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208B1 -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 - Google Patents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208B1
KR102290208B1 KR1020210048558A KR20210048558A KR102290208B1 KR 102290208 B1 KR102290208 B1 KR 102290208B1 KR 1020210048558 A KR1020210048558 A KR 1020210048558A KR 20210048558 A KR20210048558 A KR 20210048558A KR 102290208 B1 KR102290208 B1 KR 102290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racket
fixing
guide rai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48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갱폼(gang form)에 따른 건축물 외측벽(30)을 타설 및 양생함에 있어, 상기 건축용 갱폼의 작업부에 설치된 H빔인 가이드레일(20)을 가이드 및 지지하도록 외측벽(30)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확장형 브라켓(10)으로, 수직기립된 사각판체로 중심 상중하부에는 외측벽(30)에 고정볼트(12b)가 삽입고정되는 고정공(12a)을 각각 갖는 수직고정판부(12)가 형성되고, 수직고정판부(12) 좌우측 중심부에서 정면으로 수직돌출되어 평면에서 "ㅠ"형상을 이루는 좌우측수직지지판(13,14)이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전방측선단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3a,14a)가 각각 고정되고, 일정 두께의 판체로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외측면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수평연장되면서 그 선단이 수직고정판부(12) 정면과 만나 수직절곡되어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면서 고정되고 좌우측면이 평면에서 각각 "┓","┏"형상을 이루며 전방측 선단부에는 각각 좌우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앵커볼트(13c,14c)를 각각 갖는 좌우측고정지지판(13b,14b)이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내측면에서는 수직고정판부(12)와 완강히 연결고정시키는 보강리브(15)가 각각 형성되는 고정브라켓(11); 평면이 "┓"형상인 판체로 후방측은 상기 고정브라켓(11) 수직고정판부(12)의 좌측정면과 밀착되는 후방수직밀착면(16a)을 갖고 좌측수직지지면(13) 좌측면과 밀착되는 전방수직밀착면(16b)을 갖되 전방수직밀착면(16b)의 전방측 선단면은 전방측으로 연장돌출되어 좌측수직지지판(13) 선단보다 전방측에 위치되는 선단돌출부(16c)를 갖으며 전방수직밀착면(16b)과 후방수직밀착면(16a) 내측면에는 좌측고정지지판(13b)과 대응되어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슬라이딩요부(16d)를 갖고 상기 앵커볼트(13c)에 대응되는 슬라이딩요부(16d)에는 전후방측으로 볼트장공(16e)이 형성되어 고정너트(13d)에 의해 외측에서 고정결합되며 선단돌출부(16c) 우측상하단부에는 우측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H빔인 가이드레일(20) 좌측면을 좌측수직지지판(13) 선단면으로 밀착시키는 우측상하부밀착돌부(16f,16g)를 각각 갖으며 우측상하부밀착돌부(16f,16g) 후방측 선단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6fa,16ga)가 각각 고정결합되는 좌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16); 및 평면이 "┏"형상인 판체로 후방측은 상기 고정브라켓(11) 수직고정판부(12)의 우측정면과 밀착되는 후방수직밀착면(17a)을 갖고 우측수직지지면(14) 우측면과 밀착되는 전방수직밀착면(17b)을 갖되 전방수직밀착면(17b)의 전방측 선단면은 전방측으로 연장돌출되어 우측수직지지판(14) 선단보다 전방측에 위치되는 선단돌출부(17c)를 갖으며 전방수직밀착면(17b)과 후방수직밀착면(17a) 내측면에는 우측고정지지판(14b)과 대응되어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슬라이딩요부(17d)를 갖고 상기 앵커볼트(14c)에 대응되는 슬라이딩요부(17d)에는 전후방측으로 볼트장공(17e)이 형성되어 고정너트(14d)에 의해 외측에서 고정결합되며 선단돌출부(17c) 좌측상하단부에는 좌측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H빔인 가이드레일(20) 우측면을 우측수직지지판(14) 선단면으로 밀착시키는 좌측상하부밀착돌부(17f,17g)를 각각 갖으며 좌측상하부밀착돌부(17f,17g) 후방측 선단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7fa,17ga)가 각각 고정결합되는 우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17)을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브라켓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H빔인 가이드레일의 좌우측면을 고정브라켓의 좌우측수직지지판 선단면과 좌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의 우측상하부밀착돌부 선단면과 우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의 좌측상하부밀착돌부 선단면과 각각 면접촉으로 완강히 밀착고정됨에 따라 건축용 갱폼의 전체 무게를 외측벽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변형의 염려없이 고정지지할 수 있고 가이드레일의 두께나 구조 및 형상의 변형에 대해서도 이에 대응하여 고정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Guide rail expandable bracket for building gang form}
본 발명은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켓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H빔인 가이드레일의 좌우측면을 고정브라켓의 좌우측수직지지판 선단면과 좌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의 우측상하부밀착돌부 선단면과 우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의 좌측상하부밀착돌부 선단면과 각각 면접촉으로 완강히 밀착고정됨에 따라 건축용 갱폼의 전체 무게를 외측벽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변형의 염려없이 고정지지할 수 있고 가이드레일의 두께나 구조 및 형상의 변형에 대해서도 이에 대응하여 고정지지할 수 있는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갱폼은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될 외측벽의 틀을 형성하는 거푸패널과, 상기 거푸패널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거푸패널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작업발판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위치되어 외측벽 작업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된 작업부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작업부는 통상적으로 2층 높이로 각 층마다 작업자가 위치되도록 2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작업부와 양생된 외측벽 사이에는 상기 작업부를 지지하는 에이치(H)빔 형상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외측벽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 및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브라켓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일정 위치에 다수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갱폼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를 보면, 1층의 외측벽 타설시에는 거푸패널과 지지부만 설치된 상태로 외측벽의 타설을 실시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타설된 외측벽의 양생되며, 상기 거푸패널은 타워크래인의 승강력에 의해 2층높이까지 상승된다.
아울러, 상기 2층 높이까지 상승된 지지부의 하방에는 양생된 1층의 외측벽 작업이 가능하도록 작업부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작업부는 외측벽과 상기 작업부 사이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지지 및 가이드하는 브라켓이 외측벽에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의 지지력을 받는 가이드레일에 의해 상기 작업부의 원활한 상승 및 기타 외력에 의해 상기 작업부가 진동됨을 방지하여, 상기 작업부를 통해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2층 외측벽 타설 및 양생이 끝나면 상기 거푸패널은 3층 높이로 상승되고, 이에 따라 작업부가 2층 높이로 상승되고, 더불어 상기 작업부의 하단에는 또 하나의 작업부가 설치되어, 최종 3층높이의 거푸패널과 작업부가 형성된 건축용 갱폼이 구성되고, 이는 고층 건물의 외측벽의 타설 및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브라켓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선단 개방부로 가이드레일 일측이 삽입 및 가이드되는 것으로, 거푸패널을 상승시키기 전에 상기 다수의 브라켓을 가이드레일의 가이드되는 위치 지점에 미리 설치하여야되어야 하지만, 상기 설치 위치가 잘못되었을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이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을 미리 설치하고, 이의 잘못으로 설치위치의 변경이 불가능하여, 경우에 따라서 브라켓이 설치되지않은 상태에서 사용이 될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작업부의 기타 외력, 가령 바람과 같은 자연재해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없는 시공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용 갱폼(gang form)에 따른 건축물 외측벽을 타설 및 양생에 있어서, 상기 갱폼의 작업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가이드 및 지지하도록 외측벽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은 기초볼트가 삽입되는 설치공(112a)이 형성된 고정판(112)과, 상기 고정판(112)의 양측단에 측면판(114)이 형성되되, 상기 측면판(114)의 내측면 각각에는 제 1 돌출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114)과 제 1 돌출부(12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18)과, 상기 측면판(114)의 외측면에 돌출되고 수직의 관통공이 다수 형성된 돌출편이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제 1 돌출부(120) 사이에 위치되고, 관통공(118)을 통해 삽입되는 힌지축(150)에 후단이 힌지 고정되며, 선단에는 가이드레일(18)의 걸림돌기(19)가 걸림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고리(130); 상기 몸체(110)의 선단에 위치되고, 상기 돌출편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축에 의해 힌지 고정되도록 상기 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다수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일측에 제 1 돌출부(120)와 대칭 형상으로 가이드레일(18)의 일측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 2 돌출부(146)가 형성되되, 상기 몸체(110)의 측면판(114) 각각에 형성되는 회동부재(140);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돌출편은 측면판(114)의 외측으로 상,하에 상부 및 하부돌출편(116)(118)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140)의 지지편(142)은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편(116)(118)에 각각 지지되도록 상부 및 하부지지편(142)(144);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판의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에 맞닿는 지지편에 형성된 관통공은 길이방향에 후단 및 선단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후단관통공에는 지지축(160)이 삽입 고정되고, 선단관통공에는 회동축(170)을 삽입고정시켜, 상기 지지축(160)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편이 형성된 회동부재(140)가 회동가능하고, 상기 회동부재(140)가 가이드레일(18)을 가이드하도록 회동시켜 상기 가이드레일을 커버하면, 상기 회동축(170)을 삽입시켜, 상기 회동부재(140)가 임의로 몸체(110)에서 회동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브라켓."이 실용등록 제20-0420484호(2006.07.04. 공고)가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가이드레일 브라켓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고 위치 변경이 가능하며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반면에, H빔인 가이드레일(18)의 걸림돌기(19)가 브라켓(100) 몸체(110)에 힌지축(150)의 의해 축결합된 걸림돌기(130)에 걸림고정되는 구조로 건축용 갱폼(1)의 무게가 가이드레일(18)의 걸림돌기(19)를 통해 브라켓(100)의 걸림돌기(130)로 전해지는바, 무게에 따른 힌지축(150) 변형의 우려가 크고 가이드레일(18)의 걸림돌기(19)나 브라켓(100)의 걸림돌기(130)의 변형의 염려가 많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KR)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420484호(2006.07.04.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라켓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H빔인 가이드레일의 좌우측면을 고정브라켓의 좌우측수직지지판 선단면과 좌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의 우측상하부밀착돌부 선단면과 우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의 좌측상하부밀착돌부 선단면과 각각 면접촉으로 완강히 밀착고정됨에 따라 건축용 갱폼의 전체 무게를 외측벽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변형의 염려없이 고정지지할 수 있고 가이드레일의 두께나 구조 및 형상의 변형에 대해서도 이에 대응하여 고정지지할 수 있는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용 갱폼(gang form)에 따른 건축물 외측벽(30)을 타설 및 양생함에 있어, 상기 건축용 갱폼의 작업부에 설치된 H빔인 가이드레일(20)을 가이드 및 지지하도록 외측벽(30)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확장형 브라켓(10)으로,
수직기립된 사각판체로 중심 상중하부에는 외측벽(30)에 고정볼트(12b)가 삽입고정되는 고정공(12a)을 각각 갖는 수직고정판부(12)가 형성되고, 수직고정판부(12) 좌우측 중심부에서 정면으로 수직돌출되어 평면에서 "ㅠ"형상을 이루는 좌우측수직지지판(13,14)이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전방측선단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3a,14a)가 각각 고정되고, 일정 두께의 판체로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외측면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수평연장되면서 그 선단이 수직고정판부(12) 정면과 만나 수직절곡되어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면서 고정되고 좌우측면이 평면에서 각각 "┓","┏"형상을 이루며 전방측 선단부에는 각각 좌우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앵커볼트(13c,14c)를 각각 갖는 좌우측고정지지판(13b,14b)이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내측면에서는 수직고정판부(12)와 완강히 연결고정시키는 보강리브(15)가 각각 형성되는 고정브라켓(11);
평면이 "┓"형상인 판체로 후방측은 상기 고정브라켓(11) 수직고정판부(12)의 좌측정면과 밀착되는 후방수직밀착면(16a)을 갖고 좌측수직지지면(13) 좌측면과 밀착되는 전방수직밀착면(16b)을 갖되 전방수직밀착면(16b)의 전방측 선단면은 전방측으로 연장돌출되어 좌측수직지지판(13) 선단보다 전방측에 위치되는 선단돌출부(16c)를 갖으며 전방수직밀착면(16b)과 후방수직밀착면(16a) 내측면에는 좌측고정지지판(13b)과 대응되어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슬라이딩요부(16d)를 갖고 상기 앵커볼트(13c)에 대응되는 슬라이딩요부(16d)에는 전후방측으로 볼트장공(16e)이 형성되어 고정너트(13d)에 의해 외측에서 고정결합되며 선단돌출부(16c) 우측상하단부에는 우측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H빔인 가이드레일(20) 좌측면을 좌측수직지지판(13) 선단면으로 밀착시키는 우측상하부밀착돌부(16f,16g)를 각각 갖으며 우측상하부밀착돌부(16f,16g) 후방측 선단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6fa,16ga)가 각각 고정결합되는 좌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16); 및
평면이 "┏"형상인 판체로 후방측은 상기 고정브라켓(11) 수직고정판부(12)의 우측정면과 밀착되는 후방수직밀착면(17a)을 갖고 우측수직지지면(14) 우측면과 밀착되는 전방수직밀착면(17b)을 갖되 전방수직밀착면(17b)의 전방측 선단면은 전방측으로 연장돌출되어 우측수직지지판(14) 선단보다 전방측에 위치되는 선단돌출부(17c)를 갖으며 전방수직밀착면(17b)과 후방수직밀착면(17a) 내측면에는 우측고정지지판(14b)과 대응되어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슬라이딩요부(17d)를 갖고 상기 앵커볼트(14c)에 대응되는 슬라이딩요부(17d)에는 전후방측으로 볼트장공(17e)이 형성되어 고정너트(14d)에 의해 외측에서 고정결합되며 선단돌출부(17c) 좌측상하단부에는 좌측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H빔인 가이드레일(20) 우측면을 우측수직지지판(14) 선단면으로 밀착시키는 좌측상하부밀착돌부(17f,17g)를 각각 갖으며 좌측상하부밀착돌부(17f,17g) 후방측 선단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7fa,17ga)가 각각 고정결합되는 우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17)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브라켓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H빔인 가이드레일의 좌우측면을 고정브라켓의 좌우측수직지지판 선단면과 좌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의 우측상하부밀착돌부 선단면과 우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의 좌측상하부밀착돌부 선단면과 각각 면접촉으로 완강히 밀착고정됨에 따라 건축용 갱폼의 전체 무게를 외측벽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변형의 염려없이 고정지지할 수 있고 가이드레일의 두께나 구조 및 형상의 변형에 대해서도 이에 대응하여 고정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의 변형된 가이드레일이 적용된 상태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은, 건축용 갱폼(gang form)에 따른 건축물 외측벽(30)을 타설 및 양생함에 있어, 상기 건축용 갱폼의 작업부에 설치된 H빔인 가이드레일(20)을 가이드 및 지지하도록 외측벽(30)에 설치되는 확장형 브라켓(10)으로, 고정브라켓(11)과, 좌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16)과, 우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17)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1)은, 수직기립된 사각판체로 중심 상중하부에는 외측벽(30)에 고정볼트(12b)가 삽입고정되는 고정공(12a)을 각각 갖는 수직고정판부(12)가 형성되고, 수직고정판부(12) 좌우측 중심부에서 정면으로 수직돌출되어 평면에서 "ㅠ"형상을 이루는 좌우측수직지지판(13,14)이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전방측선단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3a,14a)가 각각 고정되고, 일정 두께의 판체로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외측면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수평연장되면서 그 선단이 수직고정판부(12) 정면과 만나 수직절곡되어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면서 고정되고 좌우측면이 평면에서 각각 "┓","┏"형상을 이루며 전방측 선단부에는 각각 좌우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앵커볼트(13c,14c)를 각각 갖는 좌우측고정지지판(13b,14b)이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내측면에서는 수직고정판부(12)와 완강히 연결고정시키는 보강리브(1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좌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16)은, 평면이 "┓"형상인 판체로 후방측은 상기 고정브라켓(11) 수직고정판부(12)의 좌측정면과 밀착되는 후방수직밀착면(16a)을 갖고 좌측수직지지면(13) 좌측면과 밀착되는 전방수직밀착면(16b)을 갖되 전방수직밀착면(16b)의 전방측 선단면은 전방측으로 연장돌출되어 좌측수직지지판(13) 선단보다 전방측에 위치되는 선단돌출부(16c)를 갖으며 전방수직밀착면(16b)과 후방수직밀착면(16a) 내측면에는 좌측고정지지판(13b)과 대응되어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슬라이딩요부(16d)를 갖고 상기 앵커볼트(13c)에 대응되는 슬라이딩요부(16d)에는 전후방측으로 볼트장공(16e)이 형성되어 고정너트(13d)에 의해 외측에서 고정결합되며 선단돌출부(16c) 우측상하단부에는 우측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H빔인 가이드레일(20) 좌측면을 좌측수직지지판(13) 선단면으로 밀착시키는 우측상하부밀착돌부(16f,16g)를 각각 갖으며 우측상하부밀착돌부(16f,16g) 후방측 선단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6fa,16ga)가 각각 고정결합된다.
상기 우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17)은, 평면이 "┏"형상인 판체로 후방측은 상기 고정브라켓(11) 수직고정판부(12)의 우측정면과 밀착되는 후방수직밀착면(17a)을 갖고 우측수직지지면(14) 우측면과 밀착되는 전방수직밀착면(17b)을 갖되 전방수직밀착면(17b)의 전방측 선단면은 전방측으로 연장돌출되어 우측수직지지판(14) 선단보다 전방측에 위치되는 선단돌출부(17c)를 갖으며 전방수직밀착면(17b)과 후방수직밀착면(17a) 내측면에는 우측고정지지판(14b)과 대응되어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슬라이딩요부(17d)를 갖고 상기 앵커볼트(14c)에 대응되는 슬라이딩요부(17d)에는 전후방측으로 볼트장공(17e)이 형성되어 고정너트(14d)에 의해 외측에서 고정결합되며 선단돌출부(17c) 좌측상하단부에는 좌측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H빔인 가이드레일(20) 우측면을 우측수직지지판(14) 선단면으로 밀착시키는 좌측상하부밀착돌부(17f,17g)를 각각 갖으며 좌측상하부밀착돌부(17f,17g) 후방측 선단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7fa,17ga)가 각각 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확장형 브라켓(10)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H빔인 가이드레일(20)의 외측벽(30)방향 좌우측면을 고정브라켓(11)의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선단면과 좌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16)의 우측상하부밀착돌부(16f,16g) 후방측 선단면과 우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17)의 좌측상하부밀착돌부(17f,17g) 후방측 선단면과 각각 넓은 면접촉으로 완강히 밀착고정됨에 따라 건축용 갱폼의 전체 무게를 외측벽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변형의 염려없이 고정지지할 수 있고, 가이드레일(20)의 두께나 구조 및 형상의 변형에 대해서도 이에 대응하여 고정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확장형 브라켓
11 : 고정브라켓
13,14 : 좌우측수직지지판
16 : 좌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
16f,16g : 우측상하부밀착돌부
17 : 우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
17f,17g : 좌측상하부밀착돌부
20 : 가이드레일
30 : 외측벽

Claims (1)

  1. 건축용 갱폼(gang form)에 따른 건축물 외측벽(30)을 타설 및 양생함에 있어, 상기 건축용 갱폼의 작업부에 설치된 H빔인 가이드레일(20)을 가이드 및 지지하도록 외측벽(30)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확장형 브라켓(10)으로,
    수직기립된 사각판체로 중심 상중하부에는 외측벽(30)에 고정볼트(12b)가 삽입고정되는 고정공(12a)을 각각 갖는 수직고정판부(12)가 형성되고, 수직고정판부(12) 좌우측 중심부에서 정면으로 수직돌출되어 평면에서 "ㅠ"형상을 이루는 좌우측수직지지판(13,14)이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전방측선단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3a,14a)가 각각 고정되고, 일정 두께의 판체로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외측면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수평연장되면서 그 선단이 수직고정판부(12) 정면과 만나 수직절곡되어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면서 고정되고 좌우측면이 평면에서 각각 "┓","┏"형상을 이루며 전방측 선단부에는 각각 좌우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앵커볼트(13c,14c)를 각각 갖는 좌우측고정지지판(13b,14b)이 각각 형성되며, 좌우측수직지지판(13,14) 내측면에서는 수직고정판부(12)와 완강히 연결고정시키는 보강리브(15)가 각각 형성되는 고정브라켓(11);
    평면이 "┓"형상인 판체로 후방측은 상기 고정브라켓(11) 수직고정판부(12)의 좌측정면과 밀착되는 후방수직밀착면(16a)을 갖고 좌측수직지지면(13) 좌측면과 밀착되는 전방수직밀착면(16b)을 갖되 전방수직밀착면(16b)의 전방측 선단면은 전방측으로 연장돌출되어 좌측수직지지판(13) 선단보다 전방측에 위치되는 선단돌출부(16c)를 갖으며 전방수직밀착면(16b)과 후방수직밀착면(16a) 내측면에는 좌측고정지지판(13b)과 대응되어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슬라이딩요부(16d)를 갖고 상기 앵커볼트(13c)에 대응되는 슬라이딩요부(16d)에는 전후방측으로 볼트장공(16e)이 형성되어 고정너트(13d)에 의해 외측에서 고정결합되며 선단돌출부(16c) 우측상하단부에는 우측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H빔인 가이드레일(20) 좌측면을 좌측수직지지판(13) 선단면으로 밀착시키는 우측상하부밀착돌부(16f,16g)를 각각 갖으며 우측상하부밀착돌부(16f,16g) 후방측 선단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6fa,16ga)가 각각 고정결합되는 좌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16); 및
    평면이 "┏"형상인 판체로 후방측은 상기 고정브라켓(11) 수직고정판부(12)의 우측정면과 밀착되는 후방수직밀착면(17a)을 갖고 우측수직지지면(14) 우측면과 밀착되는 전방수직밀착면(17b)을 갖되 전방수직밀착면(17b)의 전방측 선단면은 전방측으로 연장돌출되어 우측수직지지판(14) 선단보다 전방측에 위치되는 선단돌출부(17c)를 갖으며 전방수직밀착면(17b)과 후방수직밀착면(17a) 내측면에는 우측고정지지판(14b)과 대응되어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슬라이딩요부(17d)를 갖고 상기 앵커볼트(14c)에 대응되는 슬라이딩요부(17d)에는 전후방측으로 볼트장공(17e)이 형성되어 고정너트(14d)에 의해 외측에서 고정결합되며 선단돌출부(17c) 좌측상하단부에는 좌측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H빔인 가이드레일(20) 우측면을 우측수직지지판(14) 선단면으로 밀착시키는 좌측상하부밀착돌부(17f,17g)를 각각 갖으며 좌측상하부밀착돌부(17f,17g) 후방측 선단면에는 미끄럼방지패드(17fa,17ga)가 각각 고정결합되는 우측밀착슬라이딩고정블럭(17)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
KR1020210048558A 2021-04-14 2021-04-14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 KR10229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558A KR102290208B1 (ko) 2021-04-14 2021-04-14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558A KR102290208B1 (ko) 2021-04-14 2021-04-14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208B1 true KR102290208B1 (ko) 2021-08-17

Family

ID=7746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558A KR102290208B1 (ko) 2021-04-14 2021-04-14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2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484Y1 (ko) 2006-04-20 2006-07-04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브라켓
KR20100004581A (ko) * 2008-07-04 2010-01-13 (주)미래엔지니어링 갱 폼 인양용 구동식 고정대
KR101063161B1 (ko) * 2009-10-20 2011-09-07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KR101819858B1 (ko) * 2017-05-10 2018-01-18 이명래 클라이밍 시스템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이동을 위한 개선된 형태의 클라이밍 시스템용 클라이밍 슈
KR101929462B1 (ko) * 2016-10-26 2018-12-1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갱폼의 이탈방지레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484Y1 (ko) 2006-04-20 2006-07-04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브라켓
KR20100004581A (ko) * 2008-07-04 2010-01-13 (주)미래엔지니어링 갱 폼 인양용 구동식 고정대
KR101063161B1 (ko) * 2009-10-20 2011-09-07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KR101929462B1 (ko) * 2016-10-26 2018-12-1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갱폼의 이탈방지레일 고정장치
KR101819858B1 (ko) * 2017-05-10 2018-01-18 이명래 클라이밍 시스템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이동을 위한 개선된 형태의 클라이밍 시스템용 클라이밍 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0484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브라켓
KR100924652B1 (ko) 허니콤부재를 이용한 토건용 거푸집 패널
KR102290208B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확장형 브라켓
KR100860064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슬래브패널구조
KR20090047922A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
KR101332929B1 (ko)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연결고정구
KR20200135139A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JP2018135190A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架台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
KR101366714B1 (ko) 에프알피 패널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20160133151A (ko) 가변 앵커
JP6910101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型枠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200241690Y1 (ko) 거푸집용 인코너틀
KR102542361B1 (ko) 합성기둥 구조물
KR100685440B1 (ko) 거푸집용 지지구
KR102620792B1 (ko) 시공성이 향상된 합성기둥 구조물
KR102575033B1 (ko) 합성보 구조물
KR100728736B1 (ko) 거푸집 보강대
KR101514891B1 (ko)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200277906Y1 (ko) 구조물의 코너부 시공용 거푸집
KR100668457B1 (ko)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KR200497116Y1 (ko) 무해체 거푸집용 철근 안전고정장치
KR101803487B1 (ko) 거푸집 연결용 보강재
KR101043756B1 (ko) 타워 크레인 고정 장치
KR200264188Y1 (ko) 승강기용 공동부 벽체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
CN109296209A (zh) 一种钢筋桁架楼承板安装用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