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813B1 -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 Google Patents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813B1
KR100788813B1 KR1020060095617A KR20060095617A KR100788813B1 KR 100788813 B1 KR100788813 B1 KR 100788813B1 KR 1020060095617 A KR1020060095617 A KR 1020060095617A KR 20060095617 A KR20060095617 A KR 20060095617A KR 100788813 B1 KR100788813 B1 KR 100788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onstruction
bar
support
gang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하기공
권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하기공, 권종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하기공
Priority to KR102006009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발코니, 난간 등 개방된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하단을 고정시킨 존치볼트 하방의 슬라브가 파단 되거나 작업자의 과실로 인하여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존치 볼트가 해체되어 갱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시공용 갱폼을 인상시켰을 시, 양생 완료된 하층에 해당하는 갱폼의 중간 부위에서 자동으로 걸림간이 돌출되어 발코니 또는 난간의 상방에 걸리는 지지구조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용 갱폼을 인상시켰을 시, 양생 완료된 하층에 해당하는 갱폼의 중간 부위에서 하층을 통과하였을 시 자동으로 돌출되는 걸림간과, 걸림간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수직바와, 수직바와 결합되어 회동하는 걸림간의 축이 되는 회동축과, 회동축과 결합되어 탄성에 의해 걸림간이 자동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과, 걸림간이 적당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제한 하기위한 리미트 바 및 앤드 플레이트와 이들을 결합하여 지탱하기 위하여 수직바에 고정되는 수평바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개방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상방으로 갱폼을 인상시키는 과정에서 갱폼과 구조물 사이에서 돌출된 상태의 걸림간은 스프링의 탄력을 이기고 원래의 상태로 접혀지게 되어 구조물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되고, 통과 완료된 직후에는 스프링의 탄력으로 걸림 간이 다시 돌출되어 발코니 또는 난간에 걸리게 되므로, 존치 볼트를 사용하여 구조물에 갱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공 공정 전반에 걸쳐 갱폼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사고로 인한 귀중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Gangform for Opened Structure Construction}
도1은 종래의 추락방지용 브라켓을 보인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추락방지용 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서 제1 실시 예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서 제1 실시 예의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에서 시공물을 통과하는 브라켓을 보인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에서 낙하 상황시 시공물에 걸린 브라켓을 보인 설명도.
도7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 예의 상세도.
도8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 예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수직바 102 : 갱폼
103 : 수직 프레임 104 : 걸림간
106 : 수평바 107 : 회동축
108 : 스프링 109 : 앤드 플레이트
110 : 걸림턱 112 : 존치볼트
113 : 발판 114 : 작업 공간
본 발명은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코니, 난간 등과 같은 개방된 구조물의 벽면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갱폼이 추락하는 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 고층건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대형 철재로 이루어진 거푸집, 즉 갱폼을 사용하고 있는바, 갱폼은 외측에 설치되는 스틸폼(steel form)과 작업 공간이 설치된 케이지와 외벽의 내측 갱폼과 외측 스틸폼을 고정하는 타이볼트 및 갱폼을 고정하기 위한 존치볼트 등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벽면을 시공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이, 건물 전체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갱폼이 사용되며, 갱폼 하나는 약 3톤 내지 4톤의 무게를 가지며 9m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대형 구조물인 것이다. 이와 같은 갱폼은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층으로 끌어올리게 되는데, 타워크레인의 후크로 갱폼의 인양 고리에 결합을 한 후 갱폼 하부의 존치 볼트를 해체하고 이를 끌어올려 갱폼의 하방을 존치 볼트로 고정시켜 다시 외벽을 시공하는 것이 반복된다.
이렇게 하여 갱폼을 상층로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타워크레인의 후크를 갱폼의 인양 고리에 결합하기 전에 작업자의 실수 등의 이유로 존치볼트를 임의 해체하는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한 갱폼의 추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타워크레인의 후크를 갱폼의 인양 고리에 결합하여 인양하는 과정에서도 바람 등의 영향을 받아 인접해 있는 다른 갱폼에 충격을 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충격을 받은 갱폼의 존치볼트를 파손시켜 추락을 유발하는 사고도 발생하고 있는 등, 여러 형태의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갱폼의 추락을 방지하는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25806호(고안의 명칭 : 갱폼 추락방지 브라켓, 이하 '인용고안' 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1내지 도2에 도시하였다.
이러한 인용고안은 다수개의 수평바와 다수개의 수직바로 결합 고정되는 갱폼(1)에 있어서, 갱폼에 하단이 결합되어 있는 기둥형태의 수직 지지부(10)와, 상기 수직 지지부(10)와 상단에서 예각을 이루며 결합하고 있는 기둥형태의 안착부(20)와, 상기 안착부(20)의 하단에 바닥면과 평행하게 안착부(20)와 예각을 이루며 결합되고, 안착부(20)에 대해 양측으로 연장되어 갱폼이 미끄러지는 경우 철근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30)를 포함하여 갱폼 추락방지 브라켓을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인용고안은 갱폼 하부의 존치볼트를 작업자가 임의 해체시키거나 고정용 볼트의 파손으로 인해 갱폼이 콘크리트에서 탈락 되더라도 스토퍼(30)가 시공된 구조물에 걸려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갱폼의 인양 고리가 파손되더라도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이는 스토퍼(30) 하방에 구조물의 시공 및 양생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만 갱폼의 추락 방지 기능을 하게 되며, 스토 퍼(30) 하방에 구조물의 시공 및 양생이 완료된 시점 이전에 갱폼(1)을 고정하고 있는 존치볼트 하방이 파단되거나 작업자의 과실 또는 존치볼트의 파단되는 경우 등에는 중량물인 갱폼(1)이 그대로 낙하하면서 안착부(20)가 하층의 이미 양생된 구조물등에 부딪혀 파손된 후 계속 낙하하여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방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시공용 갱폼을 인상시켰을 시, 양생 완료된 하층에 해당하는 갱폼의 중간 부위에서 자동으로 걸림간이 돌출되어 발코니 또는 난간의 상방에 걸리는 지지구조가 형성되도록 한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 후방 및 좌, 우에 다수의 프레임을 고정하고, 이들 프레임의 측면 및 저면에 지지간 및 망체를 고정시켜 작업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며, 구조물의 발코니에 체결되는 다수의 존치볼트 및 저면의 받침간으로 구성된 공지의 갱폼에 있어서,
발코니 또는 난간이 있는 개방된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갱폼의 수직 프레임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수직바와, 수직바와 예각을 이루면서 돌출되어 발코니 또는 난 간의 턱에 걸쳐지는 걸림간과, 걸림간의 일단이 수직바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축과, 회동축에 결합되어 걸림간이 탄력에 의해 자동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과, 돌출되는 걸림간이 힘을 잃지 않고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직바와 걸림간 사이에 고정되는 수평바와, 걸림간이 적당한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바 및 앤드 플레이트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갱폼 하부의 존치볼트가 매설된 스라브가 파단되거나 작업자가 과실에 의하여 존치 볼트를 임의 해체시키거나, 고정용 볼트의 파손 등으로 인하여 갱폼이 콘크리트에서 탈락되더라도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며, 경제적인 비용으로 산업재해를 근절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개방된 구조물 시공용 갱폼의 제1실시 예를 도3 및 도4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수평 또는 수직 프레임(103)과 수직 프레임(103)의 측면 및 저면에 지지간 및 발판(113)을 설치하여 작업 공간(114)이 마련되도록 하며, 구조물의 발코니에 체결되는 다수의 존치볼트(112) 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갱폼(102)에 있어서, 구조물의 양생 완료된 하층의 발코니 또는 난간 등 구조물과 맞 닿는 부위인 수직프레임(103)의 중간에 스프링(108)에 의한 탄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간(104)과, 걸림간(104)와 일체로 연결된 수직바(101) 및 수평 바(106)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의 수평바(106) 타단은 걸림간(104)의 하단과 연결됨으로서, 수직바(101)와 걸림간(104)과 수평바(106)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며, 수평바(106)는 걸림간(104)측 보다 수직바(101)측의 높이를 약간 높게 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서 갱폼(102) 낙하 상황 발생시 더욱 안정된 상태로 걸림간(104)에 의해 갱폼(102)과 발코니 및 난간사이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걸림간(104)과 수평바(106)가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된 수직바(101)가 갱폼(102)의 수직 프레임(103)과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축(107)과, 회동축(107)에는 일단이 상기의 수직 프레임(103)에 지지되며 타단은 걸림간(104)을 지지하여 탄력에 의해 걸림간(104)이 자체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108)을 구비한 것이다. 아울러, 수직바(101)에는 걸림간(104)이 회동 되면서 필요이상 돌출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앤드 플레이트(109)가 수직 프레임(103) 후방에 걸리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파트 등 고층건물에서 발코니 및 난간 등과 같이 개방된 공간에서 양생이 완료된 난간이나 발코니의 상방에 걸림간(104)이 돌출된 상태의 수평바(106)가 위치하도록 한 다음 벽면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갱폼(100)과 내부 거푸집을 사용하여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이 완료되면 갱폼의 상단을 타워 크레인의 후크에 걸은 다음 하단부에 설치한 존치볼트(112)를 해체하고 타워 크레인의 후크를 들어 올려 갱폼이 상층으로 인양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브라켓(100)은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갱폼(102)과 함께 양생 완료된 벽면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108)의 탄력으로 돌출된 걸림간(104)이 구조물에 접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갱폼(102)이 계속 상승하게 되면 도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회동축(107)에 결합된 스프링(108)의 탄력을 이기고 회동축(107)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림간(104), 수평바(106), 수직바(101)가 후방으로 후퇴되며, 이에 따라 브라켓(100)은 구조물의 벽면을 무리없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벽면을 통과하면 걸림간(104), 수평바(106), 수직바(101)는 스프링(108)의 탄력에 의하여 도4로 보인 바와 같이 다시 돌출되므로 수평바(106)는 구조물의 난간 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존치볼트(112)를 고정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에 거푸집을 대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을 완료하게 되는 바, 전술한 과정에서 존치 볼트(112)와 커플링(116)에 의하여 체결되고 매립된 앵커 볼트(117) 부위의 스라브가 파단되거나 존치볼트(112)가 파손되는 경우 또는 갱폼을 상층으로 인양하기 위해 다시 크레인에 걸기전 존치볼트(112)을 해체하는 경우등이 발생하면 갱폼(102)은 시공 벽면과 분리되어 지상으로 추락하게 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수평바(106)가 낙하하면서 발코니나 난간으로 시공된 시공물(105)에 걸려 더 이상 낙하하지 않게 되어 심각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평바(106)가 시공물(105) 상방에 약 10cm정도 위에 있다가 낙하 상황이 되면 10cm정도만 하강한 후 바로 시공물(105)에 걸리게 되며, 이러한 상태를 도6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수평바(106)와 함께 갱폼(102) 하방의 받침간(115)에 의하여 갱폼(102) 전체가 지지되므로 안정된 상태로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난간 등과 같이 개방된 공간에서 시공물(105)의 높이가 있는 곳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해서 도7로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의 걸림간(104)의 하단에 형성된 수직 걸림턱(110)을 구비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간(104)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걸림턱(110)은 시공물(105)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갱폼(102)을 존치볼트(112)로 고정하고 그 상층에 벽면을 시공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을 시행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갱폼(102)이 낙하하는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수직 걸림턱(110)이 시공물(105)에 걸려서 이탈하지 않게 되어 갱폼(102)의 추락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므로, 안전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제3실시예를 도8에 도시 하였다.
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브라켓(100)은 1개 층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상기 갱폼(102) 및 브라켓(100)에 의해 시공하는 건물의 천정이나 바닥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수평바(106)의 일단부에 높이 조절용 볼트(111)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이는 갱폼(102)을 설치하여 시공하는 건물의 층간 높이가 일정하도록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고층건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을 형성할 때 하층의 바닥면 에서부터 상층의 바닥면까지의 층고를 잘못 관리하여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상층으로 올라가면서 층별로 층고가 일정치 않게 됨은 물론 오차가 누적되어 최상층에 도달하였을 때 건물 전체의 높이는 설계치수를 크게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여 층간 높이가 일정하도록 관리하기 위하여 갱폼의 좌,우 높이를 수평바(106)의 일단부에 높이 조절용 볼트(111)를 돌려서 조정함으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갱폼(102)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브라켓(100)마다의 높이 조절용 볼트(111)를 돌려서 볼트(111)의 하단과 구조물의 바닥면 또는 난간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각층의 층고가 전체적으로 수평을 이루게 되면서 상층으로 이동하면서도 같은 높이를 적용하여 모든 층고를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갱폼 하부를 고정시킨 앵커 볼트가 매립된 스라브의 파단이나, 갱폼을 타워크레인의 훅크에 걸기전 전치볼트를 작업자가 임의 해체시키거나, 전치볼트의 파손 되는 경우 등 전체 시공 공정 전반에 걸쳐 갱폼이 개방 구조의 벽면에서 탈락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귀중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이를 위한 브라켓은 그 구조가 간결하고 제작비용이 적게 드는 것이어서 널리 보급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다수의 수평 또는 수직 프레임(103)과 수직 프레임(103)의 측면 및 저면에 지지간 및 발판(113)이 설치된 작업 공간(114)과, 다수의 존치볼트(112) 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갱폼(102)에 있어서,
    양생 완료된 하층에 해당하는 수직 프레임(103)의 해당 위치에 걸림간(104)과 수직바(101)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수평바(106)와, 이들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축(107)과, 일단이 상기의 수직 프레임(103)에 지지되며 타단은 걸림간(104)에 고정된 스프링(108)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구조물 시공용 갱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걸림간(104)의 하단에는 수직 걸림턱(11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구조물 시공용 갱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수평바(106)는 전술한 수직바(101)와 걸림간(104) 사이에 연결되어 걸림간(104)측이 높고 수직바(101)이 낮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구조물 시공용 갱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수평바(106)와 수직바(101)가 교차하는 지점에 앤드플레이트(109)를 설치하여 스프링(108)에 의한 걸림간(104)의 돌출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구조물 시공용 갱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수평바(106) 일단부에 높이 조절용 볼트(111)를 하나 이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된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1020060095617A 2006-09-29 2006-09-29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100788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617A KR100788813B1 (ko) 2006-09-29 2006-09-29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617A KR100788813B1 (ko) 2006-09-29 2006-09-29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759U Division KR200435107Y1 (ko) 2006-09-29 2006-09-29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813B1 true KR100788813B1 (ko) 2007-12-27

Family

ID=3914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617A KR100788813B1 (ko) 2006-09-29 2006-09-29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8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806Y1 (ko) * 2006-06-02 2006-09-08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갱폼 추락방지 브라켓
KR200428173Y1 (ko) * 2006-07-18 2006-10-11 권택철 갱폼 추락방지장치
KR100660426B1 (ko) * 2006-01-13 2006-12-22 박춘오 갱폼 추락방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426B1 (ko) * 2006-01-13 2006-12-22 박춘오 갱폼 추락방지구
KR200425806Y1 (ko) * 2006-06-02 2006-09-08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갱폼 추락방지 브라켓
KR200428173Y1 (ko) * 2006-07-18 2006-10-11 권택철 갱폼 추락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000B1 (ko) 갱폼 장치
KR101223614B1 (ko)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KR101553966B1 (ko)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20100001123U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KR101111164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101142875B1 (ko) 서포터의 드럽장치
KR200391342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20070000811U (ko) 갱폼 상승유도기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200435107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20110094720A (ko) 건축공사용 복합케이지
KR100788813B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20090084163A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갱폼 가이드 시스템
KR200432806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20160070652A (ko) 갱폼 일체형 데크 운영 시스템
KR100812262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JP397740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構築方法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KR200182858Y1 (ko)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KR200426228Y1 (ko) 거푸집의 보조 작업발판 구조
JP2004232366A (ja) つり足場
KR20100120031A (ko) 갱폼 상승유도기 및 이의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