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212B1 -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 Google Patents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212B1
KR100666212B1 KR20050030107A KR20050030107A KR100666212B1 KR 100666212 B1 KR100666212 B1 KR 100666212B1 KR 20050030107 A KR20050030107 A KR 20050030107A KR 20050030107 A KR20050030107 A KR 20050030107A KR 100666212 B1 KR100666212 B1 KR 100666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hoe
guide
locking member
shap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3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880A (ko
Inventor
홍영근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3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21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7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2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에 관한 것으로, 걸림핀이 장착되는 양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고 또한 걸림부재의 상방 회동시 상면이 맞닿는 부위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내 걸림 슈의 양측면 외부의 걸림핀 부위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지 않아 걸림부재의 회동이 원활하게 될 뿐만 아니라 걸림부재가 상방으로 90°이상 회동하지 않게 되어서 걸림부재가 확실하게 다시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걸림부재의 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안내 걸림 슈, 함몰부, 스토퍼

Description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GUIDING SUSPENSION SHOE OF A GUIDE DEVICE FOR A CLIMBING TYPED CONSTRUCTION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걸림 슈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걸림 슈의 일부 절개 사시도로서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걸림 슈의 종단면도로서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이 삽입되되 최내측 프레임의 걸림돌기가 안내 걸림 슈의 걸림부재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걸림 슈의 종단면도로서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이 삽입되되 최내측 프레임의 걸림돌기가 안내 걸림 슈의 걸림부재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축구조물의 시공시에, 크레인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층으로 인 양되어 상승되는 상승식 가설대를 안내하는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건축구조물의 외측면에서의 작업, 예를 들어, 건축구조물의 외벽 또는 슬라브 외측면에 대한 거푸집 설치 작업을 위해 가설대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저층 건축구조물의 시공시에는 지면에서부터 건축구조물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식 가설대가 사용된다. 고정식 가설대는, 작업자가 강관들을 클램프나 조인트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건축구조물의 외측면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건축구조물의 층수가 증가됨에 따라 계속해서 위로 가설대를 추가하여 설치해야 하는데, 이렇게 가설대를 추가하여 설치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고층 건축구조물의 시공시에는, 건축구조물의 층수가 너무 높아 지면에서부터 건축구조물의 최상층까지 고정식 가설대를 추가해서 설치할 수가 없으므로, 크레인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층으로 인양되어 상승되는 상승식 가설대가 사용된다. 상승식 가설대는, 미리 소정 형태의 틀로 만들어져 건축구조물의 외측면에 앵커 유닛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건축구조물의 층수가 증가됨에 따라 크레인에 의해 상층으로 인양되어 상승되는데, 고층에서의 인양 작업이 바람의 영향을 받으므로 상승식 가설대를 안내하는 안내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상승식 안내장치는, 건축구조물의 외측면에 설치된 앵커 유닛에 ㄷ자형 안내 걸림 슈(guiding suspension shoe)가 설치되고, 이 안내 걸림 슈에 가설대 의 최내측 프레임이 장착되되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이 안내 걸림 슈를 따라 상승가능하면서 안내 걸림 슈에 걸리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승식 안내장치는, ㄷ자형 안내 걸림 슈에 걸림부재가 걸림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걸림부재의 저면이 수평으로 되었을 때 걸림부재의 저면에 맞닿는 위치에 받침핀이 고정되어 있고,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에 걸림돌기가 복수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이 상승함에 따라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의 걸림돌기의 상면이 안내 걸림 슈의 걸림부재의 저면에 맞닿으면서 걸림부재가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걸림돌기가 걸림부재를 넘어설 때까지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을 더 인양하면 걸림부재가 다시 하방으로 회동하여 걸림부재의 저면이 받침핀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을 다시 하강시키면 걸림돌기가 수평의 걸림부재의 걸림홈에 맞물려 최내측 프레임의 위치가 고정되며, 이로써 최내측 프레임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상승식 안내장치는, 거푸집에서 떨어지는 콘크리트 등 이물질이 안내 걸림 슈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내 걸림 슈의 상부에 커버가 씌워지기는 하지만 걸림핀이 안내 걸림 슈의 양측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걸림핀 부위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면 걸림부재의 회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걸림부재가 상방으로 회동한 후 자중만으로 다시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걸림부재가 상방으로 90°이상 회동하게 되면 걸림부재가 다시 하방으로 회동하지 않게 되어 걸림부재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 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핀이 장착되는 양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고 또한 걸림부재의 상방 회동시 상면이 맞닿는 부위에 스토퍼가 형성된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는, 고층 건축구조물의 외측면에 설치된 공지의 앵커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미리 소정 형태의 틀로 만들어진 상승식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을 안내하면서 걸리게 하는 ㄷ자형 안내 걸림 슈로서,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의 양측 부분에서 중간 부분에 인접하게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걸림핀,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의 양측 부분에서 상기 걸림핀이 장착되는 부분 주위에 형성된 함몰부, 상기 걸림핀의 길이방향의 중간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걸림부재,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의 양측 부분에서 상기 걸림핀의 우측 하방에 관통되어 고정되되 상기 걸림부재의 저면이 수평으로 되었을 때 상기 걸림부재의 저면에 맞닿는 위치에 고정된 받침핀,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걸림부재의 상방 회동시 상면이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재가 90°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걸림 슈가 예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안내 걸림 슈(10)는 고층 건축구조물의 외측면에 설치된 공지의 앵커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미리 소정 형태의 틀로 만들어진 상승식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30)을 안내하면서 걸리게 하는 것으로서, 걸림핀(11)과 함몰부(12)와 걸림부재(13)와 받침핀(15)과 스토퍼(16)를 포함하고 있다.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에서 중간 부분에 인접하게는 걸림핀(11)이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걸림핀(11)의 길이방향의 중간에는 상면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저면이 평탄한 걸림부재(13)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또한,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에서 걸림핀(11)이 장착되는 부분 주위에는 함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걸림핀(11)이 장착되는 부분 주위에 함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핀(11)이 안내 걸림 슈의 양측면 외부로 돌출되어 않게 되며, 따라서, 걸림핀(11) 부위에 이물질이 끼이지 않게 되어 걸림부재(13)의 회동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이렇게 걸림핀(11)이 장착되는 부분 주위에 함몰부(12)가 형성되면,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들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므로, 걸림핀(11)이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이 더 커지게 된다. 이는 양단지지보의 중간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양단지지보의 거리가 짧을수록 더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원리와 같다.
또한,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중간 부분의 상단에는 안내 걸림 슈(10)를 앵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에서 걸림핀(11)의 우측 하방에는 받침핀(15)이 관통되어 고정되어 있는데, 이 받침핀(15)은 걸림부재(13)의 저면이 수평으로 되었을 때 걸림부재(13)의 저면에 맞닿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걸림부재(13)는 그 저면이 받침핀(15)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는다.
또한,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중간 부분에서 걸림부재(13)의 상방 회동시 상면이 맞닿는 부위에는 스토퍼(1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스토퍼(16)는 걸림부재(13)가 90°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돌출되어 있다. 즉, 걸림부재(13)가 상방으로 회동하더라도 걸림부재(13)의 상면이 스토퍼(16)에 맞닿음으로써 회동각도가 90°이상되지 않게 스토퍼(16)가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이렇게 걸림부재(13)의 상방으로의 회동각도가 90°이상되지 않게 되면, 걸림부재(13)가 확실하게 다시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걸림부재(13)의 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의 각각의 내측에는 세로방향으로 가이드 채널(1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가이드 채널(17)은 걸림부재(13)와 간섭하지 않게 되면서 상하단부의 폭이 크고 중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함몰부(12)는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이드 채널(17)의 안쪽 일측면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몰부(12)가 ㄷ자형 안내 걸 림 슈(10)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가이드 채널(17)의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중간 부분쪽 일측면까지 형성되게 되면, 가설대가 풍압에 의해 안내 걸림 슈(10) 쪽으로 밀려서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30)이 가이드 채널(17)의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중간 부분쪽 일측면을 건축구조물의 외측면 쪽으로 미는 경우에,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의 함몰부(12)가 가이드 채널(17)의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중간 부분쪽 일측면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에서 가이드 채널(17)의 우측 상방에는 안전핀용 관통공(19)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설대 최내측 프레임(30)을 중앙부(31)와 전후 날개부(33)로 이루어진 H자형강으로 예시하였으며, 안내 걸림 슈(10)에 대면하는 날개부(33)에는 세로 중심선을 따라 쐐기형 걸림돌기(35)가 복수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다. 또한, 최내측 프레임(30)의 중앙부(31)에는 세로 중심선을 따라 안전핀용 관통공(37)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30)이 안내 걸림 슈(10) 내에 삽입될 때, 최내측 프레임(30)의 전방 날개부(33)가 안내 걸림 슈(10)의 가이드 채널(17)에 삽입된 후, 최내측 프레임(30)의 쐐기형 걸림돌기(35)가 안내 걸림 슈(10)의 걸림부재(13)에 걸려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에서, 최내측 프레임(30)의 안전핀용 관통공(37)은, 최내측 프레임(30)의 쐐기형 걸림돌기(35)가 안내 걸림 슈(10)의 걸림부재(13)에 걸렸을 때, 안내 걸림 슈(10)의 안전핀용 관통공(19)에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최내측 프레임(30)의 쐐기형 걸림돌기(35)가 안내 걸림 슈(10)의 걸림부재 (13)에 걸렸을 때, 안내 걸림 슈(10)의 안전핀용 관통공(19)과 최내측 프레임(30)의 안전핀용 관통공(37)에는 안전핀(50)이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내장치가 적용된 상승식 가설대를 상승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최내측 프레임(30)의 중간의 쐐기형 걸림돌기(35)가 안내 걸림 슈(10)의 걸림부재(13)에 걸린 상태에서, 안전핀(50)을 안내 걸림 슈(10)의 안전핀용 관통공(19)과 최내측 프레임(30)의 안전핀용 관통공(37)에서 이탈시킨 후, 크레인(미도시)에 의해 가설대, 즉, 최내측 프레임(30)을 인양하면, 최내측 프레임(30)의 하부의 쐐기형 돌기(35)의 상면이 안내 걸림 슈(10)의 걸림부재(13)의 저면에 맞닿으면서 걸림부재(13)가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하부의 쐐기형 거림돌기(35)가 걸림부재(13)를 넘어설 때까지 가설대, 즉, 최내측 프레임(30)을 더 인양하면 걸림부재(13)가 다시 하방으로 회동하여 걸림부재(13)의 저면이 받침핀(15)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가설대, 즉, 최내측 프레임(30)을 다시 하강시키면 하부의 쐐기형 걸림돌기(35)가 걸림부재(13)의 걸림홈에 맞물려 최내측 프레임(30)의 위치가 고정되며, 이 때 안전핀(50)을 안내 걸림 슈(10)의 안전핀용 관통공(19)과 최내측 프레임(30)의 안전핀용 관통공(37)에 삽입 고정하면 최내측 프레임(30)의 위치가 확실하게 고정되며, 이로써 최내측 프레임(30)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또한, 걸림부재(13)는 걸림핀(11)에 관통되는 부분의 반대 외측면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에서 걸림핀(11)의 우측 상방에는 직립유지핀용 관통공(18a)이 형성되고 이 직 립유지핀용 관통공(18a)에는 직립유지핀(18)이 관통되어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는데, 이 직립유지핀(18)은 걸림부재(13)의 상면이 스토퍼(16)에 맞닿았을 때 스토퍼(16)의 경사면에 맞닿는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걸림부재(13)가 직립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따라서, 작업시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걸림부재(13)를 상방으로 회동시켜서 직립유지핀(18)을 삽입하여 걸림부재(13)를 직립으로 유지시킨 다음 가설대, 즉, 최내측 프레임(30)을 상방으로 인양하면 최내측 프레임(30)의 중간의 쐐기형 걸림돌기(35)가 걸림부재(13)와 맞닿지 않고 상승하게 되며, 최내측 프레임(30)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작업자가 직립유지핀(18)을 안내 걸림 슈(10)로부터 빼내어서 걸림부재(13)가 수평으로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최내측 프레임(30)을 다시 하강시키면 쐐기형 걸림돌기가 걸림부재(13)의 걸림홈에 맞물려 최내측 프레임(30)의 위치가 고정되며, 이로써 최내측 프레임(30)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직립유지핀(18)을 사용하게 되면, 최내측 프레임(30)의 인양시 그 걸림돌기(35)가 걸림부재(13)에 맞닿지 않게 되므로 최내측 프레임(30)의 인양작업이 걸리적거림이 없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걸림핀(11)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1a)가 감겨질 수도 있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1a)은 그 일단이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중간 부분에 맞닿고 그 타단이 걸림부재(13)의 상면에 걸쳐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11a)은 상방으로 회동된 걸림부재(13)가 수평 위치로 확실하게 복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에 의하면, 걸림핀이 장착되는 양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고 또한 걸림부재의 상방 회동시 상면이 맞닿는 부위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내 걸림 슈의 양측면 외부의 걸림핀 부위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지 않아 걸림부재의 회동이 원활하게 될 뿐만 아니라 걸림부재가 상방으로 90°이상 회동하지 않게 되어서 걸림부재가 확실하게 다시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걸림부재의 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층 건축구조물의 외측면에 설치된 공지의 앵커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미리 소정 형태의 틀로 만들어진 상승식 가설대의 최내측 프레임(30)을 안내하면서 걸리게 하는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로서,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에서 중간 부분에 인접하게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걸림핀(11),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에서 상기 걸림핀(11)이 장착되는 부분 주위에 형성된 함몰부(12),
    상기 걸림핀(11)의 길이방향의 중간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걸림부재(13),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에서 상기 걸림핀(11)의 우측 하방에 관통되어 고정되되 상기 걸림부재(13)의 저면이 수평으로 되었을 때 상기 걸림부재(13)의 저면에 맞닿는 위치에 고정된 받침핀(15),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걸림부재(13)의 상방 회동시 상면이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재(13)가 90°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돌출된 스토퍼(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걸림 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의 각각의 내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채널(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채널(17)은 상기 걸림부재(13)와 간섭하지 않으면서 상하단부의 폭이 크고 중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함몰부(12)는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채널(17)의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중간 부분쪽 일측면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걸림 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3)는 상기 걸림핀(11)에 관통되는 부분의 반대 외측면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양측 부분에서 상기 걸림핀(11)의 우측 상방에는 직립유지핀(18)이 관통되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걸림부재(13)의 상면이 상기 스토퍼(16)에 맞닿았을 때 상기 스토퍼(16)의 경사면에 맞닿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안내 걸림 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11)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1a)가 감기되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11a)의 일단이 상기 ㄷ자형 안내 걸림 슈(10)의 중간 부분에 맞닿고 타단이 상기 걸림부재(13)의 상면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걸림 슈.
KR20050030107A 2005-04-11 2005-04-11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KR100666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0107A KR100666212B1 (ko) 2005-04-11 2005-04-11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0107A KR100666212B1 (ko) 2005-04-11 2005-04-11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909U Division KR200393396Y1 (ko) 2005-04-11 2005-04-11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880A KR20060107880A (ko) 2006-10-16
KR100666212B1 true KR100666212B1 (ko) 2007-01-09

Family

ID=3762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30107A KR100666212B1 (ko) 2005-04-11 2005-04-11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2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011B1 (ko) 2007-04-11 2008-06-24 금강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15B1 (ko) * 2006-12-05 2007-06-21 이병영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KR100832000B1 (ko) * 2007-07-19 2008-05-26 미진정공(주) 갱폼 장치
CN111927075B (zh) * 2020-08-10 2021-10-08 厦门安科科技有限公司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设备
KR102234335B1 (ko) * 2020-11-05 2021-03-31 신성홍 건물 외벽 거푸집 및 비계의 안전한 인양을 위한 가이드 및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011B1 (ko) 2007-04-11 2008-06-24 금강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880A (ko)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212B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KR20130001947A (ko)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시스템
KR20190114731A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0393396Y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JP5847239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設置方法および装置
KR100609726B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KR101873394B1 (ko)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의 고정슈
KR101945325B1 (ko) 비계용 화물 승강기
KR200355424Y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KR200397948Y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 걸림 장치
KR20060107874A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KR20090084163A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갱폼 가이드 시스템
KR101989048B1 (ko) 엘리베이터 비상탈출용 비상사다리
KR200389401Y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JP5170557B2 (ja) 仮設足場用階段枠
KR200428552Y1 (ko) 상승식 가설대용 고정슈
US20210095484A1 (en) Elevated walkway system and method
KR200472214Y1 (ko) 고소작업대의 안전 난간
EP1647512A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JP5000106B2 (ja) エレベータ設備を移動させる装置
KR101613425B1 (ko) 프로파일 걸림 장치
KR102598010B1 (ko) 맨홀 사다리용 발판
KR20200077843A (ko) 승강형 가이드슈를 이용한 건물 외벽 시공방법
KR100641465B1 (ko)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JP7099423B2 (ja) 梯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