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525A - 지게차의 포크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포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525A
KR20110037525A KR1020090095009A KR20090095009A KR20110037525A KR 20110037525 A KR20110037525 A KR 20110037525A KR 1020090095009 A KR1020090095009 A KR 1020090095009A KR 20090095009 A KR20090095009 A KR 20090095009A KR 20110037525 A KR20110037525 A KR 20110037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forklift
cargo
support feet
f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09009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525A/ko
Publication of KR2011003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2Movements of forks either individually or relative to each other
    • B66F9/145Rotation of fork around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을 들어올려 운반하는 포크 중 한쪽 지겟발을 운전자가 임의로 상하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면에 놓여진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의 포크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지겟발을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지게차로써, 마스트와 연계되어 승,하강하는 이동부의 하부 양측에 연결대를 구비하되, 이중 일측 연결대에는 수평의 지겟발이 일체로 구비되고, 타측 연결대에는 연결대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 지겟발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부에 실린더가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 지겟발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지게차, 포크, 지겟발, 실린더

Description

지게차의 포크{FORK FOR FORKLIFT TRUCK}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을 들어올려 운반하는 포크 중 한쪽 지겟발을 운전자가 임의로 상하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면에 놓여진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의 포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의 일측 혹은 양측의 각도를 수평으로 조절하며, 무게 중심이 다른 화물 혹은 굴곡진 화물의 적재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 지게차의 포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짐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산업용 트럭의 특수한 형태로, 산업 현장이나 창고에서 사람이 들기 어려운 무거운 짐을 유용하게 적재, 운반할 수 있는 차량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차체의 안정방식에 따라, 혹은 동력원에 따라 분류되는데, 먼저 차체 안정방식으로는 포크 및 마스트를 차체 전방에 장착하고 후방에 카운터 바란스를 장착한 카운터 벨런스형과, 차체 전방으로 튀어나온 아우트리거에 의해 차체의 안정을 유지하며 그 아우트리거 안을 포크가 전후방으로 움직이면서 하역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는 리치형 지게차가 있다.
동력원으로의 분류는 디젤엔진 식과, LPG/가솔린엔진 식 그리고, 근래 환경친화형 장비로 보급되는 밧데리를 이용한 전동식 지게차가 있다.
보통 이러한 지게차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지게차는 카운터 벨런스 형태에 디젤 엔진이 장착된 지게차로 파워 쉬프트 트랜스 밋션이 장착된 공기 타이어식 구조로 되어있으며, 4륜(구동2륜, 조향2륜), 원동기 후방위치 등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근래 개발된 지게차는 포크가 회전하여 상부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주행 중 앞차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화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지게차도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 제908265호의 지게차는 상단에는 중간바, 하단에는 중간크로스바와 크로스바가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캐리지의 중간부분에 횡방향으로 다각형 단면을 갖는 구동축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구동축에 포크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끼워 결합한 것을 포함하는 지게차의 포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다각형 단면구조를 갖는 구동축의 중간부에 하측 스프로켓부를 형성하고, 캐리지의 상단에 작동봉이 상측을 향해 출몰하도록 상하실린더를 설치하며, 상기 작동봉의 끝단에 상측 스프로켓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측스프로켓부와 하측 스프로켓부를 체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체인의 상측끝단과 하측 끝단을 각각 상측 스프로켓 부와 하측스프로켓부에 고정핀으로 고정한 것으로,
상기 상하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측 스프로켓이 상승하면서 체인이 당겨져 하측 스프로켓부가 구동축을 상향회전시킴에 따라 구동축에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포크가 상하로 회전하면서 접혀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지게차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수직 및 수평 지겟발로 이루어져 화물을 들어올리는 포크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종래의 포크는 화물이 올려지는 수평의 좌,우측 지겟발이 수직바에 일체로 연결되고 이 수직바가 연결대에 고정된 구성으로, 이 연결대가 마스트와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며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작업 과정에서 경사진 사면에 화물이 놓인 경우 지겟발을 끼워넣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물론 화물의 무게가 인력으로 경사진 측면을 들어올려 수평을 맞출 수 있다면 운반이 가능하겠으나 이때에도 작업이 힘들어질 수밖에 없고,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 지게차의 다른 문제점으로 포크의 수평각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포크는 붙박이 즉 고정식으로 지겟발 사이의 간격이 항상 동일하여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화물은 그 중심을 맞춰 운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포크를 구성하는 좌우 양측 지겟발 중 어느 일측 지겟발을 자유로이 상하로 승강시켜 사면에 놓인 화물도 이 승강 지겟발을 이용하여 쉽게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의 포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 지겟발이 고정 지겟발의 위치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정지하여 안정된 상태로 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의 포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우측 지겟발 중 어느 일측 혹은 양측 지겟발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며 양측 지겟발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혹은 좁혀질 수 있도록 하여 화물의 종류 및 놓인 상태에 관계없이 화물을 들어 운반할 수 있는 지게차의 포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지겟발을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지게차로써, 마스트와 연계되어 승,하강하는 이동부의 하부 양측에 연결대를 구비하되, 이중 일측 연결대에는 수평의 지겟발이 일체로 구비되고, 타측 연결대에는 연결대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 지겟발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부에 실린더가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 지겟발이 승강될 수 있 도록 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첫째, 양측 지겟발 중 어느 일측 지겟발을 분리 구성하여 이 지겟발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승,하강하며 사면에 놓인 화물을 양측 지겟발이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이 놓인 여건에 관계없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둘째, 본 발명의 지게차는 승강 지겟발의 조절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그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발명이다.
셋째, 본 발명의 지게차는 양측 지겟발이 수평으로 회전하며 지겟발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도록 하여 화물의 종류 및 놓인 상태 그리고 형상에 관계없이 운반이 가능하며, 또한 다른 작업자의 도움없이 화물의 적재가 가능한 ㅂ넷발명이아다.
넷째, 본 발명의 지게차는 간단 교체만으로 포크의 기능을 다양화시켜 저렴한 비용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의 편리한 지게차를 얻을 수 있는 발명이다.
이하 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a, b는 본 발명 지게차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일 예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지게차(10)는 일반 지게차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1)과 운전석(12)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조향 핸들(13), 유압밸브레버(14) 그리고 카운터 웨이트(15) 및 마스트(200), 포크(100)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또한, 상기 구조 이외에 엔진(16) 및 트랜스 밋션(17)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 유사함으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아니하고, 다만 본 발명의 특징인 포크(1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크(100)는 상기 마스트(200)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마스트(200)와 연결되는 이동부(102)와, 이 이동부(102)에 연결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연결대(120)와, 이 연결대(120)에 수평으로 결합된 지겟발(140)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이동부(102)는 지게차(10)의 기종에 따라 혹은 구조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부(102)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수직대(104)와 보강대(106)로 구성되는데, 수직대의 형태 및 보강대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에 따라서는 다른 형태 및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 이동부가 구비되지 않는 예 도 있다.
상기 포크(100)의 연결대(120)는 사각 파이프 형식으로, 내부에 승강 지겟발(142)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사각 파이프로 구성된 연결대(120)는 내부 공간에 가이드부(12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지겟발(142)에 구비된 로드가 끼워져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각 파이프가 아닌 "ㄷ" 혹은 원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지겟발(140)은 상기 연결대(120)에 연결되어 마스트(200)에 의해 이동하는 것으로, 일측은 분리 구성되어 자유로이 이동하는 승강 지겟발(142)로 구성되고, 타측은 연결대(120)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 지겟발(144)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좌측을 승강 지겟발(142)로, 우측을 고정 지겟발(144)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 예이고 좌,우측이 바뀌어도 무방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 모두 승강 지겟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 지겟발(142)의 상면 후단부에는 수직으로 로드(146)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122)에 끼워져 이동하고, 가이드부(122)에는 승강 지겟발을 이동시키는 전동 수단 즉, 실린더(160)가 구비되어 있다.
승강 지겟발을 이동시키는 전동수단으로 상기 실린더(160) 이외에 피니언과 랙 기어를 이용한 전동 혹은 체인 전동도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체인 전동의 경우 기 설치된 지게차의 스프로켓과 연계되어 승강 지겟발(142)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면 부호 180은 감지 센서이다.
이 감지 센서(180)는 광센서로, 승강 지겟발(142)과 고정 지겟발(144)의 안쪽면에 송,수신부를 두어 승강 지겟발의 이동 중 높이가 같아져 수신이 이루어지면 그 신호를 전동 수단으로 보내 실린더(160)의 동작을 정지시켜 항상 양측 지겟발(142)(144)이 동일한 위치에서 마스트(200)에 의해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화물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고정 지겟발(144)에 설치된 감지센서(180)와는 별개로 승강 지겟발(144)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가장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실 예는 도면과 같이 사면 즉 경사진 장소에 화물이 놓인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첨부된 도 4a와 같이 경사도에 따라 운전석에 구비된 레버(미도시)를 이용하여 실린더(160)를 조작하여 승강 지렛발(142)을 하강시켜 파렛트 혹은 화물 저면에 고정 지렛발(144)가 함께 끼워넣는다.
양쪽 지렛발(140)을 끼워 넣은 다음 작업자는 승강 지렛발(142)을 도 4b와 같이 고정 지렛발(144)의 위치까지 상승시켜 수평을 맞추게 되는데, 이때 양측 지렛발(142)(144) 각각에 구비된 감지센서(180)가 승강 지렛발(142)의 위치를 감지하여 고정 지렛발(144) 위치에 도달하면 그 신호를 출력하여 실린더(160)의 동작을 멈추도록 하여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화물의 운반, 적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반대의 경우, 즉 화물을 내려놓는 바닥이 사면인 경우에도 승강 지렛발(142)을 조작하여 안전하게 화물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한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 예는 좌,우 양측 지겟발(142)(144) 중 어느 일측 혹은 양측 모두에 회전축(164) 또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그 상면 즉 연결대에 설치된 모터(166)에 이를 연결하여 지겟발이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지겟발(140)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측 모두가 회전축(164)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지겟발 사이의 간격이 도 6과 같이 벌어지거나 혹은 좁아짐으로써 화물의 형태 및 종류 예컨대, 중심이 편중된 화물을 들어올릴 때 이들 간격을 조절하며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굴곡진 화물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의 단면도,
도 4a, b는 본 발명 지게차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5,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게차 100 : 포크
120 : 연결대 140 : 지겟발
142 : 승강 지겟발 146 : 로드

Claims (4)

  1. 지겟발을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지게차로써,
    마스트와 연계되어 승,하강하는 이동부의 하부 양측에 연결대를 구비하되, 이중 일측 연결대에는 수평의 고정 지겟발이 일체로 구비되고, 타측 연결대에는 연결대의 내측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 지겟발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부에 실린더가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 지겟발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지겟발과 고정 지겟발에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승강 지겟발이 고정 지겟발 위치에 도달하여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게차의 포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지겟발의 단부에 가이드부에 끼워지는 로드가 구비되고, 이 로드가 실린더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겟발 중 어느 일측 지겟발의 상면에 회전축을 구비하고, 이 회전축을 연결대에 구비된 모터와 연결하여 지겟발이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KR1020090095009A 2009-10-07 2009-10-07 지게차의 포크 KR20110037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009A KR20110037525A (ko) 2009-10-07 2009-10-07 지게차의 포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009A KR20110037525A (ko) 2009-10-07 2009-10-07 지게차의 포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525A true KR20110037525A (ko) 2011-04-13

Family

ID=4404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009A KR20110037525A (ko) 2009-10-07 2009-10-07 지게차의 포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75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5693A (zh) * 2016-10-27 2017-02-15 合肥汉德贝尔属具科技有限公司 一种带倾斜气缸的叉车工作装置
CN106429975A (zh) * 2016-10-27 2017-02-22 合肥汉德贝尔属具科技有限公司 一种带提升机构的叉车工作装置
CN116924285A (zh) * 2023-09-14 2023-10-24 河南垣发专用车辆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叉装车的举升调整机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5693A (zh) * 2016-10-27 2017-02-15 合肥汉德贝尔属具科技有限公司 一种带倾斜气缸的叉车工作装置
CN106429975A (zh) * 2016-10-27 2017-02-22 合肥汉德贝尔属具科技有限公司 一种带提升机构的叉车工作装置
CN106429975B (zh) * 2016-10-27 2019-04-12 合肥汉德贝尔属具科技有限公司 一种带提升机构的叉车工作装置
CN116924285A (zh) * 2023-09-14 2023-10-24 河南垣发专用车辆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叉装车的举升调整机构
CN116924285B (zh) * 2023-09-14 2023-12-15 河南垣发专用车辆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叉装车的举升调整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4311B2 (en) Monomast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9896264B2 (en) Freight rack
KR101798896B1 (ko) 핸드 리프트 트럭
KR20110037525A (ko) 지게차의 포크
KR102188659B1 (ko) 핸드 파렛트 트럭용 전도방지장치
JP2008254611A (ja) パレットトラック
KR20190000753U (ko) 차량 크레인
KR20140145756A (ko) 리치 타입 지게차의 레그 구조
CN109879213A (zh) 一种能自行上下货车的电动叉车
KR20110037527A (ko) 지게차의 시야 확보 장치
KR20110045887A (ko) 수레
KR200322579Y1 (ko) 크레인 리프트 트럭
KR20170060256A (ko) 셀프 승강 리프트
JP3095499U (ja) 昇降機能付き荷物昇降装置
KR20160103793A (ko)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KR101829239B1 (ko) 지게차의 마스트 경사각 감지장치
JP5279590B2 (ja) 自走式高所作業台車
JP2010222123A (ja) コンテナ内荷物取り出し付属リフター
KR102468543B1 (ko) 중소형 화물 이동용 지게차
CN217025232U (zh) 一种装卸货叉车
CN217264659U (zh) 叉车
KR102338878B1 (ko) 지게발이 인입되는 지게차
JP5459732B2 (ja) サイドフォークリフト
KR20090002632U (ko) 굴삭기용 지게차 포크
JP3370599B2 (ja) 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