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647A -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 Google Patents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647A
KR20120104647A KR1020100104461A KR20100104461A KR20120104647A KR 20120104647 A KR20120104647 A KR 20120104647A KR 1020100104461 A KR1020100104461 A KR 1020100104461A KR 20100104461 A KR20100104461 A KR 20100104461A KR 20120104647 A KR20120104647 A KR 20120104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fork
hole
b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일
Original Assignee
김석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일 filed Critical 김석일
Priority to KR102010010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4647A/ko
Priority to PCT/KR2010/007618 priority patent/WO2011055947A2/ko
Publication of KR20120104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5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를 포함하고, 상부가 상기 하향절곡부의 하부 끝단과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절첩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전방에 보조판 또는 롤러테이블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테이블의 전방에 보조판 또는 롤러테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의 전방을 절첩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작업환경에 맞추어 편리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Multi-Function Table Lift of Movable Type}
본 발명은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전방을 절첩되도록 하고, 테이블의 전방에 다양한 기구를 구비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건을 운반하는데 많은 편리함을 주고, 작업의 편의성으로 작업이 빠르게 진행됨은 물론, 작업자에게 힘을 덜 소비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트(Lift)는 중량의 물건을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리프트는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 하부프레임과, 이동하고자 하는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테이블로 이루어진 손수레 타입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손수레 타입의 리프트는 단순히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중량의 물건을 운반 및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성이 없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손수레 타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프레임과 테이블 사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X링크기구를 설치하고, 이러한 X링크기구를 동력장치의 구동력으로 상승 및 하강시켜 테이블을 승, 하강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다수 개의 바퀴(4)가 구비된 하부프레임(3)의 상부에 평판 형상의 테이블(10)이 설치되고, 이때 상기 테이블(10)은 하부프레임(3)에 설치된 승강장치(20)에 의해 승강하게 되며, 상기 승강장치(20)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가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 리프트를 밀거나 당기며 이동시키는 손잡이(2)가 그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링크기구(21)와 승강실린더(22)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한 쌍의 평행한 내링크와, 상기 내링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평행한 외링크를 그 중앙부끼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X링크기구(21)를 가지며, 상기 X링크기구(21)를 승강실린더(22)에 의해 상·하로 신축시킴으로써, 테이블(10)의 승, 하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X링크기구(21)의 승강 높이를 높이기 위해 상·하로 2단 겹친 2단식 팬터그래프(pantograph) 방식의 리프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20) 및 컨트롤박스(1)와 상호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에 의해 바퀴(4)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며 테이블 리프트를 간편하게 이동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는, 작업자가 옮기려고 하는 물건을 테이블(10) 위에 올린 후, 손잡이(2)를 잡고 이동하여 원하는 장소에 물건을 내려놓게 된다.
이때 상기 물건이 높은 위치에 있으면 컨트롤박스(1)의 스위치를 눌러 승강장치(20)를 구동하게 되고, 이에 승강장치(20)가 동작하며 테이블(10)을 원하는 높이로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물건을 테이블(10) 위에 올려놓으면, 컨트롤박스(1)의 스위치를 눌러 승강장치(20)를 구동하게 되고, 이에 승강장치(20)가 동작하며 테이블(10)을 처음 상태대로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컨트롤박스(1)의 스위치를 누르며 구동부(5)에 의해 바퀴(4)를 회전시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손잡이(2)를 잡고 편안하게 방향을 조절하며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원하는 위치에 도착한 후에 테이블(10) 위의 물건을 내려놓으면 모든 작업이 완료되며, 물건을 내려놓을 곳이 높으면 다시 테이블(10)을 상승시킨 후 물건을 내려놓으면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1)의 스위치는 각각의 동작에 대한 온, 오프에 대하여 대응하는 스위치로 구성함은 물론이며, 일 예로 승강장치(20)를 동작시켜 테이블(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위치는 전, 후진 레버를 사용하여 레버를 전진시 테이블(10)이 상승하고, 레버를 후진시 테이블(10)이 하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박스(1)에 의해 동작하는 회로는 이미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회로를 사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테이블(10)은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의 부피에 상관없이 기 설정된 크기의 테이블(10)을 이용하여 물건을 옮기고 있으며, 물건을 테이블(10)에 올려 승강장치(20)로 승강하는 단순한 기능만이 있어, 다양한 물건을 다양한 작업여건에 따라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를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는, 상기 승강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10)을 올리고 내리며 이동을 할 수 있는 단순한 기능만이 있어, 그 사용범위가 작아,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를 구입하여 사용하는데 많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현재, 농어촌에서는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에 따라 이동식 테이블 리프도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다양한 기능이 부설되어야 하고, 이에 본 출원인은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를 발명하게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의 전방을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작업환경에 맞추어 편리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구를 구비하여, 작업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다양한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한, 하나의 테이블 리프트로 다양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작업에 맞는 기계들이 각각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나의 테이블 리프트를 보관하는 장소만 있으면 되므로 보관 장소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는,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를 포함하고, 상부가 상기 하향절곡부의 하부 끝단과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절첩되는 수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직부의 전방 하부에 물건을 실을 수 있는 보조판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부의 전방 하부에 다수의 롤러에 의해 물건을 간편하게 싣거나 내릴 수 있는 롤러테이블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테이블은, 외주연을 형성하는 틀; 상기 틀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테이블은, 외주연을 형성하는 틀; 상기 틀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 상기 틀의 후방 끝단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력이 상기 다수의 롤러에 전달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와, 상기 하향절곡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핸드카고정공을 포함하고, 핸드카의 양측 하부 후방에 상기 핸드카고정공과 대응하는 연결고정공이 형성된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고정공과 핸드카고정공으로 핸드카고정핀을 삽입하여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상기 핸드카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와, 상기 하향절곡부의 양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측부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방향에 구비된 측부삽입공으로 삽입 고정되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집거나 놓는 자동포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동포크부재는, 상기 측부삽입공에 대응 삽입되는 삽입바가 구비된 수직바를 포함하는 측부프레임; 상기 수직바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포크; 상기 하포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포크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포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포크실린더는, 상기 수직바의 외측 상부에 구비된 돌출편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상포크를 관통하며 상기 돌출편과 상기 하포크를 연결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와, 상기 하향절곡부의 전방 상부 양측에 형성된 바삽입공을 포함하고, 후방이 상기 바삽입공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에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며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잡음과 함께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압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압착부재는, 후방에 상기 바삽입공에 대응 삽입되는 후방바가 구비되고, 내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모터축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몸체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후방에 상기 모터축과 결합되는 축공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중앙판; 상기 중앙판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중앙판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에 의해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는 압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착구는, 상기 중앙판 양측 각각의 상·하부에 입출공을 형성하되, 상기 입출공과 대응하는 입출편이 구비되고, 상기 입출편의 외측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잡는 압착바;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는, 테이블의 전방에 보조판 또는 롤러테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의 전방을 절첩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작업환경에 맞추어 편리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방에 상기 핸드카도 결합하여 구비할 수 있으므로, 핸드카를 별도로 사용하다가 필요할 때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 결합하여 테이블보다 낮은 위치에 핸드카의 받침부분이 위치하여 물건을 더욱 쉽고 간편하게 옮길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전방 양측에 자동포크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자동포크부재의 상·하포크에 의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간편하게 집어서 옮길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때 전방에 상기 회전압착부재를 결합하여 물건을 양쪽에서 압착하여 집은 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며 상기 물건을 원하는 위치의 원하는 부분에 정확하게 옮길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작업이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다양한 작업에 필요한 기계를 각각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각각의 기계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본 발명 기계만 보관하면 되므로 기계를 보관하는 장소도 여유 공간이 많아져, 보관 장소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부가 절첩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라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가 절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 롤러테이블이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롤러테이블의 구동부를 상세히 보인 요부 절결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따른 구동부의 구동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따라 롤러들이 회전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핸드카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라 핸드카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자동포크부재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자동포크부재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
도 13은 도 11에 따른 자동포크부재를 상승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회전압착부재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6은 도 14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7은 도 14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8은 도 14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회전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부가 절첩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라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가 절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110)를 포함하고, 상부가 상기 하향절곡부(110)의 하부 끝단과 힌지(H)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절첩되는 수직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20)의 전방 하부에 물건을 실을 수 있는 보조판(1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블(100)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종래와 같이 하부프레임(3) 내부에 구비된 승강장치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100)의 전방에는 하향 절곡된 하향절곡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하향절곡부(110)의 하부에는 수직부(120)가 힌지(H)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120)의 최하단은, 지면에 닿지 않도록 상기 하부프레임(3)의 최하단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해야 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120)를 상기 힌지(H)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상기 하향절곡부(110)의 전방에 절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직부(120)의 전방 하부에는, 판으로 이루어진 보조판(130)이 구비되어, 상기 보조판(130)에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향절곡부(110)와 수직부(120)는 상기 힌지(H)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H)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120)를 하향절곡부(110)의 전방에 절첩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보조판(130)이 테이블(100) 상면에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와 같이 상기 힌지(H)를 이용하여 수직부(120)를 절첩하면, 상기 보조판(130)의 상면이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과 접하며 절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테이블(10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보조판(130)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며, 상기 보조판(13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힌지(H)를 이용하여 수직부(120)를 회전시켜 상기 보조판(130)이 테이블(100) 상면에 접하여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크기를 줄이고자 함이다.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된 보조판(130)이 보관시나 이동시에 주변 물품들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힌지(H)를 이용하여 수직부(120)와 보조판(130)을 절곡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 롤러테이블이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롤러테이블의 구동부를 상세히 보인 요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따른 구동부의 구동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따라 롤러들이 회전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수직부(120)의 전방 하부에 다수의 롤러(142)에 의해 물건을 간편하게 싣거나 내릴 수 있는 롤러테이블(14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테이블(140)은, "ㄷ" 형상으로 외주연을 형성하는 틀(141)과, 상기 틀(141)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14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롤러테이블(140)에 물건을 올릴 때에는, 상기 롤러테이블(140) 전방측의 롤러(142)에 물건의 후방 측을 올린 후 상기 물건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롤러(142)들이 자유 회전하며 물건이 후방으로 용이하게 밀리며 이동되어 상기 롤러테이블(140)에 물건을 간편하게 올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테이블(140)에서 물건을 내릴 때에는, 상기 롤러테이블(140)에 올려진 물건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롤러(142)들이 자유 회전하며 물건이 전방으로 용이하게 밀려 상기 롤러테이블(140)에서 물건을 간편하게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테이블(14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힌지(H)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120)와 롤러테이블(140)을 절첩하여 상기 테이블(100)의 전방 상부에 상기 롤러테이블(140)을 절첩함으로써,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틀(141)은,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네모 모양의 틀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수직부(120)의 전방 양측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일자 형상의 틀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인바, 이와 같이 상기 틀(141)에 대한 다양한 단순 형상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롤러테이블(140)의 다수의 롤러(142)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물건을 올리거나 내릴 때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틀(141)과 다수의 롤러(142)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롤러(142) 중 후방 끝 부분의 롤러(142)를 구동롤러(143)로 구비하고, 상기 구동롤러(143)에 구동모터(145)의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롤러(143)와 상기 다수의 롤러(142)를 연동하도록 하여 상기 모터(183)의 회전에 의해 구동롤러(143)와 다수의 롤러(142)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구동롤러의 중간 부분에 구동스프로킷(143a)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부(120)에 구동모터(145)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구동모터(145)에 모터스프로킷(145a)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스프로킷(143a)과 상기 모터스프로킷(145a)을 구동체인(144)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상기 구동롤러(143)와 다수의 롤러(142)는, 양측 끝단부에 롤러스프로킷(142a)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롤러(143)와 다수의 롤러(142)에 구비된 롤러스프로킷(142a)을 궤도 운동하는 연동체인(146)으로 연결한다.
이에, 상기 구동모터(145)가 회전하여 모터스프로킷(145a)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체인(144)에 의해 연결된 구동스프로킷(143a)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구동롤러(143)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143)의 롤러스프로킷(142a)과 연동체인(146)으로 연결된 다수의 롤러(142)도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구동모터(145)의 회전에 따라 상기 다수의 롤러(142)가 회전하며 물건을 상기 롤러테이블(140)의 상부에 간편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구동모터(145)를 후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롤러(143)와 다수의 롤러(142)가 후방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사용자는 롤러테이블(140)의 전방에 물건의 후방을 올려놓으면 다수의 롤러(142)에 의해 물건이 후방으로 간편하게 이동하여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45)를 전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롤러(143)와 다수의 롤러(142)가 전방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사용자는 롤러테이블(140)에 올려져 있던 물건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물건을 롤러테이블(140)에서 간편하게 내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스프로킷(143a)을 상기 구동롤러(143)의 중간 부분에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구동롤러(143)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에 구비하고, 상기 구동롤러(143)의 구동스프로킷(143a)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구동모터(145)를 구비해도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스프로킷(142a)과 연동체인(146)이 상기 틀(141)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에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또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구동롤러(143)와 같이 롤러(142)의 중간 부분에 연동체인(146)이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45)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수직부(120)의 하부 일부를 절결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수직부(120)에 상기 구동모터(145)를 내설하거나, 상기 수직부(120)의 중앙 상부에 개방된 부분에 상기 구동모터(145)를 설치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45)의 회전력에 의해 다수의 롤러(142)가 회전하는 구성에 따른 단순 설계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핸드카(150)는, 양측에 세워진 기둥의 하부를 연결하며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판이 구비되고, 상기 양 기둥의 하부 후방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핸드카(150)는, 물건을 판에 올려놓은 후 후방으로 기울여 바퀴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세워 고정한 상태에서 물건을 들어 원하는 장소에 놓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핸드카(150)를 상기 테이블(100)의 전방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테이블(10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테이블(100)을 핸드카(150)를 이용하여 구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9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핸드카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라 핸드카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110)와, 상기 하향절곡부(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핸드카고정공(111)을 포함하고, 핸드카(150)의 양측 하부 후방에 상기 핸드카고정공(111)과 대응하는 연결고정공(152)이 형성된 연결판(151)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고정공(152)과 핸드카고정공(111)으로 핸드카고정핀(111a)을 삽입하여 상기 테이블(100)의 전방에 상기 핸드카(150)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과 같이, 상기 연결고정공(152)과 상기 핸드카고정공(111)을 일치시킨 후, 상기 핸드카고정핀(111a)을 삽입하여 상기 테이블(100)의 전방에 핸드카(150)를 고정하면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양 연결판(151)의 내측면이 각각 상기 하향절곡부(110) 양 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연결고정공(152)과 핸드카고정공(111)이 일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테이블(100)의 전방에 핸드카(150)를 결합하면, 상기 테이블(100)보다 낮은 위치에 핸드카(150)의 물건을 놓을 수 있는 판이 위치하여, 물건을 더욱 간편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핸드카(150)를 결합하는 것은, 상기 수직부(120)의 전방에 보조판(130)이나 롤러테이블(140)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은 핸드카(150)를 이용하여 테이블(10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판을 구비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핸드카(150)를 결합할 때, 상기 핸드카(150)의 바퀴가 하부프레임(3)에 구비된 바퀴(4)에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핸드카(150)의 바퀴를 하부프레임(3)의 바퀴(4)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각각 외측으로 더 돌출시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자동포크부재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자동포크부재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따른 자동포크부재를 상승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110)와, 상기 하향절곡부(110)의 양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측부삽입공(160)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방향에 구비된 측부삽입공(160)으로 삽입 고정되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집거나 놓는 자동포크부재(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동포크부재(A)는,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수직부(120)가 회전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상기 테이블(100)의 전방 양측에 포크를 이용하여 물건을 집거나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자동포크부재(A)는, 상기 측부삽입공(160)에 대응 삽입되는 삽입바(171)가 구비된 수직바(172)를 포함하는 측부프레임(170)과, 상기 수직바(172)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포크(174) 및, 상기 하포크(174)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172)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포크실린더(175)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포크(17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측부삽입공(160)은, 상기 하향절곡부(110)의 각각의 양측에 수직 상 동일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측부프레임(170)의 삽입바(171)는 일측의 상·하부 측부삽입공(160)과 각각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바(171)의 외측은 수직바(172)로 연결되어, 상기 측부프레임(170)은 "ㄷ"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172)의 외측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하포크(174)가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포크(174)의 상부에는 상기 하포크(17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상포크(17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직바(172)의 외측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편(172a)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172a)의 상부에 포크실린더(175)가 구비된다.
상기 포크실린더(175)는, 수직 상 왕복 운동하는 포크실린더축(176)이 구비됨은 물론이며, 상기 포크실린더축(176)의 하부는 상기 상포크(173)와 연결 고정되어 상기 포크실린더(175)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포크(173)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포크(173)가 상기 포크실린더(175)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하포크(174)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하포크(174)와 상포크(173)를 이용하여 물건을 집거나 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포크(173)의 상·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그 이동 위치를 고수하기 위해, 상기 돌출편(172a)과 하포크(174)를 연결하는 가이드봉(177)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177)은 상기 상포크(173)를 관통하여 구비해야 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가이드봉(177)은, 상부가 돌출편(172a)의 하면과 접하고, 하부가 하포크(174)와 접하며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되, 상기 상포크(173)에 가이드봉(177)이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상포크(173)가 포크실린더(175)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가이드봉(177)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봉(177)을 2개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바(171)와 상기 측부삽입공(160)이 형성된 하향절곡부(110)의 전방에는, 상기 삽입바(171)를 삽입하여 고정핀(112a)으로 고정할 수 다수의 관통공(171a) 및 측부고정공(11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삽입바(171)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통된 다수의 관통공(171a)을 형성하고, 상기 하향절곡부(110)의 측부삽입공(160)이 형성된 전방에 상기 관통공(171a)과 대응하는 측부고정공(112)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바(171)를 측부삽입공(160)에 삽입한 후 상기 관통공(171a)과 측부고정공(112)을 일치시켜 고정핀(112a)으로 고정하여 자동포크부재(A)를 테이블(100)의 전방 양측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관통공(171a)과 측부고정공(112)을 다수개로 형성하는 이유는, 옮기고자 하는 물건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자동포크부재(A)의 결합위치를 변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옮기고자 하는 물건이 양측으로 넓을 경우에는, 상기 삽입바(171)를 측부삽입공(160)에 삽입하되, 상기 삽입바(171)의 삽입방향 선단에 구비된 관통공(171a)과 상기 삽입바(171)가 삽입되는 방향의 선단에 구비된 측부고정공(112)의 중심을 일치시킨 후, 상기 일치된 관통공(171a)과 측부고정공(112)으로 고정핀(112a)을 삽입하여 결합하면 된다.
그리고 옮기고자 하는 물건이 양측으로 좁을 경우에는, 상기 삽입바(171)를 측부삽입공(160)에 삽입하되, 상기 삽입바(171)의 삽입방향 후단에 구비된 관통공(171a)과 상기 삽입바(171)가 삽입되는 방향의 선단에 구비된 측부고정공(112)의 중심을 일치시킨 후, 상기 일치된 관통공(171a)과 측부고정공(112)으로 고정핀(112a)을 삽입하여 결합하면 된다.
도 14는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회전압착부재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4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18은 도 14에 따른 회전압착부재가 회전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110)와, 상기 하향절곡부(110)의 전방 상부 양측에 형성된 바삽입공(113)을 포함하고, 후방이 상기 바삽입공(113)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에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며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잡음과 함께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압착부재(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압착부재(B)는, 상기 자동포크부재(A)와 같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수직부(120)가 회전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상기 테이블(100)의 전방에 회전부재(180)와 압착부재(190)를 이용하여 물건을 잡거나 놓으며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압착부재(B)는, 크게 회전부재(180)와 압착부재(190)로 이루어지되, 상기 테이블(100)의 전방에 회전부재(180)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180)의 전방에 압착부재(190)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재(180)는, 후방에 상기 양 바삽입공(113)에 대응 삽입되는 양 후방바(182)가 구비되고, 내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모터축(183a)을 회전시키는 모터(183)가 구비된 몸체(181)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부재(180)는, 사각의 몸체(181) 후방 상부 양측에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바(182)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바(182)에는 양측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삽입관통공(182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바삽입공(113)이 형성된 테이블(100)의 측방향에는 상기 삽입관통공(182a)과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관통공(1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바(182)를 바삽입공(113)으로 삽입하여 고정관통공(114)과 삽입관통공(182a)을 일치시킨 후, 삽입고정핀(114a)을 삽입하여 몸체(181)를 테이블(100)의 전방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삽입공(113)에 삽입되는 후방바(182)의 길이를 조절하여 삽입고정핀(114a)으로 고정하게 되므로, 상기 테이블(100)의 전방에서 몸체(181)가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81)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183)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되, 회전되는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모터(183)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부재(190)는, 후방에 상기 모터축(183a)과 결합되는 축공(191a)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183)에 의해 회전하는 중앙판(191)과, 상기 중앙판(19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중앙판(191)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192)에 의해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는 압착구(19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앙판(191)은, 양측 각각의 상·하부에 입출공(193)을 형성하되, 상기 압착구(194)는, 상기 입출공(193)과 대응하는 입출편(195)이 구비되고, 상기 입출편(195)의 외측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잡는 압착바(19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중앙판(191)은, 후방 중앙부에 상기 모터축(183a)이 결합되는 축공(191a)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축(183a)이 축공(191a)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모터(183)의 회전에 의해 중앙판(19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판(191)은, 양측 상·하부에 각각 입출공(193)이 구비되고, 상기 입출공(193)의 내부측에는 각각 실린더축(192a)이 구비된 실린더(192)가 내설된다.
상기 압착구(194)는, 상기 중앙판(19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 방향 상·하부에 상기 중앙판(191)의 일측 입출공(193)에 대응 삽입하는 입출편(195)이 구비되고, 상기 입출편(195)의 외측을 연결하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압착바(19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입출편(195)의 내측 끝단부는, 상기 실린더축(192a)의 외측 끝단과 결합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19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압착구(194)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192)는 각각의 입출공(193) 내부에 내설되는 것으로, 각각의 입출편(195)의 측 방향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압착구(194)가 측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착구(194)의 후방 내측에 하나의 입출편(195)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판(191)의 일측에 하나의 입출공(193)을 형성하며, 상기 입출공(193)에 하나의 실린더(192)를 구비하여, 상기 하나의 실린더(192)를 이용하여 압착구(194)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해도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압착구(194)는 물건을 압착하며 잡아주어야 하므로, 강한 압착력 및 정밀한 압착력을 발휘하기 위해 상기 중앙판(191)의 일측 상·하부에 각각 실린더(192)가 내설된 입출공(193)을 형성하고, 상기 압착구(194)의 후방 내측에도 상·하부에 입출편(195)을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81)의 형상을 사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모터(183)가 내설됨과 함께 후방 양측에 후방바(182)가 구비된 형상이면 되므로, 상기 몸체(181)의 형상에 대한 단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착구(194)의 압착바(196) 형상을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포크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압착구(194)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실린더(192)를 사용하였으나 이 또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모터를 이용하여 압착구(194)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상기 압착구(194)의 형상 및 상기 압착구(194)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따른 단순 설계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회전압착부재(B)는, 상기 실린더(192)를 구동시켜 양 압착구(194)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실린더(192)를 구동시켜 양 압착구(194)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물건의 양측을 압착하며 잡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3)의 내부에 설치된 승강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테이블(100)을 상승시킴과 아울러 회전압착부재(B)도 상승하며 물건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물건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모터(183)를 구동하여 중앙판(191)과 함께 물건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컨트롤박스 2 - 손잡이 3 - 하부프레임
4 - 바퀴 10 - 테이블 20 - 승강장치
21 - X링크기구 22 - 승강실린더 23 - 승강축
100 - 테이블
110 - 하향절곡부 111 - 핸드카고정공 111a - 핸드카고정핀
112 - 측부고정공 112a - 고정핀 113 - 바삽입공
114 - 고정관통공 114a - 삽입고정핀
120 - 수직부
130 - 보조판
140 - 롤러테이블 141 - 틀 142 - 롤러
142a - 롤러스프로킷 143 - 구동롤러 143a - 구동스프로킷
144 - 구동체인 145 - 구동모터 145a - 모터스프로킷
146 - 연동체인
150 - 핸드카 151 - 연결판 152 - 연결고정공
160 - 측부삽입공
170 - 측부프레임 171 - 삽입바 171a - 관통공
172 - 수직바 172a - 돌출편 173 - 상포크
174 - 하포크 175 - 포크실린더 176 - 포크실린더축
177 - 가이드봉
180 - 회전부재 181 - 몸체 182 - 후방바
182a - 삽입관통공 183 - 모터 183a - 모터축
190 - 압착부재 191 - 중앙판 191a - 축공
192 - 실린더 192a - 실린더축 193 - 입출공
194 - 압착구 195 - 입출편 196 - 압착바
A - 자동포크부재 B - 회전압착부재 H - 힌지

Claims (12)

  1.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110)를 포함하고,
    상부가 상기 하향절곡부(110)의 하부 끝단과 힌지(H)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절첩되는 수직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120)의 전방 하부에 물건을 실을 수 있는 보조판(1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120)의 전방 하부에 다수의 롤러(142)에 의해 물건을 간편하게 싣거나 내릴 수 있는 롤러테이블(14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테이블(140)은,
    외주연을 형성하는 틀(141);
    상기 틀(141)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1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테이블(140)은,
    외주연을 형성하는 틀(141);
    상기 틀(141)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142);
    상기 틀(141)의 후방 끝단에 구비되어 구동모터(14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143); 및,
    상기 구동롤러(143)의 회전력이 상기 다수의 롤러(142)에 전달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6.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110)와, 상기 하향절곡부(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핸드카고정공(111)을 포함하고,
    핸드카(150)의 양측 하부 후방에 상기 핸드카고정공(111)과 대응하는 연결고정공(152)이 형성된 연결판(151)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고정공(152)과 핸드카고정공(111)으로 핸드카고정핀(111a)을 삽입하여 상기 테이블(100)의 전방에 상기 핸드카(150)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7.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110)와, 상기 하향절곡부(110)의 양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측부삽입공(160)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방향에 구비된 측부삽입공(160)으로 삽입 고정되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집거나 놓는 자동포크부재(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자동포크부재(A)는,
    상기 측부삽입공(160)에 대응 삽입되는 삽입바(171)가 구비된 수직바(172)를 포함하는 측부프레임(170);
    상기 수직바(172)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포크(174);
    상기 하포크(174)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172)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포크실린더(175)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상포크(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포크실린더(175)는, 상기 수직바(172)의 외측 상부에 구비된 돌출편(172a)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상포크(173)를 관통하며 상기 돌출편(172a)과 상기 하포크(174)를 연결하는 가이드봉(17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0. 하부에 구비된 바퀴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이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0)은,
    전방에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하향절곡부(110)와, 상기 하향절곡부(110)의 전방 상부 양측에 형성된 바삽입공(113)을 포함하고,
    후방이 상기 바삽입공(113)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에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며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잡음과 함께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압착부재(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압착부재(B)는,
    후방에 상기 바삽입공(113)에 대응 삽입되는 후방바(182)가 구비되고, 내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모터축(183a)을 회전시키는 모터(183)가 구비된 몸체(181)를 포함하는 회전부재(180);
    후방에 상기 모터축(183a)과 결합되는 축공(191a)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183)에 의해 회전하는 중앙판(191);
    상기 중앙판(19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중앙판(191)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192)에 의해 양측으로 각각 이동하는 압착구(1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194)는,
    상기 중앙판(191) 양측 각각의 상·하부에 입출공(193)을 형성하되,
    상기 입출공(193)과 대응하는 입출편(195)이 구비되고, 상기 입출편(195)의 외측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옮기고자 하는 물건을 잡는 압착바(19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1020100104461A 2009-11-06 2010-10-26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KR20120104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461A KR20120104647A (ko) 2010-10-26 2010-10-26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PCT/KR2010/007618 WO2011055947A2 (ko) 2009-11-06 2010-11-01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461A KR20120104647A (ko) 2010-10-26 2010-10-26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647A true KR20120104647A (ko) 2012-09-24

Family

ID=4711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461A KR20120104647A (ko) 2009-11-06 2010-10-26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46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5484B2 (ja) スキッド及びパレットのためのリフト
US4458786A (en) Fork-lift truck with synchronized variable travelling and lifting surfaces
KR100987225B1 (ko)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CN215516524U (zh) 一种便携式可折叠叉车
US20120085882A1 (en) Lifting machine base assembly for a machine tool
CN211845580U (zh) 一种升降式鞋盒
US8695736B1 (en) Bin moving assembly
EP0393004B1 (fr) Engin de manutention
KR20120104647A (ko)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US11787674B2 (en) Mobility base
CN107010565B (zh) 一种家用重物托举辅助装置
CN110329762B (zh) 一种智能设备
EP2923916A1 (en) Sack truck
CN210973751U (zh) 一种叉车用防倾斜支撑装置
CN208615966U (zh) 升降搬运车
CN210054942U (zh) 一种半自动多层立体旅行箱
CN110641897B (zh) 一种用于向仓库货架较高处堆放物料箱的传动装置
CN208577396U (zh) 高压开关柜多功能小车装置
CN216549470U (zh) 一种具有调节延伸功能的货叉
KR101270051B1 (ko)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JP2016166062A (ja) ローダ
CN219823570U (zh) 一种助力叉车
KR20110127500A (ko)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CN219469580U (zh) 一种防爆升降装置
CN211065330U (zh) 一种无拉杆式行李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