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878B1 - 지게발이 인입되는 지게차 - Google Patents

지게발이 인입되는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878B1
KR102338878B1 KR1020210085739A KR20210085739A KR102338878B1 KR 102338878 B1 KR102338878 B1 KR 102338878B1 KR 1020210085739 A KR1020210085739 A KR 1020210085739A KR 20210085739 A KR20210085739 A KR 20210085739A KR 102338878 B1 KR102338878 B1 KR 102338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ork
vehicle body
forklift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일
Original Assignee
김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일 filed Critical 김진일
Priority to KR102021008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7Whole unit including fork support moves relative to m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부;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부; 및 상기 차체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치 포크부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지게차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지게발이 인입되는 지게차{A FOLKLIFT TRUCK}
본 발명은 지게발이 인입되는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발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차체 하부로 지게발을 인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짐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산업용 트럭의 특수한 형태로서, 산업 현장이나 창고에서 사람이 운반하기 어려운 무거운 짐을 유용하게 적재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모터 등의 차량 구동원이 장착되는 차체프레임, 차체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Mast)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트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과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캐리지(Carriage)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지는 리프트 체인(Lift Chain)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며, 캐리지의 전방에는 화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가 장착되어 있다.
차체프레임의 상부에는 운전석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체프레임의 전방에는 전륜이 장착되고, 후방에는 후륜이 장착되며, 상기 후륜의 상부에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가 설치된다.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차체의 전방에 집중되는 화물의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하물을 안정적으로 운송 및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지게차에 구비되는 포크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공간상 제약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체 하부에 지게발 수납부를 포함하여 포크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지게발 수납부에 포크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게차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송 레일의 상측에 포크부에 적재된 화물을 눌러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측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게차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는, 차체부;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부; 및 상기 차체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치 포크부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이송부는, 상기 차체부의 전방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이송 레일; 및 상기 이송 레일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며, 하부에 상기 포크부가 설치되는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부는, 내측 하부에 마련되는 설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차체부의 저면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연결 브릿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부를 지지하는 전방구동륜의 구동축의 양 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휠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게발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크부는, 화물이 적재되는 한 쌍의 지게발; 및 상기 한 쌍의 지게발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전후방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게발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지게발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한 쌍의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게발은, 각각 측면에 형성되는 기어면;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기어면과 치합되며, 상기 차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삽입된 지게발을 전후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게발은,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후방 이동하는 경우, 각각 상기 한 쌍의 지게발 수납부에 인입되고,
상기 차체부는, 상기 한 쌍의 지게발이 상기 이송부의 전방으로 인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게발에 적재되는 화물을 상측에서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이송 레일의 상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측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상측 지지부는, 상기 이송 레일의 상측에 상기 차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회동하는 회동 핀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전방으로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이송부의 후방으로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게발 수납부를 포함하여 포크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지게발 수납부에 포크부를 수납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지게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측 지지부를 포함하여 적재된 화물을 상부에서 눌러 주어 안정적으로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체부 및 지게발 수납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포크부의 인입 및 인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상측 지지부의 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000)는 차체부(100), 이송부(200) 및 포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부(100)는 전방구동륜 및 후방조향륜에 의해 지지되며, 운전석 및 모터 등의 차량 구동원을 구비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차체부(10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화물이 올려지는 포크부(300)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잇다.
포크부(300)는 한 쌍의 지게발이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000)는 차체부(100), 이송부(200) 및 포크부(300)에 더하여 지게발 수납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게발 수납부(400)는 차체부(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포크부(300)의 수납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포크부(3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포크부(300)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지게발 수납부(400)에 수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부(30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000)는 지게발 수납부(400)를 포함하여 포크부(3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지게발 수납부(400)에 포크부(300)를 수납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지게차(10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000)는 차체부(100), 이송부(200), 포크부(300) 및 지게발 수납부(400)에 더하여 상측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500)는 이송부(20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포크부(300)에 적재된 화물을 상부에서 눌러 주어 안정적으로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측 지지부(500)는 이송부(20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측 지지부(500)는 이송부(200)의 상측에 회동 핀을 통해 설치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부(200)의 전방으로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거나, 이송부(200)의 후방으로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동 핀은 소정의 제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 모터의 제어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체부 및 지게발 수납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체부(100)는 전방구동륜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구동륜은 구동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휠(120)로 구비될 수 있다.
지게발 수납부(400)는 한 쌍의 휠(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수납 하우징(410) 및 제2 수납 하우징(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납 하우징(410) 및 제2 수납 하우징(420)은 포크부(300)에 포함되는 한 쌍의 지게발을 수납하는 구성으로, 포크부(300)에 포함되는 한 쌍의 지게발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비되어 전면을 통해 한 쌍의 지게발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포크부의 인입 및 인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체부(100)는 내측 하부에 설치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 프레임(140)은 차체부(100)의 저면을 관통하여 차체부(100)의 하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연결 브릿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지게발 수납부(400)는 한 쌍의 연결 브릿지(145)에 설치됨으로써 차체부(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송부(200)는 이송 레일(210) 및 캐리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레일(210)은 차체부의 전방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캐리지(230)는 이송 레일(210)의 전방에 장착되어 이송 레일(210)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포크부(300)는 캐리지(23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게발(310) 및 한 쌍의 슬라이딩 블록(3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게발(310)은 화물이 적재되는 구성으로, 캐리지(230)의 전방에 위치하거나, 후방 이동하여 지게발 수납부(400)로 인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320)은 지게발(31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 블록(320)은 지게발(3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전후방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게발(310)이 삽입될 수 있다. 지게발(310)은 측면에 기어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블록(320)은 내측면에 지게발(310)에 형성된 기어면과 치합되는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어는 운전석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하여 지게발(31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320)은 캐리지(230)의 후방에 위치하며, 캐리지(230)가 레일(210)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후면이 지게발 수납부(400)와 맞닿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블록(320)이 지게발(3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지게발(310)은 지게발 수납부(400)에 인입될 것이다.
한편, 차체부(100)는 이송부(200)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및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송부(200)의 전방으로 지게발(310)이 인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상측 지지부의 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측 지지부(500)는 단부에 공기 배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부(600)는 상측 지지부(50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를 배출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다.
공기 배출부(600)는 회동 브라켓(610), 공기 배출 하우징(620) 및 회전 팬(630)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 브라켓(610)은 상측 지지부(500)의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동 브라켓(610)은 일측에 원호 형상의 홀(611)이 형성되고, 이러한 원호 형상의 홀(611) 및 상측 지지부(50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 핀(612)을 통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측 지지부(500)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 하우징(620)은 회동 브라켓(610)의 타단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621) 및 하부 하우징(622)에 의해 폐쇄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621)은 일측이 회동 브라켓(610)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622)은 일측이 회동 브라켓(610)의 타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부 하우징(621)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부 하우징(521)과 형성하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공기 배출구(62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부 하우징(622)은 중심 부분이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의 일측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가 자연스럽게 공기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회전 팬(630)은 공기 배출 하우징(6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공기 배출 하우징(6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 배출부(600)는 공기 배출 하우징(62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발광 모듈(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640)은 하부 하우징(622)의 절곡된 부분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점등되어 주변을 비출 수 있다.
한편, 하부 하우징(622)은 이러한 발광 모듈(640)을 보호하면서도 공기 배출구(623)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에 설치되는 메쉬 보호 망(6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지게차
100: 차체부
200: 이송부
300: 포크부
400: 지게발 수납부
500: 상측 지지부

Claims (4)

  1. 차체부;
    상부에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부; 및
    상기 차체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치 포크부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차체부의 전방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이송 레일; 및
    상기 이송 레일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며, 하부에 상기 포크부가 설치되는 캐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부는,
    내측 하부에 마련되는 설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차체부의 저면을 관통하여 상기 차체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연결 브릿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부를 지지하는 전방구동륜의 구동축의 양 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휠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게발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크부는,
    화물이 적재되는 한 쌍의 지게발; 및
    상기 한 쌍의 지게발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전후방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게발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지게발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한 쌍의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게발은,
    각각 측면에 형성되는 기어면;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기어면과 치합되며, 상기 차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삽입된 지게발을 전후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게발은,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후방 이동하는 경우, 각각 상기 한 쌍의 지게발 수납부에 인입되고,
    상기 차체부는,
    상기 한 쌍의 지게발이 상기 이송부의 전방으로 인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지게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게발에 적재되는 화물을 상측에서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이송 레일의 상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측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상측 지지부는,
    상기 이송 레일의 상측에 상기 차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회동하는 회동 핀을 통해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전방으로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이송부의 후방으로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지게차.
KR1020210085739A 2021-06-30 2021-06-30 지게발이 인입되는 지게차 KR102338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739A KR102338878B1 (ko) 2021-06-30 2021-06-30 지게발이 인입되는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739A KR102338878B1 (ko) 2021-06-30 2021-06-30 지게발이 인입되는 지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878B1 true KR102338878B1 (ko) 2021-12-10

Family

ID=7886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739A KR102338878B1 (ko) 2021-06-30 2021-06-30 지게발이 인입되는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8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2795A (ja) * 1995-11-20 1997-06-03 Sekisui Chem Co Ltd 運搬移動時の転倒防止装置
JPH11199191A (ja) * 1998-01-16 1999-07-27 Shiyouen Nakano フォーク格納型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
JPH11236197A (ja) * 1998-02-20 1999-08-31 Shiyouen Nakano フォーク格納型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
KR20140005809U (ko) * 2013-05-07 2014-11-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2795A (ja) * 1995-11-20 1997-06-03 Sekisui Chem Co Ltd 運搬移動時の転倒防止装置
JPH11199191A (ja) * 1998-01-16 1999-07-27 Shiyouen Nakano フォーク格納型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
JPH11236197A (ja) * 1998-02-20 1999-08-31 Shiyouen Nakano フォーク格納型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
KR20140005809U (ko) * 2013-05-07 2014-11-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896B1 (ko) 핸드 리프트 트럭
US20150291056A1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Carrying Out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WO2018155027A1 (ja) 昇降装置
JP2005138962A (ja) 荷役車両
EP0553086B1 (en) Self elevating forklift truck
IE50283B1 (en) Arrangement for moving the batteries of battery-operated vehicles
JP2009107759A (ja) 移動式リフタ−における荷物段積装置
KR102338878B1 (ko) 지게발이 인입되는 지게차
US20050105994A1 (en) Inside vehicle lift
JP2008254611A (ja) パレットトラック
JP2011255710A (ja) トラックおよびトラック用の荷台スライド傾斜装置
KR20210026927A (ko) 지게차용 무인운반차
JP2012148654A (ja) トラックおよびトラック用の荷台スライド傾斜装置
KR20200120314A (ko) 화물 분리가 용이한 농업용 지게차
KR20150107325A (ko) 중량물 운반 시스템
WO2008038048A1 (en) Storing and tipping apparatus
JP4614292B1 (ja) トラックおよびトラック用の荷台スライド傾斜装置
KR102447228B1 (ko) 지게발이 접히는 지게차
TW201832966A (zh) 升降裝置
CN213649452U (zh) 自卸汽车货箱攀爬机构以及自卸汽车
JP4364549B2 (ja) コンテナ運搬車両
JP5279590B2 (ja) 自走式高所作業台車
CN218561019U (zh) 叉车
JP4258059B2 (ja) 倉庫設備における入出庫台車装置
JPH0747440Y2 (ja) ローリフト形搬送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