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404B1 -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404B1
KR102262404B1 KR1020200135780A KR20200135780A KR102262404B1 KR 102262404 B1 KR102262404 B1 KR 102262404B1 KR 1020200135780 A KR1020200135780 A KR 1020200135780A KR 20200135780 A KR20200135780 A KR 20200135780A KR 102262404 B1 KR102262404 B1 KR 102262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ventilation
cigarette smok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13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2Tobacco sm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환풍덕트로 유입되는 담배연기를 감지하여 이를 자동으로 환기하는 한편, 환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에 대한 관리사무실 벽체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관리자의 접근과 함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관리사무실에 대한 공간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AUTO VENTILATION SYSTEM OF APARTMENT HOUSE ARCHITECTURE}
본 발명은 건축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환풍덕트로 유입되는 담배연기를 감지하여 이를 자동으로 환기하는 한편, 환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에 대한 관리사무실 벽체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관리자의 접근과 함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관리사무실에 대한 공간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에서는 담배흡연으로 인한 민원이 많이 발생하며, 특히 화장실 흡연으로 인한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해당 세대의 흡연자의 경우, 공동주택의 각 세대는 사유재산이므로 여기에서 흡연하는 것을 제재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다른 세대의 입주자들은 각 세대에 연결된 환풍덕트를 여러 세대가 공유하는 구조에서 어느 한 세대에서 흡연을 하면 다른 세대들이 큰 피해를 보게 된다고 하소연하므로, 이웃 간의 크고 작은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공동주택에서의 흡연을 제재하기 위해서는 어느 층의 어느 세대에서 담배를 피우는지를 그때마다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담배연기는 환풍덕트 내부에서 확산하면서 가라앉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정확하게 몇 층의 어느 세대에서 담배를 피웠는지 알아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공동주택 입주자들의 민원에 불구하고 관리사무실의 관리자는 어떠한 조처도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75726호(2015.12.08.)에는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정화 시스템은 환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관리자의 접근이 어려운 곳에 배치되면서 빠른 제어가 어려운 것은 물론, 주변 공간활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75726호(2015.12.08.)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의 환풍덕트로 유입되는 담배연기를 감지하여 이를 자동으로 환기하는 한편, 환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에 대한 관리사무실 벽체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관리자의 접근과 함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관리사무실에 대한 공간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100)의 각 세대(10)에 설치되는 환풍구(20); 상기 환풍구(20)들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환풍구(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31)가 형성되는 환풍덕트(30); 상기 환풍덕트(30)에 설치된 담배연기 감지센서(40); 상기 환풍덕트(30)에 설치된 환기장치(50); 상기 공동주택(100)의 세대(10)들 중 전부 또는 일부에 마련된 홈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공동주택(100)의 관리사무실(200)에 마련된 경보장치(70); 및 상기 관리사무실(200)에 마련되며 상기 환기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기(80)를 포함하고,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과 연결되며, 담배연기를 감지하면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관리사무실(200)의 경보장치(70)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경보장치(70)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경보를 발하고, 상기 제어기(80)는, 상기 관리사무실(200)의 관리자가 상기 제어기(80)를 작동시키면, 상기 환풍덕트(30)의 환기장치(50)를 가동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사무실(200)의 벽체(210)로부터 상기 제어기(80)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300)는, 양단부가 개방되고 후단부 상,하측에 지지판(311)이 형성되며, 상,하부에 결합홀(310a)이 형성되는 브라켓(310); 상기 제어기(80)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브라켓(310)의 전단부로 결합되고, 상,하부에 상기 결합홀(310a)과 연통되는 중공(321)이 형성되는 탈착관(320); 상기 탈착관(320)을 상기 브라켓(310)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330); 및 상기 브라켓(310)을 벽체(W)에 고정하는 지지수단(34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330)은, 상기 탈착관(320)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양단부가 상기 중공(321)과 이웃하는 판스프링(331); 및 일단부가 상기 판스프링(331)의 양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321)을 통과하면서 상기 탈착관(32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브라켓(310)으로의 상기 탈착관(320) 결합시, 상기 결합홀(310a)로 인입되면서 상기 탈착관(320)과 함께 상기 제어기(80)가 벽체(W)에 지지되도록 하는 고정돌기(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환풍덕트로 유입된 담배연기를 감지함으로써 이를 자동으로 환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관리사무실의 벽체에 설치될 수 있음으로써 관리자의 접근이 쉬워 빠른 확인과 함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어기가 벽체에 설치되면서 주변의 공간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에서 각 장치들 사이의 신호 전달 체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서 지지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은 공동주택(100)의 각 세대(10)에 설치되는 환풍구(20), 홈네트워크 시스템(60), 환풍덕트(30)와 담배연기 감지센서(40) 및 환기장치(50)를 포함한다.
공동주택(100)의 각 세대(10)에는 환풍구(20)가 마련되는데, 상기 환풍구(20)는 각 세대(10)의 거실, 침실, 화장실 등의 천장에 마련되며, 일반적으로는 화장실의 천장에 마련된다.
상기 환풍구(20)에는 환풍덕트(30)가 연결되고, 상기 환풍덕트(30)는 각 세대(10)에 설치된 환풍구(20)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환풍구(20)로부터 나온 공기를 공동주택(1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환풍덕트(30)에는 담배연기 감지센서(40)가 설치된다.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담배연기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기존의 어떤 센서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예컨대 광전식 센서, 이온화식 센서, 반도체식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환풍덕트(30)에는 환기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공동주택(100)의 관리사무실(200)에는 경보장치(70)와 환기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기(80)가 마련된다.
상기 환기장치(50)는 각 세대(10)의 환풍구(20)로부터 환풍덕트(30)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로서, 특히 담배연기를 정화함으로써 담배연기가 환풍덕트(30)를 통하여 각 세대(10)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환기장치(50)는 담배연기를 정화할 수 있는 장치이면 기존의 어떠한 정화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공동주택(100)의 각 세대 또는 일부 세대에는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이 마련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여러 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퍼스널 컴퓨터, 팩스, 스캐너, 프린터 등과 같은 정보계 기기와, TV, 셋탑박스, DVD, VCR, 오디오, 캠코더, 가정용 게임기 등과 같은 A/V기기와, 커피메이커, 전기밥솥,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카메라 등과 같은 제어기기 및 리모콘, 인터폰, 센서, 라이트 등과 같은 더미기기 등을 USB, IEEE1394, 전화선, 파워선, Wireless Lan, 블루투쓰(Bluetooth) 등으로 연결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상기 각종 기기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이러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각종 기기들로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은 각 세대(10)에 마련된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을 이용하여 공동주택(100)의 환풍덕트(30)에 마련된 담배연기 감지센서(4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가 담배연기를 감지하면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관리사무실(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이 상기 경보장치(70)에 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경보장치(70)는 즉시 담배연기의 존재를 알리는 경보를 발하게 된다.
관리사무실(200)의 관리자는 공동주택(100)의 환풍덕트(30)에 담배연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관리사무실(200)의 관리자가 제어기(80)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어기(80)는 공동주택(100)의 환풍덕트(30)에 설치된 환기장치(50)를 가동하게 된다.
따라서, 담배연기가 환풍덕트(30) 내부에 확산하여 다른 세대에 피해가 가기 전에 미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관리사무실(200)에는 센서 표시기(9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 표시기(90)는 공동주택(100)의 환풍덕트(30)에 설치된 담배연기 감지센서(40)들 중에서 어느 위치의 어느 센서가 담배연기를 감지했는지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기(80)는 상기 환기장치(50)들을 각기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관리사무실(200)의 관리자는 담배연기를 감지한 센서(40)의 위치를 즉시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센서(40)와 근접한 위치의 환기장치(50)만을 가동시켜 담배연기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100)의 모든 환기장치(50)를 가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공동주택(100)의 각각의 층마다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환기장치(50)는 상기 공동주택(100)의 각각의 층마다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각각의 층마다 센서(40)가 설치되고 각각의 층마다 환기장치(50)가 설치되므로, 해당 층에 담배연기가 감지되면 해당 층의 환기장치(50)만을 가동함으로써, 다른 층으로 담배연기가 확산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자신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6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와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서로 교신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상기 관리사무실(200)의 경보장치(7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사무실(200)의 벽체(W)로부터 상기 제어기(80)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제어기(80)에 대한 관리자의 접근 및 확인이 용이한 위치로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의 감지에 따른 상기 환기장치(50)에 대한 제어가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주변의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양단부가 개방되고 상,하부에 결합홀(310a)이 형성되는 브라켓(310), 상기 제어기(80)의 후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브라켓(310)의 전단부로 결합되고 상,하부에 상기 결합홀(310a)과 연통되는 중공(321)이 형성되는 탈착관(320), 상기 탈착관(320)을 상기 브라켓(310)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330) 및 상기 브라켓(310)을 벽체(W)에 고정하는 지지수단(340)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310)은 양단부가 개방되는 통 형태를 이루며, 후단부 상,하측에 지지판(311)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310)은 원통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사각통 형태를 이루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311)은 일단부가 상기 브라켓(310)의 후단부 상,하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수단(340)에 의해 벽체(W)에 고정된다.
상기 탈착관(320)은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전단부가 상기 제어기(80)의 후면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브라켓(310)의 전단부 내측으로 결합된다.
벽체(W)는 상기 지지판(311)과 접하는 위치에 지지홀(W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수단(340)은 후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341a)가 상기 지지홀(W1)로 인입되고 전단부가 상기 지지판(311)을 통과하는 지지구(341), 상기 머리부(1341a)와 상기 지지판(311)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구(34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압착부재(342) 및 상기 지지구(341)의 전단부로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343)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부재(342)는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개방되는 통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지지구(341)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구(34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34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구(341)의 전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재(343)는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구(341)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압착부재(342)가 상기 머리부(341a)와 지지판(311) 간에 압착되면서 상기 지지홀(W1)을 이루는 둘레로 팽창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수단(340)은 상기 지지부재(343)가 팽창되면서 상기 지지홀(W)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브라켓(310)을 벽체(W)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340)은 상기 지지부재(343)의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압착부재(342)가 팽창 해제되면서 상기 브라켓(310)이 벽체(W)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수단(340)은 상기 지지부재(343)의 조절에 따라 상기 브라켓(310)이 벽체(W)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탈착관(320)은 상기 브라켓(310)으로 인입되어 상기 결합홀(310a)과 상기 중공(321)이 연통되면, 상기 고정수단(330)에 의해 상기 브라켓(310)으로 결속된다.
상기 고정수단(330)은 상기 탈착관(320)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양단부가 상기 중공(321)과 이웃하는 판스프링(331) 및 일단부가 상기 판스프링(331)의 양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321)을 통과하면서 상기 탈착관(3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332)를 포함한다.
상기 판스프링(331)은 양단부가 후방을 향하면서 '⊃'와 같은 형태를 이룬다.
상기 판스프링(331)은 상기 탈착관(320)이 상기 브라켓(310)으로 인입시, 상기 고정돌기(332)가 브라켓(310)과 접하면서 수축된다.
상기 판스프링(331)은 상기 결합홀(310a)과 상기 중공(321)이 연통되면, 이완되면서 상기 고정돌기(332)가 상기 결합홀(310a)로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 탈착관(320)은 상기 고정돌기(332)가 상기 결합홀(310a)로 인입되면서 상기 브라켓(310)으로 결속될다.
상기 제어기(80)는 상기 탈착관(320)이 상기 브라켓(310)으로 결속됨에 따라 벽체(W)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80)는 상기 결합홀(310a)로 인입된 상기 고정돌기(332)가 상기 결합홀(310a)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벽체(W)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제어기(80)에 대해 관리자의 접근 및 확인이 용이한 위치로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의 감지에 따른 상기 환기장치(50)에 대한 제어가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주변의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세대 20: 환풍구
30: 환풍덕트 40: 담배연기 감지센서
50: 환기장치 60: 홈네트워크 시스템
70: 경보장치 80: 제어기
100: 공동주택 200: 관리사무실
300: 지지부 310: 브라켓
320: 탈착관 330: 고정수단
340: 지지수단

Claims (1)

  1. 공동주택(100)의 각 세대(10)에 설치되는 환풍구(20)들을 연결하며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31)가 형성되고 환기장치(50)가 설치되는 환풍덕트(30); 환풍덕트(30)에 설치되어 담배연기를 감지하는 담배연기 감지센서(40); 및 관리사무실(200)에 마련되며 담배연기 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에 따라 환기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기(80)로 구성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사무실(200)의 벽체(210)로부터 상기 제어기(80)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300)는,
    양단부가 개방되고 후단부 상,하측에 지지판(311)이 형성되며, 상,하부에 결합홀(310a)이 형성되는 브라켓(310); 상기 제어기(80)의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브라켓(310)의 전단부로 결합되고, 상,하부에 상기 결합홀(310a)과 연통되는 중공(321)이 형성되는 탈착관(320); 상기 탈착관(320)을 상기 브라켓(310)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330); 및 상기 브라켓(310)을 벽체(W)에 고정하는 지지수단(34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330)은,
    상기 탈착관(320)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와 같은 형태를 이루면서 양단부가 상기 중공(321)과 이웃하는 판스프링(331); 및 일단부가 상기 판스프링(331)의 양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321)을 통과하면서 상기 탈착관(32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브라켓(310)으로의 상기 탈착관(320) 결합시, 상기 결합홀(310a)로 인입되면서 상기 탈착관(320)과 함께 상기 제어기(80)가 벽체(W)에 지지되도록 하는 고정돌기(33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340)은,
    후단부에 형성되는 머리부(341a)가 벽체(W)에 형성되는 지지홀(W1)로 인입되고 전단부가 상기 지지판(311)을 통과하는 지지구(341); 상기 머리부(341a)와 상기 지지판(311)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구(34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압착부재(342) 및 상기 지지구(341)의 전단부로 나사결합되며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구(341)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압착부재(342)가 팽창되며 상기 브라켓(310)이 벽체(W)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재(3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KR1020200135780A 2020-10-20 2020-10-20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KR102262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80A KR102262404B1 (ko) 2020-10-20 2020-10-20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80A KR102262404B1 (ko) 2020-10-20 2020-10-20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404B1 true KR102262404B1 (ko) 2021-06-08

Family

ID=7639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780A KR102262404B1 (ko) 2020-10-20 2020-10-20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40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893U (ko) * 1995-11-08 1997-06-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컨트롤 도어의 힌지장치
KR970058453A (ko) * 1995-12-23 1997-07-31 김광호 통신 기기 단말기의 벽면 고정용 장치
KR20000015310U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벽걸이 통신장비의 착탈 구조물
KR20060032853A (ko) * 2004-10-13 200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7232B1 (ko) * 2006-07-14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프로젝터 설치용 벽걸이 장치
KR20110042739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KR20130108402A (ko) * 2010-11-24 2013-10-02 파나소닉 주식회사 부하 제어 스위치 및 부하 제어 스위치 시스템
KR101575726B1 (ko) 2015-10-23 2015-12-08 주식회사 테라비즈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KR101657281B1 (ko) * 2016-01-26 2016-09-13 주식회사 아이오 조명 스위치 원격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893U (ko) * 1995-11-08 1997-06-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컨트롤 도어의 힌지장치
KR970058453A (ko) * 1995-12-23 1997-07-31 김광호 통신 기기 단말기의 벽면 고정용 장치
KR20000015310U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벽걸이 통신장비의 착탈 구조물
KR20060032853A (ko) * 2004-10-13 200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7232B1 (ko) * 2006-07-14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프로젝터 설치용 벽걸이 장치
KR20110042739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KR20130108402A (ko) * 2010-11-24 2013-10-02 파나소닉 주식회사 부하 제어 스위치 및 부하 제어 스위치 시스템
KR101575726B1 (ko) 2015-10-23 2015-12-08 주식회사 테라비즈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KR101657281B1 (ko) * 2016-01-26 2016-09-13 주식회사 아이오 조명 스위치 원격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8088B2 (en) System for controlling HVAC and lighting functionality
JP6181967B2 (ja) 警報システム
US10218529B2 (en) Automation system for deployment in a building
TW201516984A (zh) 具有增強之音訊及通信能力之煙霧偵測器
KR100683313B1 (ko) 홈 서버에서의 진동 또는 소음 경고방법
TW201519169A (zh) 具有無線區域網路能力之煙霧偵測器
KR101247676B1 (ko) 방범용 알에프 송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240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EP4055847A1 (en) Bluetooth perimeter extension
JP2007265050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JP2007233734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KR101929967B1 (ko) 공동주택의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KR101575726B1 (ko)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KR100681002B1 (ko) 가전기기 제어장치,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103465A (ko) 원격 제어 중계기들로서의 유틸리티 아웃렛들
JP2009117129A (ja) 多機能管理システムおよび多機能管理方法
KR101146779B1 (ko)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통합 관리하는 조립식 다기능 복합 센서
JP6944557B2 (ja) 警報システムの警報報知方法
JP2012027881A (ja) Plc自動危険通報システム
JP2007235603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JP6491705B2 (ja) 警報システム
JP6055216B2 (ja) 告知放送受信機
JP6668525B2 (ja) 警報システム
CN111211950A (zh) 分布式智能家居网关系统
KR100813882B1 (ko) 세탁기 작동 상태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