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589A -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589A
KR20200103589A KR1020200106283A KR20200106283A KR20200103589A KR 20200103589 A KR20200103589 A KR 20200103589A KR 1020200106283 A KR1020200106283 A KR 1020200106283A KR 20200106283 A KR20200106283 A KR 20200106283A KR 20200103589 A KR20200103589 A KR 20200103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rail member
building
wal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화
Original Assignee
이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화 filed Critical 이경화
Priority to KR1020200106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3589A/ko
Publication of KR20200103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6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적은 풍압을 받으면서도 건물 외벽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추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건물 외벽에 배치되는 케이지본체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지본체의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고, 건물 외벽에 설치된 고정슈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고, 건물 외벽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안전달대부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전달대부재의 하부는 상기 레일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케이지본체의 상부보다 상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레일부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 OUTSIDE WALL FINISHING CAGE }
본 발명은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적은 풍압을 받으면서도 건물 외벽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추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등과 같은 대형 건축물의 공사는, 토공사, 뼈대인 골조공사, 마감공사 순으로 나눈다.
골조공사는 기둥, 보, 슬래브 등을 구축하여 건물의 뼈대를 형성한다.
마감공사는 상기한 골조공사 완료후 완성된 골조의 외부 표면에 타일, 석재, 커튼월 등 각종 마감 자재를 시공하여 건축물의 실내 또는 옥외 표면을 미려하게 장식한다.
이러한 마감공사는 내부마감공사와 외부마감공사로 나뉘는데, 외부마감공사 시공시에는 작업용 비계가 있어야만 마감공사를 할 수 있다.
보통 10층 이상 고층건물 일 경우에는, 작업용 비계 또는 곤도라를 이용하여 외부마감공사를 시공한다.
이 경우, 비계의 붕괴사고, 강풍에 의한 곤도라의 날림 및 와이어 끊김 등으로 추락사고의 위험요소가 있어서, 최근에는 그 대용으로 한층 한층씩 상승하는 작업발판인 외부 마감용 케이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보통 가로 5m X 세로 10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사각으로 제작되어, 선공사인 골조공사 진행에 맞춰 2~3개층 밑에서 뒤따라 타워크레인이나 유압으로 한층씩 올려가며 마감공사를 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외부 마감용 케이지를 이용한 작업순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외부 마감용 케이지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케이지본체(10)와, 레일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지본체(10)는 빔 등으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 위해 위치하는 발판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건물 외벽에 배치된다.
상기 레일부재(2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지본체(10)의 일면 양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레일부재(20)에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되어, 건물 외벽에 설치된 다수개의 고정슈(51,52,53)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레일부재(20)는 상기 고정슈(51,52,5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보통 상기 레일부재(20)는 하나의 케이지본체(10)에 2개가 상호 이격되어 장착된다.
위와 같은 상기 외부마감용 케이지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마감용 케이지를 상승시키면, 하나의 레일부재(20)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3개의 고정슈(51,52,53)에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서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3개의 고정슈(51,52,53)에 의해 고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레일부재(20)는 케이지본체(10) 양측에 하나씩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총 6개의 고정슈(51,52,53)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마감용 케이지가 상승하게 되면, 외부 마감 작업을 하기 위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제1고정슈(51)를 제거한다.
제1고정슈(51)를 제거함으로서, 실제 외부마감 작업을 할 때에는 총 4개의 고정슈(52,53) 즉 제2고정슈(52)와 제3고정슈(53)에 의해 외부 마감용 케이지가 지지되게 된다.
한편, 건물 외벽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에 앙카볼트를 설치하여 앙카볼트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한 후, 이러한 앙카볼트에 고정슈(51,52,53)를 체결한다.
이때, 앙카볼트의 매립이 손실되거나, 앙카볼트의 매립이 부실할 경우에는, 앙카볼트에 체결되는 고정슈(51,52,53)가 탈락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본체(10)를 지지하던 4개의 고정슈 중에서 일부 고정슈 예를 들어 제3고정슈(53)가 탈락하게 되면,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지지되는 고정슈가 부족하여 강풍 및 자중 등에 의해 흔들리면서 건물외벽에 충돌하여 외부 마감용 케이지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락사고는 높은 곳에서의 추락으로 추가적인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외부 마감용 케이지를 상하방향으로 길게 제작하여, 외부 마감 작업시 6개 이상의 고정슈에 의해 외부 마감용 케이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일부 고정슈가 탈락되어도 외부 마감용 케이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외부 마감용 케이지를 상하방향으로 길고 크게 제작하게 되면, 고층에서 강풍의 발생시 외부 마감용 케이지에 큰 풍압이 작용하여, 추락의 위험이 다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그 크기를 줄여 외부 마감 작업시 총 4개의 고정슈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 고정슈의 탈락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없어 추락의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171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0252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크기는 종래의 외부 마감용 케이지와 비슷하면서도 다수개의 고정슈에 의해 지지되어, 일부 고정슈가 탈락되어도 케이지 전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건물 외벽에 배치되는 케이지본체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지본체의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고, 건물 외벽에 설치된 고정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고, 건물 외벽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안전달대부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전달대부재의 하부는 상기 레일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케이지본체의 상부보다 상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레일부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고정슈로 이루어진다.
1개의 레일부재는, 케이지본체의 인상작업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3개의 고정슈에 맞물려 지지되고, 마감공사시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고정슈에 맞물려 지지되며, 상기 안전달대부재는 상기 케이지본체 및 레일부재보다 상부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에 맞물려 지지된다.
상기 레일부재 및 안전달대부재에는 상기 고정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재의 상하길이는 상기 케이지본체의 상하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본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장착된다.
상기 안전달대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안전달대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에 상기 건물 외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안전달대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케이지본체의 크기가 종래의 외부 마감용 케이지와 비슷하기 때문에 강풍에 의한 풍압은 거의 동일하게 받으면서도, 안전달대부재에 의해 케이지 전체가 보다 많은 고정슈에 지지됨으로써, 일부 고정슈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탈락되어도 케이지가 건물 외벽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외부 마감용 케이지를 이용한 작업순서도,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외부 마감용 케이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마감용 케이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마감용 케이지를 이용한 작업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마감용 케이지에서 레일부재와 안전달대부재가 힌지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레일부재와 안전달대부재가 힌지결합된 외부 마감용 케이지에서 고정슈가 이탈된 상태에서의 측면상태도.
본 발명의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본체(10)와, 레일부재(20)와, 안전달대부재(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지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물 외벽에 배치된다.
상기 레일부재(2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지본체(10)의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고, 건물 외벽에 설치된 다수개의 고정슈(51,52,53,54)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레일부재(20)에는 상기 고정슈에 걸리는 다수개의 걸림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지본체(10) 및 레일부재(20)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레일부재(20)의 상하길이는 상기 케이지본체(10)의 상하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본체(1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장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부재(20)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지본체(10)의 일면 양측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안전달대부재(30)는 상기 레일부재(2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고, 건물 외벽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브라켓, 고리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안전달대부재(30)를 건물 외벽에 고정시킬 수 있으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슈(54)로 이루어져 건물외벽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슈(54)로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안전달대부재(30)는 고정슈(54)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전달대부재(30)에는 상기 레일부재(20)와 같이 상기 고정슈(54)에 걸리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21,31) 없이 다른 구조를 통해, 상기 레일부재(20) 및 안전달대부재(30)가 고정슈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안전달대부재(30)의 하부는 상기 레일부재(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전달대부재(30)의 상부는 상기 케이지본체(10)의 상부보다 상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고정슈(54)에 결합된다.
상기 안전달대부재(30)는 상기 케이지본체(10)에 결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레일부재(20)의 상부에만 결합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부재(20)가 2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안전달대부재(30)도 2개로 이루어져, 각각 하나의 레일부재(20)에 장착되어 있다.
외부 마감 작업시, 1개의 상기 레일부재(20)는 건물외벽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다른 층에 설치되어 배치되는 2개의 고정슈 즉 제2고정슈(52) 및 제3고정슈(53)에 맞물려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달대부재(30)는 상기 케이지본체(10) 및 레일부재(20)보다 상부에 설치되어 위층의 건물 외벽에 설치된 제4고정슈(54)에 맞물려 지지된다.
즉, 건물 외부의 마감 작업시, 1개의 상기 레일부재(20)는 2개의 고정슈(52,53)에 결합되어 2개의 층에서 지지되고, 1개의 안전달대부재(30)는 1개의 고정슈(54)에 결합되어 가장 윗층에서 지지된다.
상기 레일부재(20) 및 안전달대부재(30)가 2개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 마감 작업시 본 발명의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총 6개의 고정슈(52,53,54)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외부 마감용 케이지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마감용 케이지를 상승시키면, 하나의 레일부재(20)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3개의 고정슈(51,52,53)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상기 안전달대부재(30)는 1개의 고정슈(54)에 지지된다.
상기 레일부재(20) 및 안전달대부재(30)는 각각 2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총 8개의 고정슈(51,52,53,54)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마감용 케이지가 상승하게 되면, 건물 외벽의 외부 마감 작업을 하기 위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제1고정슈(51)를 제거한다.
제1고정슈(51)를 제거함으로서, 실제 외부마감 작업을 할 때에는 1개의 레일부재(20) 및 안전달대부재(30)는 3개의 고정슈(52,53,54)에 의해 지지되고, 외부 마감용 케이지 전체는 총 6개의 고정슈(52,53,54)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여러 가지의 이유로 건물외벽에 장착되어 있어야 하는 고정슈 중 일부가 탈락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제3고정슈(53)가 탈락하게 되면, 외부 마감용 케이지 전체는 총 4~5개의 고정슈(52,53,54)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1~2개의 고정슈가 탈락되어도, 4~5개의 고정슈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강풍이 불더라도 외부 마감용 케이지가 쉽게 흔들리면서 건물 외벽에 충돌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케이지본체(10)의 크기가 종래의 케이지본체 크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강풍에 의해 케이지본체(10)가 더 큰 풍압을 받지 않으면서도 상기 안전달대부재(30)가 제4고정슈(54)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지 전체가 건물외벽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지본체(10)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풍압에 의한 안정성은 종래의 외부 마감 케이지와 동일하면서도, 일부 고정슈가 탈락하더라도 상기 안전달대부재(30)를 통해 케이지 전체가 건물 외벽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어, 추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안전달대부재(30)는 상기 레일부재(20)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분리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안전달대부재(30)는 상기 레일부재(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달대부재(30)는 상기 레일부재(20)에 상기 건물 외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안전달대부재(30)와 상기 레일부재(20)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스토퍼(40)는 핀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전달대부재(30)의 하부와 상기 레일부재(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안전달대부재(30)가 상기 레일부재(20)의 상부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스토퍼(40)는 핀 이외에 대양한 부품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스토퍼(40)에 의해, 필요에 따라 상기 안전달대부재(30)는 상기 레일부재(2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도 있고, 일체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40)를 제거하게 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지본체(10) 및 레일부재(20)가 상기 안전달대부재(30)에 대해 회전될 수 있어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스토퍼(40)를 장착하게 되면 상기 안전달대부재(30)가 상기 레일부재(20)에 일체로 결합된 것과 같이 되어 케이지의 상승시 상기 안전달대부재(30)와 레일부재(20)가 임의로 절곡되거나 비틀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레일부재(20)와 안전달대부재(30)가 힌지결합된 외부 마감용 케이지에서 고정슈가 이탈된 상태에서의 측면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재(20)를 지지하는 제2고정슈(52) 및 제3고정슈(53)가 여러 가지의 이유로 건물외벽으로부터 탈락한 상태에서 강풍이 불게 되면, 본 발명은 상기 레일부재(20)와 안전달대부재(30)가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재(20) 및 케이지본체(10)는 상기 안전달대부재(30)와 레일부재(20)의 힌지부위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위와 같이 다수개의 고정슈(52,53)가 탈락된 상태에서 강풍이 불 경우, 상기 레일부재(20) 및 케이지본체(10)가 상기 안전달대부재(30)에 대해 독립적으로 선회됨으로써, 강풍에 의해 외력이 상기 안전달대부재(30)가 결합된 제4고정슈(54)까지 전달되어 제4고정슈(54)에 강한 외력이 작용하여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안전달대부재(30)가 상기 레일부재(20)의 상부에 회전되지 않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고정슈(52,53)가 탈락된 상태에서 강풍이 불게 되면 상기 레일부재(20) 및 케이지본체(10)에 작용하는 강풍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안전달대부재(30)도 상기 제4고정슈(54)에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안전달대부재(30)의 상부와 제4고정슈(54)에 지속적인 응력이 가해져, 상기 제4고정슈(54)가 파손됨으로써, 케이지 전체가 추락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안전달대부재(30)가 상기 레일부재(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고정슈(52,53)가 탈락된 상태에서 강풍이 불더라도, 상기 레일부재(20) 및 케이지본체(10)가 상기 안전달대부재(30)에 대해 독립적으로 선회될 수 있기 때문에 강풍에 의한 외력이 상기 안전달대부재(30)가 결합된 제4고정슈(54)까지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켜 상기 제4고정슈(54)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강풍에 의한 풍압은 종래와 동일하게 받으면서도 상기 안전달대부재(30)에 의해 케이지 전체가 보다 많은 고정슈(52,53,54)에 지지됨으로써, 일부 고정슈가 건물 외벽으로부터 탈락되어도 케이지가 건물 외벽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케이지본체,
20 : 레일부재, 21 : 걸림돌기,
30 : 안전달대부재, 31 : 걸림돌기,
40 : 스토퍼,
51 : 제1고정슈, 52 : 제2고정슈, 53 : 제3고정슈, 54 : 제4고정슈,

Claims (7)

  1. 건물 외벽에 배치되는 케이지본체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지본체의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고, 건물 외벽에 설치된 고정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고, 건물 외벽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안전달대부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전달대부재의 하부는 상기 레일부재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케이지본체의 상부보다 상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레일부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고정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3. 청구항1에 있어서,
    1개의 레일부재는, 케이지본체의 인상작업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3개의 고정슈에 맞물려 지지되고, 마감공사시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고정슈에 맞물려 지지되며,
    상기 안전달대부재는 상기 케이지본체 및 레일부재보다 상부에 설치된 상기 고정부재에 맞물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 및 안전달대부재에는 상기 고정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재의 상하길이는 상기 케이지본체의 상하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본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안전달대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안전달대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에 상기 건물 외벽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안전달대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KR1020200106283A 2020-08-24 2020-08-24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KR20200103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283A KR20200103589A (ko) 2020-08-24 2020-08-24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283A KR20200103589A (ko) 2020-08-24 2020-08-24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059A Division KR20190106089A (ko) 2018-03-07 2018-03-07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589A true KR20200103589A (ko) 2020-09-02

Family

ID=7246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283A KR20200103589A (ko) 2020-08-24 2020-08-24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358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524A (ko) 2009-07-02 2011-01-10 이병영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20120131710A (ko) 2011-05-26 2012-12-05 주식회사 근하기공 케이지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524A (ko) 2009-07-02 2011-01-10 이병영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20120131710A (ko) 2011-05-26 2012-12-05 주식회사 근하기공 케이지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BRPI1008509B1 (pt) Sistema de construção de edifícios de vários andares para construir progressivamente andares
KR101370981B1 (ko) 케이지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EP3037605A1 (en) High-rise building and maintenance method therefor
KR101111164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US20230014744A1 (en) Method of Construction
US20210324642A1 (en) Method of erecting a multi-storey structure and facade
US3462908A (en) Method for erecting buildings
KR20070000811U (ko) 갱폼 상승유도기
KR20200103589A (ko)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KR20190106089A (ko)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KR101213276B1 (ko) 외단열 시공 겸용 시스템 거푸집, 외벽 및 외단열 시공 방법
WO2014192564A1 (ja) 高層の建築物、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102234335B1 (ko) 건물 외벽 거푸집 및 비계의 안전한 인양을 위한 가이드 및 고정장치
JP5150313B2 (ja) ボイド内立体駐車装置およびその建設方法
KR200182858Y1 (ko)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EP1801301B1 (en) Method of adding extra floors on a building
KR102655505B1 (ko) 확장가변형 곤돌라
KR200435107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102376067B1 (ko) 코아용 안전 케이지 및 그 시공방법
JP7436341B2 (ja) 構造物のリフトアップ工法およびその装置構成
KR100788813B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GB2563231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uilding construction
GB2589924A (en) Floor guide for a climbing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