6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잠시, 포크(50)는 어떻게 지지홀(40)로부터 분리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고 고정되는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의 고정 상태도이다.
우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홀(40)의 측면에는 고정홀(41)이 형성되고 고정홀(41)에는 포크 고정대(80)가 결합되어, 포크(5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포크(50)의 측면에는 포크 고정대(80)에 대응하여 포크(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이탈방지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포크 고정대(80)의 단부는 고정홀(41)을 통과하여 포크(5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50)가 체결되는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포크고정대(80)의 단부를 고정홀(41)과 이탈방지 홈으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포크(50)를 원하는 위치에 슬라이딩 이동하고, 포크고정대(80) 분리 시의 반대과정을 거쳐 포크(50)에 포크 고정대(80)를 다시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포크 고정대(80)는 스프링이 달린 키 형태로 이루어져 간편한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포크(50)를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포크(50)에는 이탈방지 요철(51)이 돌출 형성되어 포크(50)가 지지홀(4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모드 전환 또는 화물 적재 및 반출 작업 중에 포크(50)가 지지홀(4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작업을 수행 시 화물이 적재되게 되는 전단부에만 형성되되, 이탈방지 요철(51)은 화물의 적재에 방해되지 않도록 포크(50)의 폭 방향의 좌우 양측면 및 하부면에만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 그 중 전단부에만 이탈방지 요철(51)이 형성되는 이유는 오더피커 바디(60)와 관통홀(70)의 서술 시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포크(50)의 하단부는 이송 간이나 승강 작업중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ㄷ'자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맞추어 지지홀(40)의 형상 또한 음각형태의 'ㄷ'자 모양을 부여하여 포크(50)의 원활한 이송 중에서도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제부터 서술할, 오더피커 바디(60)는 본래 기본적인 스태커의 조종석과 기능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액추에이터와 휠(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1)와, 운전자 탑승용 발판(62)이 구비되어, 탑승자가 안정감 있게 운전자 탑승용 발판(62) 위에서 스태커의 주행 및 화물의 승하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오더피커 바디(60)가 기존의 스태커에 구비된 조종석과 차별되는 것은 바로 오더피커 바디(60)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70)이다. 포크(5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서, 관통홀(80)을 통과하여 오더피커 바디(60)에 완전히 삽입되면, 액추에이터의 리프트(30) 상하이동을 제어시에 탑승자가 기존의 오더피커에서 가능한 탑승자의 승하강 기능이 수행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포크(50)의 후단부에 이탈방지 요철(51)이 형성되지 않는 이유가 바로 관통홀(70)에 있다. 오더피커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포크(5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이탈방지 요철(51)로 인하여 관통홀(70)에 삽입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제 전술한 부재들의 구성과 기능을 통하여, 본 발명의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가 어떠한 형태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더피커로 용도전환이 가능한 스태커의 모드(Mode) 전환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는, 오더피커 모드 및 스태커 모드로 실시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도 3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커에서 오더피커로 모드 전환 시, 포크(50)가 관통홀(70)과 동일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리프트(30)를 하강시킨다. 하강 후에는, 포크(5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크(50)가 관통홀(70)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다. 삽입이 완료되면, 오더피커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이 종료된 것이며, 탑승자의 작업수행이 필요한 높이로 제어부(61)를 조작하여 리프트(30)를 상하 이송시킴으로서 오더피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아무리 포크(50)가 관통홀(70)에 삽입되어 오더피커 바디(6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려 해도, 오더피커 바디(60)가 바디 프레임(10)과 고정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면 모드의 전환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상황을 방지하도록 바디 프레임(10)에는 오더피커 바디(60)의 하부면보다 작은 면적으로 관통된 결합홀(12)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오더피커 바디(70)의 하부면에는 상기의 결합홀(12)에 대응되는 돌출부(63)가 형성된다. 이후 결합홀(12)의 사이를 돌출부(63)가 통과함으로서, 오더피커 바디(60)의 하부가 바디 프레임(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오더피커 모드 전환시 제한 없이 오더피커 바디(60)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스태커 모드의 활용 시에도 오더피커 바디(60)가 바디 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대로, 도 3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더피커에서 스태커로 모드 전환시, 오더피커 바디(60)의 돌출부(63)가 결합홀(12)을 통과하여 바디 프레임(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완료될 때까지 리프트(30)를 하강시킨다. 하강 후에는, 포크(5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크(50)가 관통홀(7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도록 한다. 이탈이 완료되면, 스태커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이 종료된 것이며, 화물의 적재 및 반출이 필요한 높이로 리프트(30)를 상하 이송시킴으로서 스태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포크(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별도의 동력수단에 의하여 리프트(30)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지지홀(40)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포크 고정대(80) 역시 제어부(61)의 조작을 통하여 간편하게 포크(5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용 동력수단을 따로 마련하여 마스트(20) 또는 리프트(30)에 설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3의 (A)와 (B)의 모드를 절충 하여 본래의 기능인 스태커 모드에서 본 발명의 특징인 오더피커 모드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멀티모드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의 멀티 모드 활용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더피커 바디(60)가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는 최소 길이로 포크(50)를 관통홀에 삽입하되, 나머지 관통홀에 미삽입된 일부분에도 화물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포크(50)의 위치를 조정하면, 단순히 스태커로서 화물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것이 아닌 탑승자가 화물과 함께 승하강하여 화물의 적재 및 반출을 확인하고 수정하는데 더욱 용이한 구조를 가진 멀티모드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바디 프레임
11 : 휠
12 : 결합홀
20 : 마스트
30 : 리프트
40 : 지지홀
41 : 고정홀
50 : 포크
51 : 이탈방지 요철
60 : 오더피커 바디
61 : 제어부
62 : 탑승용 발판
63 : 돌출부
70 : 관통홀
80 : 포크 고정대

Claims (4)

  1. 휠이 구비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
    상기 마스트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마스트에 결합되는 리프트;
    상기 리프트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된 지지홀;
    상기 지지홀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포크;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휠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운전자 탑승용 발판이 구비된 오더피커 바디;
    상기 오더피커 바디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며,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포크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홀의 측면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는 포크 고정대가 결합되어, 상기 포크 고정대를 이용하여 상기 포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에는 상기 포크 고정대의 단부가 결합되는 이탈방지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4. 휠이 구비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스트;
    상기 마스트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마스트에 결합되는 리프트;
    상기 리프트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된 지지홀;
    상기 지지홀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포크;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휠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운전자 탑승용 발판이 구비된 오더피커 바디;
    상기 오더피커 바디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며,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포크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되,
    상기 바디 프레임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오더피커 바디의 하부면에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KR1020160019900A 2016-02-19 2016-02-19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KR10173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900A KR101738810B1 (ko) 2016-02-19 2016-02-19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900A KR101738810B1 (ko) 2016-02-19 2016-02-19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810B1 true KR101738810B1 (ko) 2017-05-23

Family

ID=5905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900A KR101738810B1 (ko) 2016-02-19 2016-02-19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4242A (zh) * 2021-02-02 2021-05-14 江苏航运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物联网混合动力叉车精准交流调速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8933A (ja) 2011-04-14 2012-11-12 Toyota Industries Corp 搬送車両
KR101454860B1 (ko) * 2013-07-10 2014-11-03 주식회사 리비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8933A (ja) 2011-04-14 2012-11-12 Toyota Industries Corp 搬送車両
KR101454860B1 (ko) * 2013-07-10 2014-11-03 주식회사 리비코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4242A (zh) * 2021-02-02 2021-05-14 江苏航运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物联网混合动力叉车精准交流调速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5672B2 (en) Loading apparatus
KR20060125526A (ko) 물품 반송 장치
KR101035478B1 (ko) 적재면의 확장 및 이동이 가능한 지게차용 승하강 리프트
CN106044642B (zh) 一种电动取货车
CN211619851U (zh) 一种叉车
KR101886207B1 (ko)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
KR101738810B1 (ko)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KR20180001351U (ko) 이동형 마스트를 이용한 포크 위치 미세조정이 가능한 지게차
KR101454860B1 (ko) 수직이동이 용이한 포크리프트
CN108025755A (zh) 运输具有航空货物的货柜或者货盘的方法和运输装置
US10981733B2 (en) Product sorting apparatus
KR100931044B1 (ko) 버스의 휠 체어 램프용 이송장치
JPS60183425A (ja) 車体の移載装置
KR102088058B1 (ko) 진공 흡착 장치가 구비된 스태커
WO2006006860A2 (en) System for coupling fork-lift truck and truck
JP5280138B2 (ja) 昇降載置台付台車
KR101711505B1 (ko) 전동 승강 작동식 핸드 캐리형 운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형 작업자 승강장치
CN209922810U (zh) 搬运车
KR101626934B1 (ko) 승강식 운반 대차
CN105271064A (zh) 一种新型稳定自提升堆高车
CN207451536U (zh) 一种半自动自提堆高车
KR101747830B1 (ko) 이송 장치
JP2000033902A (ja) 梱包ケースへの部品パッケージ積載装置
JP2006036481A (ja) コンテナパレットローダおよびコンテナパレットローダによる貨物搬送システム
KR20170060256A (ko) 셀프 승강 리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