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858Y1 -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858Y1
KR200182858Y1 KR2019990029616U KR19990029616U KR200182858Y1 KR 200182858 Y1 KR200182858 Y1 KR 200182858Y1 KR 2019990029616 U KR2019990029616 U KR 2019990029616U KR 19990029616 U KR19990029616 U KR 19990029616U KR 200182858 Y1 KR200182858 Y1 KR 200182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arm
scaffold
work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성
신교식
Original Assignee
이현성
신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성, 신교식 filed Critical 이현성
Priority to KR2019990029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8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8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7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elevator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콘크리트나 철골철근콘크리트 고층건물의 엘리베이터실 골조공사나 계단실 등의 코어 골조공사시 사용되는 작업발판(WORK DECK)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작업발판과 달리 골조 시공용 작업발판에 회동 가능한 지지 아암을 부착하고, 콘크리트타설시 벽면에 정착 홈을 성형하여, 이 정착 홈에 상기 지지 아암을 삽입하여 작업발판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현재층의 시공 후 작업발판을 철거하지 않고 크레인 등의 양중장비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을 이동시켜가면서 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과 시공정밀도 향상을 통한 공사품질향상과 설치 및 철거에 따른 인력과 기간의 단축으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MOVING WORK DECK FOR CONSTRUCTING A CORE SECTION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나 철골철근콘크리트 고층건물의 엘리베이트실 골조공사, 계단실 등의 코어부 골조공사 또는 대형 수직 덕트 등의 시공시 이용되는 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어 등의 골조 공사시에 한 층씩 철근배근, 거푸집설치 및 콘크리트타설을 하고 벽이 양생 된 다음 축조된 벽을 기초로 다시 철근배근, 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타설을 반복하여 완성한다. 이 때 철근배근과 거푸집의 설치 등을 위한 작업발판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재래식 공법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브라켓 공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작업을 위해 축조된 측벽(60) 상부에 멍에(30)와 장선(20)을 걸쳐 설치하고 위에 발판(10)을 깔아 작업발판을 구축하는 가설식 재래공법이 있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측벽(60)의 거푸집 긴결철물구멍(50)을 이용하여 브라켓(40)을 설치하고 브라켓(40)위에 멍에(30)와 장선(20)을 설치하여 위에 발판(10)을 깔아 작업발판을 구축하는 브라켓공법 등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가설식 재래공법은 매 층마다 작업발판의 설치와 철거를 반복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인력과 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발판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자재 및 작업자 추락 등 안전사고 발생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공법도 또한 브라켓의 설치 및 철거공정이 복잡하며, 경험이 풍부한 기능공이 필요하며, 작업발판이 브라켓에 지지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해 작업자 및 자재의 추락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코어부 등의 시공시 작업발판의 설치 및 철거작업의 반복을 피하여, 인력의 절약과 공기의 단축으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작업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코어부 등의 시공시 작업발판이 견고하게 지지되어서, 안전사고의 방지와 시공정밀도의 향상을 통한 공사품질의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재래식 공법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브라켓 공법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작업발판에 부착된 아암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절단면의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작업발판에 부착된 아암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작업발판에 부착된 아암의 제 3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정착홈 성형용 세팅박스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세팅박스의 설치 상태도.
도 11은 정착홈 성형용 세팅박스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세팅박스의 설치 상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작업발판의 설치 상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작업발판의 이동 순간의 상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작업발판의 이동 중의 상태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작업발판의 상하부에 작업대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판 20 :장선
30 :멍에 40 :브라켓
50 :긴결철물구멍 60 :측벽
100 :빔 110 :지지프레임
120 :훅 140 :상판
160 :보강제 200 :아암
220 :체결볼트 240 :탄성체
260 :멈춤쇠 300 :각형세팅박스
320 :제 1고리부 330 :제 1지지부재
340 :육각돌기 350 :경사형세팅박스
360 :제 2고리부 370 :제 2지지부재
380 :경사형돌기 400 :측벽
420 :정착홈 440 :거푸집
500 :와이어 로우프 600 :크레인
700 :작업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작업발판은 다수개의 빔(100)이 격자형으로 조립된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빔(100)의 각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건축물의 측벽(400)상에 형성된 정착홈(420)에 걸림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이동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아암(200) 및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상판(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작업발판의 모양은 축조되어질 코어부의 모양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나 원형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크레인(600) 등의 양중장비와 연결될 훅(120)을 다수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각각의 격자부위에 보강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작업발판에 부착된 아암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절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아암(200)은 외측이 더 길도록 편심되게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암(200)의 모양은 종단면이 ㄷ자형상으로 하여 상기 빔(100)을 감싸게 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작업발판에 부착된 아암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아암(200)은 선단을 하향 경사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빔(100)과 상기 아암(200) 사이에는 상기 아암(200)의 회동을 지지하는 탄성체(240)가 포함되고, 상기 빔(10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아암(200)의 회동을 저지하는 멈춤쇠(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작업발판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빔(10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을 지지하는 요소로써, 작업발판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격자형상으로 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제(160)는 상기 빔들을 결합하는 격자점에 다수개 부착되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있다. 상기의 상판(140)은 작업인부들이 밟고써 작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의 아암(200)은 상기의 이동식 작업발판을 직접 지지하는 요소로써, 소정의 강도가 요구되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단부를 경사지게 하면 상기 이동식 작업발판의 설치 및 철거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상기의 아암(100)들을 상기 빔들과 편심되게 힌지 결합한 것은 상기 이동식 작업발판의 이동시 회동가능하게 하고, 이동시 중력에 의해 스스로 회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작업발판에 부착된 아암의 제 3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의 아암(200)과 상기의 빔(100)에 압축 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240)를 부착하면 탄성체(240)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서 이동식 작업발판의 이동 중에 상기의 아암(200)이 측벽(400)과 평행하게 되어 마찰없이 원만한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빔(100)에 부착된 멈춤쇠(260)가 상기 아암(200)의 회동을 저지하여 측벽(400)과 평행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의 훅(120)은 상기 이동식 작업발판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크레인(600) 등의 양중장비가 결합될 고리로써, 크레인(600) 등의 양중장비에 연결된 와이어 로우프(500)가 연결되는 부재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아암(200)과 짝을 이루어 상기 아암(200)이 걸쳐질 정착홈(420)을 성형하기 위한 세팅박스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9는 정착홈 성형용 세팅박스(300)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팅박스(300)는 축조된 측벽(400)에 아암(200)이 지지될 정착홈(420)을 성형하는 장치로써, 모양은 좁고 긴 지지부재(330)에 육면돌기(340)를 부착하고, 타 선단은 고리 형상(320)을 하고 있다.
도 11은 정착홈 성형용 세팅박스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착 박스의 육면돌기(380) 상부에 하향 경사를 주어, 측벽(400)에 성형되는 정착홈(420)의 상면이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세팅박스(300)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세팅박스(350)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세팅박스(300,35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거푸집(440)이나 배근된 철근에 고리부(320,360)를 걸어서 고정시킨다. 상기 세팅박스(300,350)의 재료는 프라스틱 또는 스틸 등 분리가 용이한 것으로 하며, 크기는 상기 빔(100)의 종단면적보다 다소 크게하여 아암(200)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세팅박스(300,350)를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좁고 긴 철판부재의 일단을 고리 모양이 되게 굴곡시키고, 타단은 상기 정착홈(420)의 모양으로 단조가공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세팅박스(300,350)의 각 구성요소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의 돌기(340,380)는 축조된 측벽(400)에 정착홈(420)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돌기(340,380)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정착홈(420)이 성형된다. 상기의 고리부(320,360)는 상기 세팅박스를 거푸집(440)이나 배근된 철근에 부착되는 부분으로써,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돌기(340,380)의 상면을 하향 경사지게 하면 성형되는 정착홈(420)의 상면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상기의 이동식 작업발판의 설치와 철거가 용이해 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기의 이동식 작업발판을 이용한 건축물의 코어부 등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상기 이동식 작업발판의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작업발판의 상하부에 작업대(700)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먼저 설계도면을 검토하여 작성한 축조될 벽의 철근배근도를 기준으로 철근을 배근한다. 다음으로 거푸집(440) 조립도를 기준으로 거푸집(44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철근배근도와 거푸집(440) 조립도를 기준으로 상기 세팅박스(300,350)의 위치를 결정하고, 거푸집(440) 조립시 철근이나 거푸집(440)에 견고하게 세팅박스(300,350)를 설치한다. 설치위치는 철근간격과 거푸집(440) 크기를 고려하고 상기 이동식 작업발판이 수평이 될 수 있도록 일정하게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세팅박스(300,350)가 파손 또는 이동되지 않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가 굳은 후 거푸집(440)을 해체하고, 정착홈(420)의 위치와 내부를 확인하고 콘크리트가 채워진 경우 청소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상기의 이동식 작업발판을 조립하고, 상기 훅(120)에 상기 와이어 로우프(500)를 걸고, 크레인(600) 등의 양중장비로 설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아암(200)을 정착홈(420)에 삽입하여 이동식 작업발판을 설치한다. 한편, 고가 사다리차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식 작업발판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골조시공을 하는 것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작업발판을 이용한 골조공사의 시공방법이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작업발판의 상하부에 작업대(700)를 설치하여 작업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작업발판의 조립은 공장제작 또는 현장에서 조립하여 거푸집(440) 해체 후 설치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상기 작업발판 설치 기능공은 사전에 충분한 교육을 통하여 기능을 습득하도록 하고 인양시에는 크레인(600) 등의 운전자와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작업발판의 설치 상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작업발판의 이동 순간의 상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작업발판의 이동 중의 상태도이다.
도 13, 도 14 및 도 15를 참고로 하여 이동식 작업발판의 상부층 이동순서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의 이동식 작업발판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이동식 작업발판의 훅(120)에 와이어 로우프(500)를 걸고 크레인(600) 등의 양중장비를 이용하여 인양한다. 이 때 아암(200)은 중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며, 정착홈(420)을 완전히 빠져나오면 구조물의 측벽(400)과 평행하게 되어 측벽(400)과 충돌없이 인양될 수 있다. 인양을 계속하여 상부층 정착홈(420)보다 조금위로 상기의 이동식 작업발판를 인양시킨 후, 작업자는 아암(200)을 수평하게 펴서 상부층 정착홈(420)에 삽입하여 크레인(600) 등의 양중장비를 해체시키면 이동식 작업발판의 설치가 완성된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한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의 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또한 각 부재 및 부속물의 크기는 설계치수에 의거 변화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작업발판에 대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건축물의 코어부 등의 시공시 작업발판의 설치 및 철거작업의 반복을 피하여 인력의 절약과 공기의 단축으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건축물의 코어부 등의 시공시 작업발판이 견고하게 지지되어서 안전사고의 방지와 시공정밀도의 향상을 통한 공사품질의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작업발판을 철거하여 다른공사 현장에 재활용이 가능하며, 작업발판 하부에 작업용 비계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고, 최상층 슬래브 공사시 지지대(SUPPORT)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고, 작업발판 위에 거푸집을 적재할 수 있어 작업공간의 활용이 가능하다.

Claims (7)

  1. 다수개의 빔(100)들이 격자형으로 조립된 지지프레임(110);
    상기 빔(100)들의 각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하 이동 위치를 고정시키는 아암(200); 및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상판(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이동용 훅(120)을 다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상기 빔(100)들을 서로 연결하는 격자부위에 결합되는 보강제(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200)은 일방향의 회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암(200)의 단면이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200)은 상기 이동식 작업발판의 설치와 철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아암(200)의 단부에 경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6.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빔(100)과 상기 아암(200) 사이에는 상기 아암(200)의 회동을 지지하는 탄성체(240)가 포함되고,
    상기 빔(100)의 단부에는 상기 아암(200)의 회동을 저지하는 멈춤쇠(260)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7.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작업발판의 상하부에는 지지대로 지지된 작업대(700)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KR2019990029616U 1999-12-24 1999-12-24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KR200182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616U KR200182858Y1 (ko) 1999-12-24 1999-12-24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616U KR200182858Y1 (ko) 1999-12-24 1999-12-24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858Y1 true KR200182858Y1 (ko) 2000-05-15

Family

ID=1960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616U KR200182858Y1 (ko) 1999-12-24 1999-12-24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85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906A (ko) * 2000-09-04 2002-03-09 이정하 엘리베이터 설치용 구조물의 거푸집 조립 및 해체 작업을위한 안전작업대
KR101554644B1 (ko) * 2014-05-09 2015-09-21 주식회사 근하기공 코아용 안전 케이지
KR20230045374A (ko) * 2021-09-28 2023-04-04 서보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 및 조립식 데크 유닛
KR20230140211A (ko) 2022-03-29 2023-10-06 다성알앤이 주식회사 건축용 작업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906A (ko) * 2000-09-04 2002-03-09 이정하 엘리베이터 설치용 구조물의 거푸집 조립 및 해체 작업을위한 안전작업대
KR101554644B1 (ko) * 2014-05-09 2015-09-21 주식회사 근하기공 코아용 안전 케이지
KR20230045374A (ko) * 2021-09-28 2023-04-04 서보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 및 조립식 데크 유닛
KR102620613B1 (ko) * 2021-09-28 2024-01-03 서보산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코어 시공을 위한 조립식 데크 시공 방법
KR20230140211A (ko) 2022-03-29 2023-10-06 다성알앤이 주식회사 건축용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1123U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CA2080079A1 (en) Self-raising work platform assembly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JP3196043B2 (ja) 階段と階段室の構築方法及び階段の構築方法並びに階段部材
KR200182858Y1 (ko)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US11408188B1 (en) Suspended translating platform
KR101328663B1 (ko) 천정 슬라브의 거푸집패널 해체장치 및 방법
JP2737868B2 (ja) 移動式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およびその足場装置
JP3841499B2 (ja) 斜面作業用足場及び斜面作業用足場の架設方法
JP3077560B2 (ja) 建築物構築作業用ジャンピング足場の渡り板機構
CN112627543A (zh) 核心筒电梯井钢梁安装用井道内提升架及钢梁施工方法
KR100570261B1 (ko) 강교용 가설브래킷 및 그 시공방법
KR100539829B1 (ko) 형강을 이용한 거푸집용 갱폼 인양방법
KR20190137485A (ko) 갱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 시공방법
JP6953655B1 (ja) 足場を構成する一組の箱
CN219365215U (zh) 轻量化装配式梁式剪刀楼梯
JP3111854B2 (ja) 建築物構築用ジャンピング足場の昇降ガイド機構
KR200435107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102524591B1 (ko)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KR100788813B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JPH0694723B2 (ja) 作業用吊足場の仮設方法
JP2854389B2 (ja) 鉄骨建方方法
KR100683506B1 (ko) 계단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JP2000160834A (ja) コンクリートケーソンのステップアップ構築方法
KR200432806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