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739A -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739A
KR20110042739A KR1020090099548A KR20090099548A KR20110042739A KR 20110042739 A KR20110042739 A KR 20110042739A KR 1020090099548 A KR1020090099548 A KR 1020090099548A KR 20090099548 A KR20090099548 A KR 20090099548A KR 20110042739 A KR20110042739 A KR 20110042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ole
shoe
connection uni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161B1 (ko
Inventor
이송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Priority to KR1020090099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1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2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build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시공을 위하여 벽에 부착/고정되는 브라켓의 위치를 벽면으로부터 확장 연결할 수 있는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축구조물의 시공시에 크레인, 실린더와 같은 인양장치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층으로 인양되어 상승되는 작업케이지와 이 작업케이지가 부착된 벽면과의 거리를 최대한 넓게 확보함으로써 마감공사등과 같이 작업자가 작업케이지에서 작업시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건축물 시공작업을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의 작업에 대응할 수 있는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케이지, 실린더, 타워크레인, 슈

Description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Wall attachment bra ket expansion system}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시공을 위하여 벽에 부착/고정되는 브라켓의 위치를 벽면으로부터 확장 연결할 수 있는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축구조물의 시공시에 크레인, 실린더와 같은 인양장치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층으로 인양되어 상승되는 작업케이지와, 이 작업케이지가 부착된 벽면과의 거리를 최대한 넓게 확보함으로써 마감공사등과 같이 작업자가 작업케이지에서 작업시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건축물 시공작업을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의 작업에 대응할 수 있는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시에는 건축구조물의 외측면에서의 작업, 예를 들어 건축구조물의 외벽 또는 슬라브 외측면에 대한 거푸집 설치작업을 위해 작업케이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작업케이지는 작업자가 건축구조물의 외측면에서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의 작업발판이 구비되며 이 작업발판의 상면에서 작 업자가 마감작업등을 시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작업케이지는 건축구조물의 외측면에서 최대한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써 건축물의 외면과 작업케이지 사이로 자재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작업발판을 연장시켜 더욱 넓은 작업발판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자재의 추락 등의 산업재해를 방지하려는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케이지를 건축물의 외면으로부터 전/후진 가변되도록 형성함으로서 작업공간의 확보와 다양한 작업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을 2007년 10월 11일자로 특허출원하여 2009년 6월16일자로 특허등록 제10-0904185호로 취득하였다.
상기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건축물의 하면에 형성된 앙카볼트에 고정되며 내부에 안내롤러가 형성된 고정유니트와, 이 고정유니트의 내부에 삽입되어 안내롤러에 의하여 미끄럼 이동하게 형성되는 이동유니트 및 이 이동유니트의 일측에 조립되어 작업케이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연결되는 브라켓 해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함으로써 건물골조에 각종 마감재를 부착하는 등 외벽마감 작업에 있어서 한가지의 가이드브라켓 만으로도 층별 마감설계에 따라 마감두께가 달라지는 등 건물로부터의 이격간격이 변형되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시공성의 향상 및 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변형 가이드 브라켓을 시공현장에서 사용한 결과 다음 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근래 초고층 건축물의 시공에 많이 사용되는 커튼월(curtain wall)공법은 건물의 주체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를 갖도록 시공하는 공법으로써 상기 시공된 기둥과 기둥 사이에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외벽 패널을 들어올려서 붙이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패널은 건축물의 설계에 맞도록 정확한 치수로 제작되어 사용됨으로써 패널의 설치시 건축물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의하여 방해를 받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는 패널이 바닥면의 내측으로 삽입설치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바닥면의 끝부분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고정브라켓을 분리한 후 조립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로써 상기 가변형 브라켓의 사용은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대응하지 못하여 사용에 한계를 갖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에 부착/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을 벽면의 외면에 부착함으로써 다양한 건축물 시공공법에서도 건축물 시공을 위해 설치되는 작업케이지를 전/후진시킬 수 있어 자재의 원활한 이송 및 작업자의 작업환경 개선, 작업공간의 최대화로 자재 및 작업자의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커튼월 공법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시 설계에 맞는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제작된 패널을 설치함에 있어 고정브라켓의 걸림이 없어 시공중 고정브라켓의 분리와 같은 공정을 제거함으로써 공기단축과 작업성 향상 등을 이룰 수 있는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축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벽면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작업케이지를 설치 또는 인양하기 위하여 벽면에 형성된 앙카볼트로부터 연결유니트와 작업케이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슈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벽식용 브라켓에 있어서, 벽면에 형성된 앙카볼트가 끼움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의 양측으로 장홈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양측면에 여러 개의 연결공이 형성된 함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벽면에 형성된 앙카볼트 및 보조볼트에 고정판을 끼움하여 견고히 고정한 상태에서 이와 연결된 함체의 내부로 연결유니트가 끼움되고 원하는 연결공에 고정핀이 삽입됨으로써 연결유니트에 조립된 슈의 위치를 확장시켜 벽면에서부터 슈까지의 거리사이의 작업공간을 확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는 고정브라켓이 건축물의 벽면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커튼월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패널을 부착시에도 걸림없이 설치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건축물의 시공에서 작업케이지를 설치한 상태에서 전/후진시킬 수 있음으로 다양한 건축물의 형상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설치자재가 필요치 않고 설치가 용이하여 쉽게 작업케이지를 설치 및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와, 기존 건축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슈에 쉽게 접목할 수 있어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작업케이지의 간격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 및 통상 하나의 앙카볼트에 연결 고정되던 고정브라켓에 보조적으로 앙카볼트를 형성하여 복수개로 고정브라켓을 고정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결착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100)는 벽면에 형성된 앙카볼트(1)가 끼움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11)의 양측으로 장홈(12)이 형성된 고정판(10)과, 이 고정판(1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양면과 상면에 여러 개의 연결공(21)이 형성된 함체(20)가 일체로 형성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의 사용 상태에서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도로써 기존 사용되고 있는 연결 유니트(30)와 이와 연결되는 슈(40)와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확장장치(100)의 개방된 함체(20) 부분으로 연결 유니트(30)의 일측이 삽입된다.
상기 연결유니트(30)는 양측에 형성된 관통공(31)과 확장장치(100)에 형성된 연결공(21)에 고정핀(50)을 삽입/연결하며 관통공(31)과 연결공(21)이 고정핀(50)에 의하여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서 확장장치(100)와 연결유니트(30)의 연결된 전체길이는 가변되는 것이다.
즉, 확장장치(100)의 연결공(21) 중 3번연결공(21-3)과 연결유니트(30)의 관통공(31) 중 1번 관통공(31-1)에 고정핀(50)을 삽입하면 가장 확장된 길이를 갖으며 확장장치(100)의 연결공(21) 중 1번연결공(21-1)과 연결유니트(30)의 관통공(31) 중 3번 관통공(31-3)에 고정핀(50)을 삽입함으로써 가장 짧은 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연결유니트(30)의 상부에는 작업케이지(200)의 인양을 위한 실린더 받침(60)이 조립되며 측면에는 가이드레일(200)이 조립되는 슈(40)가 형성된다.
상기 슈(40)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인에 의한 특허등록제 0874865호의 건축용 갱폼의 인양장치에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고 있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연결유니트(30)와 연결되는 확장장치(100)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슈의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확장장치에 의하여 벽면에서부터 슈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거리와 가장 확장된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장치(100)의 함체(20)에 연결유니트(30)를 삽입한 상태에서 함체(20) 양측에 형성된 1번 ~3번까지의 연결공(21-1, 21-2, 21-3)중 1번과 2번의 연결공(21-1, 21-2)과 연결유니트(30)에 형성된 1번 ~ 3번까지의 관통공(31-1, 31-2, 31-3) 중 1번과 2번의 관통공(31-1, 31-2)에 고정핀(50)을 삽입하여 연결함으로서 가장 짧은 상태의 연결상태를 갖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장치(100)의 2번과 3번 연결공(21-2, 21-3)과 연결유니트(30)의 1번과 2번의 연결공(31-1, 31-2)에 고정핀(50)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가장 확장된 길이를 갖는다.
한편, 확장장치(100)의 고정판(10)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중앙에 앙카볼트(70)와 양측에 보조볼트(71)에 의하여 견고하게 벽면에 부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장치(100)가 벽면에 앙카볼트(70) 및 보조볼트(71)에 의하여 견고히 결착된 상태에서 함체(20)의 개방된 부분으로 슈(40)가 장착된 연결유니트(30)가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확장장치(100)와 연결유니트(30)가 슬라이딩 되며 삽입한 상태 에서 고정핀(50)을 이용하여 슬라이딩되어 조절된 위치의 관통공(21)과 연결공(31)에 이어서 고정핀(50)을 삽입함으로써 조절된 상태가 견고히 유지된다.
또한, 연결유니트(30)의 상부에는 실린더(80)가 장착되며 슈(40)와 실린더(80)의 동작에 의하여 일측의 작업케이지(200)가 인양된다.
즉, 확장장치(100)에 의하여 벽면에서부터 슈까지의 거리를 확장함으로써 슈에 연결된 작업케이지(200)와 벽면사이의 거리를 확장함으로써 작업자는 넓고 안정적인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추락과 같은 산업재해가 방지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의 사용상태에서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확장자에 의해 슈의 길이가 확장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판 11 ... 연결공
12 ... 장홈 20 ... 함체
21, 21-1, 21-2, 21-3 ... 연결공
30 ... 연결유니트 40 ... 슈
31, 31-1, 31-2, 31-3 ... 관통공
50 ... 고정핀 60 ... 실린더 받침
70 ... 앙카볼트 71 ... 보조앙카
80 ... 실린더 200 ... 가이드레일, 작업케이지

Claims (1)

  1. 건축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벽면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작업케이지를 설치 또는 인양하기 위하여 벽면에 형성된 앙카볼트(70)로부터 연결유니트(30)와 작업케이지(2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00)이 삽입되는 슈(4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벽식용 브라켓에 있어서,
    벽면에 형성된 앙카볼트(70)가 끼움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11)의 양측으로 장홈(12)이 형성된 고정판(10);
    상기 고정판(1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양면과 상면에 여러 개의 연결공(21)이 형성된 함체(20);를 포함하며,
    여기서, 벽면에 형성된 앙카볼트(70) 및 보조볼트(71)에 고정판(10)을 끼움하여 견고히 고정한 상태에서 이와 연결된 함체(20)의 내부로 연결유니트(30)가 끼움되고 원하는 연결공(21)에 고정핀(50)이 삽입됨으로써 연결유니트(30)에 조립된 슈(40)의 위치를 확장시켜 벽면에서부터 슈까지의 거리사이의 작업공간을 확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KR1020090099548A 2009-10-20 2009-10-20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KR101063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48A KR101063161B1 (ko) 2009-10-20 2009-10-20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48A KR101063161B1 (ko) 2009-10-20 2009-10-20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39A true KR20110042739A (ko) 2011-04-27
KR101063161B1 KR101063161B1 (ko) 2011-09-07

Family

ID=4404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48A KR101063161B1 (ko) 2009-10-20 2009-10-20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1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608A (ko) * 2016-12-28 2018-07-06 이경화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KR102262404B1 (ko) * 2020-10-20 2021-06-08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208B1 (ko) * 2021-04-14 2021-08-17 (주)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
DE102021214963A1 (de) * 2021-12-22 2023-06-22 Doka Gmbh Aufhängeschu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856Y1 (ko) 2003-01-03 2003-05-09 삼흥정공 주식회사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
KR200420484Y1 (ko) 2006-04-20 2006-07-04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608A (ko) * 2016-12-28 2018-07-06 이경화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KR102262404B1 (ko) * 2020-10-20 2021-06-08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161B1 (ko)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1384B2 (en) Removable barrier for location on an upper portion of a wall
KR101063161B1 (ko)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EP2902559A1 (en) A suspended ceiling system and a method for mounting a suspended ceiling
KR20110123404A (ko) 커튼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3141424A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CN210342732U (zh) 一种用于定位预制墙板的支撑装置
US9328504B2 (en) Divider wall connection systems and methods
KR200388758Y1 (ko) 타워크레인의 고정앵커 구조
EP3645800B1 (en) Balcony installation
US20150121774A1 (en) Arrangement for attaching panels to support structures, a construction support structure and fastening means, and their use in modular building elements
KR20120107365A (ko) 에이엘씨 패널을 종방향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하는 방법
CN209941879U (zh) 外墙板快装房屋
KR100919666B1 (ko) 발코니 확장형 윌타이 브라켓
KR100740945B1 (ko) 건축 구조물 안전 계단 설치구조
JP4541837B2 (ja) 鋼製フレーム付alc版による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及びその施工法
KR101856484B1 (ko) 개구부 상부 마감용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167125Y1 (ko) 비계설치용 지지구
JP6143091B2 (ja) 吊り天井補強用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吊り天井構造
KR102582701B1 (ko) 일방향 설치가 가능한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CN103711320B (zh) 一种高层快建房屋模块式金属面幕墙板单元的安装方法
CN215670511U (zh) 装配式内隔墙板
CN214117199U (zh) 一种装配式吊顶幕墙
KR102277613B1 (ko) 벽돌을 이용한 천장 마감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RU73890U1 (ru) Опорный узел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фасад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