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726B1 -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726B1
KR101575726B1 KR1020150147690A KR20150147690A KR101575726B1 KR 101575726 B1 KR101575726 B1 KR 101575726B1 KR 1020150147690 A KR1020150147690 A KR 1020150147690A KR 20150147690 A KR20150147690 A KR 20150147690A KR 101575726 B1 KR101575726 B1 KR 101575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smoke
home network
sensor
network system
smok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비즈
Priority to KR1020150147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환풍덕트로 유입된 담배연기를 감지하고 이를 정화하는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를 연결하는 환풍덕트에 담배연기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가 담배연기를 감지하면 각 세대에 마련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실에 경보를 울림으로써, 관리사무실의 관리자가 공기정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SMOKE DETECTING AND AIR PURIFYING SYSTEM}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환풍덕트로 유입된 담배연기를 감지하고 이를 정화하는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를 연결하는 환풍덕트에 담배연기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가 담배연기를 감지하면 각 세대에 마련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실에 경보를 울림으로써, 관리사무실의 관리자가 공기정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등의 공동주택에서는 담배흡연으로 인한 민원이 많이 발생하며, 특히 화장실 흡연으로 인한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해당 세대의 흡연자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는 사유재산이므로 여기에서 흡연하는 것을 제재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다른 세대의 입주자들은 각 세대에 연결된 환풍덕트를 여러 세대가 공유하는 구조에서 어느 한 세대에서 흡연을 하면 다른 세대들이 큰 피해를 보게 된다고 하소연하므로, 이웃 간의 크고 작은 분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공동주택에서의 흡연을 제재하기 위해서는 어느 층의 어느 세대에서 담배를 피우는지를 그때마다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담배연기는 환풍덕트 내부에서 확산하면서 가라앉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정확하게 몇 층의 어느 세대에서 담배를 피웠는지 알아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공동주택 입주자들의 민원에 불구하고 관리사무실의 관리자는 어떠한 조처도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9836호는 건물 내에 담배연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가 담배연기를 감지하면 경보장치가 경보를 울리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건물 내에서 담배연기가 감지되면 경보를 울리는 구성에 불과하므로, 관리사무실의 관리자가 어느 층의 어느 세대에서 담배를 피우는지 확인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담배연기가 확산하여 다른 세대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미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방법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9836호 (공고일자: 2011.12.05.)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를 연결하는 환풍덕트에 담배연기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가 담배연기를 감지하면 각 세대에 마련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실에 경보를 울림으로써, 관리사무실의 관리자가 공기정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은,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된 환풍구와, 상기 환풍구들을 서로 연결하는 환풍덕트와, 상기 환풍덕트에 설치된 담배연기 감지센서와, 상기 환풍덕트에 설치된 공기정화장치와,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마련된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상기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실에 마련된 경보장치와, 상기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실에 마련된 공기정화장치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결되며, 담배연기를 감지하면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관리사무실의 경보장치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경보를 발하고, 상기 관리사무실의 관리자가 상기 공기정화장치 제어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공기정화장치 제어기는 상기 환풍덕트의 공기정화장치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관리사무실에는 센서 표시기가 더 마련되고, 상기 센서 표시기는 상기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센서들 중에서 어느 센서가 담배연기를 감지했는지를 표시하며, 상기 공기정화장치 제어기는 상기 공기정화장치들을 각기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는 상기 공동주택의 각각의 층마다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공동주택의 각각의 층마다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는 자신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관리사무실의 경보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주택의 각 세대를 연결하는 환풍덕트에 담배연기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가 담배연기를 감지하면 각 세대에 마련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실에 경보를 울림으로써, 관리사무실의 관리자가 공기정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각 장치들 사이의 신호 전달 체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의 실시예 또는 도면에 나타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가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2는 각 장치들 사이의 신호 전달 체계를 나타낸다.
공동주택(100)의 각 세대(10)에는 환풍구(20)와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이 마련되고, 상기 공동주택(100) 자체에는 환풍덕트(30)와 담배연기 감지센서(40)와 공기정화장치(5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공동주택(100)의 관리사무실(200)에는 경보장치(70)와 공기정화장치 제어기(80)가 마련된다.
먼저, 공동주택(100)의 각 세대(10)에는 환풍구(20)가 마련되는데, 상기 환풍구(20)는 각 세대(10)의 거실, 침실, 화장실 등의 천장에 마련되며, 일반적으로는 화장실의 천장에 마련된다.
상기 환풍구(20)에는 환풍덕트(30)가 연결되고, 상기 환풍덕트(30)는 각 세대(10)에 설치된 환풍구(20)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환풍구(20)로부터 나온 공기를 공동주택(100)의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상기 환풍덕트(30)에는 담배연기 감지센서(40)가 설치된다.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담배연기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기존의 어떤 센서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예컨대 광전식 센서, 이온화식 센서, 반도체식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풍덕트(30)에는 공기정화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정화장치(50)는 각 세대(10)의 환풍구(20)로부터 환풍덕트(30)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로서, 특히 담배연기를 정화함으로써 담배연기가 환풍덕트(30)를 통하여 각 세대(10)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공기정화장치(50)는 담배연기를 정화할 수 있는 장치이면 기존의 어떠한 정화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공동주택(100)의 각 세대 또는 일부 세대에는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이 마련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여러 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퍼스널 컴퓨터, 팩스, 스캐너, 프린터 등과 같은 정보계 기기와, TV, 셋탑박스, DVD, VCR, 오디오, 캠코더, 가정용 게임기 등과 같은 A/V기기와, 커피메이커, 전기밥솥,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카메라 등과 같은 제어기기 및 리모콘, 인터폰, 센서, 라이트 등과 같은 더미기기 등을 USB, IEEE1394, 전화선, 파워선, Wireless Lan, 블루투쓰(Bluetooth) 등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상기 각종 기기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이러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각종 기기들로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이 각 세대(10)에 마련된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을 이용하여, 공동주택(100)의 환풍덕트(30)에 마련된 담배연기 감지센서(4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한다.
즉,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가 담배연기를 감지하면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관리사무실(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관리사무실(200)에는 경보장치(70)와 공기정화장치 제어기(80)가 마련된다.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이 상기 경보장치(70)에 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경보장치(70)는 즉시 담배연기의 존재를 알리는 경보를 발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사무실(200)의 관리자는 공동주택(100)의 환풍덕트(30)에 담배연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관리사무실(200)의 관리자가 공기정화장치 제어기(80)를 작동시키면, 상기 공기정화장치 제어기(80)는 공동주택(100)의 환풍덕트(30)에 설치된 공기정화장치(50)를 가동하게 된다.
따라서, 담배연기가 환풍덕트(30) 내부에 확산하여 다른 세대에 피해가 가기 전에 미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리사무실(200)에는 센서 표시기(9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 표시기(90)는 공동주택(100)의 환풍덕트(30)에 설치된 담배연기 감지센서(40)들 중에서 어느 위치의 어느 센서가 담배연기를 감지했는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장치 제어기(8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50)들을 각기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관리사무실(200)의 관리자는 담배연기를 감지한 센서(40)의 위치를 즉시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센서(40)와 근접한 위치의 공기정화장치(50)만을 가동시켜 담배연기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100)의 모든 공기정화장치(50)를 가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공동주택(100)의 각각의 층마다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정화장치(50)는 상기 공동주택(100)의 각각의 층마다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각각의 층마다 센서(40)가 설치되고 각각의 층마다 공기정화장치(50)가 설치되므로, 해당 층에 담배연기가 감지되면 해당 층의 공기정화장치(50)만을 가동함으로써, 다른 층으로 담배연기가 확산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자신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6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와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서로 교신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한편,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상기 관리사무실(200)의 경보장치(7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공동주택 200: 관리사무실
10: 세대 20: 환풍구
30: 환풍덕트 40: 담배연기 감지센서
50: 공기정화장치 60: 홈네트워크 시스템
70: 경보장치 80: 공기정화장치 제어기

Claims (6)

  1. 공동주택의 환풍덕트로 유입된 담배연기를 감지하고 이를 정화하는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100)의 각 세대(10)에 설치된 환풍구(20)와,
    상기 환풍구(20)들을 서로 연결하는 환풍덕트(30)와,
    상기 환풍덕트(30)에 설치된 담배연기 감지센서(40)와,
    상기 환풍덕트(30)에 설치된 공기정화장치(50)와,
    상기 공동주택(100)의 세대(10)들 중 전부 또는 일부에 마련된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상기 공동주택(100)의 관리사무실(200)에 마련된 경보장치(70)와,
    상기 관리사무실(200)에 마련된 공기정화장치 제어기(80)를 포함하고,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과 연결되며, 담배연기를 감지하면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관리사무실(200)의 경보장치(70)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경보장치(70)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경보를 발하고,
    상기 관리사무실(200)의 관리자가 상기 공기정화장치 제어기(80)를 작동시키면, 상기 공기정화장치 제어기(80)는 상기 환풍덕트(30)의 공기정화장치(50)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사무실(200)에는 센서 표시기(90)가 더 마련되고,
    상기 센서 표시기(90)는 상기 공동주택(100)의 담배연기 감지센서(40)들 중에서 어느 센서가 담배연기를 감지했는지를 표시하며,
    상기 공기정화장치 제어기(8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50)들을 각기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상기 공동주택(100)의 각각의 층마다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정화장치(50)는 상기 공동주택(100)의 각각의 층마다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연기 감지센서(40)는 자신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6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60)은 상기 관리사무실(100)의 경보장치(70)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KR1020150147690A 2015-10-23 2015-10-23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KR101575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690A KR101575726B1 (ko) 2015-10-23 2015-10-23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690A KR101575726B1 (ko) 2015-10-23 2015-10-23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726B1 true KR101575726B1 (ko) 2015-12-08

Family

ID=5487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690A KR101575726B1 (ko) 2015-10-23 2015-10-23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7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404B1 (ko) 2020-10-20 2021-06-08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3442A (ja) 2001-03-30 2002-10-18 Seiko Epson Corp 換気制御装置
JP2006292209A (ja) 2005-04-07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装置ならびに換気装置を利用したネット家電システム
KR101446285B1 (ko) 2013-04-03 2014-10-06 한일원자력(주) 실시간 라돈 가스 측정 및 실내 환경 개선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3442A (ja) 2001-03-30 2002-10-18 Seiko Epson Corp 換気制御装置
JP2006292209A (ja) 2005-04-07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装置ならびに換気装置を利用したネット家電システム
KR101446285B1 (ko) 2013-04-03 2014-10-06 한일원자력(주) 실시간 라돈 가스 측정 및 실내 환경 개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404B1 (ko) 2020-10-20 2021-06-08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9982B (zh) 具有增強之音訊及通信能力之煙霧偵測器
US10839661B2 (en) Auxiliary detector base fo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y to a smoke detector or other detector
JP6181967B2 (ja) 警報システム
US10218529B2 (en) Automation system for deployment in a building
US20150077248A1 (en) Smoke Detectors with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apabilities
KR100683313B1 (ko) 홈 서버에서의 진동 또는 소음 경고방법
JP2019500659A (ja) 音響的存在検証を伴う遠隔警報解除
JP2008084309A (ja) 警報装置及び警報システム
KR200432483Y1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단독형 화재감지기
KR101575726B1 (ko) 공동주택의 담배연기 감지 및 공기정화 시스템
KR101929967B1 (ko) 공동주택의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JP2014186574A (ja) 警報システム
KR101475261B1 (ko)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KR20170099467A (ko) 집합건물의 층간소음 모니터링 방법
KR10226240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환기시스템
JP5981334B2 (ja) 警報システム
KR20080103465A (ko) 원격 제어 중계기들로서의 유틸리티 아웃렛들
KR101146779B1 (ko)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통합 관리하는 조립식 다기능 복합 센서
JP6491705B2 (ja) 警報システム
JP6037430B2 (ja) 警報システム
JP2019096353A (ja) 警報システム
JP201115168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WO2017164027A1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11211950A (zh) 分布式智能家居网关系统
KR101623470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센서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