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856Y1 -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 - Google Patents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856Y1
KR200311856Y1 KR20-2003-0000145U KR20030000145U KR200311856Y1 KR 200311856 Y1 KR200311856 Y1 KR 200311856Y1 KR 20030000145 U KR20030000145 U KR 20030000145U KR 200311856 Y1 KR200311856 Y1 KR 200311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support plate
support
wa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우
Original Assignee
삼흥정공 주식회사
김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흥정공 주식회사, 김경우 filed Critical 삼흥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0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8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8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현장에서 외벽공사 등을 하기 위해 건축물의 외부둘레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을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발판 등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을 건축물 벽체에 고정하기가 어렵고, 수직프레임이 건축물의 벽체와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여 수직프레임의 지지상태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발판의 안전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각종 안전사고가 유발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T형 지지판(10)의 전방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받침판(20)을 마련하고, C형 수직프레임(200)의 절곡부(201)에 삽입되는 끼움홈(31)이 선단부에 형성된 끼움판(30)을 각 받침판(20)의 상단과 하단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T형 지지판(10)의 전방 상부 중앙의 양 받침판(30)의 사이에 상부와 전방이 개구된 삽입공간(40)을 마련하는 동시에 삽입공간(40)에 한 쌍의 C형 수직프레임(200)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막대(50)를 설치하고, T형 지지판(10)의 전방 하단부와 삽입공간(40) 하단 중앙 사이에 경사지지막대(60)를 설치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C형 수직프레임(200)에 간편하게 지지브라켓트(100)를 설치하여 벽체(300)와 결합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벽체(300)에 수직프레임(2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수직프레임(200)에 설치되는 발판(600) 등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건축현장의 각종 안전사고를 크게 저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 { a scaffold bracket }
본 고안은 건축현장에서 외벽공사 등을 하기 위해 건축물의 외부둘레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을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벽체에 수직프레임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여 발판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외벽공사를 할 때에는 건축물 둘레에 다수의 수직프레임을 세우고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일정 높이로 발판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는 파이프형의 수직프레임에 체결클립을 통해 파이프형의 수평프레임을 설치하고, 한 쌍의 수평프레임의 사이에 발판을 설치하는 예가 많았던 바, 이와 같이 발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직프레임을 건축물 벽체에 고정하기가 어렵고, 많은 수의 수평프레임을 사용하여야 하는 데다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교차부위마다에 체결클립을 설치한 후에야 비로소 발판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발판의 설치작업이 극히 번거롭게 될 뿐 아니라 작업인력과 작업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수직프레임이 건축물의 벽체와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여 수직프레임의 지지상태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발판의 안전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각종 안전사고가 유발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건축물의 외부둘레에 설치되어 발판 등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을 벽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일 수직프레임 설치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동 실시예의 다른 발판 설치상태의 요부 측면도
도 7은 동 실시예의 또 다른 발판 설치상태의 요부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T형 지지판 20 : 받침판
30 : 끼움판 31 : 끼움홈
40 : 삽입공간 50 : 삽입막대
60 : 경사지지막대 100 :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
200 : C형 수직프레임 201 : 절곡부
300 : 벽체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T형 지지판의 전방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받침판을 마련하고, 선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판을 각 받침판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양 받침판의 사이에 상부와 전방이 개구된 삽입공간을 마련하는 동시에 삽입공간에 한 쌍의 C형 수직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막대를 설치하고, T형 지지판의 전방 하단부와 삽입공간 하단 중앙 사이에 경사지지막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결합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C형 수직프레임(200)을 벽체(300)에 안정적으로지지하기 위한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T형 지지판(10)의 전방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받침판(20)을 마련하고, C형 수직프레임(200)의 절곡부(201)에 삽입되는 끼움홈(31)이 선단부에 형성된 끼움판(30)을 각 받침판(20)의 상단과 하단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T형 지지판(10)의 전방 상부 중앙의 양 받침판(30)의 사이에 상부와 전방이 개구된 삽입공간(40)을 마련하는 동시에 삽입공간(40)에 한 쌍의 C형 수직프레임(200) 사이에 삽입되는삽입막대(50)를 설치하고, T형 지지판(10)의 전방 하단부와 삽입공간(40) 하단 중앙 사이에 경사지지막대(60)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T형 지지판(10)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체결홈(11)과 체결구멍(12)이 형성되며, 받침판(20)과 끼움판(30)의 중앙부에는 회동중심축(32)이 설치되고, 받침판(20)과 끼움판(30)의 전방과 후방에는 고정핀(33)이 설치된다.
삽입공간(40)에 삽입된 삽입막대(50)의 후방에는 지지핀(51)이 설치되며, 삽입막대(50)의 상단 전방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2)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핀삽입공간(53)이 마련된다.
경사지지막대(60)의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클램프 설치구멍(61)이 마련된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23a 및 33a는 고정핀 삽입구멍, 202는 하부받침핀, 203은 상부받침핀, 301은 수평체결볼트, 400은 연장브라켓트, 401은 연결볼트, 402는 수직체결볼트, 500은 L형 클램프, 501은 클램프 체결볼트, 600은 발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10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C형 수직프레임(200)의 사이에 하부받침핀(202)을 설치하고, 도 3과 같이 각 끼움판(30)의 선단부를 바깥쪽으로 벌려 하부받침핀(202)의 상부에 삽입막대(50)를 삽입한 다음 각 끼움판(30)을 안쪽으로 오므려 끼움홈(31)을 C형 수직프레임(200)의 절곡부(201)에 결합한 후 삽입막대(50)의 양 가이드돌기(52) 사이의 핀삽입공간(53)에 상부받침핀(203)을 삽입 결합하고 받침판(20)과 끼움판(30)의 전방과 후방에 고정핀(33)을 설치하면 C형 수직프레임(200)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C형 수직프레임(200)에 지지브라켓트(100)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삽입막대(50)의 상단 및 하단이 상부받침핀(203) 및 하부받침핀(203)에 의해 지지되고, 각 끼움판(30)의 끼움홈(31)이 C형 수직프레임(200)의 절곡부(201)에 결합되어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 좌우방향 등 모든 방향으로의 유동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한편 본 고안의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100)가 설치된 C형 수직프레임(200)을 벽체(300)와 결합하고자 할 때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T형 지지판(10)의 체결구멍(11)에 결합되는 수평체결볼트(301)를 통해 벽체(300)와 결합하거나 도 7과 같이 T형 지지판(10)의 전방에 연장브라켓트(400)를 설치하고 경사지지막대(60)에 L형 클램프(500)를 설치한 후 연장브라켓트(400)의 하단과 L형 클램프(500)의 상단 사이에 벽체(300)를 삽입하고 연장브라켓트(400)와 벽체(300), L형 클램프(500)를 결속하는 수직체결볼트(402)를 결합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벽체(300)에 수직프레임(200)을 결합할 수 있게 되며, 수직프레임(200)과 벽체(3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이 벽체(300)에 결합된 수직프레임(200)의 전방에 또 다른 수직프레임(200)을 설치한 다음 양 수직프레임(200)의 사이에 발판(600) 등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T형 지지판(10)의 전방 양측에 받침판(20)을 마련하고, 각 받침판(20)에 C형 수직프레임(200)의 절곡부(201)에 결합되는 끼움홈(31)을 갖는 끼움판(30)을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양 받침판(20)의 사이에 한 쌍의 C형 수직프레임(200)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막대(50)를 설치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C형 수직프레임(200)에 간편하게 지지브라켓트(100)를 설치하여 벽체(300)와 결합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벽체(300)에 수직프레임(2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수직프레임(200)에 설치되는 발판(600) 등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건축현장의 각종 안전사고를 크게 저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T형 지지판(10)의 전방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받침판(20)을 마련하고, C형 수직프레임(200)의 절곡부(201)에 삽입되는 끼움홈(31)이 선단부에 형성된 끼움판(30)을 각 받침판(20)의 상단과 하단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T형 지지판(10)의 전방 상부 중앙의 양 받침판(30)의 사이에 상부와 전방이 개구된 삽입공간(40)을 마련하는 동시에 삽입공간(40)에 한 쌍의 C형 수직프레임(200)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막대(50)를 설치하고, T형 지지판(10)의 전방 하단부와 삽입공간(40) 하단 중앙 사이에 경사지지막대(6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
  2. 제1항에 있어서, 받침판(20)과 끼움판(30)의 중앙부에 회동중심축(32)을 설치하는 동시에 받침판(20)과 끼움판(30)의 전방과 후방에 고정핀(33)을 설치하고, 삽입공간(40)에 삽입된 삽입막대(50)의 후방에 지지핀(51)을 설치하며, 삽입막대(50)의 상단 전방에 한 쌍의 가이드돌기(52)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핀삽입공간(53)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
KR20-2003-0000145U 2003-01-03 2003-01-03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 KR200311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145U KR200311856Y1 (ko) 2003-01-03 2003-01-03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145U KR200311856Y1 (ko) 2003-01-03 2003-01-03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856Y1 true KR200311856Y1 (ko) 2003-05-09

Family

ID=4940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145U KR200311856Y1 (ko) 2003-01-03 2003-01-03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8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161B1 (ko) 2009-10-20 2011-09-07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KR101929462B1 (ko) * 2016-10-26 2018-12-1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갱폼의 이탈방지레일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161B1 (ko) 2009-10-20 2011-09-07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KR101929462B1 (ko) * 2016-10-26 2018-12-1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갱폼의 이탈방지레일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2261Y1 (ko) 안내판 지지구조
KR200311856Y1 (ko) 건축용 수직프레임 지지브라켓트
JP2012197609A (ja) 先行手摺り
KR200427523Y1 (ko) 펜스구조물 조립용 클램프
JP2002356989A (ja) 枠組足場における手摺の取付装置
KR200205940Y1 (ko)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
KR101286775B1 (ko) 천정패널 고정 및 캐링찬넬 유동방지를 위한 클립바 조립구조
CN212534698U (zh) 一种便于安装的建筑幕墙
KR101387053B1 (ko) 펜스조립용 클램프
KR100537226B1 (ko) 철책
JPH0450352Y2 (ko)
CN218028347U (zh) 一种适用于室内铝板悬挂安装的幕墙
KR200321084Y1 (ko) 유로 폼 패널의 보강구조
KR200311208Y1 (ko)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
RU2256044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монтажных элементов системы лесов и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нее блок муфты и рама лесов
CN218405803U (zh) 一种插板式钢牛腿托架
KR100546069B1 (ko) 건축용 비계
JP2571931Y2 (ja) 陳列台のコーナー棚装置
KR20120087497A (ko) 확장형 발코니용 브라켓
CN216336024U (zh) 一种电梯井道框架结构
JP3053198U (ja) 足場用の支持金具
CN213118363U (zh) 一种贴墙式壁挂装置及壁挂式显示设备
CN210530303U (zh) 一种脚手架安全挂钩
CN218760780U (zh) 一种连接结构及其猫家具
CN211666059U (zh) 装配式天花板的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