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722A -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722A
KR20190138722A KR1020180065150A KR20180065150A KR20190138722A KR 20190138722 A KR20190138722 A KR 20190138722A KR 1020180065150 A KR1020180065150 A KR 1020180065150A KR 20180065150 A KR20180065150 A KR 20180065150A KR 20190138722 A KR20190138722 A KR 20190138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mall
small forklift
forklif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효
Original Assignee
박영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효 filed Critical 박영효
Priority to KR102018006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8722A/ko
Publication of KR2019013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3Fork-lift trucks adapted to be carried by transport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90Vehicles
    • B62B2202/92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량의 물품들을 운반하는 소형지게차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을 용이토록 하는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지게차에 탑재된 엔진의 동력에 의해 승강작용을 하면서 물건을 들어 나르는 포크의 양측 승강체에 결합축을 형성시키고 결합축과 결합되는 양측의 받침부에 의해 승강체 및 소형지게차의 하중에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받침부의 후측부에 하향입설되는 양측의 연결부에 의해 받침부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연결부 하측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양측의 지지부에 의해 연결부 및 받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양측의 받침부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부들에 의해 양측의 지지부 및 연결부와 받침부가 일체가 되어 소형지게차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CARRAIER APPARATUS FOR FORKLIFT}
본 발명은 소량의 물품들을 운반하는 소형지게차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을 용이토록 하는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지게차에 탑재된 엔진의 동력에 의해 승강작용을 하면서 물건을 들어 나르는 포크의 양측 승강체에 결합축을 형성시키고 결합축과 결합되는 양측의 받침부에 의해 승강체 및 소형지게차의 하중에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받침부의 후측부에 하향입설되는 양측의 연결부에 의해 받침부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연결부 하측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양측의 지지부에 의해 연결부 및 받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양측의 받침부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부들에 의해 양측의 지지부 및 연결부와 받침부가 일체가 되어 소형지게차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소형지게차의 포크를 승강시키는 승강체의 승강력을 역 이용하여 승강체의 하강력에 의해 소형지게차를 들어올리거나 하강시켜서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간편하게 상차 및 하차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소형지게차의 운반이 매우 간편하여 소형지게차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고 승강체의 결합홈이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받침부의 삽입홈과 상기의 삽입홈를 개폐하여 단속하는 안전레버에 의해 소형지게차를 안정된 상태로 화물차의 적재함에 운반하여 상,하차시킬 수 있으므로 견고하고 안전한 운반장치를 얻을 수 있으며 연결부의 후측 내측면으로 부착되는 양측의 보조프레임에 의해 승강되는 소형지게차에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흔들리는 소형지게차가 양측의 보조프레임과 접촉을 하도록 함으로서 소형지게차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로 상,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지지부의 저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캐스터들에 의해 본 발명의 운반장치를 큰힘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지게차에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을 편리성을 얻를 수 있는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형지게차는 선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 10-1516962 호 "소형지게차의 조향장치 "(출원번호: 10-2013-0149028)가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은, 주로 300㎏이하의 물품을 운반하는 소형지게차 인바, 주로 실내 인테리어 공사나 협소한 공장 내부에서 각종 물품들을 운반시 요긴하게 사용되는 소형지게차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소형지게차를 구비하여 항상 현장에 비치시킨 상태로 자주 사용을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소형지게차를 자주 사용하지 않고 공사때나 물품의 상,하차시에만 드문 드문 일시적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굳이 소형지게차를 구입하지 않고도 필요시 마다 임대를 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임대등을 위해 소형지게차를 공사 현장이나 사무실 현장등으로 운반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소형지게차를 또 다른 지게차나 크레인 또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경사진 판넬을 설치하여 소형지게차를 상차 및 하차를 하였었다.
상기와 같이 소형지게차를 화물 차량에 상,하차시키기 위해 지게차,크레인, 경사판넬등의 각종 장비가 필요하게 되어 소형지게차를 사용하는 사용료 보다 소형지게차 운반료가 더 비싸게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지게차의 포크를 승강시키는 승강체의 승강력을 역 이용하여 승강체의 하강력에 의해 소형지게차를 들어올리거나 하강시켜서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간편하게 상차 및 하차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소형지게차의 운반이 매우 간편하여 소형지게차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고 승강체의 결합홈이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받침부의 삽입홈과 상기의 삽입홈를 개폐하여 단속하는 안전레버에 의해 소형지게차를 안정된 상태로 화물차의 적재함에 운반하여 상,하차시킬 수 있으므로 견고하고 안전한 운반장치를 얻을 수 있으며 연결부의 후측 내측면으로 부착되는 양측의 보조프레임에 의해 승강되는 소형지게차에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흔들리는 소형지게차가 양측의 보조프레임과 접촉을 하도록 함으로서 소형지게차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로 상,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지지부의 저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캐스터들에 의해 본 발명의 운반장치를 큰힘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지게차에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을 편리성을 얻를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형지게차에 탑재된 엔진의 동력에 의해 승강작용을 하면서 물건을 들어 나르는 포크의 양측 승강체에 결합축을 형성시키고 결합축과 결합되는 양측의 받침부에 의해 승강체 및 소형지게차의 하중에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받침부의 후측부에 하향입설되는 양측의 연결부에 의해 받침부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연결부 하측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양측의 지지부에 의해 연결부 및 받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양측의 받침부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부들에 의해 양측의 지지부 및 연결부와 받침부가 일체가 되어 소형지게차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소형지게차의 포크를 승강시키는 승강체의 승강력을 역 이용하여 승강체의 하강력에 의해 소형지게차를 들어올리거나 하강시켜서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간편하게 상차 및 하차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소형지게차의 운반이 매우 간편하여 소형지게차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승강체의 결합홈이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받침부의 삽입홈과 상기의 삽입홈를 개폐하여 단속하는 안전레버에 의해 소형지게차를 안정된 상태로 화물차의 적재함에 운반하여 상,하차시킬 수 있으므로 견고하고 안전한 운반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연결부의 후측 내측면으로 부착되는 양측의 보조프레임에 의해 승강되는 소형지게차에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흔들리는 소형지게차가 양측의 보조프레임과 접촉을 하도록 함으로서 소형지게차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로 상,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지지부의 저부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캐스터들에 의해 본 발명의 운반장치를 큰힘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지게차에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을 편리성을 얻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 운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운반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 운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용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소형지게차(151)에 탑재된 엔진의 동력에 의해 승강작용을 하면서 물건을 들어 나르는 포크(154)의 양측 승강체(152)에 형성되는 결합축(153)과,
상기 결합축(153)과 결합되어 승강체(152) 및 소형지게차(151)의 하중에 대응하기 위한 양측의 받침부(101)와,
상기 받침부(101)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받침부(101)의 후측부에 하향입설되는 양측의 연결부(102)와
상기 연결부(102) 및 받침부(1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 (102) 하측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양측의 지지부(103)와,
상기 양측의 지지부(103) 및 연결부(102)와 받침부(101)가 일체가 되어 소형지게차(15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양측의 받침부(101)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부(104)를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01)에 소형지게차(151)의 결합축(153)이 이탈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 받침부(101)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홈(111)과,
상기 삽입홈(111)으로 결합된 소형지게차(151)의 결합축(153)이 승강도중 삽입홈(111)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받침부(101) 상단에 힌지볼트(122)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고 조절볼트(123)의 조절에 의해 삽입홈(111)을 개폐 단속하는 안전레버(121)를 더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101)로 받쳐지는 소형지게차(151)가 승강도중 결합축(153)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102)의 후측 내측면으로 부착되어 승강되는 소형지게차(151)의 후측부와 접촉하는 다수개의 보조프레임(141)을 더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3) 및 연결부(102)와 받침부(101)를 적은 힘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부(103) 저부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캐스터(131)를 더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운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운반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운반장치를 밀면 지지부(103)의 저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캐스터(131)들에 의해 손쉽게 이동되어 운반하고자 하는 소형지게차(151)의 후측부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소형지게차(151)의 후측부에 위치된 운반장치를 소형지게차 (151)방향으로 계속 밀어서 양측의 받침부(101)와 연결부(102) 그리고 지지부(103)사이의 공간부로 소형지게차(151)가 위치되도록 한 다음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소형지게차(151)의 포크(154)를 승강시키는 승강체(152)를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승강체(152) 양측부에 결합된 결합축(153)을 받침부(101)의 삽입홈(111)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도 2의 가상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승강체(152)의 결합축(152)이 받침부(101)의 삽입홈(111)보다 높게 위치된 상태에서 받침부(101)를 소형지게차(151)방향으로 밀어 승강체(152)의 결합축(153)과 삽입홈(111)이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시킨 다음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합축(153)과 삽입홈(111)이 수직선상에 위치하면 소형지게차 (151)의 승강체(152)를 하강시켜 결합축(153)을 받침부(101)의 삽입홈(111)에 삽입시킨다.
또한, 상기의 결합축(153)이 삽입홈(111)에 삽입되면 받침부(101)에 힌지볼트(122)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된 안전레버(121)를 회전시켜 안전레버(121)의 선단부가 삽입홈(111)에 결합된 승강체(152)의 결합축(153) 상면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하도록 한 다음 안전레버(121)의 조절볼트(123)를 죄어 받침부(101)의 상면에 접촉 지지시킴으로서 결합축(153)을 삽입홈(111)내에서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체(152)와 받침부(101)의 결합이 완료되면 소형지게차(151)를 가동시켜 승강체(152)를 하강시키게 되는바, 이때, 상기의 승강체(152)는 받침부(101)에 삽입홈(111) 및 안전레버(121)에 의해 단속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승강체 (152)의 하강력은 역 방향으로 작용되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지게차 (151)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형지게차(15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비워지는 소형지게차 (151)와 지면 사이의 공간부로 화물차량의 적재함(161)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물차량의 적재함(161)이 소형지게차(151)의 하측부에 위치하면 승강체(152)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바, 이때, 상기의 승강체(152)는 받침부(101)에 삽입홈(111) 및 안전레버(121)에 의해 단속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승강체(152)의 상승력은 역 방향으로 작용되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지게차(151)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적재가 완료되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화물 차량의 적재함(161)에 소형지게차(151)의 적재가 완료되면 안전레버(121)의 조절볼트(123)를 풀어 받침부 상면과의 접촉을 해제시키고 안전레버(121)를 힌지볼트(122)를 중심으로 역 회전시켜 받침부(101)의 삽입홈 (111) 상측부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홈(111)의 상측부가 개방되면 승강체(152)를 약간만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서 결합축(153)이 삽입홈(111)으로 부터 탈거되어지면서 소형지게차(151)와 받침부(101)가 서로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받침부(101)를 후측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시켜 소형지게차(151)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화물 차량의 적재함(161)에 적재된 소형지게차 (151)는 적재함(161)내에서 스스로의 동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므로 포크(154)를 하강시켜 안정된 상태로 정열을 하거나 적정한 자리로 이동하여 적절한 배치를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161)에 적재되어 운송이 완료된 장소에서 하차작업을 할 경우에도 본 발명의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전기한 바와 역순으로 간편하게 소형지게차(151)들을 하차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반장치는 상기 화물차량의 적재함(161)에 소형지게차 (151)와 함께 적재시켜 하차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고 아니면, 본 발명의 운반장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재작비가 저렴하기 때문에 상,하차 장소에 각각 비치시켜 놓고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보강부(104)와 연결부(102)의 후측 내측면으로 부착되는 다수개의 보조프레임(141)은 승강되는 소형지게차(151)에 전,후 흔들림이 발생되어 혹시라도 타 물체나 작업자와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흔들림이 발생되면 보강부(104)와 보조프레임(141)이 대신 부딪쳐서 연결부(102)와 보강부(104) 외측으로 소형지게차(151)가 돌출되는 것을 막아 주는 안전장치인 것이다.
101-받침부 102-연결부
103-지지부 104-보강부
111-삽입홈 121-안전레버
122-힌지볼트 123-조절볼트
131-캐스터 141-보조프레임
151-소형지게차 152-승강체
153-결합축 154-포크
161-적재함

Claims (4)

  1. 소형지게차(151)에 탑재된 엔진의 동력에 의해 승강작용을 하면서 물건을 들어 나르는 포크(154)의 양측 승강체(152)에 형성되는 결합축(153)과,
    상기 결합축(153)과 결합되어 승강체(152) 및 소형지게차(151)의 하중에 대응하기 위한 양측의 받침부(101)와,
    상기 받침부(101)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받침부(101)의 후측부에 하향입설되는 양측의 연결부(102)와
    상기 연결부(102) 및 받침부(1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 (102) 하측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양측의 지지부(103)와,
    상기 양측의 지지부(103) 및 연결부(102)와 받침부(101)가 일체가 되어 소형지게차(15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양측의 받침부(101)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부(10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1)에 소형지게차(151)의 결합축(153)이 이탈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 받침부(101)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홈(111)과,
    상기 삽입홈(111)으로 결합된 소형지게차(151)의 결합축(153)이 승강도중 삽입홈(111)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받침부(101) 상단에 힌지볼트(122)로 회전용이토록 결합되고 조절볼트(123)의 조절에 의해 삽입홈(111)을 개폐 단속하는 안전레버(12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1)로 받쳐지는 소형지게차(151)가 승강도중 결합축(153)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102)의 후측 내측면으로 부착되어 승강되는 소형지게차(151)의 후측부와 접촉하는 다수개의 보조프레임(141)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3) 및 연결부(102)와 받침부(101)를 적은 힘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부(103) 저부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캐스터(13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KR1020180065150A 2018-06-06 2018-06-06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KR20190138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150A KR20190138722A (ko) 2018-06-06 2018-06-06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150A KR20190138722A (ko) 2018-06-06 2018-06-06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722A true KR20190138722A (ko) 2019-12-16

Family

ID=6905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150A KR20190138722A (ko) 2018-06-06 2018-06-06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87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4745A (zh) * 2022-05-07 2022-08-02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钢结构焊接球转运设备及其转运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4745A (zh) * 2022-05-07 2022-08-02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钢结构焊接球转运设备及其转运方法
CN114834745B (zh) * 2022-05-07 2024-04-30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钢结构焊接球转运设备及其转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6327B2 (en) Industrial cart comprising a mother or primary cart and a secondary or daughter cart
US5443350A (en) Goods vehicle or a trailer for a goods vehicle
US10449886B2 (en) Container transfer system
KR101100331B1 (ko) 포크리프트용 컨베이어 파렛트
JP2017523082A (ja) 自動車運搬車両のための取外し可能な独立型の汎用耐荷重パレット
US11958397B2 (en) Container transfer system
EP0553086B1 (en) Self elevating forklift truck
US3971486A (en) Apparatus for handl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load supporting bodies, pallets and the like
US2007002007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tractor trailers
JP3213796U (ja) スロープ付荷役作業ステージ
WO2006137542A1 (ja) 搬送物搬送方法及びジャッキ具
KR20190138722A (ko)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JP2006001661A (ja) 重量物移動装置と重量物移動台車および立体駐車場
JP7239230B1 (ja) 荷物搬送装置、荷物搬送方法
JP2868964B2 (ja) 自動倉庫の入出庫設備及びそれを使っての入出庫方法
KR20190141948A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CN213950488U (zh) 一种随车装卸货物的机器人
JP4587379B2 (ja) 運搬車
WO2008038048A1 (en) Storing and tipping apparatus
CN219115475U (zh) 一种防货物滑落的货仓车
JP3011534U (ja) 積載物運搬車輌の積載装置
JP2002060191A (ja) 重量物運搬装置
JP4364549B2 (ja) コンテナ運搬車両
JP2000006707A (ja) Uフレーム車両
KR100836320B1 (ko) 트럭의 테일 게이트 승하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