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256A - 셀프 승강 리프트 - Google Patents

셀프 승강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256A
KR20170060256A KR1020150164403A KR20150164403A KR20170060256A KR 20170060256 A KR20170060256 A KR 20170060256A KR 1020150164403 A KR1020150164403 A KR 1020150164403A KR 20150164403 A KR20150164403 A KR 20150164403A KR 20170060256 A KR20170060256 A KR 20170060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frame
lift
lower fram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춘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0256A/ko
Publication of KR2017006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3Fork-lift trucks adapted to be carried by transport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 기계에 셀프 탑재가 가능한 승강리프너 내지 스태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크(10)에 삽입되는 수평이동 지지대(11)가 전후방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본체(31)가 상부 프레임(25)을 기준으로 포크(10)방향에서 체결되어, 파렛트나 적재화물과 함께 셀프 승강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25)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20)과; 상기 하부 프레임(20) 상단부에 체결되어 수직으로 직립한 상태의 상부프레임(25)과; 이동프레임(30)과 포크(10)를 상하로 수직 이동시키는 승강장치(50)와; 상기 승강장치(50)의 체인과 체결되며 상하 수직 이동하는 이동프레임(30)과; 리프트 구동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내부 수용부에 수용하는 본체와; 화물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포크(10)와; 상기 하부 프레임(20)을 관통하며, 하부 프레임의 지지대 가이드(21)로 인하여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수평이동 지지대(11);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프레임(30)과 본체(31)의 체결방향이 상부 프레임(25)을 기준으로 포크(10)방향에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게 중심이 포크(10)쪽으로 유지되어, 포크에 파렛트나 화물을 적층하지 않아도, 자체 중량만으로도 차량에 탑재가 가능하며, 적재화물과 같이 적재하여 배송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셀프 승강 리프트 {Self-elevator lift}
본 발명은 운송 기계에 셀프 탑재가 가능한 승강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크(10)에 삽입되는 수평이동 지지대(11)가 전후방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본체(31)가 상부 프레임(25)을 기준으로 포크(10)방향에서 체결되어, 파렛트나 적재화물과 함께 셀프 승강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통상적으로 이동식(portable) 리프트(lift)나 스태커(stacker)는, 짐을 쌓아 올리거나 내릴 때에 사용되는 기계로서, 지계차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계이다.
통상적으로 중량 1톤 미만의 소형화물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켜, 운송 차량 내지 적층장소에 적층하는데 주로 사용하며, 택배업, 과수업, 유통업, 용달업, 소형화물 배송업 및 도소매업종에서 주로 사용한다.
종래기술의 이동식 리프트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10-1244363호와,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KR 20-2013-0000171호에서 공지하고 있는 것과 같이, 고정된 지지 프레임과, 수직 승강장치를 구비한 캐리어와, 전방으로 돌출한 1쌍의 포크를 포함하여,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킨 후, 일정 거리를 이동하여, 목적 지점에 도착한 후에는 화물을 내려 놓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차나 이동식 테이블의 경우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10-0987225호에서 공지한 바와 같이, 이동식 테이블에 승강장치를 구비하거나, 승강장치와 연동되도록 포크 내지 크레인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물 운송자가 배송지에 도착한 후, 리프트나 지게차가 없을 경우에는 운송자 내지 작업자가 화물을 손수 화물을 하차작업을 수행해야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수레나 대차는 리프팅 기능이 없어서, 지게차나 이동식 리프트가 별도로 필요로 한다.
따라서, 배송되는 화물과 동시에 운송차량에 상하차 기능을 구비한 이동식 리프트가 필요하며, 파렛트나 화물이 포크에 적층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자체적인 중량으로 운송 차량에 셀프 승강이 가능한 리프트가 필요한 실정이다.
1. KR 20-2013-0000171 '차단기 운반용 리프트', 공개일자: 2013.01.18. 2. KR 10-0987225,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등록일자: 2010.10.05. 3. KR 10-1244363, '스키드 및 팔레트용 리프트', 등록일자: 2013.03.11.
본 발명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짐만 쌓아 올리거나 내릴 때에 사용되는 종래의 리프트에, 짐과 함께 리프트도 승강되어, 짐과 함께 배송되어, 배송지에서도 손쉽게 짐을 하차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셀프 승강 리프트를 개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대차와 수레와 같이 운송차량에 탑재가 가능하도록 접이식 구조를 구비한 셀프 승강 리프트를 개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식 리프트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된 포크(10)에 삽입되며, 전후방으로 수평이동하는 수평이동 지지대(11)와,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이동프레임(30)과 본체(31)의 체결방향이 상부 프레임(25)을 기준으로 포크(10)방향에서 체결되어 자체 중량의 무게 중심이 포크(10)쪽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셀프 승강 리프트를 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가 가능하도록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부프레임(25)과 하부프레임(20)의 일측부에 접이 샤프트(26)를 관통과는 홀과; 상기 홀을 삽입되며, 상부프레임(25)과 하부프레임(20)을 흰지 연결하는 접이 사프트(26)를; 구비하여 상부 프레임(25)을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셀프 승강 리프트를 개시하고자 한다.
상기 해결수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동프레임(30)과 본체(31)의 체결방향이 상부 프레임(25)을 기준으로 포크(10)방향에서 체결되어 자체 중량의 무게 중심이 포크(10)쪽으로 유지되어, 포크에 파렛트나 화물을 적층하지 않아도, 자체 중량만으로도 차량에 탑재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둘째, 종래기술에서는 고정된 지지대를 전후방으로 수평 슬라이딩 되도록 하부프레임에 가이드(21)를 구비함으로서, 리프트의 몸체 전체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공간과 여건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접이식 구조는 수납공간을 확보한 차량에 손쉽게 탑재 가능하여, 작업자가 화물을 내리고 올리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 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프트(A)와 본 발명의 리프트(B)의 비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수평이동 지지대(11)의 확장모습(A)과 원상태(B)의 상태도.
도 4는 리프트의 측면도(A)와 평면도(B)
도 5는 승강장치(50)의 작동원리 개념도.
도 6은 화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셀프 승강 작동 상태도.
도 7은 화물을 차량에 적재하는 작동 상태도.
도 8은 접이식 리프트(A), 차량에 탑재하는 일 실시예(B) 및 화물차량의 제원(C)의 일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리프팅 구동장치, 바퀴, 리프팅 가이드 부분 등등)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면에서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부분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짐만 쌓아 올리거나 내릴 때에 사용되는 종래의 이동식 리프트에 짐과 함께 리프트도 승강시켜 짐과 함께 배송할 수 있는 리프트 내지 스태커를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 리프트가 승강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지지대 대신에 전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수평이동 지지대(11),
2) 자체 중량의 무게 중심이 포크(10) 쪽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자체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이동프레임(30)과 본체(31)의 체결방향이 상부 프레임(25)을 기준으로 포크(10)방향에서 체결되는 구조,
3) 차량에 탑재 가능하도록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부프레임(25)과 하부프레임(20)의 일측부에 접이 샤프트(26)를 관통과는 홀과; 상기 홀을 삽입되며, 상부프레임(25)과 하부프레임(20)을 흰지 연결하는 접이 사프트(26)를; 구비하여 상부 프레임(25)을 접히는 기술이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자 하는 내용이다.
도 1은 종래의 리프트(A)와 본 발명의 리프트(B)의 비교도이다.
도 1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식 리프트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고정된 상태에서 포크로 적층된 화물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화물의 적재성과 작업 효율성을 위하여 몸체는 포크 맞은편에 위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도 1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게 중심이 포크(10) 쪽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자체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수직 이동하는 이동프레임(30)과 본체(31)의 체결방향이 상부 프레임(25)을 기준으로 포크(10)방향에서 체결되는 것이 특징이며, 하부에서 고정된 지지대 대신에 전후방으로 수평 이동하는 수평이동 지지대(11)를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수평이동 지지대(11)의 확장모습(A)과 원상태(B)의 상태도이며, 도 4는 리프트의 측면도(A)와 평면도(B)이며, 도 5는 승강장치(50)의 작동원리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일측부에 포크(10)를 파지할 수 있는 수용부와, 수평이동 지지대(11)가 관통하는 지지대 가이드(21)를 구비하면서 상부 프레임(25)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20)과; 상기 하부 프레임(20) 상단부에 체결되어 수직으로 직립한 상태이며, 포크(10)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상부프레임(25)과; 상기 하부 프레임(20) 상단부에 체결되며,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유압실린더(51)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샤프트 끝단부에 체결된 원형 풀리(53)와, 끝단부는 하부 프레임과 체결되고 타끝단부는 이동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원형 폴리와 접촉하는 체인(52)을 구비하여 이동프레임(30)과 포크(10)를 상하로 수직 이동시키는 승강장치(50)와; 상기 승강장치(50)의 체인과 체결되며 상하 수직 이동하는 이동프레임(30)과; 상기 이동 프레임(30) 일측부에 체결되며, 리프트 구동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내부 수용부에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이동프레임(30)의 일측부와 연결되며, 바 형태로 화물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포크(10)와; 상기 하부 프레임(20)을 관통하며, 하부 프레임의 지지대 가이드(21)로 인하여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수평이동 지지대(11);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프레임(30)과 본체(31)의 체결방향이 상부 프레임(25)을 기준으로 포크(10)방향에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31)는 리프트 구동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전동식의 경우에는 배터리, 유압모터 및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인력으로 구동하는 기계식의 경우에는 핸들, 기어류, 역회전 방지장치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이동식 리프트는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구동하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압으로 팽창과 수축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전동식 리프트를 많이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동식 리프트를 전제로 창안하였지만, 수동으로 작동하는 기계식 리프트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을 밝힌다.
상기 하부 프레임(20)은 일측면부에 포크(10)를 파지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하면서 상부 프레임(25)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 지지대(11)가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대 가이드(2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대 가이드(21)는 수평이동 가이드(11)가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일측부에 가이드 레일 등으로는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5)은, 상기 하부 프레임(20) 상단부에 체결되어 수직으로 직립한 상태이며, 상기 포크(10)와 이동 프레임(30)을 원활하게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레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프레임(20)과 상부 프레임(25)은 경우에 따라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장치(50)의 구성요소는 통상적인 리프트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게 구비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한다.
상기 체인(52)은 이동 프레임(30)과 하부 프레임과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압실린더(51)는 일측부는 하부 프레임(2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프레임(20), 포크(10) 및 수평이동 지지대(11)의 하단 일측부에 한 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프레임(30)과 포크는 상기 체인에 의하여 동일하게 수직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이동 지지대(11)는 하부 프레임(20)을 관통하며, 하부 프레임의 지지대 가이드(21)로 인하여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리프트 자체를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기술의 고정식 지지대는 승강할 경우, 고정된 지지대에 의하여 승강 자체를 할 수 없지만, 상기 수평이동 지지대(11)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도3A, 도 5D) 리프트를 상승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이동프레임(30)과 본체(31)의 체결방향이 상부 프레임(25)을 기준으로 포크(10)방향에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구성으로 자체 중량의 무게 중심이 포크(10) 쪽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포크에 화물이나 파렛트를 적재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리프트를 승강 시킬 수 있다.
도 5는 승강장치(5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다.
도 5A와 도 5B는 종래 리프팅의 개념으로서, 유압실린더(51)의 팽창여부에 따라 포크가 수직으로 상하이동한다.
그러나 운송차량이나 적재위치에 화물을 내려놓았을 경우(도 5C), 포크 상단부에 적층된 하중 내지 포크, 본체 및 이동프레임의 중량의 합으로 한하여 리프트 자체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하부프레임과 수평이동 지지대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5D)
도 6은 화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셀프 승강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포크에 파렛트나 적재화물이 없는 상태에서도 운반차량에 적재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운반 차량에 근접하게 위치한 후(도 6A), 포크(10)를 상승시켜 차량의 적재높이만큼 상승시킨 후(도 6B), 리프트를 밀어서 차량 적재함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포크(10)를 적재함 상단부에 안착하게 한다.(도 6C)
상기 공정 이후, 수평이동 지지대(11)를 후방으로 수평이동시킨 후(도 6D),승강장치(50)를 구동시켜, 하부프레임(20)과 수평지지대를 상승시킨다(도 6E).
상기 공정 이후, 수평이동 지지대(11)를 원상태로 복귀시킨 후(도 6F), 차량 적재함에 완전히 수납되도록 리프트를 이동시킨 후, 수평이동 지지대를 하단부로 이동시켜 배송중에 리프트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포크에 파렛트나 적재화물이 없더라도, 운반 차량 옆으로 전복되지 않는 이유는, 자체적으로 무게 중심이 포크쪽으로 위치하도록 운반 프레임과 본체를 위치시켰기 때문이다.
도 7은 화물을 차량에 적재하는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적재화물과 리프트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공정의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도 6의 단계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운송 차량에 리프트만 적재하거나, 적재화물과 리프트가 동시에 적재할 수 있어서, 배송지에 도착하여, 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도 7에서 나타낸 것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손쉽게 하차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별도로 지게차 내지 이동식 리프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8은 접이식 리프트(A)의 사시도와, 차량에 적재함 하단부에 수납공간에 탑재하는 일 실시예(B)와, 소형 화물차량의 제원(C)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프레임(25)과 하부프레임(20)의 일측부에 접이 샤프트(26)를 관통과는 홀과; 상기 홀을 삽입되며, 상부프레임(25)과 하부프레임(20)을 흰지 연결하는 접이 사프트(26)를; 더 구비하여 상부 프레임(25)을 포크(10)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적재함을 이용하여 리프트를 운송할 수도 있지만, 리프트를 접어서 별도의 수납공간에 적재할 경우, 차량의 적재함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셀프 승강이 가능한 리프트에 접이식 개념을 도입하여, 도 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25)과 하부 프레임(20)을 접이 샤프트(26)을 매개로 흰지 연결할 경우, 접이식으로 접어서 리프트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국내외에 유통되는 표준 파렛트의 홈의 간격이 180~320mm이며, 포크를 삽입할 수 있는 길이를 고려한다면, 포크 간의 간격은 800mm 이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프트의 최대폭은 800mm 이하이면 만족시킬 수 있다.
도 8C는 국내 K사에서 판매되는 있는 1톤의 화물차 제원으로서, 뒷바퀴에서 적재함의 끝단부의 길이를 고려한다면, 충분히 본 발명의 리프트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물론, 상가 화물차에 장착된 보조 바퀴, 공구 수납함의 위치변경은 불가피하나, 자동차 안전수칙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에서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포크(10)는, 하단 일측부에 한 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하며, 일측부에 상기 수평이동 지지대(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은 고정식 지지대와 포크를 별로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평이동 지지대와 포크를 겹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포크(10)의 일측부는 수평이동 지지대(11)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양측면부만 수직벽으로 구성되고, 내부는 관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포크의 수직으로 왕복운동함에 교차되지 않도록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이동 리프트가 포크(10)에 삽입되는 구조로 인하여, 리프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동식 리프트는 최대 1톤 이하의 소형화물을 리프팅하므로, 포크의 개방된 구조로 인하여, 포크의 내구성에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10: 포크, 11: 수평이동 지지대, 12: 손잡이,
20: 하부 프레임, 21: 지지대 가이드, 25: 상부 프레임,
26: 접이 샤프트, 30: 이동 프레임, 31: 본체,
50: 승강장치, 51: 유압실린더, 52: 체인,
53: 풀리

Claims (3)

  1. 일측부에 포크(10)를 파지할 수 있는 수용부와, 수평이동 지지대(11)가 관통하는 지지대 가이드(21)를 구비하면서 상부 프레임(25)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20)과;
    상기 하부 프레임(20) 상단부에 체결되어 수직으로 직립한 상태이며, 포크(10)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상부프레임(25)과;
    상기 하부 프레임(20) 상단부에 체결되며,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유압실린더(51)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샤프트 끝단부에 체결된 원형 풀리(53)와, 끝단부는 하부 프레임과 체결되고 타끝단부는 이동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원형 풀리와 접촉하는 체인(52)을 구비하여 이동프레임(30)과 포크(10)를 상하로 수직 이동시키는 승강장치(50)와;
    상기 승강장치(50)의 체인과 체결되며 상하 수직 이동하는 이동프레임(30)과;
    상기 이동 프레임(30) 일측부에 체결되며, 리프트 구동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내부 수용부에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이동프레임(30)의 일측부와 연결되며, 바 형태로 화물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포크(10)와;
    상기 하부 프레임(20)을 관통하며, 하부 프레임의 지지대 가이드(21)로 인하여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수평이동 지지대(11);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프레임(30)과 본체(31)의 체결방향이 상부 프레임(25)을 기준으로 포크(10)방향에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승강 리프트.
  2.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25)과 하부프레임(20)의 일측부에 접이 샤프트(26)를 관통과는 홀과;
    상기 홀을 삽입되며, 상부프레임(25)과 하부프레임(20)을 흰지 연결하는 접이 사프트(26)를; 더 구비하여 상부 프레임(25)을 포크(10)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셀프 승강 리프트.
  3.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크(10)는,
    하단 일측부에 한 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하며,
    일측부에 상기 수평이동 지지대(1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승강 리프트.
KR1020150164403A 2015-11-24 2015-11-24 셀프 승강 리프트 KR20170060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403A KR20170060256A (ko) 2015-11-24 2015-11-24 셀프 승강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403A KR20170060256A (ko) 2015-11-24 2015-11-24 셀프 승강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256A true KR20170060256A (ko) 2017-06-01

Family

ID=5922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403A KR20170060256A (ko) 2015-11-24 2015-11-24 셀프 승강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02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2435A (zh) * 2019-08-12 2019-10-18 衡阳合力工业车辆有限公司 一种防爆agv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2435A (zh) * 2019-08-12 2019-10-18 衡阳合力工业车辆有限公司 一种防爆agv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9185B1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two load carriages
CN111747340A (zh) 叉车
CN104875660A (zh) 具有快速装载/卸载的货物舱的卡车车体
KR20170060256A (ko) 셀프 승강 리프트
KR20180107498A (ko) 셀프 승강 스태커
JP2868964B2 (ja) 自動倉庫の入出庫設備及びそれを使っての入出庫方法
CN215402903U (zh) 一种半电动堆垛升高车
KR200248416Y1 (ko) 화물운반용 지게차
KR20190141948A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KR101626934B1 (ko) 승강식 운반 대차
JP6240803B2 (ja) 搬送台車
KR20110037525A (ko) 지게차의 포크
JP2005145364A (ja) 荷役車両
KR101738810B1 (ko) 오더피커로 용도 전환이 가능한 스태커
JP6291249B2 (ja) 搬送台車
JP3203574U (ja) かご車運搬用パレット
CN217146202U (zh) 电动台车
CN220181946U (zh) 一种木托架自动发放装置
KR20190138722A (ko)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JP7212659B2 (ja) 荷箱移動機構
CN215438098U (zh) 一种载物平台
KR20190087051A (ko) 화물차량 일체형 지게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게장치 일체형 기능성 화물차량
KR100554148B1 (ko) 사다리차
JP4449042B2 (ja) コンテナ
JP3281278B2 (ja) 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