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486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486A
KR20180101486A KR1020187022888A KR20187022888A KR20180101486A KR 20180101486 A KR20180101486 A KR 20180101486A KR 1020187022888 A KR1020187022888 A KR 1020187022888A KR 20187022888 A KR20187022888 A KR 20187022888A KR 20180101486 A KR20180101486 A KR 20180101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ope
speculative
rope fixing
fixing por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426B1 (ko
Inventor
게이타 시마바야시
도요히로 노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1Guideways; Guides with a particular position in th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승강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져 있다.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의 제1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는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와, 메인 로프의 제2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장치는, 균형추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고, 또한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는,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 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균형추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의 상단부에 유닛 프레임을 고정하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 로프의 단부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이동시키는 권상기를 유닛 프레임에 장착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알려져 있다. 권상기는 유닛 프레임의 하부 빔의 상부에 배치되고, 메인 로프의 단부는 유닛 프레임의 하부 빔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권상기를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해서, 권상기를 장착한 유닛 프레임의 상부를 체인 블록에 의해 매달면서 권상기를 상승시킨 후, 권상기를 아래로부터 받는 리프팅 지그에 체인 블록을 다시 연결하여 권상기를 더 상승시키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4828084호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져 있는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권상기가 장착된 유닛 프레임의 하부 빔에 메인 로프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균형추의 상하 방향의 이동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권상기를 승강로의 천정에 가능한 한 가깝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유럽 안전 규격의 EN81-20에 의하면, 승강로 기기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엘리베이터 칸 위에서 행할 때, 엘리베이터 칸 위의 작업면으로부터 승강로의 천정까지의 거리를 2100mm 이상으로 확보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져 있는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의 천정에 가능한 한 가깝게 하여 권상기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EN81-20을 준수하면, 엘리베이터 칸 상(上)의 작업면으로부터 보아 권상기의 위치가 높아져, 권상기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이 하기 어려워져 버린다.
또,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의 천정에 권상기를 가능한 한 가깝게 하기 위해, 권상기의 설치시에, 권상기를 아래로부터 받는 리프팅 지그를 체인 블록에 의해 매달아 권상기를 양중(揚重)할 필요가 있으므로, 리프팅 지그가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권상기에 대해 매달린 지점의 위치가 권상기의 하부가 되어 버려, 불안정하게 매달린 상태에서 권상기의 양중 작업을 행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균형추의 이동 범위를 확보한 채로, 구동 장치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 및 구동 장치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승강로 내에 마련되며, 균형추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구동 쉬브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추측 메인 로프단(端) 장치,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 및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2 단부를 가지며, 구동 쉬브에 감아 걸려져 있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를 구비하며, 구동 장치는, 균형추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고, 또한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고,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는,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가 구동 장치의 하부에서 균형추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균형추의 이동 범위를 유지한 채로, 구동 장치의 위치를 내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의 천정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한 거리 이상 떨어진 엘리베이터 칸 상(上)의 작업면에 대해서 구동 장치의 위치를 가깝게 할 수 있어, 구동 장치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구동 장치의 위치를 내려 승강로의 천정면으로부터 구동 장치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넓힐 수 있으므로, 구동 장치의 설치시에, 승강로의 천정면에 구동 장치를 가능한 한 가깝게 할 필요가 없어져, 양중기에 의해 구동 장치의 상부를 매달면서 구동 장치를 설치 위치까지 안정되게 옮길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장치의 설치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권상기 및 유닛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권상기 및 유닛 프레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권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 및 유닛 프레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에는,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대향하는 한 쌍의 승강로 벽면(1a, 1b)이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저면, 상면, 정면, 배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 본체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엘리베이터 칸 본체의 일방의 측면을 일방의 승강로 벽면(1a)에 대향시키고, 엘리베이터 칸 본체의 타방의 측면을 타방의 승강로 벽면(1b)에 대향시킨 상태로 승강로(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정면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각 층의 승강장(6)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일방의 승강로 벽면(1a)과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과의 사이에 균형추(3)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예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균형추 횡(橫) 낙하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이다.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과,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 사이에 배치되고, 균형추(3)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플랜지부(4a)와, 플랜지부(4a)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고 플랜지부(4a)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안내부(4b)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의 단면 형상은, 플랜지부(4a) 및 안내부(4b)에 의해서 T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은,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각 안내부(4b)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의 각각의 안내부(4b)에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은,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플랜지부(5a)와, 플랜지부(5a)로부터 돌출되고 플랜지부(5a)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안내부(5b)를 가지고 있다.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단면 형상은, 플랜지부(5a) 및 안내부(5b)에 의해서 T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은, 승강로(1)의 깊이 방향, 즉 승강로(1)의 폭방향 및 상하 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각 안내부(5b)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의 각각의 안내부(4b) 사이를 잇는 직선(A)과,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이 직교하고 있다. 또,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은,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의 각각의 안내부(4b) 사이를 잇는 직선(A)보다도 승강장(6)으로부터 보아 안쪽측에 배치되고, 또한 일방의 승강로 벽면(1a)과 엘리베이터 칸(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는,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에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인 권상기(7)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7)는, 균형추(3)의 상하 방향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권상기(7)의 적어도 일부가 균형추(3)의 영역 내에 존재하고 있다. 또, 권상기(7)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지름 방향 치수가 축선 방향 치수보다도 큰 박형(薄型) 권상기가 권상기(7)로서 이용되어 있다.
권상기(7)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71)와, 구동 장치 본체(7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구동 장치 본체(7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쉬브(72)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7)는, 구동 쉬브(72)의 회전축을 수평으로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72)를 엘리베이터 칸(2)측을 향하게 하고, 구동 장치 본체(71)를 승강로 벽면(1a)을 향하게 한 상태로 권상기(7)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에 구동 쉬브(72)의 회전축의 축선이 직교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suspension sheave)(8)가 마련되어 있다.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8)는 엘리베이터 칸 본체의 일방의 측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방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8)는 엘리베이터 칸 본체의 타방의 측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에 대해서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9)의 축선이 경사져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 및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11)가 마련되어 있다.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기(7)와 승강로 벽면(1a)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가 균형추(3)의 상하 방향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적어도 일부가 균형추(3)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최상부의 위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또,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최하부의 위치는, 권상기(7)의 최하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7)의 하부에서 균형추(3)가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와 간섭하는 것이 회피되어 있다. 게다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를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권상기(7)를 보았을 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일부는 권상기(7)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는,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를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11)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측면과 승강로 벽면(1b)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11)는, 도시하지 않은 빔을 매개로 하여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 지지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11)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13)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14)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다. 각 메인 로프(14)는, 제1 단부(14a) 및 제2 단부(14b)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에는 각 메인 로프(14)의 각각의 제1 단부(14a)가 개별로 접속되고,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13)에는 각 메인 로프(14)의 각각의 제2 단부(14b)가 개별로 접속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14)는, 제1 단부(14a)로부터,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9), 구동 쉬브(72),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8)의 순서로 감아 걸려지고, 제2 단부(14b)에 이르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메인 로프(14)는,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9), 구동 쉬브(72),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8)에 감아 걸려져 있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매달고 있다.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프레임(24)이 고정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24)의 하부는, 한 쌍의 하부 고정대(25)에 의해서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고, 유닛 프레임(24)의 상부는, 한 쌍의 상부 고정대(26)에 의해서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하부 고정대(25)가 유닛 프레임(24)에 걸리는 하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구로 되고, 각 상부 고정대(26)가 유닛 프레임(24)의 편심에 의한 모멘트를 받는 흔들림 방지구로 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24)에는,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가 장착되어 있다. 또, 유닛 프레임(24)은, 권상기(7)를 지지하는 빔인 하부 빔(21)과,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지지하는 빔인 상부 빔(22)과, 하부 빔(21) 및 상부 빔(22)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 기둥(23)을 가지고 있다. 즉, 유닛 프레임(24)은,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개별로 지지하는 복수의 빔(21, 22)과, 복수의 빔(21, 22)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 기둥(23)을 가지고 있다. 하부 빔(21)에 지지되어 있는 권상기(7)는, 하부 빔(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하부 빔(21)이 각 하부 고정대(25)에 장착되고, 상부 빔(22)이 각 상부 고정대(26)에 장착되어 있다.
각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의 각각은, 메인 로프(14)의 제1 단부(14a)가 접속되어 있는 섀클(shackle) 로드(31)와, 섀클 로드(31)에 마련되어 있는 탄성체 받이인 받이판(32)과, 메인 로프(14)에 걸리는 하중을 받이판(32)으로부터 받는 탄성체인 스프링(33)과, 섀클 로드(31)에 나사 결합되고, 섀클 로드(31)에 대한 받이판(32)의 위치를 섀클 로드(3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조정하는 조정구인 너트(34)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33)은, 받이판(32)으로부터의 하중을 받아 탄성 변형한 상태로 상부 빔(22)의 상면과 받이판(32)과의 사이에서 수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의 받이판(32), 스프링(33) 및 너트(34)의 각각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천정면(1c)과 상부 빔(22)과의 사이에는, 섀클 로드(31)의 상부, 받이판(32), 스프링(33) 및 너트(34)가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메인 로프(14)의 장력은, 너트(34)를 조작하여 섀클 로드(31)에 대한 받이판(32)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13)의 각각의 구성도,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13)의 각각의 섀클 로드에는, 메인 로프(14)의 제2 단부(14b)가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권상기(7) 및 유닛 프레임(24)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권상기(7) 및 유닛 프레임(24)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부 빔(22)의 위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빔(21)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상부 빔(22)의 상면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하부 빔(2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를 포함하는 평면(B)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빔(22) 및 한 쌍의 세로 기둥(23)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를 포함하는 평면(B)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즉,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 상에 하부 빔(21)이 배치되고,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으로부터 떨어져 상부 빔(22)이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하부 빔(21)의 일부가 권상기(7)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부 빔(22) 및 한 쌍의 세로 기둥(23) 모두가 권상기(7)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도 2의 권상기(7),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 및 유닛 프레임(24)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 및 구동 쉬브(72)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를 포함하는 평면(B)으로부터 보아 서로 다른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이 구동 쉬브(72)와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와의 사이를 통과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작용하는 모멘트와, 구동 쉬브(72)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적어도 일부에서 상쇄된다.
하부 빔(21)의 일부는, 수평 방향에 대해 권상기(7)의 배면보다도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측으로 나와 있다. 즉,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하부 빔(21)의 일부는, 권상기(7)의 영역으로부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향해서 나와 있다.
다음으로,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유닛 프레임(24)의 하부 빔(21)에 권상기(7)를 장착하고, 권상기(7) 및 유닛 프레임(24)을 일체로 한 권상기 유닛을 제작한다.
이 후, 승강로(1)의 천정면(1c)에 장착한 양중기인 체인 블록의 훅(hook)을 권상기 유닛의 상부에 건 후, 체인 블록을 조작하여, 권상기 유닛을 체인 블록에 의해 매달면서 권상기 유닛을 상승시킨다.
이 후, 권상기 유닛이 설치 위치에 이르면, 하부 고정대(25) 및 하부 고정대(26)에 의해서 권상기 유닛의 유닛 프레임(24)을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한다. 이 후, 유닛 프레임(24)의 상부 빔(22)에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권상기(7)에 대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의 작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보수원이 최상층의 승강장(6)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 상(上)에 오른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2) 상에 마련되어 있는 보수용 조작부를 조작하여, 최상층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까지 엘리베이터 칸(2)을 상부로 저속으로 이동시킨다. 엘리베이터 칸(2)을 정지시키는 작업 위치는, 엘리베이터 칸(2) 상의 작업면으로부터 승강로(1) 내의 천정면(1c)까지의 거리가 EN81-20에서의 기준 거리 2100mm 이상이 되는 위치이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권상기(7)에 대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한다. 이 때, 보수원은,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 대한 메인터넌스, 예를 들면 너트(34)의 조정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보수용 조작부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하부로 저속으로 이동시킨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최상층의 승강장(6)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7)가 균형추(3)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가 권상기(7)의 하부에서 균형추(3)와 간섭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균형추(3)의 이동 범위를 유지한 채로, 권상기(7)의 위치를 내려 권상기(7)의 위치를 균형추(3)의 이동 범위의 상한 위치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 내의 천정면(1c)과 엘리베이터 칸(2) 상의 작업면과의 사이의 거리를 기준 거리 이상으로 확보한 상태에서,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권상기(7)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권상기(7)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권상기(7)의 위치를 내려 승강로(1)의 천정면(1c)으로부터 권상기(7)의 설치 위치까지의 거리를 넓힐 수 있으므로, 권상기(7)의 설치시에, 승강로(1)의 천정면(1c)에 권상기(7)를 가능한 한 가깝게 할 필요가 없어져, 권상기를 아래로부터 받는 리프팅 지그를 이용하지 않고, 양중기에 의해 권상기(7)의 상부를 매달면서 권상기(7)를 설치 위치까지 옮길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7)의 설치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므로,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최상부에도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권상기(7)를 피해 액세스할 수 있어,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도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는, 권상기(7)를 지지하는 하부 빔(21)과,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지지하는 상부 빔(22)을 가지는 유닛 프레임(24)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권상기(7)를 유닛 프레임(24)에 장착한 상태에서 운반 작업 및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설치 작업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를 잇는 직선(B)이, 구동 쉬브(72)와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와의 사이를 통과하고 있으므로,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작용하는 모멘트와, 구동 쉬브(72)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적어도 일부에서 상쇄시킬 수 있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하중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권상기(7)를 지지하는 하부 빔(21)의 일부가, 권상기(7)의 영역으로부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향해서 나와 있으므로, 예를 들면 지진 또는 강풍 등에 의해서 권상기(7)에 대해서 메인 로프(14)가 흔들린 경우라도, 메인 로프(14)의 흔들림을 하부 빔(21)에 의해 억제하여 메인 로프(14)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가 권상기(7)에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메인 로프(14)가 흔들린 경우에도 권상기(7)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고장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는, 메인 로프(14)의 제1 단부(14a)에 접속되어 있는 섀클 로드(31)와, 섀클 로드(31)에 마련되어 있는 받이판(32)과, 메인 로프(14)에 걸리는 하중을 받이판(32)으로부터 받는 스프링(33)과, 섀클 로드(31)에 마련되어 섀클 로드(31)에 대한 받이판(32)의 위치를 조정하는 너트(34)를 가지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메인 로프(14)를 지지할 수 있고, 너트(34)에 대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메인 로프(14)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권상기(7)를 보았을 때,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일부가 권상기(7)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이 예에서는, 승강로(1)의 깊이 방향)에 대해서,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적어도 일부를 권상기(7)의 범위 내에 배치할 수 있어, 승강로(1)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72)가 엘리베이터 칸(2)을 향하게 권상기(7)가 배치되고, 또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를 잇는 직선(B)에 구동 쉬브(72)의 축선이 직교하고 있으므로,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과 승강로 벽면(1a)과의 사이에 권상기(7)를 배치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과 승강로 벽면(1a)과의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72)가 엘리베이터 칸(2)을 향하게 권상기(7)가 배치되어 있지만, 구동 쉬브(72)가 엘리베이터 칸(2)과는 반대측의 승강로 벽면(1a)을 향하게 권상기(7)를 배치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를 잇는 직선(B)에 대해서 구동 쉬브(72)의 축선이 직교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를 잇는 직선(B)에 대해서 구동 쉬브(72)의 축선이 경사져 있어도 괜찮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권상기(7)는 하부 빔(21)에 지지되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는 상부 빔(22)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 빔(21) 및 상부 빔(22)은, 서로 분리된 별체의 빔이다. 즉,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빔(21, 22)에 의해서 개별로 지지되어 있다.
하부 빔(21) 및 상부 빔(22), 즉 복수의 빔(21, 22)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다. 하부 빔(21)은 한 쌍의 하부 고정대(25)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되고, 상부 빔(22)은 한 쌍의 상부 고정대(26)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되어 있다. 각 하부 고정대(25)는, 하부 빔(21)에 걸리는 하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구로 되어 있다. 각 상부 고정대(26)는, 상부 빔(22)에 걸리는 하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구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7)를 지지하는 하부 빔(21)과,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지지하는 상부 빔(22)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부 빔(21)의 위치와는 관계없이 상부 빔(22)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강장(6)으로부터 보아,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2)의 좌측에 배치한 경우와, 엘리베이터 칸(2)의 우측에 배치한 경우에, 권상기(7)에 대한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위치 관계가 다르게 되지만, 하부 빔(21)의 위치와는 관계없이 상부 빔(22)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엘리베이터 칸(2)의 좌측 및 엘리베이터 칸(2) 우측 중 어느 쪽에 배치한 경우라도, 하부 빔(21) 및 상부 빔(22)의 각각에 대해서 동일한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는, 복수의 메인 로프(14)의 각각의 제1 단부(14a)가 개별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122)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122) 중, 일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로 되고, 나머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로 되어 있다.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및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각각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최상부의 위치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받이판(32), 스프링(33) 및 너트(34)의 각각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최상부의 위치는,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권상기(7)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중,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도 8에서 우측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보다도, 타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도 8에서 좌측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과 권상기(7)와의 사이에 메인터넌스 공간(30)이 존재하고 있다.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보다도 메인터넌스 공간(3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터넌스 공간(30)은,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조작 및 조정에 필요한 공구가 삽입 가능한 공간이다. 이것에 의해, 작업 위치에 정지되어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이 메인터넌스 공간(30)으로부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에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이 메인터넌스 공간(30)을 통해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는 제1 상부 빔(221)에 지지되고,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제2 상부 빔(222)에 지지되어 있다. 또, 권상기(7)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하부 빔(21)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상부 빔(221)의 위치는, 제2 상부 빔(222)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은, 서로 분리된 별체의 빔이다. 즉, 권상기(7),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및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빔(21, 221, 222)에 의해서 개별로 지지되어 있다.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 즉 복수의 빔(21, 221, 222)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다. 하부 빔(21)은,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하부 고정대(25)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상부 빔(221)은 한 쌍의 제1 상부 고정대(261)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되고, 제2 상부 빔(222)은 한 쌍의 제2 상부 고정대(262)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되어 있다. 각 하부 고정대(25)는, 하부 빔(21)에 걸리는 하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구로 되어 있다. 각 제1 상부 고정대(261)는 제1 상부 빔(221)에 걸리는 하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구로 되며, 각 제2 상부 고정대(262)는 제2 상부 빔(222)에 걸리는 하향의 하중을 받는 지지구로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과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9)의 축선이 평행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과 권상기(7)와의 사이에 메인터넌스 공간(30)이 존재하고 있고,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고,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가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보다도 메인터넌스 공간(3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이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에 메인터넌스 공간(30)을 통해서 더 액세스하기 쉬워져,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의 각각을 독립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를 엘리베이터 칸(2)의 좌측 및 엘리베이터 칸(2)의 우측 중 어느 쪽에 배치한 경우라도,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의 각각에 대해서 동일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가 장착되어 있는 유닛 프레임(24)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도 고정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24)은,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 중,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 고정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24)의 하부는, 한 쌍의 하부 고정대(25)에 의해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및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 고정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24)의 하부는, 일방의 하부 고정대(25)에 의해서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만 고정되고, 타방의 하부 고정대(25)에 의해서 타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및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 한꺼번에 고정되어 있다. 유닛 프레임(24)의 상부는, 일방의 상부 고정대(26)에 의해서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만 고정되고, 타방의 상부 고정대(26)에 의해서 타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및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 한꺼번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가 장착된 유닛 프레임(24)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에도 고정되어 있으므로, 유닛 프레임(24)에 걸리는 하중을, 2개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보다도 많은 갯수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어, 가이드 레일의 1개당 작용하는 하중을 저하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또,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는, 복수의 메인 로프(14)의 각각의 제1 단부(14a)가 개별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122)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122) 중, 일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로 되고, 나머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로 되어 있다.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및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각각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최상부의 위치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받이판(32), 스프링(33) 및 너트(34)의 각각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최상부의 위치는, 권상기(7)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각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는 제1 상부 빔(221)에 지지되고, 각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제2 상부 빔(222)에 지지되어 있다. 또, 권상기(7)는,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로, 하부 빔(21)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상부 빔(221)의 위치는, 하부 빔(21)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제2 상부 빔(222)의 위치는, 하부 빔(21)의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하부 빔(21)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은, 서로 분리된 별체의 빔이다. 즉, 권상기(7),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및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빔(21, 221, 222)에 의해서 개별로 지지되어 있다.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 즉 복수의 빔(21, 221, 222)은,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대한 복수의 빔(21, 221, 222)의 고정 구조는,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다.
각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및 각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의 각각의 안내부(5b) 사이를 잇는 직선(B)을 따라서 일렬씩 늘어서 있다. 즉,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열과,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열이, 직선(B)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서로 이웃하는 2열로 되어 있다. 또, 각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각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보다도 승강로 벽면(1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각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보다도 엘리베이터 칸(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가 권상기(7)의 영역 밖에 배치되고, 각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가 권상기(7)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2)의 사이즈가 커져 메인 로프(14)의 수가 많아지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의 수가 많아지므로, 모든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일렬로 늘어놓으면, 추 서스펜션 쉬브(9)에 대한 메인 로프(14)의 진입 각도가 매우 커져 버려, 메인 로프(14)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메인 로프(14)의 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늘어놓는 열을, 엘리베이터 칸(2)에 가까운 측의 열과 엘리베이터 칸(2)으로부터 먼 측의 열인 2열로 하는 경우가 있다.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늘어놓는 열이 2열이 되면, 엘리베이터 칸(2)측으로부터 보아 먼 측의 열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액세스하기 어려워져 버려,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에 시간이 걸려 버린다. 또,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모든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권상기(7)의 최상부보다도 높은 위치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지만,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의 열이 2열이 되므로, 승강로 벽면(1a)과 권상기(7)와의 사이의 거리를 넓힐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고,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의 최상부의 위치가 권상기(7)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에는 권상기(7)의 상부로부터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에는 권상기(7)의 하부로부터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를 권상기(7)의 하부에서 권상기(7)과 간섭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2)에 가깝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가 늘어서는 열과,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가 늘어서는 열이,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2열로 되어 있어도, 승강로 벽면(1a)과 권상기(7)와의 사이의 거리를 넓히지 않고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1) 및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122)를 승강로(1) 내에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메인 로프(14)의 수가 많아지면, 엘리베이터 칸(2)의 사이즈가 확대되기 때문에,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균형추(3)의 폭치수가 넒어져 균형추(3)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균형추(3)의 상하 방향의 이동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하부 빔(21) 및 상부 빔(22)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지만,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뿐만 아니라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도 하부 빔(21) 및 상부 빔(22)을 개별로 고정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해도, 가이드 레일의 1개당 작용하는 하중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3 및 5에서는,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지만,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뿐만 아니라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도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을 개별로 고정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해도, 가이드 레일의 1개당 작용하는 하중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3 및 5에서는,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이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과, 하부 빔(21), 제1 상부 빔(221) 및 제2 상부 빔(222)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 기둥을 가지는 유닛 프레임을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하면, 권상기(7)를 유닛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에서 운반 작업 및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권상기(7) 및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10)의 설치 작업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3 및 5에서 유닛 프레임을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에 고정하는 경우,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5) 뿐만 아니라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4)에도 유닛 프레임을 고정해도 괜찮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72)를 엘리베이터 칸(2)측을 향하게 하고, 구동 장치 본체(71)를 승강로 벽면(1a)을 향하게 한 상태로 권상기(7)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72)를 승강로 벽면(1a)측을 향하게 하고, 구동 장치 본체(71)를 엘리베이터 칸(2)을 향하게 한 상태로 권상기(7)를 배치해도 괜찮다.

Claims (14)

  1. 승강로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상기 승강로 내에 마련되며, 상기 균형추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구동 쉬브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
    추(錐)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추측 메인 로프단(端) 장치,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 및
    상기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단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 쉬브에 감아 걸려져 있는 상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균형추의 이동 범위의 바로 위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인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는, 복수의 상기 메인 로프에 의해서 매달려져 있고,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는, 상기 복수의 메인 로프의 각각의 상기 제1 단부가 개별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중, 일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로 되고, 나머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의 최상부의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고,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의 최상부의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이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중,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보다도 타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일방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구동 장치와의 사이에 메인터넌스 공간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보다도 상기 메인터넌스 공간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는, 복수의 상기 메인 로프에 의해서 매달려져 있고,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는, 상기 복수의 메인 로프의 각각의 상기 제1 단부가 개별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중, 일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로 되고, 나머지의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의 최상부의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의 최상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이고,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의 최상부의 위치는, 상기 구동 장치 보다도 낮은 위치이며,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보다도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및 상기 구동 장치를 개별로 지지하는 복수의 빔을 가지는 유닛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상기 제2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 및 상기 구동 장치는, 복수의 빔에 의해서 개별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빔은,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를 개별로 지지하는 복수의 빔을 가지는 유닛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는, 복수의 빔에 의해서 개별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빔은,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개별로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닛 프레임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도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도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사이를 잇는 직선이, 상기 구동 쉬브와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와의 사이를 통과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빔 중, 상기 구동 장치를 지지하는 빔이, 상기 구동 장치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를 향해서 나와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측 메인 로프 고정부는, 상기 제1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섀클(shackle) 로드와, 상기 섀클 로드에 마련되어 있는 탄성체 받이와, 상기 메인 로프에 걸리는 하중을 상기 탄성체 받이로부터 받는 탄성체와, 상기 섀클 로드에 마련되어 상기 섀클 로드에 대한 상기 탄성체 받이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구(調整具)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사이를 잇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를 보았을 때에는, 상기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의 일부가 상기 구동 장치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상기 구동 쉬브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향하게 한 상태로 상기 구동 장치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사이를 잇는 직선에 상기 구동 쉬브의 축선이 직교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87022888A 2016-02-19 2016-02-19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82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54930 WO2017141438A1 (ja) 2016-02-19 2016-02-19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486A true KR20180101486A (ko) 2018-09-12
KR102082426B1 KR102082426B1 (ko) 2020-02-27

Family

ID=5962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888A KR102082426B1 (ko) 2016-02-19 2016-02-19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36225B2 (ko)
KR (1) KR102082426B1 (ko)
CN (1) CN108698792B (ko)
DE (1) DE112016006454T5 (ko)
WO (1) WO20171414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2054B2 (ja) * 2018-04-12 2020-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巻上機用機械台固定装置
JPWO2023053181A1 (ko) * 2021-09-28 2023-04-06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8084B1 (ko) 1966-09-29 1973-08-29
KR20040062529A (ko) * 2002-06-14 2004-07-07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KR20090038456A (ko) * 2006-09-29 2009-04-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4074B2 (ja) * 1977-12-29 1983-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巻上機と逸せ車装置との据付け方法
JPH0780659B2 (ja) * 1988-04-20 1995-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斜行エレベータの移動ケーブル装置
FI94123C (fi) * 1993-06-28 1995-07-25 Kone Oy Vetopyörähissi
FI100516B (fi) * 1994-09-27 1997-12-31 Kone Oy Järjestelyt hissiköyden kiinnittämiseksi ja johteen käyttämiseksi hiss in kannatuselimenä
JP4157631B2 (ja) * 1998-11-19 2008-10-01 日本エレベーター製造株式会社 エレベ−タ装置
JP2000211851A (ja) * 1999-01-22 2000-08-0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タ
FI111622B (fi) * 1999-01-27 2003-08-29 Kone Corp Vetopyörähissi ja taittopyörän käyttö
SG117469A1 (en) * 2002-12-24 2005-12-29 Inventio Ag Lift cage with horizontal balancing system
MY137170A (en) * 2003-02-04 2009-01-30 Toshiba Elevator Kk Elevator
CN2632050Y (zh) * 2003-07-24 2004-08-11 广州日立电梯有限公司 无机房电梯
JP2008230809A (ja) * 2007-03-22 2008-10-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ヒッチ装置
DE112014006866B4 (de) * 2014-08-13 2021-06-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schinensockel-Anbringungsvorrichtung für eine Aufzugshubmas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8084B1 (ko) 1966-09-29 1973-08-29
KR20040062529A (ko) * 2002-06-14 2004-07-07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KR20090038456A (ko) * 2006-09-29 2009-04-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8792A (zh) 2018-10-23
WO2017141438A1 (ja) 2017-08-24
KR102082426B1 (ko) 2020-02-27
DE112016006454T5 (de) 2018-12-20
JP6336225B2 (ja) 2018-06-06
JPWO2017141438A1 (ja) 2018-05-31
CN108698792B (zh)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7995A (ko) 승강실 및 승강로에 승강실의 지지 수단을 설치하는 방법
JP5264751B2 (ja) エレベータの揚重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揚重方法
CN112239115A (zh) 用于将电梯导轨安装到电梯井道中的方法和装置
KR20180132821A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 방법
KR1006413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080277207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CN110709344B (zh) 电梯
KR20180101486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20567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20180086214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기계 장착 구조체
JP6432926B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8377647B (zh) 电梯装置的对重和电梯装置
JP2012201497A (ja) マシンベッド及び揚重装置
JP2018104117A (ja) エレベーター
EP1329411B1 (en) Elevator device
JP5748538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
JP4917829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および据付装置
JP5253285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3548559B (zh) 电梯装置
WO2013004899A1 (en) Elevator, rope anchorage assembly for an elevator, and method for modernizing an elevator
WO2023175881A1 (ja) 巻上機の据付方法
JP2013067492A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固定装置
KR101437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324216B2 (ja) かご吊下げ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保守作業方法
JP2023168698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